KR20200109919A - 낚시용 분할추 세트 - Google Patents

낚시용 분할추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919A
KR20200109919A KR1020190029745A KR20190029745A KR20200109919A KR 20200109919 A KR20200109919 A KR 20200109919A KR 1020190029745 A KR1020190029745 A KR 1020190029745A KR 20190029745 A KR20190029745 A KR 20190029745A KR 20200109919 A KR20200109919 A KR 20200109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weight
support rod
weights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895B1 (ko
Inventor
안석필
Original Assignee
안석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석필 filed Critical 안석필
Priority to KR1020190029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89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고기가 미끼에 대하여 입질을 할 때 낚시추의 무게로 인한 이물감을 최소화 하여 낚시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낚시용 분할추 세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단에는 원줄이 매어져 있고 하단에는 연결줄이 매어져 있는 제1 낚시추와, 상기 연결줄의 하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제2 낚시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낚시추는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줄의 하단을 연결하는 상단고리와, 상기 지지봉의 상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분할봉돌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에 설치되어 목줄을 연결하는 하단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낚시용 분할추 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용 분할추 세트{Divided sinker set for fishing}
본 발명은 물고기가 미끼에 대하여 입질을 할 때 낚시추의 무게로 인한 이물감을 최소화 하여 낚시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낚시용 분할추 세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단에는 원줄이 매어져 있고 하단에는 연결줄이 매어져 있는 제1 낚시추와, 상기 연결줄의 하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제2 낚시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낚시추는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줄의 하단을 연결하는 상단고리와, 상기 지지봉의 상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분할봉돌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에 설치되어 목줄을 연결하는 하단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낚시용 분할추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찌낚시를 하는데 필요한 낚시추(‘봉돌’이라고도 함)는 낚시바늘이 뒤집어지지 않고 위쪽을 향해 바닥에 서 있도록 위치를 잡아주고, 낚시찌의 부력과 무게 균형을 이루어서 물고기의 입질, 즉 어신(魚信)을 정확하게 낚시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낚시추는 원줄에 의해서 낚시찌 및 낚시대와 연결되어 있고, 또한 목줄(‘밑줄’이라고도 함)에 의해서 낚시바늘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찌올림 낚시라 함은 수중에서 낚시찌의 부력(浮力)과 낚시추의 침력(沈力)을 일치시킴으로써 물고기가 낚시 바늘에 꿰어진 미끼를 물었을 때 찌머리가 수면 위로 상승하는 소위 찌오름 현상을 이용하여 어신을 감지는 낚시방법을 말한다. 그래서 물고기의 입질이 적시에 찌오름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낚시찌의 부력과 낚시추의 침력을 서로 정확히 일치시키는 소위 찌맞춤 작업을 해야 한다.
이러한 찌올림 낚시에서 찌오름 현상은 낚시 미끼를 문 물고기가 낚시추 무게의 일부를 감당함으로써 상기 부력과 침력 사이에 평형 관계가 깨어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물고기는 미끼를 무는 순간에 낚시추의 무게를 감당해야 하는 이물감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이물감은 물고기가 미끼를 물지 않고 회피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서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을 때 낚시추의 무게로 인한 이물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분할형 낚시추가 개발되어 있다. 상기 분할형 낚시추(이하, ‘분할추’라 함)는 낚시찌의 부력과 동일한 침력을 갖는 낚시추를 여러개의 봉돌로 분할함으로써, 물고기가 미끼를 물 때 물고기가 감당해야 하는 낚시추의 무게를 최소화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 제20-0275437호(2002.05.01.)에는, 첨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낚시추(100)가 5개의 봉돌로 분할되어 제1 내지 제6 낚시추(120,130,140,150,160)로 이루어진 분할 낚시추가 소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6 낚시추(120,130,140,150,160) 무게의 합에 의해서 발생하는 침력은 낚시추(300)의 부력과 동일하다. 그리고, 제1 낚시추(120)에는 낚시바늘(400)이 부착되어 있고, 제6 낚시추(160)에는 원줄(110)에 의해서 낚시찌(30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도 1과 같은 분할추의 경우, 물고기가 낚시바늘(400)에 꿰어있는 미끼를 물었을 때, 제1 낚시추(120)의 무게만 감당하더라도 낚시찌(300)의 찌머리가 수면 위로 상승하는 찌오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물고기가 감당해야 하는 낚시추의 무게를 상당량 절감시켜 주는 효과는 있으나, 이 경우에도 물고기가 제1 낚시추(120)의 무게를 그대로 감당해야 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20-0477222호(2015.05.13.)에는, 첨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량 분산추(21)와 편대(22) 및 낚시바늘(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채비(20)가 소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중량 분산추(21)는 보조 낚시줄(3)에 의해서 일렬로 연결된 다수개의 봉돌(211)로 구성되고, 상기 편대(22)의 양단에는 낚시바늘(23)을 연결하는 목줄(2)이 매어져 있다.
상기 도 2와 같은 편대 낚시채비(20)는 상기 봉돌(211)의 무게로 인해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 하고, 2개의 낚시바늘(23)을 이격 배치하여 낚시 성공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기 편대(22)의 부피감 및 무게로 인해서 낚시바늘의 원거리 투척이 곤란하고, 잡초나 암초 등에 상기 편대(22)가 걸릴 우려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물고기의 입질이 찌오름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물고기가 한쪽 낚시바늘(23)의 미끼를 물 때 최하단에 배치된 봉돌(211)의 무게와 함께 상기 편대(22) 전체의 길이로 인한 저항감을 모두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물고기가 여전히 상당한 이물감은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75437호(2002.05.01.) 실용신안등록 제20-0477222호(2015.05.13.)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고기가 초기 입질을 할 때 낚시추의 무게로 인한 부감감 또는 이물감을 최소화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낚시 성공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낚시용 분할추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낚시줄에 다수개의 낚시바늘을 이격 배치하되, 잠초나 암초에 걸릴 우려가 적고, 장거리 투척이 용이하며, 나아가 이들 낚시바늘을 연결하는 목줄이 서로 엉길 우려가 없는 낚시용 분할후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분할추 세트는, 상단에는 낚시찌로 연결되는 원줄이 매어져 있고, 하단에는 연결줄이 매어져 있는 제1 낚시추와, 상기 연결줄의 하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제2 낚시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낚시추는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상기 연결줄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상단고리와, 상기 지지봉의 상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각각의 무게가 해당 제2 낚시추 무게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분할봉돌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에 낚시바늘이 연결된 목줄의 상단을 잡아매도록 설치되어 있는 하단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분할추 세트는, 낚시찌의 부력에 대응하는 침력이 제1 낚시추와 다수개의 제2 낚시추에 분산되어 있고, 상기 제2 낚시추는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2 낚시추에 설치된 분할봉돌에 대해서는 지지봉이 지렛대 작용을 하기 때문에 물고기가 입질을 할 때 낚시추의 무게로 인한 부감감 또는 이물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분할봉돌의 존재로 인해서 제2 낚시추의 하단고리 부분이 자연스럽게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하단고리에 연결된 목줄이 서로 엉키지 않도록 이격되고, 나아가 이들 목줄에 연결된 낚시바늘의 위치가 자연스럽게 분산 배치됨으로써 낚시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낚시용 분할추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분할추를 구비한 편대형 낚시채비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분할추 세트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낚시용 분할추 세트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분할추 세트는, 첨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개의 제1 낚시추(10)와 다수개의 제2 낚시추(20)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낚시대와 낚시바늘을 연결하는 낚시줄의 선상에서 낚시대로 향하는 쪽을 상단 또는 상측이라 하고, 낚시바늘로 향하는 쪽을 하단 또는 하측이라 한다.
상기 제1 낚시추(10)의 상단에는 낚시찌(도 3 및 도 4에는 나타내지 않았음)로 연결되는 원줄(11)이 매어져 있고, 하단에는 연결줄(12)이 매어져 있다. 상기 제1 낚시추(10)로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 종래의 낚시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줄(12)은 상기 원줄(1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낚시추(20)는 상기 연결줄(12)의 하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첨부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제2 낚시추(20)가 2개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2 낚시추(20)는 복수개, 바람직하기로는 2~4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제2 낚시추(20)는, 지지봉(21)과 상단고리(22), 분할봉돌(23) 및 하단고리(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21)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경량(輕量) 재질의 막대 형상으로 서, 예컨대 경량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단고리(22)는 상기 연결줄(12)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봉(21)의 상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할봉돌(23)은 상기 지지봉(21)의 상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각각의 무게가 해당 제2 낚시추(20) 무게의 5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70% 이상을 차지한다. 예컨대, 상기 분할봉돌(23)의 무게가 해당 제2 낚시추(20) 무게의 50%에 해당할 경우, 상기 제2 낚시추(20) 무게의 나머지 50%는 상기 지지봉(21)과 상단고리(22) 및 하단고리(24)의 무게가 차지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하단고리(24)는 낚시바늘(도 3 및 도 4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에 연결된 목줄(13)의 상단을 잡아매는 것으로, 상기 지지봉(21)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르면, 상기 연결줄(12)의 하단에는 추가적으로 연결고리(30)가 매어져 있고, 상기 연결고리(30)에는 상기 제2 낚시추(20)의 상단고리(22)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낚시추(20)는 상기 연결고리(30)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낚시추(20)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이 다른 제2 낚시추(20)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낚시추(20)는 각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제2 낚시추(20) 무게의 50% 이상을 감당하는 분할봉돌(23)이 지지봉(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21)의 상단은 연결고리(30)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봉(21)의 하단, 즉 목줄(13)이 메어진 부분을 들어 올릴 때는 지렛대의 원리가 작용하여 약간의 힘만으로도 상기 지지봉(21)의 하단 부분을 가볍게 들어 올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낚시추(20)의 하단고리(24)가 들려 올라가는 과정에서 다른 제2 낚시추(20)의 무게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래서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꿰어진 미끼를 물었을 때 상기 제2 낚시추(20)의 무게로 인한 이물감을 거의 느끼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할추 세트를 이용하여 찌맞춤을 할 때는 도 4와 같이, 제2 낚시추(20)의 하단고리(24)가 60~90도 정도의 각도로 들려 올라갔을 때, 낚시찌의 부력과 낚시추(10,20)의 침력 사이의 균형이 깨지면서 상기 낚시찌의 찌머리가 수면 위로 상승하는 찌오름이 발생하도록 찌맞춤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낚시추(20)는 2~4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낚시추(20) 전체의 무게로 인해 발생되는 침력은 상기 낚시찌로 인해 발생되는 부력의 20~40%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낚시추(20)의 지지봉(21)은 길이가 3~6 Cm이고, 직경이 0.5~2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봉(21)은 중공형 봉체로 이루어지고, 각 지지봉(21)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지지봉(21)은 길이가 3 Cm 미만이면, 상기 분할봉돌(23)에 대하여 물고기가 감당해야 할 무게 부담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6 Cm를 초과하면, 지지봉(21)의 길이로 인한 저항감 때문에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봉(21)의 직경이 0.5mm 미만이면, 기술적으로 상기 분할봉돌(23)을 지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반대로 2mm를 초과하면, 지지봉(21)의 굵기로 인한 저항감 때문에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할봉돌(23)의 존재로 인해서 제2 낚시추(20)의 하단고리(24) 부분이 자연스럽게 양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단고리(24)에 연결된 목줄(13)이 서로 엉키지 않도록 이격되고, 나아가 이들 목줄(13)에 연결된 낚시바늘의 위치가 자연스럽게 분산 배치됨으로써 낚시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제1 낚시추 11; 원줄
12; 연결줄 13; 목줄
20; 제2 낚시추 21; 지지봉
22; 상단고리 23; 분할봉돌
24; 하단고리 30; 연결고리

Claims (5)

  1. 상단에는 낚시찌로 연결되는 원줄이 매어져 있고, 하단에는 연결줄이 매어져 있는 제1 낚시추와,
    상기 연결줄의 하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제2 낚시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낚시추는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단에 상기 연결줄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상단고리와,
    상기 지지봉의 상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각각의 무게가 해당 제2 낚시추 무게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분할봉돌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에 낚시바늘이 연결된 목줄의 상단을 잡아매도록 설치되어 있는 하단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분할추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줄의 하단에는 연결고리가 매어져 있고, 상기 연결고리에는 상기 제2 낚시추의 상단고리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분할추 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낚시추는 2~4개로 구성되고, 상기제2 낚시추 전체의 침력(沈力)은 상기 낚시찌로 인해 발생되는 부력(浮力)의 20~40%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분할추 세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낚시추의 지지봉은 길이가 3~6 Cm이고, 직경이 0.5~2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분할추 세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낚시추는 지지봉의 길이가 서로 다르고, 상기 지지봉은 중공형 봉체로 이루어지는 낚시용 분할추 세트.
KR1020190029745A 2019-03-15 2019-03-15 낚시용 분할추 세트 KR102167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745A KR102167895B1 (ko) 2019-03-15 2019-03-15 낚시용 분할추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745A KR102167895B1 (ko) 2019-03-15 2019-03-15 낚시용 분할추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919A true KR20200109919A (ko) 2020-09-23
KR102167895B1 KR102167895B1 (ko) 2020-10-20

Family

ID=72708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745A KR102167895B1 (ko) 2019-03-15 2019-03-15 낚시용 분할추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89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437Y1 (ko) 2001-11-14 2002-05-16 최순호 분할 낚시 추
KR200292896Y1 (ko) * 2002-07-13 2002-10-25 김동영 낚시용 봉돌
KR20040007206A (ko) * 2002-12-13 2004-01-24 김동영 낚시 채비
JP2005278615A (ja) * 2004-03-29 2005-10-13 Kenzo Kishi 釣り曳き感度を高める事を有する笠かぶりオモリ
KR20080067725A (ko) * 2007-01-17 2008-07-22 홍길표 낚시추
JP2009178138A (ja) * 2008-01-31 2009-08-13 Shimano Inc 釣用天秤
KR200477222Y1 (ko) 2015-01-23 2015-05-19 강선규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20190000461U (ko) * 2017-08-10 2019-02-20 김화규 밑걸림 방지 낚시추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437Y1 (ko) 2001-11-14 2002-05-16 최순호 분할 낚시 추
KR200292896Y1 (ko) * 2002-07-13 2002-10-25 김동영 낚시용 봉돌
KR20040007206A (ko) * 2002-12-13 2004-01-24 김동영 낚시 채비
JP2005278615A (ja) * 2004-03-29 2005-10-13 Kenzo Kishi 釣り曳き感度を高める事を有する笠かぶりオモリ
KR20080067725A (ko) * 2007-01-17 2008-07-22 홍길표 낚시추
JP2009178138A (ja) * 2008-01-31 2009-08-13 Shimano Inc 釣用天秤
KR200477222Y1 (ko) 2015-01-23 2015-05-19 강선규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20190000461U (ko) * 2017-08-10 2019-02-20 김화규 밑걸림 방지 낚시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895B1 (ko)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308B1 (ko) 올림 낚시용 추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US7036266B2 (en) Weighted shank fish hooks
US2792663A (en) Fish hook
US7546704B1 (en) Fishing rig with a sinker lifter and a sinker weight
KR102167895B1 (ko) 낚시용 분할추 세트
KR200473427Y1 (ko) 낚시 채비
US8341872B2 (en) Magnetic slip bobber
US20110214333A1 (en) Fishing Lure
US2908991A (en) Bobber
CN209463171U (zh) 一种可自动弹起的钓鱼器
AU2020207770A1 (en) Horizontal hybrid metal spinning lure
US2540713A (en) Fishing appliance
KR200338841Y1 (ko)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CN205547059U (zh) 一种新型钓竿
CN218604672U (zh) 一种螃蟹用钓钩装置
CN102783465A (zh) 一种新型鱼竿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KR200292563Y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260490Y1 (ko) 낚시용 보조 관통봉돌
KR20240061016A (ko) 민물낚시용 가변 봉돌
KR200348692Y1 (ko) 부력 최소화로 가시성을 극대화한 낚시찌
JPH05123089A (ja) 釣用立ちテンビン
CN205213913U (zh) 一种新型假饵
JPH08861Y2 (ja) 船釣り用天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