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841Y1 -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 Google Patents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841Y1
KR200338841Y1 KR20-2003-0030311U KR20030030311U KR200338841Y1 KR 200338841 Y1 KR200338841 Y1 KR 200338841Y1 KR 20030030311 U KR20030030311 U KR 20030030311U KR 200338841 Y1 KR200338841 Y1 KR 200338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shing
split
weights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호
Original Assignee
김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호 filed Critical 김운호
Priority to KR20-2003-0030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8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8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낚시추로 각 호의 추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낚시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무게 조합으로 되어 있는 다수의 분할추를 포함하는 하나의 낚시추만 가지고도 다양한 조건의 부력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댐 낚시, 호수 낚시, 강 낚시 등 지형조건이나 환경조건에 알맞는 최적의 부력을 미세하게 정밀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낚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Variable weight type fishing weight}
본 고안은 낚시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가 다른 여러 분할추의 조합을 통해 정밀하게 부력을 맞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의 낚시추만 가지고도 다양한 지형조건이나 환경조건에 적합하게 낚시를 할 수 있도록 한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돌이라 불리우는 낚시추는 낚시줄이 물 속에 빨리 가라않게 하거나 물의 흐름에 쓸려가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머무르게 하며, 낚시바늘이 윗쪽을 향해 서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낚시추는 물 속에서 찌의 부력과 무게평형을 맞추어 물고기의 어신(魚信;물고기가 미끼를 물 때 꿈틀 하는 찌나 낚시대의 반응)을 정확하게 찌에 전달한다.
그러므로, 낚시추는 부피가 작으면서도 무게가 무거워야 하며, 모양, 크기, 무게는 어구에 따라 다르지만 모양은 통상 마찰을 덜 받게 하기 위하여 둥근 것이 많다.
민물낚시에 사용되는 기존의 낚시추는 추 자체가 단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물의 흐름이나 어종에 따라 추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3호(3g)에서부터 10호(10g)까지 다량의 낚시추를 휴대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또한, 낚시터의 지형이나 환경, 즉 물의 유속과 물의 간만의 차이에 따라 낚시추의 무게를 맞춘다 하더라도 날씨와 바람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물 속의 조건에 낚시추의 무게를 최적의 상태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301437호에서는 위와 같은 기존 낚시추의 단점들을 개선하여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추를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시하는 낚시추는 본체와 볼트상에 다수의 링부재를 조합시킨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링부재의 수량에 따라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본체가 갖는 기본적인 무게를 항상 감안해야 하기 때문에 낚시에 필요한 각 호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최소한 5종류의 낚시추를 구비해야 하므로, 기존 낚시추에 비해 수량을 몇 개 줄일 수 있는 잇점은 있지만, 여전히 많은 수의 낚시추를 휴대 및 취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을 크게 줄일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또한 가격면에서도 많은 부담이 있고, 특히 동일한 무게를 갖는 링부재를 가지고 무게를 맞춰야 하기 때문에 정밀한 무게조절이 불가능한 취약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양한 무게 조합으로 되어 있는 다수의 분할추를 포함하는 하나의 낚시추만 가지고도 다양한 조건의 부력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댐 낚시, 호수 낚시, 강 낚시 등 지형조건이나 환경조건에 알맞는 최적의 부력을 미세하게 정밀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낚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분할추를 가감하는 것으로 무게조절을 할 수 있도록 된 낚시추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분할추는 서로 다른 각각의 무게를 가지면서 이것들 전체가 하나로 조합되어 그 자체가 추의 전체 무게를 나타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추는 7∼9mm의 외경과 1∼3mm의 두께를 갖는 적어도 5개의원통형 분할추와 이것의 위아래를 마감하는 적어도 2개의 원뿔형 분할추의 조합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추는 미세한 부력조절을 위해 적어도 4개 정도의 0.3mm의 두께를 갖는 보조 원통형 분할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추는 하나의 핀에 그 중심이 끼워져 하단의 턱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단에 체결되는 캡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할추 11 : 핀
12 : 턱 13 : 캡
14 : 고리 15 : 훅
16 : 낚시바늘 17 : 낚시찌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낚시추는 납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여러 분할추들이 핀을 중심으로 조합되어 그 자체가 하나의 추 몸체를 구성하게 되며, 각각의 분할추들은 서로 다른 각각의 무게를 가짐에 따라 분할추의 가감을 통해 낚시추의 무게, 즉 부력을 맞출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낚시추는 2개 정도의 원뿔형 분할추(10b)와 5개 정도의 원통형 분할추(10a)로 구성되며, 각각의 추 중심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하나의 핀(11)상에 끼워져 일체식으로 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분할추는 대략 7∼9mm 정도의 직경을 갖고 있으며, 두께는 1mm의 것부터 최대 3mm의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분할추 간의 두께 차이는 보통 0.4mm에서 0.7mm 정도의 갭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부력조절시 지형조건이나 환경조건 이외에 동일한 지형 및 환경 조건하에서도 낚시찌나 낚시바늘의 종류에 따라 부력이 전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때에는 아주 미세한 부력조절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두께 0.3mm 정도의 보조 원통형 분할추(10c)를 4∼5개 정도를 더 제공함으로써, 부력을 정확히 맞출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분할추(10)는 하나의 핀(11)을 이용하여 더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먼저, 원뿔형 분할추(10b)를 핀(11)의 아래쪽 턱(12)에 끼운 다음, 해당 부력에 맞게 조절된 원통형 분할추(10a)을 끼우고, 마지막으로 원뿔형 분할추(10b)를 끼운 후 캡(13)을 체결하면 분할핀 조합형만으로 된 하나의 낚시추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완성된 낚시추의 경우에는 위아래에 원뿔형 분할추가 배치됨에 따라 추의 전체적인 형태가 유선형을 취하게 되므로, 물의 흐름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게 되고, 해저나 물 바닥에 잘 걸리지 않고 쉽게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부력조절시에는 윗쪽의 캡(13)을 열고 원통형 분할핀(10a)을 가감하거나, 보조 원통형 분할핀(10c)을 적용하거나 하는 등의 조작을 통해 용이하게 낚시추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본 고안의 낚시추에 대한 사용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낚시추(10)는 수면 위의 낚시찌(17)와 물 속의 낚시바늘(16) 사이에 훅(15)과 고리(14)를 통해 연결하여 사용하며, 낚시추(10)의 무게조절에 따른 부력 조절을 통하여 낚시찌(17)의 수면상 위치와 낚시바늘(16)의 물 속 위치를 조건에 맞게 설정하여 낚시를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분할추 조합형의 낚시추 하나만으로 일반 민물낚시에서 사용하는 추의 무게 3호 내지 10호의 용도로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미세한 부력조절 및 정확한 부력조절을 통해 중층낚시, 내림낚시, 바닥낚시, 수초낚시, 계류낚시(흘림낚시), 강낚시 등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분할추의 가감이 쉽기 때문에 낚시바늘 교환시나 낚시찌의 교체시에도 용이하게 부력을 맞춰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무게가 다른 다수의 분할추를 포함하는 낚시추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낚시추만 가지고도 다양한 조건의 부력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및 취급이 간편한 효과가 있고, 댐 낚시, 호수 낚시, 강 낚시 등 지형조건이나 환경조건에 알맞는 최적의 부력을 미세하게 정밀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낚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의 분할추(10)를 가감하는 것으로 무게조절을 할 수 있도록 된 낚시추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분할추(10)는 서로 다른 각각의 무게를 가지면서 이것들 전체가 하나로 조합되어 그 자체가 추의 전체 무게를 나타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할추(10)는 7∼9mm의 외경과 1∼3mm의 두께를 갖는 적어도 5개의 원통형 분할추(10a)와 이것의 위아래를 마감하는 적어도 2개의 원뿔형 분할추(10b)의 조합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분할추(10)는 미세한 부력조절을 위해 적어도 4개 정도의 0.3mm의 두께를 갖는 보조 원통형 분할추(10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할추(10)는 하나의 핀(11)에 그 중심이 끼워져 하단의 턱(12)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단에 체결되는 캡(13)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KR20-2003-0030311U 2003-09-25 2003-09-25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KR200338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311U KR200338841Y1 (ko) 2003-09-25 2003-09-25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311U KR200338841Y1 (ko) 2003-09-25 2003-09-25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841Y1 true KR200338841Y1 (ko) 2004-01-16

Family

ID=4942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311U KR200338841Y1 (ko) 2003-09-25 2003-09-25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84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63B1 (ko) * 2008-12-09 2011-07-04 전재훈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조립체
KR101109405B1 (ko) 2011-06-28 2012-01-31 정순영 중량조절이 용이한 낚시 추
KR20160001146U (ko) * 2014-09-29 2016-04-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센서 검사 장치
KR20200107790A (ko) * 2020-02-04 2020-09-16 김완수 무게조절이 용이한 낚시 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63B1 (ko) * 2008-12-09 2011-07-04 전재훈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조립체
KR101109405B1 (ko) 2011-06-28 2012-01-31 정순영 중량조절이 용이한 낚시 추
KR20160001146U (ko) * 2014-09-29 2016-04-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센서 검사 장치
KR200480990Y1 (ko) 2014-09-29 2016-08-02 삼성중공업(주) 센서 검사 장치
KR20200107790A (ko) * 2020-02-04 2020-09-16 김완수 무게조절이 용이한 낚시 추
KR102231820B1 (ko) 2020-02-04 2021-03-24 김완수 무게조절이 용이한 낚시 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050B2 (en) Fishing lure
US5235777A (en) Fishing bobber
KR101882086B1 (ko) 수심측정이 용이하며 미세 부력조절이 가능한 이중 낚시찌
KR200338841Y1 (ko)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KR101061901B1 (ko) 사계절 낚시용 편대
US20120180376A1 (en) Slip bobber
CN210610775U (zh) 带导流槽加粗锥形体醒目漂尾浮漂
KR101492326B1 (ko) 낚시용 봉돌
CN211607936U (zh) 一种带有便于安装钓鱼铅坠的渔具
KR101457174B1 (ko) 낚시용 봉돌
US20140075823A1 (en) Fishing weight having optimized buoyancy characteristics
JP3217518U (ja) 海底で直立する天秤。
JP2020078290A (ja) エコな魚釣りウキ
AU756476B1 (en) A fishing accessory that can be a float or a sinker
KR200304128Y1 (ko) 중량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CN210130280U (zh) 一种鱼坠装置
JP2003061531A (ja) 浮き及びルアー
KR102167895B1 (ko) 낚시용 분할추 세트
CN220402813U (zh) 一种钓鱼轻口远抛配重水面标浮漂
KR200202746Y1 (ko) 낚시용 찌
KR200377386Y1 (ko) 수중찌
KR200412966Y1 (ko) 표면장력을 이용한 입수시 형상이 변하는 낚시찌
JPH11289938A (ja) 魚釣り用浮き
KR970007302B1 (ko) 수중찌
JPH0715420Y2 (ja) 友釣り用オトリ沈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