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174B1 - 낚시용 봉돌 - Google Patents

낚시용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174B1
KR101457174B1 KR1020130044451A KR20130044451A KR101457174B1 KR 101457174 B1 KR101457174 B1 KR 101457174B1 KR 1020130044451 A KR1020130044451 A KR 1020130044451A KR 20130044451 A KR20130044451 A KR 20130044451A KR 101457174 B1 KR101457174 B1 KR 101457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fishing
buoyancy
weight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200A (ko
Inventor
영 균 김
Original Assignee
영 균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균 김 filed Critical 영 균 김
Priority to KR1020130044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174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
부력조절공간이 마련되는 상부체; 상기 상부체에 접속되어 부력조절공간의 실질 부피를 조절하는 하부체; 상기 상부체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조절링; 및 무게조절링을 고정하는 마감캡;을 포함하고, 상부체와 하부체, 마감캡에 서로 연결되는 낚시줄 통과구멍을 형성하는 기술 구성을 통해
전체 무게와 부력을 함께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조류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동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용 봉돌 { FISHING SINKER }
본 발명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낚시줄에 고정되지 않고 조류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동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봉돌은 낚시바늘이 물속에 빨리 가라앉게 하고, 원하는 위치에 머무르게 하는 기능과 함께 물속에서 찌의 부력과 무게 평형을 맞추어 물고기의 어신을 찌에 전달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낚시용 봉돌은 대부분 중량체인 몸체의 상부에 낚시대의 낚시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마련되고, 몸체의 하부에 낚시바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마련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몸체에 형성된 낚시줄 통과구멍에 낚시줄을 통과시킴으로써 조류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동되도록 한 것도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조류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동되는 바다낚시용 봉돌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낚시용 봉돌은 부피는 최대한 작으면서 최대한 무거운 재료를 사용해야 하므로 주로 납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 평형을 맞추기 위해 몸체의 일부를 절단도구로 잘라내어 봉돌의 전체의 무게를 줄이거나 별도의 중량 추가부재를 부착하여 봉돌의 전체 무게를 늘이는 방법으로 무게 평형을 맞춰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납 재질의 낚시용 봉돌을 사용하는 경우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 평형을 맞추고 난 후에 물속에 버려지는 납 부스러기와 물속에서 이탈되는 중량 추가부재의 유해한 성분에 의해 환경오염이 유발되어 어족자원이나 수생식물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납 재질이 아닌 다른 재질의 몸체에 분해 가능한 무게조절링을 분해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전체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봉돌이나 부력 조절을 통해 찌의 부력과의 무게 평형을 조절하는 낚시용 봉돌이 제안되었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제1 봉돌과 상기 제2 봉돌의 사이에 무게조절부재가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봉돌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일면이 막힌 원통형 중공부의 내주연에 나선부를 갖춘 몸체와 몸체의 나선부와 나합되는 나선부를 갖추고서, 내부에 비중이 큰 금속이 플라스틱에 의해 내장되는 추로 이루어지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추가 개시되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12730호(1999년 4월 15일 공개)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523호(2006년 9월 19일 공고)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462호(2001년 10월 8일 공고)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봉돌은 무게 조절 기능과 부력 조절 기능을 갖추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특허문헌 2, 3에 개시된 봉돌은 전체의 무게만을 조절하거나 부력만을 조절할 수 있을 뿐이어서 찌의 부력과 낚시용 봉돌의 무게 평형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조류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동되도록 하는 봉돌의 무게 조절과 부력 조절을 함께 하는 것에 의해 찌의 부력과의 무게 평형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봉돌은 내부에 부력조절공간이 마련되는 상부체; 상기 상부체에 승강 가능하게 접속되어 부력조절공간의 실질 부피를 조절하는 하부체; 상기 상부체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조절링; 및 상기 상부체에 체결되어 무게조절링을 고정하는 마감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봉돌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 마감캡에는 서로 연결되는 낚시줄 통과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봉돌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는 상단 중앙에 마련되는 연결돌출부, 내부 중앙에 마련되는 접속축, 그리고 접속축의 외부에 마련되는 부력조절공간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부체에는 상기 상부체의 접속축과 체결되는 접속구멍이 마련되고, 마감캡에는 상기 상부체의 연결돌출부와 체결되는 접속구멍이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봉돌에 있어서 하부체의 외주 상부 둘레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밀폐링이 설치되고, 하부체의 외주 하단부 둘레에는 파지부가 마련되며, 하부체의 밀폐링 설치부위와 파지부 사이의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링형 조절눈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봉돌은 낚시줄에 고정되지 않아 조류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봉돌은 1차적으로 전체 무게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2차적으로 부력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찌의 부력과 낚시용 봉돌의 무게 평형을 미세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고기의 포획율을 높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되어 낚시용 봉돌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분해 종단면도,
도 3은 동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상부체와 하부체의 최소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상부체의 부력조절공간을 축소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분해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100)은 상부체(110), 하부체(120), 마감캡(130), 무게조절링(14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상부체(110)는 상단이 밀폐되고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이다.
상부체(110)는 상단 중앙에 마련되는 연결돌출부(111), 내부 중앙에 마련되는 접속축(112), 그리고 접속축(112)의 외부에 마련되는 부력조절공간(113)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돌출부(111)의 외주 및 접속축(112)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체(110)에는 상기 연결돌출부(111)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접속축(112)의 하단 중앙을 관통하는 낚시줄 통과구멍(115)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하부체(120)는 상기 상부체(110)의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으로, 원기둥형이다.
하부체(120)의 내부 중앙에는 상단이 개구된 접속구멍(121)을 마련된다.
상기 접속구멍(121)의 내주면에는 상부체 접속축(112)의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체(120)의 외주 상부 둘레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밀폐링(122)이 설치되고, 하부체(120)의 외주 하단부 둘레에는 파지부(123)가 마련된다.
상기 파지부(123)의 외부 표면은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널링(KNURLING)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체(120)의 밀폐링(122) 설치부위와 파지부(123) 사이의 외주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링형 조절눈금(124)이 형성된다.
하부체(120)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접속구멍(121) 내부와 연결되는 낚시줄 통과구멍(12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하부체(120)의 접속구멍(121)을 상부체(110)의 접속축(112)과 나사 결합하게 되면 상부체(110)의 하부에 하부체(120)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체(110)와 하부체(120)의 나사 결합은 최소한 하부체(120)의 외주 상부의 밀폐링(122)이 상부체(1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부력조절공간(113)의 하부 개구가 밀폐되는 정도까지 진행되어야 한다.
상부체(110)와 하부체(120)가 최소 결합된 상태에서 한 손으로 상부체(11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하부체(120)를 계속 결합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체(12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승된 하부체(120)는 결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마감캡(130)은 상기 상부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반구형이다.
마감캡(130)의 내부 하부 중앙에는 하단이 개구된 접속구멍(131)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구멍(131)의 내주면에는 상부체 연결돌출부(111)의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마감캡(130)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접속구멍(131)의 내부와 연결되는 낚시줄 통과구멍(135)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무게조절링(140)은 상기 상부체(110)의 연결돌출부(111)에 삽입 설치되고, 연결돌출부(111)에 체결되는 마감캡(130)을 통해 고정된다.
즉, 상부체(110)의 연결돌출부(111)에 무게조절링(140)을 삽입하고, 연결돌출부(111)에 마감캡(130)을 체결하게 되면 마감캡(130)의 하단부가 상부체(110)에 올려진 무게조절링(140)의 하단을 가압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부체(110)와 마감캡(130) 사이에서 무게조절링(140)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100)은 상기 무게조절링(140)의 설치여부, 설치개수, 무게를 통해 전체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낚시용 봉돌(100)은 무게조절링(140)을 설치하지 않았을 때에 가장 가볍게 된다.
그리고 무게조절링(140)의 설치개수가 많을수록, 또 무게조절링(140)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낚시용 봉돌(100)의 전체 무게는 무거워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봉돌(100)에서 상부체(110), 하부체(120), 마감캡(130), 무게조절링(140)의 각 구성 부품들의 재질은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동이나 황동,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상부체와 하부체의 최소 결합상태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상부체의 부력조절공간의 실질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게조절링(140)을 통해 전체 무게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부체(110)에 마련된 부력조절공간(113)의 실질 부피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부력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과 같이 하부체(120)를 상부체(110)에 최소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체(110)를 고정하고 하부체(120)를 결합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하부체(120)가 상승하게 되며, 그에 따라 도 4와 같이 상부체(110)의 부력조절공간(113)의 실질 부피가 줄어들게 되면서 부력도 작아지게 된다.
도 4와 같이 상부체(110)의 부력조절공간(113)의 실질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에서 상부체(110)를 고정하고 하부체(120)를 결합방향과 반대방향(분리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하부체(120)가 하강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부체(110)의 부력조절공간(113)의 실질 부피가 커지게 되면서 부력도 커지게 된다.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하부체(120)의 외부 둘레에 수직방향으로 조절눈금(124)을 형성한 경우 사용자는 상부체(110a)의 하단과 일치되는 조절눈금(124)의 위치에 따라 하부체(120)의 승강 정도 및 부력조절공간(113)의 실질 부피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절눈금(124)을 통해 보다 간편하게, 또한 더욱 정밀하게 낚시용 봉돌(10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낚시용 봉돌에서 1차적으로 전체 무게를 조절하고, 2차적으로 부력을 조절하여 찌의 부력과 낚시용 봉돌의 무게 평형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선행 기술문헌에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100)을 사용할 때는 우선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는 마감캡(130)의 낚시줄 통과구멍(135), 상부체(110)의 낚시줄 통과구멍(115), 하부체(120)의 낚시줄 통과구멍(125)에 낚시줄(210)을 차례로 통과시킨다.
다음에 하부체(120)의 하부로 인출된 낚시줄(210)에 쿠션고무나 구슬(220), 도래(230), 낚시바늘(240)을 차례로 연결하면 된다.
상기 쿠션고무나 구슬(220)은 봉돌(100)에 의해 도래(2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100)은 낚시줄(210) 및 낚시바늘(240)을 신속하게 물속으로 가라앉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100)은 낚시줄(210)에 고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바닷물의 흐름 또는 강물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상부체(110)의 상단에만 무게조절링(140)이 설치되는 연결돌출부(111)를 마련하고 마감캡(130)을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봉돌(100)은 하부체(120)의 하단에도 연결돌출부를 마련하고 마감캡을 설치하는 형태 등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0 : 낚시용 봉돌 110 : 상부체
113 : 부력조절공간 120 : 하부체
130 : 마감캡 140 : 무게조절링

Claims (5)

  1. 내부에 부력조절공간(113)이 마련되는 상부체(110),
    상기 상부체(110)에 승강 가능하게 접속되어 부력조절공간(113)의 실질 부피를 조절하는 하부체(120),
    상기 상부체(110)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조절링(140) 및
    상기 상부체(110)에 체결되어 무게조절링(140)을 고정하는 마감캡(13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110), 하부체(120), 마감캡(130), 무게조절링(140)의 각 구성 부품들은 동이나 황동, 스테인레스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상부체(110)와 하부체(120), 마감캡(130)에 서로 연결되는 낚시줄 통과구멍(115)(125)(135)이 형성되어 조류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봉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10)는 상단 중앙에 마련되는 연결돌출부(111), 내부 중앙에 마련되는 접속축(112), 그리고 접속축(112)의 외부에 마련되는 부력조절공간(1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봉돌.
  4. 제3항에 있어서,
    하부체(120)에 상기 상부체(110)의 접속축(112)과 체결되는 접속구멍(121)이 마련되고,
    마감캡(130)에 상기 상부체(110)의 연결돌출부(111)와 체결되는 접속구멍(131)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봉돌.
  5. 제4항에 있어서,
    하부체(120)의 외주 상부 둘레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밀폐링(122)이 설치되고, 하부체(120)의 외주 하단부 둘레에 파지부(123)가 마련되며, 하부체(120)의 밀폐링(122) 설치부위와 파지부(123) 사이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링형 조절눈금(1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봉돌.
KR1020130044451A 2013-04-22 2013-04-22 낚시용 봉돌 KR101457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451A KR101457174B1 (ko) 2013-04-22 2013-04-22 낚시용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4451A KR101457174B1 (ko) 2013-04-22 2013-04-22 낚시용 봉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200A KR20140126200A (ko) 2014-10-30
KR101457174B1 true KR101457174B1 (ko) 2014-11-03

Family

ID=5199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451A KR101457174B1 (ko) 2013-04-22 2013-04-22 낚시용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92Y1 (ko) * 2014-11-10 2015-04-22 조형균 낚시채비용 미세 부력 조절추
KR101576766B1 (ko) * 2015-02-12 2015-12-10 원철호 유동식 부력조절 낚시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63B1 (ko) * 2008-12-09 2011-07-04 전재훈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조립체
KR20120001084U (ko) * 2010-08-06 2012-02-15 홍명표 공기를 이용한 부력조절 낚시 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63B1 (ko) * 2008-12-09 2011-07-04 전재훈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조립체
KR20120001084U (ko) * 2010-08-06 2012-02-15 홍명표 공기를 이용한 부력조절 낚시 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200A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174B1 (ko) 낚시용 봉돌
KR101457175B1 (ko) 낚시용 봉돌
KR101492326B1 (ko) 낚시용 봉돌
KR200484700Y1 (ko) 정밀한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KR101800808B1 (ko) 낚시용 무게추 조립체
KR200476992Y1 (ko) 낚시채비용 미세 부력 조절추
KR101702457B1 (ko)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CN211721571U (zh) 空心标身及其组合浮标
CN108739580B (zh) 一种室外水产养殖捕捞用水产养殖网及浮漂结构
CN207870147U (zh) 一种自带配重的鱼漂
KR200338841Y1 (ko)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KR101551054B1 (ko)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CN203633332U (zh) 一种人工鱼礁底播苗种器
KR101583728B1 (ko) 낚시용 봉돌
CN201957622U (zh) 通用装配式可调鱼坠
KR20200144949A (ko) 어신의 민감도를 세밀하게 조정가능한 낚시 채비
CN205756674U (zh) 一种多方位导流减少水体阻力的垂钓鱼浮漂
KR101551131B1 (ko) 부력조절 낚시추
CN208956769U (zh) 一种可调钓鱼浮漂
KR101534919B1 (ko) 낚시용 봉돌
CN210671769U (zh) 杠杆浮漂
CN211558529U (zh) 立式浮漂
KR200494187Y1 (ko) 부력조절 기능이 구비된 낚시찌
CN220402813U (zh) 一种钓鱼轻口远抛配重水面标浮漂
KR200344511Y1 (ko) 미세부력조절 원형 고리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