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457B1 -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 Google Patents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457B1
KR101702457B1 KR1020140030711A KR20140030711A KR101702457B1 KR 101702457 B1 KR101702457 B1 KR 101702457B1 KR 1020140030711 A KR1020140030711 A KR 1020140030711A KR 20140030711 A KR20140030711 A KR 20140030711A KR 101702457 B1 KR101702457 B1 KR 101702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auxiliary
buoyancy
buoyant body
auxiliary buoy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432A (ko
Inventor
강응덕
Original Assignee
강응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응덕 filed Critical 강응덕
Priority to KR102014003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45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는, 밀폐된 중공형태의 구형의 몸통과, 구형의 몸통 상단에 탈부착될 수 있는 찌톱과, 구형의 몸통 하단에 탈부착될 수 있는 보조부력체로 구성되고, 상기 구형의 몸통 상단에는 찌톱과 연결을 위한 제1연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구형의 몸통 하단에는 보조부력체와 연결을 위한 제2연결수단이 형성되며, 구형 모통 내측 바닥에는 낚시찌의 중심을 잡기 위한 중량체가 설치된다.

Description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Cork easily adjusting buoyancy}
본 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심과 주변 환경 등에 따라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인들의 여가 생활로서 낚시를 즐겨하고 있다. 낚시중에는 바다낚시와 민물낚시가 있는데, 바다낚시의 경우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민물낚시를 즐겨하고 있다.
민물낚시에 있어서 낚시대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고기를 잡는 포인트를 결정해주는 낚시찌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통상적인 낚시찌는 얇고 긴 원통형의, 양단이 밀폐된 중공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중공체들은 대부분 얇은 플라스틱 소재를 만들기 때문에 잘 훼손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낚시찌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한 해결책으로 본 출원인은 2001년 1월 31일자로 낚시찌라는 명칭의 실용신안등록출원을 하였다(제10-2001-0002232호).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은 부력체를 역할하는 몸통부(1)와, 찌톱(5)과 찌다리(5)로 구성되고, 상기 몸통부(2)는 알루미늄판 등과 같은 경금속을 사용하여 속이 빈 중공체로 형성되어 그 안에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가 충전되어 낚시찌 전체를 물속에서 지지하는 부력체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몸통부의 상단에는 소정의 연결수단(3)을 통해, 일단부가 물 밖으로 나와 물고기의 입에 바늘이 들어가 있다는 신호를 표시하는 찌톱(5)이 연결되고, 몸통부 하단에는 찌의 무게중심을 잡는 역할을 하는 찌다리(5)가 소정의 연결수단(4)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낚시찌의 몸통부가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견고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찌톱과 찌다리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낚시를 하는 도중에 수심과 바람 등과 같은 주변 환경에 의해 낚시찌의 부력을 달리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환경에 맞는 낚시찌로 교체하여 사용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낚시인들은 항상 여러 종류의 낚시찌를 준비하여야 하고, 또 낚시찌의 교체에 시간을 투자하게 된다.
그러므로, 간편하게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심과 바람과 같은 주변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는, 밀폐된 중공형태의 구형의 몸통과, 구형의 몸통 상단에 탈부착될 수 있는 찌톱과, 구형의 몸통 하단에 탈부착될 수 있는 보조부력체로 구성되고, 상기 구형의 몸통 상단에는 찌톱과 연결을 위한 제1연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구형의 몸통 하단에는 보조부력체와 연결을 위한 제2연결수단이 형성되며, 구형 모통 내측 바닥에는 낚시찌의 중심을 잡기 위한 중량체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에서, 상기 보조부력체는 양단이 밀폐된 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가 충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에서, 상기 제1연결수단과 제2연결수단은 일단이 개방된 중공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찌톱 하단과 보조부력체 상단에는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숫나산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에서, 다양한 크기의 보조부력체, 즉 다양한 길이의 보조부력체를 상기 몸통부에 연결함으로써 낚시찌 전체의 부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를 사용하게 되면, 수심과 바람의 영향을 받는 다양한 환경에서, 그 상황에 맞는 보조부력체만을 교체하여 설치함으로써 낚시찌 전체의 부력을 조절하여 주변 환경에 탄력적으로 적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다양한 크기의 보조부력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100)는 부력체로 역할하는 몸통부(10)와, 상기 몸통부(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찌톱(20)과, 그리고 상기 몸통부(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부력체(30)로 구성된다.
상기 몸통부(10)는 부력체로 역할하고, 상기 찌톱(20)은 상단의 일단부가 물 외부로 노출되어 고기가 낚시 바늘을 물었을 때의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보조부력체(30)는 보조부력체로서만 기능할 뿐 통상적인 찌다리로서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 상기 찌톱은 일반적으로 길게 만들 수 있으며 자중이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는데, 통상적으로 글라스, 카본, 대나무껍질, 가는 갈대 등을 사용하여 만든다. 상기 몸통부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내부에 가스가 충전되는 관계로 알루미늄판과 같은 경금속 소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보조부력체 역시, 그 내부는 중공형태로 만들어져 가스로 충전되기 때문에 알루미늄판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화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의 구조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의 분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100)는 서로 분리가 될 수 있는 몸통부(10)와, 찌톱(20)과 그리고 보조부력체(30)로 구성된다.
상기 몸통부는 얇은 알루미늄판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내부에 중공(11)이 형성된 원형으로 만들고 중공에는 충전된다. 그리고 몸통부의 상단에는 찌톱(20)과 연결을 위한 제1연결수단(12)이 형성되고, 몸통부의 하단에는 보조부력체(30)와 연결을 위한 제2연결수단(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수단은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찌톱(20)과 보조부력체(30)와의 결합을 위한 암나사산(12'1 및 13'1)들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몸통부(10)의 중공(11) 내측에서, 상기 제2연결수단 바로 위 지점에 낚시찌의 중심을 잡기 위한 중량체(14)가 설치된다. 상기 중량체는 무거운 소재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져 낚시찌가 물에 입수되었을 때 낚시찌를 직립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에서 중량체를 구형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찌톱(20)의 하단에는 몸통부의 제1연결수단과 결합을 위한 제1연결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21)의 외측면에는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숫나사산(2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찌톱(20)을 상기 제1연결수단에 돌려 끼움으로써 찌톱이 몸통부(20)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보조부력체(30)는 내부에 중공(32)이 형성되는 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중공(32)에는 가스가 충전된다. 그리고, 보조부력체(30)의 상단에는 제2연결수단(13)과 결합을 위한 제2연결부(31)가 형성되고, 제2연결부의 외측면에는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숫나사산(31'1)이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부력체를 제2연결수단에 돌려 끼움으로 보조부력체가 몸통부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부력체는 얇은 금속 또는 강화플라스틱을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보조 낚시찌의 하단에는 제2연결부와 동일한 구성의 제3연결부(33)가 형성된다. 제3연결부는 낚시줄 등이 설치되게 되는 날라리가 설치된다. 날라리의 일단에는 역시 제3연결부에 대응하는 체결구조가 형성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찌톱과 보조부력체를 몸통부에 연결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낚시찌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본원발명에서는 보조부력체(30)를 부력체인 몸통부(10)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수심과 바람과 같은 영향에 의해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에 이에 맞는 보조부력체(30)를 갈아 끼우면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다양한 크기의 보조부력체(30)가 몸통부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대적으로 길이가 제일 긴 보조부력체가 설치된 (a)의 낚시찌가 제일 큰 부력을 가지고, 다음에 중간 길이의 보조부력체가 설치된 (b)의 낚시찌가 (a)보다 작은 부력을 가지게 되고, 그리고 제일 짧은 길이의 보조부력체가 설치된 (c)의 낚시찌는 제일 낮은 부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서는 다양한 길이 또는 크기의 보조부력체만을 갈아 끼움으로써 낚시찌 전체의 부력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이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4)

  1.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에 있어서, 상기 낚시찌는:
    밀폐된 중공형태의 구형의 몸통과,;
    구형의 몸통 상단에 탈부착될 수 있는 찌톱과,;
    구형의 몸통 하단에 탈부착될 수 있는 보조부력체로 구성되고,
    상기 구형의 몸통 상단에는 찌톱과 연결을 위한 제1연결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구형의 몸통 하단에는 보조부력체와 연결을 위한 제2연결수단이 형성되며, 구형 몸통 내측 바닥에는 낚시찌의 중심을 잡기 위한 중량체가 설치되며, 몸통 내측은 가스로 충전되고,
    상기 보조부력체는 양단이 밀폐된 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가스가 충전되어 낚시찌 전체에 부력을 더 제공하고,
    다양한 길이의 상기 보조부력체를 상기 몸통에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낚시찌 전체의 부력을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수단과 제2연결수단은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찌톱 하단과 보조부력체 상단에는 상기 제1연결수단과 제2연결수단과 결합을 위한 제1 및 제2연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 외측면에는 상기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숫나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찌톱과 보조부력체가 몸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4. 삭제
KR1020140030711A 2014-03-17 2014-03-17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KR101702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711A KR101702457B1 (ko) 2014-03-17 2014-03-17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711A KR101702457B1 (ko) 2014-03-17 2014-03-17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432A KR20150108432A (ko) 2015-09-30
KR101702457B1 true KR101702457B1 (ko) 2017-02-07

Family

ID=5424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711A KR101702457B1 (ko) 2014-03-17 2014-03-17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488A (ko) 2018-01-04 2019-07-12 이덕열 케미가 설치된 낚시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995B1 (ko) 2018-10-16 2019-04-15 장수만 낚시용 부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412Y1 (ko) 2001-01-31 2001-10-25 강응덕 낚시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602U (ko) * 2013-11-01 2014-01-28 정태영 중량조절 낚시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412Y1 (ko) 2001-01-31 2001-10-25 강응덕 낚시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488A (ko) 2018-01-04 2019-07-12 이덕열 케미가 설치된 낚시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432A (ko)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6349A (en) Fishing bobber
CA2647847C (en) Adjustable buoyancy fishing bobber system
KR101702457B1 (ko) 부력 조절이 용이한 낚시찌
US4928422A (en) Artificial bait crab-like fishing lure
JP2003092961A (ja) 多機能補助パイプを使用する可変浮力中通し浮き
KR20080067725A (ko) 낚시추
KR200282069Y1 (ko) 중량조절이 가능한 낚시 추
US20140075823A1 (en) Fishing weight having optimized buoyancy characteristics
JPH10117652A (ja) 投げ釣り等の仕掛けに使用する錘浮遊フロ−ト
KR101457174B1 (ko) 낚시용 봉돌
US6862837B2 (en) Fishing accessory that can be a float or a sinker
CN210671769U (zh) 杠杆浮漂
KR200399569Y1 (ko) 낚시용 찌
JP2000139306A (ja) 釣り浮き
CN207653358U (zh) 一种碳纤维电子浮漂
KR200344880Y1 (ko) 낚시찌
JP3052534U (ja) 浮力調整可能な魚釣り用浮き
CN210130280U (zh) 一种鱼坠装置
CN211185540U (zh) 具有配重调整的改良浮标
CN208597579U (zh) 一种小巧精密的电子漂接头
CN210398689U (zh) 一种电子浮漂
CN207948649U (zh) 一种醒目尾休闲鱼漂
US20160000058A1 (en) Tattle Tail Bobber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994157B1 (ko) 부력체의 가감으로 부력이 조정되는 낚시찌
KR200157133Y1 (ko) 띄울 낚시용 부력찌의 보조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