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054B1 -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 Google Patents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054B1
KR101551054B1 KR1020140005992A KR20140005992A KR101551054B1 KR 101551054 B1 KR101551054 B1 KR 101551054B1 KR 1020140005992 A KR1020140005992 A KR 1020140005992A KR 20140005992 A KR20140005992 A KR 20140005992A KR 101551054 B1 KR101551054 B1 KR 101551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uoyancy
fishing
vent ho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929A (ko
Inventor
권오일
Original Assignee
권오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일 filed Critical 권오일
Publication of KR20150057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01K91/065Jiggling devices, i.e. devices for moving the l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수심에 따라 추의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는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은 낚시줄에 연결되어서 수면에 뜨게 되는 부력구로 인해서 정지되는 낚시찌의 아래측에 부착되는 바닥과 중심 자동 수심 조절찌는, 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부가 형성되며, 내부 상측에 요입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무게추가 형성되며, 상하부에 외통공이 형성되는 외부체; 상기 외부체의 수용부에는 내부로 상하 관통되는 내통공이 형성되고, 내통공의 상단부는 외통공 방향에 어긋나게 형성되며, 내통공의 하단부는 중심에 형성되고, 상부에 돌기가 형성되며, 하부에 무게추가 형성되는 내부부력체; 상기 외부체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제1통기공을 형성하고, 제1통기공 외측에 제1통기공의 개방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통기공을 형성하여 내부부력체의 상승시간을 조절하는 부력상승조절구;로 구성되며, 상기 낚시찌가 수중으로 들어가면 외부체의 측면 개방부와, 부력상승조절구를 통해 외부체 내로 물이 유입되고, 부력상승조절구의 개방범위 조절에 따라 내부부력체의 돌기가 상승시간이 조절되며 상승하여 외부체의 요입홈에 삽입되면서 외부체에 형성된 외통공과, 상기 외통공 방향에 어긋나게 형성된 내부부력체의 내통공으로 인해서 낚시줄이 외부체와 내부부력체의 접촉되는 틈에 끼여 고정되면서 낚시추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 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 특징되는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이다.

Description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Auto bathymetry float}
본발명은 수심에 따라 추의 위치를 조절 할수있는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이다.
보통 낚시를 할때에는 낚시 대상 어종을 고려하여 사전에 낚시찌, 낚시바늘, 목줄, 봉돌, 미끼 등을 선정하고 나서 낚시찌와 낚시추의 무게균형을 맞추어 낚시채비를 마치게 된다.
낚시찌와 낚시추의 무게균형은 낚시찌가 수면에 최적의 상태로 부유되어 있다가 항시 어류의 입질에 따라 챔질시기를 정확히 감지할 수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것으로 어획량을 좌우하는 낚시채비중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다. 보통 낚시추는 재질이 납덩어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터의 물의 깊이에 따라 낚시찌가 수면위에 위치하도록 납덩어리로 된 낚시추의 무게를 가감하여서 사용하고 있다. 위 방법은 전문가들도 사용이 힘들고, 비전문가들은 기술을 습득하기가 어렵다.
어떻게하면 수심 관계없이 자동으로 낚시추의 위치를 조절할수 있을까 고민과 연구 결과 본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실용등록번호 20-0318734
본발명은 수심에 따라 추의 위치를 조절 할수있는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를 개발하려는데 과제가 있다 하겠다.
본발명은 낚시줄에 연결되어서 수면에 뜨게 되는 부력구로 인해서 정지되는 낚시찌의 아래측에 부착되는 바닥과 중심 자동 수심 조절찌는, 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부가 형성되며, 내부 상측에 요입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무게추가 형성되며, 상하부에 외통공이 형성되는 외부체; 상기 외부체의 수용부에는 내부로 상하 관통되는 내통공이 형성되고, 내통공의 상단부는 외통공 방향에 어긋나게 형성되며, 내통공의 하단부는 중심에 형성되고, 상부에 돌기가 형성되며, 하부에 무게추가 형성되는 내부부력체; 상기 외부체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제1통기공을 형성하고, 제1통기공 외측에 제1통기공의 개방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통기공을 형성하여 내부부력체의 상승시간을 조절하는 부력상승조절구;로 구성되며, 상기 낚시찌가 수중으로 들어가면 외부체의 측면 개방부와, 부력상승조절구를 통해 외부체 내로 물이 유입되고, 부력상승조절구의 개방범위 조절에 따라 내부부력체의 돌기가 상승시간이 조절되며 상승하여 외부체의 요입홈에 삽입되면서 외부체에 형성된 외통공과, 상기 외통공 방향에 어긋나게 형성된 내부부력체의 내통공으로 인해서 낚시줄이 외부체와 내부부력체의 접촉되는 틈에 끼여 고정되면서 낚시추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 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 특징되는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로 구성되게 하였다.
본발명은 수심이 얕은 민물낚시 시, 즉 바닥낚시 시에는 낚시추를 던지면 낚시추가 수중바닥에 닿인 후 자동으로 위치 고정이 되고, 수심이 깊은 민물이나 바다낚시 시, 즉 중층낚시 시에는 부력상승조절구의 개방범위를 조절함에 따라 원하는 수중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추의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큰 효과가 기대된다. 낚시추 정지상태에서 물고기가 바늘을 물면 평행하던 낚시추와 내부부력체의 부력균형이 깨지면서 내부부력체의 부력 때문에 낚시찌가 서서히 상승하고, 낚시꾼이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1은 바닥낚시 상태
도2는 중층낚시 상태
도3은 수중으로 내려가는 상태
도4는 수면으로 올라가는 상태
도5는 내부부력체
도6은 다른 방식의 내려가는 상태
도7은 다른 방식의 올라가는 상태
도8은 다른 방식의 부력조절 상태
본발명은 수심에 따라 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이다.
본발명은 낚시 시에 낚시줄(3)에 연결되어서 수면에 뜨게 되는 부력구(1a)로 인해서 정지되는 낚시찌(1)의 아래측에 외부체(7)를 형성하고, 외부체(7)의 내부에 내부부력체(13)를 형성하며, 외부체(7)의 하부에 부력상승조절구(16)를 형성하여서 완성되는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이다.
외부체(7)를 상세히 설명하면 측면에 개방부(9)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부(4)가 형성되며, 내부 상측에 요입홈(8)이 형성되고, 하부에 무게추(5)가 형성되며, 상하부에 외통공(6)이 형성된다. 내부부력체(13)를 상세히 설명하면 외부체(7)의 수용부(4)에 내부로 상하 관통되는 내통공(11)이 형성되고, 내통공(11)의 상단부는 외통공(6) 방향에 어긋나게 형성되며, 내통공(11)의 하단부는 중심에 형성되고, 상부에 돌기(14)가 형성되며, 하부에 무게추(12)가 형성된다.
상기 외통공(6)은 실시예로서 도 3, 도 4에서처럼 외부체(7) 상하부 중심에 형성되고, 내통공(11)은 외통공(6)에 어긋나게 형성됨과 더불어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진다. 내부부력체(13)의 내통공(11)은 지그재그 형성되어 있으므로 낚시줄(3)이 하강할때는 낚시줄(3)이 내통공(11)에 작용하는 밀착력과 같은 힘에 지장 받지 않고 낚시추(2)에 이끌려 아래측으로 이동한다. 반대 상황으로 낚시줄(3)이 위로 올라갈때는 내통공(11)의 경사부에 마찰이 생기게 되어 낚시줄(3)을 따라 내부부력체(13)가 마찰 받으면서 올라간다.
지그재그형 내통공(11)의 경사진 각도는 제작시 자유조절 하면 되고, 각도 조절에 따라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각도가 심하게 꺽일 수록 경사진 내통공(11)과 낚시줄(3)의 마찰로 인해 부력이 크게 작용하므로 서서히 올라가게 되고, 반대로 각도가 완만하게 꺽일 수록 완만한 내통공(11)과 낚시줄(3)의 마찰로 인해 부력이 작게 작용하므로 상기 심하게 경사진 경우 보다 빨리 올라가게 된다. 외부체(7)와 내부부력체(13)는 모두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한다. 즉, 부력이 존재하는 재질인 것이다.
이와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도 6, 도 7처럼 상기 상하부 외통공(6) 중에 상부 외통공(6)은 외부체(7) 상부 측벽에 형성되고, 내통공(11)은 내부부력체(13)의 중심에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진다.
상기 내부부력체(13)의 상승 시간조절을 위해 도 8에서처럼 외부체(7)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제1통기공(15)을 형성하고, 제1통기공(15) 외측에 제1통기공(15)의 개방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통기공(17)을 형성한 부력상승조절구(16)를 구성한다. 상기 부력상승조절구(16)는 회전방식으로 만들어져서 제1통기공(15)과 제2통기공(17)은 통기공의 일치 정도에 따라서 개방범위가 결정되고, 개방범위가 넓으면 물의 통과량이 많으므로 상승속도가 빨라지고, 개방범위가 좁으면 물이 통과량이 적으므로 상승속도가 느려지며, 개방시키지 않으면 상승속도가 더욱 느려진다. 상기 부력상승조절구(16)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부력체(13)의 부력 상승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외부체(7)의 하부측에서 물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내부부력체(13)를 위로 들어올리는 부력에 의한 상승시간을 조절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자동 수심 조절찌는, 상기 낚시찌(1)가 수중으로 들어가면 외부체(7)의 측면 개방부(9)와, 부력상승조절구(16)를 통해 외부체(7) 내로 물이 유입되고, 특히 부력상승조절구(16)의 개방범위 조절에 따라 내부부력체(13)의 돌기(14)가 상승시간이 조절되며 상승하여 외부체(7)의 요입홈(8)에 삽입되면서 외부체(7)에 형성된 외통공(6)과, 상기 외통공(6) 방향에 어긋나게 형성된 내부부력체(13)의 내통공(11)으로 인해서 외통공(6), 내통공(11) 끼리 위치가 맞지 않기 때문에, 즉 어긋나기 때문에 낚시줄(3)이 외부체(7)와 내부부력체(13)의 접촉되는 틈에 끼여 고정되면서 낚시추(2)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 시킬 수 있다.
수심이 얕은 민물낚시 시, 즉 바닥 낚시 시에는 낚시추(2)를 던지면 낚시추(2)가 수중바닥에 닿일 때까지 내려가고, 닿이고 나면 내부부력체(13)가 부력으로 상승하면서 외부체(7)에 삽입되고 고정되므로 그 상태로 정지되어 버린다. 쉽게 자동조절이 되는 원리다. 허나, 수심이 깊은 민물이나 바다낚시 시, 즉 중층 낚시 시에는 상기 부력상승조절구(16)의 개방범위를 조절함에 따라 원하는 수중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원리다. 이러한 정지상태에서 물고기가 바늘을 물면 평행하던 낚시추(2)와 내부부력체(13)의 부력균형이 깨지면서 내부부력체(13)의 부력 때문에 낚시찌(1)가 서서히 상승하고, 낚시꾼이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삭제
1-낚시찌 2-낚시추
3-낚시줄 4-수용부
5-무게추 6-통공
7-외부체 11-통공
12-무게추 13-내부부력체

Claims (6)

  1. 낚시줄(3)에 연결되어서 수면에 뜨게 되는 부력구(1a)로 인해서 정지되는 낚시찌(1)의 아래측에 부착되는 바닥과 중심 자동 수심 조절찌는,
    측면에 개방부(9)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부(4)가 형성되며, 내부 상측에 요입홈(8)이 형성되고, 하부에 무게추(5)가 형성되며, 상하부에 외통공(6)이 형성되는 외부체(7);
    상기 외부체(7)의 수용부(4)에는 내부로 상하 관통되는 내통공(11)이 형성되고, 내통공(11)의 상단부는 외통공(6) 방향에 어긋나게 형성되며, 내통공(11)의 하단부는 중심에 형성되고, 상부에 돌기(14)가 형성되며, 하부에 무게추(12)가 형성되는 내부부력체(13);
    상기 외부체(7)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제1통기공(15)을 형성하고, 제1통기공(15) 외측에 제1통기공(15)의 개방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통기공(17)을 형성하여 내부부력체(13)의 상승시간을 조절하는 부력상승조절구(16);로 구성되며,
    상기 낚시찌(1)가 수중으로 들어가면 외부체(7)의 측면 개방부(9)와, 부력상승조절구(16)를 통해 외부체(7) 내로 물이 유입되고, 부력상승조절구(16)의 개방범위 조절에 따라 내부부력체(13)의 돌기(14)가 상승시간이 조절되며 상승하여 외부체(7)의 요입홈(8)에 삽입되면서 외부체(7)에 형성된 외통공(6)과, 상기 외통공(6) 방향에 어긋나게 형성된 내부부력체(13)의 내통공(11)으로 인해서 낚시줄(3)이 외부체(7)와 내부부력체(13)의 접촉되는 틈에 끼여 고정되면서 낚시추(2)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 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 특징되는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외통공(6)은 외부체(7) 상하부 중심에 형성되고, 내통공(11)은 외통공(6)에 어긋나게 형성됨과 더불어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특징되는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외통공(6) 중에 상부 외통공(6)은 외부체(7)의 상부 측벽에 형성되고, 내통공(11)은 내부부력체(13)의 중심에 직선형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특징되는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4. 삭제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외부체(7), 내부부력체(13)는 모두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특징되는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6. 삭제
KR1020140005992A 2013-11-18 2014-01-16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KR101551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0618 2013-11-18
KR1020130140618 2013-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929A KR20150057929A (ko) 2015-05-28
KR101551054B1 true KR101551054B1 (ko) 2015-09-07

Family

ID=5339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992A KR101551054B1 (ko) 2013-11-18 2014-01-16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5362B (zh) * 2018-05-03 2020-04-03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河豚鱼钓捕方法
KR20240020940A (ko) 2022-08-09 2024-02-16 유영준 롤리폴리형 바닥 낚시 채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406Y1 (ko) 2001-08-07 2002-01-10 석의수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JP2003164243A (ja) 2001-11-30 2003-06-10 Gamakatsu Co Ltd 中通し浮き及びこれを用いた仕掛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406Y1 (ko) 2001-08-07 2002-01-10 석의수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JP2003164243A (ja) 2001-11-30 2003-06-10 Gamakatsu Co Ltd 中通し浮き及びこれを用いた仕掛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929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9662A (en) Curved fishing post
KR101551054B1 (ko)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US20190208756A1 (en) Fishing lure
KR102370025B1 (ko)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KR101967363B1 (ko) 낚시찌
KR102229119B1 (ko) 낚시용 찌
KR20150093377A (ko) 눕힘형 낚시찌
KR101009511B1 (ko) 어신을 강화하는 수중 찌
KR101457174B1 (ko) 낚시용 봉돌
JP6312352B1 (ja) 釣り用浮子
US3006104A (en) Fish lure
KR102511226B1 (ko) 원투 낚시채비
KR20190126231A (ko) 낚시줄 면사매듭 방식을 대체 가능한 낚시줄 멈춤용 찌
KR101476655B1 (ko) 낚시용 찌
KR20130000053U (ko) 부력 조절 낚시용 찌
JP2007075084A (ja) 棚取り浮き。
KR200437351Y1 (ko) 전유동 및 잠수찌 채비법의 병행운용이 가능한 낚시찌
KR20160138905A (ko)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JP4795443B2 (ja) 釣り用錘
KR200202746Y1 (ko) 낚시용 찌
KR101076526B1 (ko) 낚시채비
KR200377321Y1 (ko) 수중부력 조립체
KR200195014Y1 (ko) 낚시찌
KR200377279Y1 (ko) 낚시용 구멍찌
KR20220084987A (ko) 개량형 봉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