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406Y1 -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 Google Patents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406Y1
KR200260406Y1 KR2020010023907U KR20010023907U KR200260406Y1 KR 200260406 Y1 KR200260406 Y1 KR 200260406Y1 KR 2020010023907 U KR2020010023907 U KR 2020010023907U KR 20010023907 U KR20010023907 U KR 20010023907U KR 200260406 Y1 KR200260406 Y1 KR 200260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ousing
water level
guide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의수
Original Assignee
석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의수 filed Critical 석의수
Priority to KR2020010023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4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406Y1/ko

Links

Abstract

부력에 의해서 낚시 도중 수위의 변동 및 수중바닥의 변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부력이 조절되어 찌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는 수직한 연장되어 하부 내측 원주면 상에 암나사가 형성된 제 1 봉체, 제 1 봉체의 하부 인접위치에는 배치되는 클램프 및 클램프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 1 봉체에 활주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1 부상체를 가지는 제 1 찌톱; 원통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수직하게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가 대향하게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측 상부 인접위치에는 배치되어 낚시줄 및 클램프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클램프링, 하우징의 상부를 폐쇄하고 클램프를 하우징의 내측까지 안내할 수 있는 제 1 삽입공이 형성된 제 2 부상체 및 하우징의 하부를 폐쇄하고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하는 제 2 삽입공이 형성된 제 3 부상체를 가지는 몸체; 및 제 2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부가 하우징의 내측 까지 연장되고 상측에는 암나사에 체결될 수 있도록 수나사가 형성된 제 2 봉체 및 제 2 봉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무게중심추를 가지는 제 2 찌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A float for automatic water level controlling}
본 고안은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부상체의 부력에 의해서 낚시 도중 수위의 변동 및 수중바닥의 변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부력이 조절되어 찌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낚시줄의 상태와 바늘의 위치 및 줄의 균형을 잡아주고,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렸는가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낚시찌는 제작할 때 일정한 부력을 가지도록 제작된 몸체 및 물고기가 잡혔는가를 식별할 수 있는 찌톱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낚시찌를 이용하여 낚시를 할 때는 몸체의 부력을 낚시줄과 같이 결속된 봉돌에 의해서 부력을 조절하였다.
그런데, 전술한 낚시찌는 수위를 측정하여 수위에 맞게 낚시찌를 낚시줄에 고정시켜 사용하므로서 수위가 변동할 때 마다 낚시찌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 결과 낚시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은 낚시찌의 위치조차 결정하기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부력에 의해서 낚시 도중 수위의 변동 및 수중바닥의 변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부력이 조절되어 찌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낚시찌를 결합하여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a, 4b는 도 3에 도시된 낚시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낚시찌 110 : 제 1 찌톱
112 : 제 1 봉체 114 : 암나사
116 : 클램프 118 : 제 1 부상체
120 : 몸체 122 : 하우징
124 : 클램프링 126a : 제 2 부상체
126b : 제 3 부상체 130 : 이송판
140 : 제 2 찌톱 142 : 제 2 봉체
144 : 수나사 146 : 무게중심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수직한 연장되어 하부 내측 원주면 상에 암나사가 형성된 제 1 봉체, 제 1 봉체의 하부 인접위치에는 배치되는 클램프 및 클램프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 1 봉체에 활주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1 부상체를 가지는 제 1 찌톱;
원통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수직하게 제 1 가이드 및 제 2 가이드가 대향하게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측 상부 인접위치에는 배치되어 낚시줄 및 클램프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클램프링, 하우징의 상부를 폐쇄하고 클램프를 하우징의 내측까지 안내할 수 있는 제 1 삽입공이 형성된 제 2 부상체 및 하우징의 하부를 폐쇄하고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하는 제 2 삽입공이 형성된 제 3 부상체를 가지는 몸체; 및
제 2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부가 하우징의 내측 까지 연장되고 상측에는 암나사에 체결될 수 있도록 수나사가 형성된 제 2 봉체 및 제 2 봉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무게중심추를 가지는 제 2 찌톱을 포함하는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제 1 부상체를 가지는 제 1 찌톱, 제 2 부상체 및 제 3 부상체를 가지며 제 1 찌톱이 낚시줄과 함께 활주가능하게 끼워지는 몸체 및 몸체의 하부에서 삽입되어 제 1 찌톱의 하부에 상부가 체결되는 제 2 찌톱을 구비함으로써, 제 1 부상체, 제 2 부상체 및 제 3 부상체의 부력에 의해서 낚시 도중 수위의 변동 및 수중바닥의 변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부력이 조절되어 찌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낚시찌를 결합하여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위조절용 낚시찌(100)는 제 1 찌톱(110), 몸체(120) 및 제 2 찌톱(140)을 구비한다.
먼저, 제 1 찌톱(110)은 제 1 봉체(112), 제 1 부상체(118) 및 클램프(116)를 구비한다. 제 1 봉체(112)는 봉 형상을 가지며 수직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제 1 봉체(112)의 하부 내측 원주면 상에는 암나사(114)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봉체(112)의 하부 인접위치에는 클램프(116)가 배치된다. 클램프(116)는 제 1 봉체(11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면 원통형으로 배치되며 하부는 제 1 봉체(112)의 외주면 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116)가 형성된 제 1 봉체(112)에는 제 1 부상체(118)가 배치된다. 제 1 부상체(118)는 클램프(116)의 상측에 배치되어 클램프(116)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 1 봉체(112)를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때, 제 1 봉체(112)의 상단에는 제 1 부상체(118)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편(119)이 형성된다. 바람직하는, 제 1 부상체(118)는 제 1 봉체(112)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몸체(120)는 하우징(122), 제 2 부상체(126a), 제 3 부상체(126b) 및 이송부(130)를 구비한다. 먼저, 하우징(122)은 클램프(116)가 끼워질 수 있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수직하게 제 1 가이드(132a) 및 제 2 가이드(132b)가 대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22)의 내측 상부 인접위치에는 환형의 링형상을 가지는 클램프링(124)이 배치된다. 클램프링(124)은 클램프(116)와 함께 낚시대(도시되지 않음)에서 연장되는 낚시줄(R)이 지나는 통로 역할을 하며 클램프(116)의 하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진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122)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 2 부상체(126a) 및 제 3 부상체(126b)가 배치된다. 제 2 부상체(126a)는 하우징(122)의 상부를 폐쇄하면서 상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연장된다. 이러한 제 2 부상체(126a)에는 하우징(122)의 내측과 연통하는 제 1 삽입공(128a)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 3 부상체(126b)는 하우징(122)의 하부를 폐쇄하면서 하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연장된다. 이러한 제 3 부상체(126b)에는 하우징(122)의 내측과 연통하는 제 2 삽입공(128b)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한편, 이송판(130)은 판 형상을 가지며 제 1 가이드(132a)를 따라서 이송된다. 이러한 이송판(130)의 중앙부분에는 클램프링(124)에서 연장되는 낚시줄(R)이 수직 관통되는 안내공(134)이 형성되며 이송판(130)의 양단에는 가이드(132a)를 따라서 이송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가이드홈(138)이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송판(130)은 하우징(122) 내로 끼워진 제 1 봉체(112)에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몸체(120)의 하부에는 제 2 찌톱(140)이 끼워진다.
제 2 찌톱(140)은 제 2 삽입공(128b)에 삽입되어 상부가 하우징(122)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제 2 봉체(142) 및 무게중심추(146)를 구비한다. 제 2 봉체(142)는제 1 봉체(112)와 수직하게 봉 형상을 가지며 연장된다. 이러한 제 2 봉체(142)의 상부에는 제 1 봉체(112)에 형성된 암나사(114)에 대응하는 수나사(144)가 형성되며, 상측에는 하우징(122)의 제 2 가이드(132b)에 끼워지는 이탈방지편(148)이 형성된다. 한편, 제 2 봉체(142)의 하부에는 이송판(130)에서 제 2 삽입공(128b)측으로 연장된 낚시줄(R)을 수중바닥으로 안내하는 무게중심추(146)가 배치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 수위조절이 가능한 낚시찌(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몸체(120)의 하우징(122)에 형성된 제 1 가이드(132a)에 이송판(130)을 활주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다시 작업자는 낚시대(도시되지 않음)에서 연장되는 낚시줄(R)을 제 2 부상체(126a)의 제 1 삽입공(128a)에 삽입하고, 다시 낚시줄(R)의 연장부를 이송판(130)에 형성된 안내공(134)에 관통되게 삽입한 후 안내공(134)에서 연장된 낚시줄(R)을 제 2 삽입공(128b)에 끼워 제 3 부상체(126b)의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시킨다. 이때, 제 3 부상체(126b)의 외부로 노출된 낚시줄(R)은 다시 제 2 찌톱(140)에 형성된 무게중심추(146)에 끼워지게 되며 무게중심축(146)의 외부로 노출된 낚시줄(R)에는 봉돌(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낚시줄(R)이 제 2 찌톱(140)에 끼워지면 사용자는 제 2 찌톱(140)을 몸체(120)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 2 봉체(142)는 제 2 삽입공(128b)의 하부에서 끼워져 하우징(122)의 내측으로 노출된다. 이렇게 제 2 봉체(142)가 노출되면,사용자는 제 2 봉체(142)에 이탈방지편(148)을 결합시키고 이탈방지편(148)의 끝단이 제 2 가이드(132b)에 끼워지게 결합시킨다.
이렇게 제 2 찌톱(140)이 몸체(120)에 결합되면, 사용자는 낚시를 하고자 하는 지점에서 제 1 찌톱(110)을 제 2 찌톱(140)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 1 찌톱(110)의 하부는 하우징(122)의 상부에 삽입되어 제 1 봉체(112)에 형성된 암나사(114)와 제 2 봉체(142)에 형성된 수나사(144)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된 낚시찌(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낚시를 하기 위해서 낚시찌(100)를 던지면, 제 1 찌톱(110) 몸체(120) 및 제 2 찌톱(140)은 낚시줄(R)에 결합된 봉돌에 의해서 수중 바닥측으로 내려가게 된다(도 4a 참조). 이때, 제 1 봉체(112)에 장착된 제 1 부상체(118)의 작용으로 제 1 찌톱(110)과 제 2 봉체(142)는 수면에 떠 있게 되고, 몸체(120)는 낚시줄(R)과 봉돌의 무게로 인하여 수중으로 내려가게 되므로 하우징(122)에 장착된 클램프링(124)과 제 1 찌톱(110)에 형성된 클램프(116)의 하부는 서로 이격된다. 그 결과 낚시줄(R)은 이송판(130)을 따라서 이송된다.
한편, 수중바닥에 봉돌이 밀착되면(도 4b 참조), 몸체(120)는 제 2 부상체(126a) 및 제 3 부상체(126b)에 의해서 부상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122)의 클램프링(124)은 제 2 부상체(126a) 및 제 3 부상체(126b)를 따라서 수면측으로 부상하면서 클램프(116)의 하부에 밀착된다. 그 결과 낚시줄(R)은 클램프(116) 및 클램프링(124)에 의해서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찌(100)는 제 1 부상체(118)를 가지는 제 1 찌톱(110), 제 2 부상체(126a) 및 제 3 부상체(126b)를 가지며 제 1 찌톱(110) 및 제 2 찌톱(140)이 끼워지는 몸체(120)를 구비함으로써, 제 1 부상체(118), 제 2 부상체(126a) 및 제 3 부상체(126b)의 부력에 의해서 낚시 도중 수위의 변동 및 수중바닥의 변화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부력이 조절되어 찌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몸체(120)가 항상 낚시줄(R)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찌톱(110)의 교환이 용이하며, 낚시대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줄이면서 낚시찌(100)의 장거리 투척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수직한 연장되어 하부 내측 원주면 상에 암나사(114)가 형성된 제 1 봉체(114), 상기 제 1 봉체(112)의 하부 인접위치에는 배치되는 클램프(116) 및 상기 클램프(116)의 상측으로 연장된 제 1 봉체(112)에 활주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1 부상체(118)를 가지는 제 1 찌톱(110);
    원통형상을 가지며 외주면 상에는 수직하게 제 1 가이드(132a) 및 제 2 가이드(132b)가 대향하게 형성된 하우징(122), 상기 하우징(122)의 내측 상부 인접위치에는 배치되어 낚시줄(R) 및 상기 클램프(116)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클램프링(124), 상기 하우징(122)의 상부를 폐쇄하고 상기 클램프(116)를 상기 하우징(122)의 내측까지 안내할 수 있는 제 1 삽입공(128a)이 형성된 제 2 부상체(126a) 및 상기 하우징(122)의 하부를 폐쇄하고 상기 하우징(122)의 내부와 연통하는 제 2 삽입공(128b)이 형성된 제 3 부상체(126b)를 가지는 몸체(120); 및
    상기 제 2 삽입공(128b)에 삽입되어 상부가 상기 하우징(122)의 내측 까지 연장되고 상측에는 상기 암나사(114)에 체결될 수 있도록 수나사(144)가 형성된 제 2 봉체(142) 및 상기 제 2 봉체(142)의 하부에 배치되는 무게중심추(146)를 가지는 제 2 찌톱(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16)는 상기 제 1 봉체(11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면 원통형으로 배치되며 하부는 제 1 봉체(112)의 외주면 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봉체(112)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부상체(118)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편(1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상체(118)는 상기 제 1 봉체(112)의 상단에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132a)에는 상기 제 1 가이드(132a)를 따라서 이송되는 이송판(130)이 결합되고, 상기 이송판(130)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클램프링(124)에서 연장되는 상기 낚시줄(R)이 수직 관통되는 안내공(134)이 형성되며 양단에는 상기 제 1 가이드(132a)를 따라서 이송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내측으로 함몰된 가이드홈(138)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130)은 상기 하우징(122) 내로 끼워진 상기 제 1 봉체(112)에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2)의 내측으로 연장된 상기 제 2 봉체(142)의 상측에는 상기 제 2 가이드(132b)에 끼워지는 이탈방지편(14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KR2020010023907U 2001-08-07 2001-08-07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KR200260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907U KR200260406Y1 (ko) 2001-08-07 2001-08-07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907U KR200260406Y1 (ko) 2001-08-07 2001-08-07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394A Division KR100379815B1 (ko) 2001-08-07 2001-08-07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406Y1 true KR200260406Y1 (ko) 2002-01-10

Family

ID=7306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907U KR200260406Y1 (ko) 2001-08-07 2001-08-07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4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054B1 (ko) 2013-11-18 2015-09-07 권오일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054B1 (ko) 2013-11-18 2015-09-07 권오일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6125A (en) Casting float with line stop
US4534127A (en) Device for a casting float
KR200260406Y1 (ko)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KR100379815B1 (ko) 자동 수위조절용 낚시찌
US4506471A (en) Line attachment for fishing float
US5555668A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bait at desired depth while fishing
WO2014069865A1 (ko) 부력조절체가 공기중에 위치하는 부력조절찌
KR102370025B1 (ko) 상승 속도가 지연되는 민물용 낚시찌
KR100345186B1 (ko) 낚시용 추
KR102158071B1 (ko)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KR100920452B1 (ko) 낚시찌 감지장치 및 방법
US2888773A (en) Fishing bobber having temporary line retaining means
KR200361634Y1 (ko) 낚시찌의 중량부재 및 이를 포함한 낚시찌
KR200302109Y1 (ko) 자동수위조절전유동낚시찌
KR200154264Y1 (ko) 낚시용 구멍찌와 수중찌 및 봉돌
EP0749272A1 (en) A fishing-float
KR20040057939A (ko) 낚시찌
KR200377267Y1 (ko) 낚시용 흘림찌
KR200227012Y1 (ko) 부력 조절용 낚시찌
KR200354251Y1 (ko) 낚시줄 유동방지용 낚시찌
KR200354329Y1 (ko) 클립으로 장착 가능한 중통찌.
KR200354258Y1 (ko) 자동 수위 조절용 낚시찌
KR200372321Y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381813Y1 (ko) 낚시용 찌
KR20080000912U (ko) 낚시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