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071B1 -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 Google Patents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071B1
KR102158071B1 KR1020190019756A KR20190019756A KR102158071B1 KR 102158071 B1 KR102158071 B1 KR 102158071B1 KR 1020190019756 A KR1020190019756 A KR 1020190019756A KR 20190019756 A KR20190019756 A KR 20190019756A KR 102158071 B1 KR102158071 B1 KR 102158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shing
connecting rod
central hole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644A (ko
Inventor
정이규
Original Assignee
정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1440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580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이규 filed Critical 정이규
Priority to KR1020190019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071B1/ko
Priority to JP2021549196A priority patent/JP2022521276A/ja
Priority to PCT/KR2020/002302 priority patent/WO2020171536A1/ko
Priority to CN202080015732.1A priority patent/CN113453544A/zh
Publication of KR2020010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2Devices for fixing on or removing sinkers from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찌낚시에서 찌맞춤이 용이한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연결봉의 하단에 받침추가 구비되어 있는 추홀더와, 상기 연결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추홀더와 연결소켓을 원터치(one-touch) 동작만으로 신속,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상기 추홀더와 연결소켓이 서로 분리될 우려가 없어서 사용이 안전한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Sinker assembly for fishing with one-touch combin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찌낚시에서 찌맞춤이 용이한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연결봉의 하단에 받침추가 구비되어 있는 추홀더와, 상기 연결봉의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추홀더와 연결소켓을 원터치(one-touch) 동작만으로 신속,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상기 추홀더와 연결소켓이 서로 분리될 우려가 없어서 사용이 안전한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찌낚시를 하는데 필요한 채비는 낚시대와 낚시추(‘봉돌’이라고도 함), 낚시바늘, 낚시찌, 그리고 낚시줄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낚시줄은 낚시대와 낚시추 사이를 연결하는 ‘원줄’과, 낚시추와 낚시바늘 사이를 연결하는‘목줄’로 구분된다. 그리고 낚시찌는 상기 원줄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면 위로 노출된다.
이러한 찌낚시에서 물고기의 입질신호, 즉 어신(魚信)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찌맞춤을 해야 한다. 여기서 찌맞춤이란 낚시찌의 부력에 따라 낚시추의 무게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낚시찌와 낚시바늘이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자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도 찌낚시의 찌맞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낚시추 조립체들이 소개되어 있다.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국내 특허 제10-0821085호(2008년 04월 02일), 특허 제10-1000411호(2010년 12월 06일), 특허 제10-1363323호(2014년 02월 10일), 특허 제10-1621308호(2016년 05월 10일) 등이 있다.
첨부 도 1은 상기 특허 제10-1363323호에 소개된 낚시추 조립체(1000)를 나타낸 것으로, 종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추(400)와, 상기 추(4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바(510)와 상기 추(400)의 하단을 받쳐주는 받침추(520)를 갖는 홀더(500), 그리고 상기 바(510)의 상단에 체결되는 캡(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추(520) 하단의 제1 고리(521)에는 낚시바늘로 연결되는 목줄이 매어지고, 상기 캡(600) 상단의 제2 고리(611)에는 낚시대 및 낚시찌로 연결되는 원줄이 매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510)의 상단에는 수나사부(5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600)에는 이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도 1에서는 보이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홀더(500)와 캡(600)은 서로 나사결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첨부 도 2는 본 발명자가 출원한 특허 제10-1621308호의 올림 낚시용 추를 예시한 것으로, 원줄(100)과 연결되는 낚시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양쪽으로 확장되는 2개의 편대(2)로 이루어지고, 상기 편대(2)의 양쪽 단부에는 바늘(200)을 묶는 목줄(10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본체(1)에는 곡면연결부(13)와 수나사부(14)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곡면연결부(13)에는 삿갓 형상의 중량조정추(5)가 적정 개수만큼 삽입되고, 상기 수나사부(14)에는 원줄(100)이 연결되는 연결소켓(4)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소켓(4)에는 상기 수나사부(14)에 대응하는 암나사부(4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본체(1)와 연결소켓(4) 역시 나사결합에 의해서 서로 한몸으로 조립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추(400) 및 도 2의 중량조정추(5)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량추’라 지칭하고, 도 1의 홀더(500) 및 도 2의 본체(1)와 같이 상기 중량추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를 ‘추홀더’ 라 한다. 또한, 도 1의 바(510) 및 도 2의 곡면연결부(13)와 같이 상기 추홀더에서 상기 중량추에 삽입되는 부분을 ‘연결봉’이라 하고, 도 1의 캡(600) 및 도 2의 연결소켓(4)과 같이 상기 추홀더의 상단에 결합되어 원줄을 매는 것을 ‘연결소켓’이라 지칭한다.
특허 제10-0821085호(2008년 04월 02일) 특허 제10-1000411호(2010년 12월 06일) 특허 제10-1363323호(2014년 02월 10일) 특허 제10-1621308호(2016년 05월 10일)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종래의 낚시추 조립체는 추홀더와 연결소켓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추홀더에 구비된 연결봉에다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중량추를 삽입하여 중량을 조절한 다음, 상기 연결봉의 상단에 구비된 수나사부에다 상기 연결소켓의 암나사부를 결합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추홀더의 연결봉과 연결소켓은 그 직경이 기껏해야 2~3mm 정도로 아주 작고 가벼운 부품이기 때문에 낚시터가 있는 야외에서 예컨대 야간에 이들을 나사결합 방식으로 조립하는 것은 매우 세심하고 조심성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더구나 연결봉에 연결소켓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양쪽 나사가 충분히 조여지지 않았거나, 또한 낚시 도중에 외부 충격에 의해서 상기 나사결합이 조금씩 느슨해 질 경우, 자칫하면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상기 연결소켓에서 추홀더가 분리되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도 1의 특허 제10-1363323호에 소개된 낚시추 조립체(1000)와 같이, 홀더(500)에 추(400)를 나사결합하는 구조일 경우에는, 상기 홀더(500)의 제2 나사부(511)에 체결되는 추(400)와 제3 나사부(512)에 체결되는 캡(60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홀더(500)에 조립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찌낚시용 낚시추 조립체에 있어서, 추홀더와 연결소켓의 결합구조를 원터치(one-touch) 결합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추홀더와 연결소켓의 조립이 신속 용이하고, 나아가 상기 추홀더가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연결소켓에서 분리 및 분실될 우려가 없는 새로운 구조의 낚시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는, 연결봉의 하단에 받침추가 구비되어 있는 추홀더와, 상기 연결봉의 상단에 결합되어 원줄을 연결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홀더에는 상기 연결봉의 상단부에서 상기 연결봉의 지름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날개부와, 상기 걸림날개부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단돌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추홀더의 연결봉에는 필요에 따라 무게조절용 중량추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소켓은, 상하방향으로 중앙홀(H)이 관통되어 있는 원통 구조로서, 상기 중앙홀(H)의 중간 부위에 돌출된 내향단턱과, 상기 중앙홀(H)의 하단으로 상기 연결봉의 상단부가 진입할 때 상기 걸림날개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절개되어 있는 세로절개부와, 상기 세로절개부의 상단에서 상기 중앙홀(H)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걸림날개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된 가로절개부와, 상기 가로절개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중앙홀(H)의 하단 방향으로 하향 절개된 걸림절개부를 갖는 소켓하우징과; 상기 중앙홀(H)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원줄을 연결하는 원줄고리와; 상기 소켓하우징의 내향단턱과 상기 원줄고리 사이에 탄성 지지되어 있고, 상기 중앙홀(H)의 하단으로 상기 연결봉의 상단부가 진입했을 때 상기 상단돌부를 눌러주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는 추홀더의 연결봉 상단부를 연결소켓의 소켓하우징에 형성된 중앙홀(H) 하단으로 밀어 넣은 다음, 상기 연결봉을 살짝 돌려주는 가벼운 원터치(one-touch) 동작만으로 상기 추홀더와 연결소켓을 신속,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추홀더와 연결소켓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소켓하우징의 걸림날개부와 연결소켓의 스프링이 상기 추홀더의 연결봉에 대하여 모든 이동 자유도를 제한하기 때문에 상기 추홀더가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연결소켓에서 분리 및 분실될 우려가 없어서 사용이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의 낚시추 결합체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결합체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분리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3에서 연결소켓(30)의 분리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3에서 작동요부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기술에 소개되어 있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는, 첨부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홀더(20) 및 연결소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중량추(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상기 추홀더(20)를 중심으로 연결소켓(30)이 결합되는 방향을 상단, 상부 또는 상측이라 지칭하고, 그 반대쪽을 하단, 하부 또는 하측이라 지칭한다.
상기 중량추(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통상적인 중량 조절용 낚시추와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다. 상기 중량추(10)는 한 개만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무게와 형상이 다른 다수개의 중량추(1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추홀더(20)는 막대형상의 연결봉(21)과, 상기 연결봉(21)의 하단에 구비된 받침추(21)를 갖는다. 상기 연결봉(21)에는 상기 중량추(10)의 삽입공(11)이 삽입될 수 있고, 이때 상기 받침추(22)는 상기 중량추(10)를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연결봉(21)에는 하나 이상의 중량추(10)가 삽입되며, 그 상단부에는, 상기 연결봉(21)의 지름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날개부(211)와, 상기 걸림날개부(211)의 상방으로 일정길이 만큼 돌출된 상단돌부(2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날개부(211)는 상기 연결봉(21)의 일측으로만 돌출 될 수도 있으나, 양측으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돌부(212)는 상기 연결봉(21)의 중심축과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걸림날개부(21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날개부(211)는 상기 연결봉(21)의 양면을 납작하게 눌러서 양쪽 옆으로 확장되는 부분을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추(22)는 상기 연결봉(21)에 삽입된 중량추(10)가 이탈하지 않도록 받쳐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하단에는 목줄을 연결하는 목줄고리(2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받침추(22)는 단순히 상기 중량추(10)를 받쳐주는 기능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통상적인 낚시추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받침추(22)에는 첨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으로 한쌍의 편대가 설치되고, 상기 편대의 단부에 각각 낚시바늘용 목줄이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결소켓(30)은 상기 추홀더(20)의 연결봉(21) 상단에 결합되어서 상기 연결봉(21)에 삽입된 중량추(10)의 이탈을 방지하고, 나아가 낚시대로 연결되는 원줄을 잡아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소켓하우징(31)과 원줄고리(32) 및 스프링(33)을 갖는다.
상기 소켓하우징(31)은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중앙홀(H)이 관통되어 있는 원통 구조로서, 상기 중앙홀(H)의 중간 부위에는 내향단턱(311)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켓하우징(31)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봉(21)의 걸림날개부(211)가 통과하는 통로로서 세로절개부(312)와 가로절개부(313) 및 걸림절개부(3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절개부(312)는 상기 중앙홀(H)의 하단으로 상기 연결봉(21)의 상단부가 진입할 때 상기 걸림날개부(21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절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세로절개부(312)에 의해서 상기 소켓하우징(31)의 하단부는 일정길이 만큼 양쪽으로 분할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로절개부(313)는 상기 세로절개부(312)의 상단에서 상기 중앙홀(H)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걸림날개부(21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세로절개부(312) 속으로 상기 걸림날개부(211)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21)을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날개부(211)가 상기 가로절개부(313) 속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가로절개부(313)는 상기 중앙홀(H)의 둘레방향으로 약 90도 정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걸림절개부(314)는 상기 가로절개부(313)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중앙홀(H)의 하단 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하향 절개된 것이다. 상기 걸림절개부(314)는 상기 세로절개부(312)와 나란히 배치되지만, 상기 세로절개부(312)에 비해 그 길이가 훨씬 짧다. 그리고, 상기 세로절개부(312)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있지만, 상기 걸림절개부(314)는 하단부가 차단되어 있다.
상기 원줄고리(32)는 낚시대로 연결되는 원줄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소켓하우징(31)의 중앙홀(H)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원줄고리(32)는 그 지지부를 상기 중앙홀(H) 내에 접착 또는 용접하여 고정할 수도 있고, 상기 원줄고리(32)의 지지부를 상기 중앙홀(H)에 삽입한 다음, 상기 중앙홀(H)의 입구를 강제로 오므려서 상기 지지부를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33)은 상기 소켓하우징(31)의 내향단턱(311)과 상기 원줄고리(32) 사이에 탄성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중앙홀(H)의 하단으로 상기 연결봉(21)의 상단부가 진입했을 때 상기 상단돌부(212)를 눌러주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연결봉(21)의 걸림날개부(211)을 상기 소켓하우징(31)의 세로절개부(312) 속으로 완전히 밀어 넣으면, 상기 연결봉(21)의 상단돌부(212)가 상기 내향단턱(311)을 통과하여 상기 스프링(33)을 밀어 올린다.
이때, 상기 스프링(33)의 하단과 상기 소켓하우징(31)의 내향단턱(311) 사이에는 상기 연결봉(21)의 상단돌부(212)를 눌러주는 스프링시트(3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시트(34)은 상기 스프링(33)의 탄력을 상기 연결봉(21)의 상단돌부(212)로 온전히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소켓하우징(31)의 하반부에는 상기 세로절개부(312)와 가로절개부(313) 및 걸림절개부(314)를 둘러싸는 슬리브(35)가 삽입되어 있는 것는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35)는 상기 세로절개부(312)와 가로절개부(313) 및 걸림절개부(314)를 덮어서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슬리브(35)는 상기 소켓하우징(31)의 하반부에 접착 또는 용접하여 고정할 수도 있고, 상기 슬리브(35)는 상기 소켓하우징(31)의 하반부에 삽입한 다음, 상기 슬리브(35)의 입구를 강제로 오므려서 상기 소켓하우징(31)에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추홀더(20)의 연결봉(21)에다 적당한 무게와 적당한 개수의 중량추(10)를 삽입하고, 도 6과 같이 연결소켓(30)의 소켓하우징(31)의 중앙홀(H) 하단으로 상기 연결봉(21)의 상단부를 밀어 넣은 다음, 상기 연결봉(21)을 살짝 돌려준다.
이렇게 하면, 상기 연결봉(21)의 걸림날개부(211)가 상기 소켓하우징(31)의 세로절개부(312)를 통과하여 가로절개부(313)속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걸림날개부(211)가 상기 가로절개부(313)내측 단부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21)을 자유상태로 방치하면, 스프링(33)의 탄력에 의해서 상기 연결봉(21)이 중앙홀(H)의 하단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걸림날개부(211)가 스스로 걸림절개부(314) 속으로 진입한다.
상기 걸림날개부(211)가 걸림절개부(314) 속으로 진입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소켓(30)에 대하여 상기 추홀더(20)의 이동 자유도가 모두 제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스프링(33)의 탄력을 이기고 상기 연결봉(21)을 밀어 올려서 상기 걸림날개부(211)를 걸림절개부(314) 밖으로 탈출시키지 않는 한, 상기 추홀더(20)와 연결소켓(30)이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추홀더(20)에서 연결소켓(3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반대로 한손으로 상기 연결소켓(30)을 붙잡고 다른 한손으로 상기 연결봉(21)을 살짝 밀어 올린 다음, 상기 연결봉(21)을 반대 방향으로 살짝 돌려준다. 이렇게 하면, 상기 연결봉(21)의 걸림날개부(211)가 소켓하우징(31)의 걸림절개부(314)에서 빠져나와 가로절개부(313)를 통과한 다음, 상기 스프링(33)의 탄력에 의해서 소켓하우징(31)의 중앙홀(H) 하단으로 분리된다.
10; 중량추 11; 삽입공
20; 추홀더 21; 연결봉
211; 걸림날개부 212; 상단돌부
22; 받침추 221; 목줄고리
30; 연결소켓 31; 소켓하우징(socket housing)
311; 내향단턱 312; 세로절개부
313; 가로절개부 314; 걸림절개부
32; 원줄고리 33; 스프링
34; 스프링시트(spring seat) 35; 슬리브(sleeve)

Claims (5)

  1. 연결봉의 하단에 받침추가 구비되어 있는 추홀더와, 상기 연결봉의 상단에 결합되어 원줄을 연결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추홀더는, 상기 연결봉 상단부에서 상기 연결봉의 지름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날개부와, 상기 걸림날개부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단돌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소켓은,
    상하방향으로 중앙홀(H)이 관통되어 있는 원통 구조로서, 상기 중앙홀(H)의 중간 부위에 돌출된 내향단턱과, 상기 중앙홀(H)의 하단으로 상기 연결봉의 상단부가 진입할 때 상기 걸림날개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절개되어 있는 세로절개부와, 상기 세로절개부의 상단에서 상기 중앙홀(H)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걸림날개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된 가로절개부와, 상기 가로절개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기 중앙홀(H)의 하단 방향으로 하향 절개된 걸림절개부를 갖는 소켓하우징과;
    상기 중앙홀(H)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원줄을 연결하는 원줄고리와;
    상기 소켓하우징의 내향단턱과 상기 원줄고리 사이에 탄성 지지되어 있고, 상기 중앙홀(H)의 하단으로 상기 연결봉의 상단부가 진입했을 때 상기 상단돌부를 눌러주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홀더의 연결봉에는 무게조절용 중량추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하단과 상기 소켓하우징의 내향단턱 사이에는 상기 연결봉의 상단돌부를 눌러주는 스프링시트(spring seat)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하우징의 하반부에는 상기 세로절개부와 가로절개부 및 걸림절개부를 둘러싸는 슬리브(sleeve)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홀더의 받침추에는 양쪽으로 낚시바늘용 목줄을 매는 한쌍의 편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KR1020190019756A 2019-02-20 2019-02-20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KR102158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56A KR102158071B1 (ko) 2019-02-20 2019-02-20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JP2021549196A JP2022521276A (ja) 2019-02-20 2020-02-18 ワンタッチ結合方式の釣りオモリ組立体
PCT/KR2020/002302 WO2020171536A1 (ko) 2019-02-20 2020-02-18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CN202080015732.1A CN113453544A (zh) 2019-02-20 2020-02-18 一键耦合式钓鱼铅坠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756A KR102158071B1 (ko) 2019-02-20 2019-02-20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44A KR20200101644A (ko) 2020-08-28
KR102158071B1 true KR102158071B1 (ko) 2020-09-21

Family

ID=7214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756A KR102158071B1 (ko) 2019-02-20 2019-02-20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521276A (ko)
KR (1) KR102158071B1 (ko)
CN (1) CN113453544A (ko)
WO (1) WO20201715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302B1 (ko) 2021-03-24 2022-06-07 변재만 탄성체를 이용한 낚시추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1184U (ko) * 1972-02-10 1973-11-01
JPS5537315U (ko) * 1978-09-02 1980-03-10
US4693030A (en) * 1986-02-28 1987-09-15 Wohead Michael J Luminescent floating sinker
JP2504431Y2 (ja) * 1993-01-12 1996-07-10 株式会社釣研 可変浮力釣用浮き
US5661923A (en) * 1994-05-10 1997-09-02 Fellowes; Robert Fishing weight apparatus
KR100821085B1 (ko) 2007-01-18 2008-04-08 전재훈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조립체
KR101000411B1 (ko) * 2007-10-25 2010-12-14 정강호 낚시 채비 및 그에 사용되는 무게조절 봉돌부재
KR101046463B1 (ko) * 2008-12-09 2011-07-04 전재훈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조립체
KR20110017632A (ko) * 2009-08-14 2011-02-22 문병철 낚시찌 부력 조절용 웨이트 홀더 및 웨이트 홀더 어셈블리
KR20120038261A (ko) * 2010-10-13 2012-04-23 정재봉 낚시용 봉돌
KR101468107B1 (ko) * 2013-05-08 2014-12-05 주식회사 디아이에프레포츠 낚시용 밑밥주걱
KR101363323B1 (ko) 2013-09-30 2014-02-14 변재만 낚시추 조립체
KR101621308B1 (ko) 2014-10-02 2016-05-16 정이규 올림 낚시용 추
KR101801707B1 (ko) * 2015-03-19 2017-11-27 김정용 수중 장애물 이탈 구조형 낚시 추
KR20160003565U (ko) * 2015-04-07 2016-10-17 심유정 낚시용 봉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302B1 (ko) 2021-03-24 2022-06-07 변재만 탄성체를 이용한 낚시추 조립체
KR20220133139A (ko) 2021-03-24 2022-10-04 변재만 탄성체를 이용한 낚시추 조립체
US11844339B2 (en) 2021-03-24 2023-12-19 Jae Man BYEON Sinker assembly using elastic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1536A1 (ko) 2020-08-27
KR20200101644A (ko) 2020-08-28
JP2022521276A (ja) 2022-04-06
CN113453544A (zh)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1840B2 (en) Umbrella-type fishing rig with removable lure arms
KR102158071B1 (ko)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US4677783A (en) Fishing rod tender with automatic fish hook setting feature
US5339558A (en) Ice fishing devices
GB2166631A (en) Fishing tackle
US4514926A (en) Snagged fish hook release device
US20070214706A1 (en) Apparatus which is specially hinged to easily and safely use a trolling fishing pole
US5490348A (en) Two piece slip bobber
US4450789A (en) Cup waterer and cage mount
US4468878A (en) Outrigger fishing rod holder
KR20200002449U (ko) 선상 낚시 거치대 고정 장치
US64846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bottle to a pet cage
EP0682864A1 (en) Bite indicator
KR200494549Y1 (ko)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EP1880608A1 (en) Method feeder
CA2525773A1 (en) Circuit breaker for warming lamps
KR102294868B1 (ko) 릴 낚시대를 이용한 스풀낚시
US20080282989A1 (en) C-clip hummingbird feeder
CN214282851U (zh) 一种单倒钩自动弹开鱼镖
US2521139A (en) Multiple-hook fish bait
US20070214704A1 (en) Fish strike indicating apparatus
KR102577095B1 (ko) 원터치 결합구조를 가지는 수초낫 겸용 낚시뜰채
KR200154264Y1 (ko) 낚시용 구멍찌와 수중찌 및 봉돌
JP3154648U (ja) 給水装置
WO2012102596A2 (ko) 낚시대용 소품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351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1129

Effective date: 2022032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2738; INVALID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273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418

Effective date: 202210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97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21028

Effective date: 2023021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200010880;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200010880;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30320

Effective date: 2023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