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637Y1 - 낚싯대 받침구 - Google Patents

낚싯대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637Y1
KR200407637Y1 KR2020050031446U KR20050031446U KR200407637Y1 KR 200407637 Y1 KR200407637 Y1 KR 200407637Y1 KR 2020050031446 U KR2020050031446 U KR 2020050031446U KR 20050031446 U KR20050031446 U KR 20050031446U KR 200407637 Y1 KR200407637 Y1 KR 200407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fishing rod
operating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균
Original Assignee
신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균 filed Critical 신중균
Priority to KR2020050031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6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대를 그 받침구 위에 올려놓고 낚시를 할 때 낚싯대가 고기의 견인력을 받아 받침구 위에서 미끄러져 이탈할 때 낚싯대를 붙잡아 침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것은 하단에 지지봉(10)이 연결되는 고정홈(1b)이 구비된 연결돌부(1a)가 형성된 " T " 형상으로 된 받침구(1) 상면에 두개의 지지축(2)(2a)이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장치되어 그 하단부 둘레에 스프링장치홈(3)(3a)이 형성되고 각 지지축(2)(2a)에 외측으로 편향하여 축공(4a)(5a)이 형성된 작동봉(4)(5)을 나란히 끼워서 작동봉과 받침구 사이에 코일스프링(6)(7)이 장진되게 하고 받침구(1) 전방에 회전방지턱(1c)이 형성되며 작동봉 외면에 요입홈을 파고 탄성체 외피(4b)(5b)를 씌워 상단부에 유도캡(4c)(5c)를 씌워서 두개의 작동봉(4)(5)이 간격부(가)를 향해 회전 복귀력이 형성되도록 한 낚싯대 받침구에 있어서
받침구(1) 상면에 작동봉(4)(5)이 장치된 간격부 사이로 상단이 개방되게 개방부(8a)가 형성되고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은 원통형상의 고정구멍(8)을 천공하여 낚싯대(9) 후미에 연결된 연결끈(9a)의 연결구(9b)가 고정구멍(8)에 걸리도록 한 낚싯대 받침구이다.
낚싯대받침구, 지지봉, 스프링장치홈, 작동봉

Description

낚싯대 받침구{fish a stay}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 예시도
도 4는 도 1의 단면도
도 5는 사용상태 예시도
도 6은 도 1의 평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받침구 1a : 연결돌부
1b : 고정홈 2,2a : 지지축
3,3a : 스프링장치홈 4,5 : 작동봉
4a,5a : 축공 4c,5c : 유도캡
6,7 : 코일스프링 8 : 고정구멍
8a : 개방부 9 : 낚싯대
9a : 연결끈 9b : 연결구
9c : 걸림턱 10 : 지지봉
가 : 간격부
본 고안은 낚싯대를 그 받침구 위에 올려놓고 낚시를 할 때 낚싯대가 고기의 견인력을 받아 받침구 위에서 미끄러져 이탈할 때 낚싯대를 붙잡아 침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낚시터에서는 낚싯대를 받침구 위에 거치하여 놓고 고기가 물리도록 기다리게 되나 고기가 낚시바늘에 물린 것을 즉시 발견하지 못할 경우 고기가 반항하면서 물속으로 들어가려는 행동을 하므로 낚싯대가 고기에게 견인되어 받침구 위에서 이탈하고 침수하게 되어 가격이 고가로 되는 낚싯대를 잃어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일어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건 출원인은 낚싯대를 거치하는 받침구 상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축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각 지지축 편심에 축공이 형성된 작동봉을 나란히 끼워서 작동봉과 받침구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장치하여 두개의 작동봉이 내향으로 회전하는 복귀력이 작용하게 하고 두개의 작동봉 사이에 낚싯대를 끼워서 거치시킴으로써 낚싯대가 전방으로 당겨지면 두개의 작동봉이 간격부(가)내에서 낚싯대를 긴장시킬 수 있게 이탈방지장치를 고안하여 실용신안등록 제309627 호로 등록을 받은바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과 같은 받침구는 낚싯대가 전방으로 조심스럽게 당겨질 때는 두개의 작동봉이 스프링의 힘으로 내향하는 회전탄력과 편심의 작용으로 낚싯대를 협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낚싯대가 상하로 요동이 되면서 거치상태가 불안하게 되는 돌발적인 힘으로 견인될 경우(물고기의 저항이 완강하여 물고기가 앞뒤 좌우로 요동칠 경우)낚싯대가 두개의 작동봉 사이에서 이탈하는 일이 생기게 되고 그 형상을 감지하지 못하면 낚싯대가 받침구에서 빠져나가 물속으로 침수하는 것을 막아 주지 못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단에 지지봉(10)이 연결되는 고정홈(1b)이 구비된 연결돌부(1a)가 형성되어 " T " 형상으로 된 받침구(1) 상면에 두개의 지지축(2)(2a)이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장치되어 그 하단부 둘레에 스프링장치홈(3)(3a)이 형성되고 각 지지축(2)(2a)에 외측으로 편향하여 축공(4a)(5a)이 형성된 작동봉(4)(5)을 나란히 끼워서 작동봉과 받침구 사이에 코일스프링(6)(7)이 장진되게 하고 받침구(1) 전방에 회전방지턱(1c)이 형성되며 작동봉 외면에 요입홈을 파고 탄성체 외피(4b)(5b)를 씌워 상단부에 유도캡(4c)(5c)를 씌워서 두개의 작동봉(4)(5)이 간격부(가)를 향해 회전 복귀력이 형성되도록 낚싯대 받침구에 있어서,
받침구(1) 상면에 작동봉(4)(5)이 장치된 간격부(가) 사이로 상단이 개방되게 개방부(8a)가 형성되고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은 원통형상의 고정구멍(8)을 천공하여 낚싯대(9) 후미에 연결된 연결끈(9a)의 연결구(9b)가 고정구멍(8)에 걸리도록 한 구성이다.
이때 사용되는 연결구(9b)는 고정구멍(8)보다 외경이 큰 걸림턱(9c)을 후미에 구비함으로써 고정구멍(8)에서 연결구(9b)가 관통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낚싯대 받침구(1) 상면에 작동봉(4)(5)의 편심축공(4a)(5a)이 회전축(2)(2a)에 끼워져서 코일스프링(6)(7)에 장치되어 내향으로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하므로 두 작동봉(4)(5)사이에 낚싯대의 손잡이 부분을 위에서 아래로 투입하면 낚싯대의 굵기가 작동봉(4)(5)의 간격보다 좁기 때문에 두 작동봉(4)(5)이 외향으로 회전하여 두 작동봉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낚싯대의 손잡이가 두 작동봉 사이에 개재되고 낚싯대를 잡은 손을 놓으면 두 작동봉(4)(5)이 내향으로 회전하면서 복귀하려는 탄력을 받아 낚싯대 손잡이가 긴장된 상태로 거치되어 지지되며 이때 낚싯대 손잡이의 후미에 부착된 고정구(9b)는 그 연결끈(9a)이 두 작동봉 사이에서 하측으로 늘어서 받침구(1)에 형성된 고정구멍(8)입구에 투입될 수 있는 자세로 대기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낚시를 하게 되는데 낚시중에 고기가 물려서 낚싯대에 견인력이 작용하고 그 힘에 의하여 두 작동봉 사이에 협지되어 있던 낚싯대가 빠져나가게 되면 연결끈(9a)이 받침구(1) 상면을 지나면서 고정구멍(8)의 개방부(8a)로 탈락하여 고정구멍(8)속으로 투입되어 그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연결끈의 후미에 부착된 연결구(9b)의 걸림턱(9c)이 고정구멍(8)에 걸려 낚싯대를 붙잡아 주도록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낚싯대가 받침구(1) 위에서 작동봉(4)(5)사이에 지지되어 작동봉의 협지력으로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고 그것이 미흡할 정도의 사태가 발생하여 낚싯대가 두 작동봉 사이에서 빠져나갈 경우는 낚싯대 연결끈(9a)의 후미에 달려있는 연결구(9b)가 고정구멍(8)에 결합되고 그 후미에 걸림턱(9c)이 고정구멍(8) 외측에 걸리게 되어 낚싯대(9)가 침수될 때까지 이탈되는 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낚싯대 받침구는 낚싯대를 안전하게 받쳐줌과 동시에 분실예방효과도 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하단에 지지봉(10)이 연결되는 고정홈(1b)이 구비된 연결돌부(1a)가 형성되어 " T " 형상으로 된 받침구(1) 상면에 두개의 지지축(2)(2a)이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장치되어 그 하단부 둘레에 스프링장치홈(3)(3a)이 형성되고 각 지지축(2)(2a)에 외측으로 편향하여 축공(4a)(5a)이 형성된 작동봉(4)(5)을 나란히 끼워서 작동봉과 받침구 사이에 코일스프링(6)(7)이 장진되게 하고 받침구(1) 전방에 회전방지턱(1c)이 형성되며 작동봉 외면에 요입홈을 파고 탄성체 외피(4b)(5b)를 씌워 상단부에 유도캡(4c)(5c)를 씌워서 두개의 작동봉(4)(5)이 간격부(가) 쪽으로 회전 복귀력이 형성되도록 낚싯대 받침구에 있어서,
    받침구(1) 상면에 작동봉(4)(5)이 장치된 간격부(가) 사이로 상단이 개방되게 개방부(8a)가 형성되고 전방이 좁고 후방이 넓은 원통형상의 고정구멍(8)을 천공하여 낚싯대(9) 후미에 연결된 연결끈(9a)의 연결구(9b)가 고정구멍(8)에 걸리도록 한 낚싯대 받침구
  2. 상기1항에서 연결구(9b)는 후미에 고정구멍(8)의 직경보다 큰 걸림턱(9c)이 구비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낚싯대 받침구
KR2020050031446U 2005-11-07 2005-11-07 낚싯대 받침구 KR200407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446U KR200407637Y1 (ko) 2005-11-07 2005-11-07 낚싯대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446U KR200407637Y1 (ko) 2005-11-07 2005-11-07 낚싯대 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637Y1 true KR200407637Y1 (ko) 2006-02-02

Family

ID=4448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446U KR200407637Y1 (ko) 2005-11-07 2005-11-07 낚싯대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63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24Y1 (ko) * 2008-09-30 2011-02-08 송우섭 낚시대 지지대 및 절첩식 낚시대 받침대
KR101036264B1 (ko) 2010-12-20 2011-05-23 박성옥 낚싯대 지지대용 홀더
KR101260361B1 (ko) 2011-02-16 2013-05-07 박성옥 낚시대 지지대용 홀더
KR20160109145A (ko) 2015-03-10 2016-09-21 (주)아피스 낚시대 받침구
KR101880562B1 (ko) * 2017-10-27 2018-07-20 오정연 발광체가 구비된 낚싯대받침
KR200489831Y1 (ko) * 2018-10-30 2019-08-16 김종대 낚싯대 받침 장치
KR20220131776A (ko) * 2021-03-22 2022-09-29 윤효석 듀얼 회전캠을 구비한 낚시대 그립퍼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24Y1 (ko) * 2008-09-30 2011-02-08 송우섭 낚시대 지지대 및 절첩식 낚시대 받침대
KR101036264B1 (ko) 2010-12-20 2011-05-23 박성옥 낚싯대 지지대용 홀더
KR101260361B1 (ko) 2011-02-16 2013-05-07 박성옥 낚시대 지지대용 홀더
KR20160109145A (ko) 2015-03-10 2016-09-21 (주)아피스 낚시대 받침구
KR101880562B1 (ko) * 2017-10-27 2018-07-20 오정연 발광체가 구비된 낚싯대받침
KR200489831Y1 (ko) * 2018-10-30 2019-08-16 김종대 낚싯대 받침 장치
KR20220131776A (ko) * 2021-03-22 2022-09-29 윤효석 듀얼 회전캠을 구비한 낚시대 그립퍼 장치
KR102570974B1 (ko) 2021-03-22 2023-08-24 윤효석 듀얼 회전캠을 구비한 낚시대 그립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637Y1 (ko) 낚싯대 받침구
CA2682025A1 (en) Tube bird feeder
KR19990028200A (ko) 작은 동물의 포획 및 살상용 트랩
KR101089140B1 (ko) 이단자립 낚시찌
KR20100007785U (ko) 낚시대 안전받침간
KR102158071B1 (ko) 원터치 결합방식의 낚시추 조립체
JP6313396B1 (ja) ルアーの釣針カバー装置
KR102486215B1 (ko) 굴 양식용 패각의 위치 고정용 스토퍼 및 그 스토퍼들이 연결된 스토퍼 카트리지
KR100554620B1 (ko) 안전낚시바늘
KR200396046Y1 (ko) 안전낚시바늘
KR200309627Y1 (ko) 낚시받침대의 이탈방지장치
KR20110089930A (ko) 이단자립 낚시찌
KR200434854Y1 (ko) 게잡이낚시도구
US20160219854A1 (en) Fishing Line Entanglement Prevention Device
KR200275436Y1 (ko) 낚시대 안전 받침간
KR20200144949A (ko) 어신의 민감도를 세밀하게 조정가능한 낚시 채비
JP2000316424A (ja) 少なくとも2個の小寸のかえしを具備してなる釣鉤
CN213153557U (zh) 捕鱼装置
KR200305481Y1 (ko) 이탈방지용 낚시대마개
WO2012102596A2 (ko) 낚시대용 소품부재
KR200384465Y1 (ko) 낚시대 유실방지구
KR20150016569A (ko) 낚시 장치
KR200252319Y1 (ko) 통발 자동 회수장치용 통발연결구
KR200344828Y1 (ko) 낚싯대 들림방지 구조
KR101742146B1 (ko) 낚싯대 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