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930A - 이단자립 낚시찌 - Google Patents

이단자립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930A
KR20110089930A KR1020100009439A KR20100009439A KR20110089930A KR 20110089930 A KR20110089930 A KR 20110089930A KR 1020100009439 A KR1020100009439 A KR 1020100009439A KR 20100009439 A KR20100009439 A KR 20100009439A KR 20110089930 A KR20110089930 A KR 20110089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shing
self
center
bo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7823B1 (ko
Inventor
이문희
Original Assignee
이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희 filed Critical 이문희
Priority to KR1020100009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8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21K2/06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using chemiluminesc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투척된 상태에서 보다 빨리 중심대가 신장됨으로써 투척된 찌가 보다 빨리 자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척이 용이하고, 작은 추만으로도 자립되어 보다 예민한 입질을 감지할 수 있는 자립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립 낚시찌는 낚싯줄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력 특성의 찌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어 있는 중공의 찌톱,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심대, 상기 중심대의 하단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나란하게 관통홀이 형성된 추, 상기 찌몸체측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심대가 신장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관, 상기 하부고정관의 내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대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단자립 낚시찌 {FISHING FLOAT}
본 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찌몸체로부터 돌출된 찌톱과 상기 찌톱과 찌몸체의 내부로 출입 가능하게 중심대를 구비하여 투척 전에는 중심대가 찌톱의 내부로 수축되어 전체 부피가 작고, 투척 후 중심대가 신장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위치에 투척이 가능한 자립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특히,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투척된 상태에서 보다 빨리 중심대가 신장됨으로써 투척된 찌가 보다 빨리 자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척이 용이하고, 작은 추만으로도 자립되어 보다 예민한 입질을 감지할 수 있는 자립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낚싯줄에 매어서 수면 위로 뜨게 하여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낚싯바늘에 걸리게 되면 낚시찌가 요동되어 낚시꾼에게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걸렸다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사용된다.
이러한 낚시찌에는 구멍찌와 막대찌가 있으며, 이들을 각각 자립 낚시찌와 비자립 낚시찌로 구분한다.
자립 낚시찌는 자체에 추가 부착되어 있어 처음부터 곧게 서기 때문에 채비가 내려가는 도중의 입질도 어느 정도는 파악할 수 있는 찌이고, 비자립 낚시찌는 찌 자체에는 추가 없어 찌에서부터 채비의 단부에 설치된 추와 미끼가 정확하게 원하는 지점에 가라앉을 때까지 찌가 서지 못하고 있다가 추와 미끼가 가라앉으면 서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낚시찌들 중 자립 낚시찌는 처음부터 곧게 서기 때문에 채비가 내려가는 도중의 입질도 어느 정도는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자립 낚시찌의 경우 얕은 곳에서 밑걸림이 생길 경우 찌가 누워 버리기 때문에 수심을 파악하기 유리하고, 채비가 정렬되어야 찌가 서기 때문에 채비의 정렬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봉돌의 무게에 의해 찌가 서기 때문에 파도가 거친 상황에서는 찌가 안정되지 못하고 많이 흔들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파도가 있고 조류나 바람이 강한 상황에서는 주로 자립 낚시찌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립 낚시찌의 경우 특히 파도가 있는 바다 낚시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낚시찌들 중 자립 막대찌는 상단에 가느다란 눈금이 표시된 찌톱과 부력을 좌우하는 중간 부분의 몸통, 낚싯줄과 연결하기 위하여 하단에 구멍이 있어 부레를 사용하여 수중찌에 연결토록 구성되어 있고, 구멍찌는 전체적으로 짧고 몸통이 넓으며 종으로 낚싯줄이 관통하여 끼워지게 구성되고 바람이 다소 불어오거나 아니면 파도가 높은 곳에서 물고기의 활동이 활발할 때, 혹은 파도가 부서지거나 포말이 형성되는 곳과 같은 조건이 주어질 때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구멍찌는 원심력으로 투척하며, 이렇게 투척할 경우 부피가 작아 바람의 저항을 적게 받음으로써 낚시꾼이 원하는 투척 지점에 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낚시 장소로부터 투척길이가 멀면 구멍찌의 가시거리가 멀어짐으로써 물고기가 입질을 할 경우 낚시꾼이 구멍찌가 요동하는 상태를 보기가 어려워 낚시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반면에 막대찌는 구멍찌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어 막대찌를 낚시 장소로부터 먼 거리에 투척하여도 막대찌의 요동하는 상태를 볼 수 있으나 낚시꾼이 낚싯대의 낚싯줄에 매달린 막대찌를 회전시켜 원심력으로 원하는 목표지점에 투척할 경우 부피가 구멍찌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아 불안정한 낚싯대의 스윙으로 목표 지점에 던지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회전으로 인하여 엉킴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등록된 특허 제0781696호가 있다.
이 특허문헌에 따른 낚시찌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이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어 부력이 작용하는 찌몸체(100)와 상기 찌몸체(100)의 상단에 구비되고 낚싯줄이 끼워지는 낚싯줄 관통공(22)과 통수공(210)과 수직 절개홈(230)이 형성된 중공의 찌톱(200)과 상기 찌몸체(100)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40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대(400)와 상기 중심대(400)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중심대(400)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40a)과 대향되는 관통공(30a)이 형성된 추(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자립 낚시찌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대가 수축된 상태로 투척되며, 투척된 후 추가 아래로 기울어져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서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립 낚시찌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로 투척된 상태에서 낚싯줄의 매듭이 중심대의 내측 단부 즉, 찌톱까지 수축된 중심대의 내측 단부에 걸린 상태가 되고, 이렇게 매듭이 걸린 상태에서는 추의 무게가 작용하게 되며, 이런 상태에서는 찌몸체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추와 찌톱이 시이소와 같은 작용을 하며, 추의 무게에 대응하여 찌톱의 표면장력이 작용하여 자립 낚시찌가 서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즉, 찌몸체의 중간 부분을 중심으로 추의 무게와 찌톱과 물 사이의 표면장력이 서로 반대로 작용하므로 추가 충분히 무거워 찌톱의 표면장력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가 되어야 자립 낚시찌가 수직으로 자립할 수 있어 추의 무게를 무겁게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스프링을 설치하여 투척된 상태에서 보다 빨리 중심대가 신장됨으로써 투척이 용이하고, 작은 추만으로도 자립되어 보다 예민한 입질을 감지할 수 있는 자립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심대의 전체 길이를 찌톱의 상단을 초과하도록 하여 중심대가 신장 중에 찌톱의 상단에 걸리지 않게 하므로써 낚싯줄과 뒷줄이 서로 엉키지 않도록 구성된 자립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낚싯줄에 형성된 매듭이 추에 걸리게 함으로써 추의 무게가 찌몸체를 중심으로 하였을 때 추에 실리게 됨으로써 보다 빠른 입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자립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미라이트(Chemical light)를 설취 위치를 찌톱의 하단으로 낮춤과 동시에 찌톱에 의한 장애 없이 사방에서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된 자립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낚싯줄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력 특성의 찌몸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결합되어 있는 중공의 찌톱;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심대;
상기 중심대의 하단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찌몸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나란하게 관통홀이 형성된 추;
상기 찌몸체측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심대가 신장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관;
상기 하부고정관의 내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대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중심대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립 낚시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추와 상기 하부 고정관에 동시에 끼움 결합되며 투척 시에 상기 추와 상기 하부 고정관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끼움 결합되는 수중찌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수중찌는 상기 추의 형상과 함께 상기 하부 고정관의 외형에 따르는 내부 구조를 가지며, 투척 전, 상기 수중찌는 상기 추와 상기 하부 고정관에 형상에 따라 끼움 결합되며, 투척시 수면에 닿는 충격으로 인해 수중찌는 분리되며 본찌는 수직으로 자립하고, 채비가 정렬을 이룬다.
상기 하부 고정관의 원주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 상기 중심대의 상단에는 중심대가 찌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링의 하단이 상기 찌톱의 상단을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고정링에 형성된 구멍의 상단 내부면은 호형모서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는 투척 전에는 중심대가 찌톱과 찌몸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축되고, 낚싯줄이 찌몸체와 찌톱 및 중심대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투척됨으로서 낚싯줄이 낚시찌의 다른 부분에 걸리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여 투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부피가 작아져 바람에 의한 저항이 감소됨으로서 쉽게 원하는 장소에 투척을 할 수 있고, 투척 후에는 중심대의 단부에 설치된 추와 찌몸체의 부력의 반작용에 의해 중심대가 신장되어 쉽게 자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중심대를 길게 형성하여, 추와 찌몸체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작은 추를 사용하여도 낚시찌가 쉽게 자립될 수 있고, 이렇게 작은 추를 사용함으로서 낚시찌 전체의 무게가 가벼워짐으로 보다 예민한 입질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중심대가 바깥쪽으로 밀리게 함으로써 투척된 상태에서 중심대가 보다 빨리 신장되어 무게중심이 추 쪽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찌가 보다 빨리 자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는 중심대의 상단 부분이 찌톱의 상단 개구 부분에 걸쳐 있어 중심대가 신장시 찌톱의 상단에 걸릴 염려가 없으며 이와 동시에 찌톱의 상단 부분이 라운딩되어 있어 낚싯줄이 빠르게 자리를 잡을 수 있어 투척 지점에서 낚싯줄과 뒷줄이 엉킬 위험을 최소화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에 설치되는 케미라이트 꽂이 및 케미라이트가 무게 중심이 낮춰져 있으며, 이와 동시에 낚시꾼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육안 식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립 낚시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중심대가 신장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중심대가 수축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추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상부 고정관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케미라이트 꽂이 부분과 찌톱의 결합 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하나의 변형된 형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케미라이트 꽂이 부분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케미라이트 꽂이가 찌톱에 고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케미라이트 꽂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서, 도 19는 최초 투척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0은 스프링에 의해 중심대가 밀려 신장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21은 자립 낚시찌가 기울어지기 시작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2는 자립 낚시찌가 수직으로 선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종래의 자립 낚시찌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서, 도 23은 최초 투척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4는 자립 낚시찌가 수직으로 선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직", "상부", "하부"와 같은 기재는 낚시찌가 투척 후 자립했을 경우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립 낚시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중심대가 신장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중심대가 수축된 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C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추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상부고정관의 부분 단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를 구성하는 스프링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케미라이트 꽂이 부분과 찌톱의 결합 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하나의 변형된 형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케미라이트 꽂이 부분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케미라이트 꽂이가 찌톱에 고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6 내지 도 18은 케미라이트 꽂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서, 도 19는 최초 투척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0은 스프링에 의해 중심대가 밀려 신장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21은 자립 낚시찌가 기울어지기 시작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22는 자립 낚시찌가 수직으로 선 상태의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는 낚싯줄이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1a)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어 부력이 작용하는 찌몸체(1)와; 상기 찌몸체(1)의 상단에 구비되고 낚싯줄이 끼워지는 낚싯줄 관통홀(22)이 형성된 중공의 찌톱(2)과 ;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1a)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4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대(4)와 ; 상기 중심대(4)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1a)과 대향되는 관통홀(3a)이 형성된 추(3)와 ; 상기 수직 관통홀(1a)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심대(4)가 신축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하부고정관(6, 7)과 ; 상기 하부고정관(7)의 내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대(4)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43)에 걸려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찌몸체(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며 지름이 작아지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는 상기 찌톱(2)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추(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찌톱(2)은 수면의 위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실제로 사용자가 입질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으로 물과 대조되는 색깔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야광성을 띠는 것이 좋다.
상기 찌톱(2)은 낚싯줄이 끼워지는 낚싯줄 관통홀(22)이 그 상단에 형성된 중공의 가느다란 파이프로 만들어지고, 상기 찌몸체(1)의 상단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찌톱(2)의 측벽에는 낚싯줄이 이동하는 수직 절개홈(23)이 상하로 길게 더 형성되어 있어 낚싯줄이 찌톱(2)의 상단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22)에 끼워진 상태로 투척된 후,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줄이 수직 절개홈(23)을 따라 찌몸체(1)의 상단 부분으로 이동함으로서 낚싯줄이 팽팽하게 긴장되게 당겨져도 낚시찌가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찌톱(2)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22)에는 낚싯줄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마찰방지링(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낚싯줄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티탄 등과 같이 강도는 높되 마찰이 적은 재질의 수지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마찰 방지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찌톱(2)의 측벽에는 바람의 저항을 줄여주는 다수의 통기공(21)이 더 형성되어 있다. 찌가 물에 투척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찌톱(2)이 바람의 저항에 의해 흔들리게 되므로 가능한 바람과의 저항을 줄이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 상기 통기공(21)을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찌톱(2)의 상단은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운드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 라운드진 경사면의 중간에 상기한 낚싯줄 관통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중심대(4)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링(5)의 하단은 상기 찌톱(2)의 상단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중심대(4)의 신장시 고정링(5)이 찌톱(2)의 상단에 걸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중심대의 신장시 낚싯줄이 상기 찌톱(2)의 상단에 형성된 라운드진 경사면을 타고 상기한 수직 절개홈(23)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찌톱(1)의 낚싯줄과 접촉면에 마찰방지링을 더 설치할 수 있으나 실제로 낚싯줄과 마찰을 많이 일으키는 부분은 중심대(4)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4a)의 상단 부분과 추(3)의 하단 부분으로 이 부분에는 마찰방지링(미도시)을 설치하여 낚싯줄과의 마찰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3)는 상기 중심대(4)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대(4)의 중앙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4a)와 대향되는 관통홀(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3a)은 낚싯줄에 형성된 매듭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매듭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다. 또한, 낚싯줄이 마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홀의 양단이 경사지게 형성하였다.
상기 중심대(4)는 실질적으로 추가 설치되는 것으로 찌몸체(1)의 내부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하측의 광폭부(41)와 상측의 협폭부(42)로 구성되어 두 부분 사이에 걸림턱(43)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대(4)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부고정관(6, 7)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고정관(6)과 하부고정관(7)은 모두 원통형 통체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찌몸체(1)의 바깥쪽을 향한 단부 즉, 상기 상부고정관(6)의 상단과 하부고장관(7)의 하단에는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1a)을 덮을 수 있도록 수직 관통홀(1a)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누수방지날개(61, 7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 고정관(7)의 노출된 원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홈(7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수방지날개(61, 71)들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몸체(1)의 양 단에 각각 밀착되어 찌몸체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관(6)의 내주면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이 원주형성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찌톱(2)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2a)이 끼워져 찌톱(2)이 상부고정관(6)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고정관(6)의 상단은 낚싯줄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모따기가 되고 마찰력이 적은 티탄 등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요지라 할 수 있는 구성으로는 상기한 스프링(8)이다.
즉, 상기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8)이 더 구성됨으로써 중심대가 보다 용이하게 신장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중심대(4)의 중단에 형성된 걸림턱(43)이 상기 스프링(8)의 일측 단부에 걸려 찌몸체(1)의 내부로 수축된 중심대(4)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 신장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스프링(8)은 상기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 신장시키는 수단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8)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관(7)의 외경과 같은 지름을 갖는 광폭부(81)와 ; 상기 중심대(4)를 구성하는 협폭부(42)의 외경과 같은 지름을 갖는 협폭부(82)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광폭부(81)와 협폭부(82)로 구성된 스프링(8)은 도 4 및 도 7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단부는 상부고정관(6)과 하부고정관(7)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어디에도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놓여져 있다.
이렇게 설치된 스프링(8)은 상기 중심대(4)가 찌몸체(1)의 내부로 수축된 상태가 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폭부(82)가 중심대(4)의 걸림턱(43)에 걸린 상태로 신장되어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방향의 탄성이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찌(10)가 더 제공된다. 이러한 수중찌(10)는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3)의 외형에 따르는 내부 구조와 상기 하부 고정관(7)의 외형에 따르는 내부 구조를 동시에 갖는다. 또한, 상기 수중찌(10)의 도면상 상단 원주부에는 상기 찌몸체(1)의 아래 부분의 형상에 부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수중찌(10)는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에 동시에 끼움 결합되며 투척 시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으로부터 이탈하여 수중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자립 낚시찌를 투척할 경우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중심대가 신장된다.
도 19는 자립 낚시찌가 투척되는 순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자립 낚시찌를 투척하면 낚싯줄에 매달린 또 다른 추의 무게와 찌의 무게 그리고 수중찌의 무게에 의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립 낚시찌 하단의 추(3)와 또 다른 추가 서로 인접한 상태로 투척이 이루어진다. 이때 중심대(4)는 낚싯줄과 또 다른 추의 작용에 의해 찌몸체(1)의 내부로 수축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투척된 자립 낚시찌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8)의 탄성에 의해 밀려 중심대(4)가 바깥쪽으로 신장하게 되고, 이때 추(3)가 찌몸체(1)로부터 멀어짐으로 추의 무게에 의해 자립 낚시찌는 보다 빨리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입수를 하게 된다.
이때 낚싯줄에 매달린 또 다른 추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이 당겨지고, 당겨진 낚싯줄의 중간에 형성된 매듭은 추(3)에 형성된 관통홀(3a)의 안쪽에 걸리며, 이렇게 관통홀(3a)에 매듭이 걸리므로 추(3)와 또 다른 추의 무게는 중심대(4)의 하단에 걸려 중심대(4)가 보다 빨리 수직으로 세워져 입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중심대(4)가 찌몸체(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링(5)이 중심대(4)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5)에도 낚싯줄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의 상단 내주면은 호형모서리부(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링(5)은 낚싯줄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티탄 등과 같은 마찰력이 적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립 낚시찌는 도 1 및 특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라이트(Chemical light)(24b)와 이를 꽂을 수 있는 케미라이트 꽂이(2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에 꽂히는 케미라이트는 특히 야간에 찌가 보다 잘 보이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케미라이트(24b)를 포함한 케미라이트 꽂이(24)는 상기 찌톱(2)의 원주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케미라이트 꽂이(24)는 케미라이트(24b)의 광을 사방으로 방출할 수 있는 구조와 함께 상기 찌톱(2)과 결합되는 결합 부위 쪽으로도 광을 방출시킬 수 있는 광 방출구(24c)를 갖는다. 이때,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에 형성된 광 방출구(24c)는 상기 찌톱(2)에 제공되어 있는 통기공(21) 중의 어느 하나와 연통되게 케미라이트 꽂이(24)가 상기 찌톱(2)에 결합된다. 이는 케미라이트 꽂이(24)가 사용자의 입장에서 찌톱(2)의 후방에 놓이는 경우에도 찌톱(2)의 수직 절개홈(23)을 통해서 쉽게 식별되게 한다.
케미라이트 꽂이(24)는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미라이트(24b)를 쉽게 빼고 끼울 수 있도록 케미라이트(24b)로부터의 광이 조사되는 반대 방향, 도면상 하부는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노출 부위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케미라이트(24b)를 도면상 위쪽으로 올리므로써 케미라이트 꽂이(24)로부터 케미라이트(24b)를 쉽게 꺼낼 수 있게 한다.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는 특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찌톱(2)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지만,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끼움 부재(28)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끼움 부재(28)의 케미라이트 꽂이(24)의 대향 측면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끼움 방식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러한 끼움 부재(28)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나 개방시 복원 특성을 갖는 재질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케미라이트 꽂이 제공 방식은 케미라이트가 필요 없는 상황, 특히, 태양광량이 풍부한 낮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다르게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톱(2)의 상단 일측에 케미라이트(Chemical light)가 끼워질 수 있는 케미라이트 꽂이(24)가 더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의 위치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톱(2)의 상단 중앙의 일측이나,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톱(2) 상단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찌톱(2)의 양측에 두 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1 : 찌몸체
1a : 수직 관통홀
2 : 톱(top)대
2a : 걸림홈
21 : 통기공
22 : 낚싯줄 관통홀
23 : 수직 절개홈
24 : 케미라이트 꽂이
24b : 케미라이트
28 : 끼움 부재
3 : 추
3a : 관통홀
4 : 중심대
4a : 낚싯줄 관통홀
41 : 광폭부
42 : 협폭부
43 : 걸림턱
5 : 고정링
5a : 호형모서리부
6 : 상부 고정관
61 : 누수방지날개
7 : 하부고정관
71 : 누수방지날개
8 : 스프링
81 : 광폭부
82 : 협폭부
10 : 수중찌

Claims (13)

  1. 낚싯줄이 관통되는 관통홀(1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력 특성의 찌몸체(1);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관통홀(1a)에 결합되어 있는 중공의 찌톱(2);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관통홀(1a)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관통홀(4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심대(4);
    상기 중심대(4)의 하단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관통홀(1a)과 나란하게 관통홀(3a)이 형성된 추(3);
    상기 찌몸체측 관통홀(1a)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중심대(4)가 신장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상부 및 하부 고정관(6, 7);
    상기 하부고정관(7)의 내측 단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중심대(4)의 중간에 형성된 걸림턱(43)에 걸려 중심대(4)를 바깥쪽으로 밀어주는 스프링(8); 및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에 동시에 끼움 결합되며 투척 시에 상기 추(3)와 상기 하부 고정관(7)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끼움 결합되는 수중찌(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관(7)의 원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홈(7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대(4)는 하측의 광폭부(41)와 상측의 협폭부(4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두 부분 사이에는 신장으로 인한 상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3)에 형성된 관통홀(3a)은 낚싯줄에 형성된 매듭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지름을 가지며, 낚싯줄이 마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홀의 양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8)은 상기 하부 고정관(7)의 외경과 같은 지름을 갖는 광폭부(81)와 상기 중심대(4)를 구성하는 협폭부(42)의 외경과 같은 지름을 갖는 협폭부(8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2)은 측벽에는 물이 찌톱(2)의 내부로 출입될 수 있는 다수의 통기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낚싯줄이 이동하는 수직 절개홈(23)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2)의 상단에 형성된 낚싯줄 관통홀(22)은 상기 수직 절개홈(23)을 향한 부분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대(4)의 상단에는 중심대(4)가 찌몸체(1)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링(5)이 더 설치되고, 상기 고정링(5)의 하단이 상기 찌톱(2)의 상단을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고정링(5)에 형성된 구멍의 상단 내부면은 호형모서리부(5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관(6)의 상단과 하부 고정관(7)의 하단에는 상기 찌몸체(1)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1a)을 덮을 수 있도록 수직 관통홀(1a)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누수방지날개(61, 7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2)의 상단 일측에 케미라이트 꽂이(24)가 더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찌톱(2)의 수직 절개홈(23)에 대향되는 위치에 케미라이트(Chemical light) 꽂이(2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는 상기 통기공(21) 중의 어느 하나와 연통하는 광 방출구(24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13.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케미라이트 꽂이(24)는 상기 찌톱(2)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찌톱(2)에 끼움 결합 가능한 끼움 부재(28)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로 별도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 낚시찌.
KR1020100009439A 2010-02-02 2010-02-02 이단자립 낚시찌 KR101177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439A KR101177823B1 (ko) 2010-02-02 2010-02-02 이단자립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9439A KR101177823B1 (ko) 2010-02-02 2010-02-02 이단자립 낚시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930A true KR20110089930A (ko) 2011-08-10
KR101177823B1 KR101177823B1 (ko) 2012-08-31

Family

ID=4492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439A KR101177823B1 (ko) 2010-02-02 2010-02-02 이단자립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8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930A (ko) * 2020-01-22 2021-07-30 이문희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KR20220005737A (ko) * 2020-07-07 2022-01-14 박지태 루어낚시용 던질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4803B (zh) * 2018-11-23 2021-11-09 宁夏梦源涌林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湖面水域治理用的复合净水剂粉碎抛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504Y1 (ko) 2002-06-11 2002-09-11 박영태 다목적용 3단 낚시찌.
KR100678399B1 (ko) 2004-05-18 2007-02-05 이상일 이단 낚시찌
KR100781696B1 (ko) 2006-09-22 2007-12-04 이상일 자립 낚시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930A (ko) * 2020-01-22 2021-07-30 이문희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KR20220005737A (ko) * 2020-07-07 2022-01-14 박지태 루어낚시용 던질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823B1 (ko) 201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3857A1 (en) Safeslide bobber apparatus
US9549539B2 (en) Lobster trap stabilizing system
US8832991B1 (en) Fishing lure with spinning float
KR101177823B1 (ko) 이단자립 낚시찌
US6880288B1 (en) Removable and interchangeable limited resistance dive-action bait-navigating fishing bobber
JP2007117028A (ja) 底蓋及び引っ掛け金具を有する中通し撒き餌カゴを用いた釣り具及び釣り方
KR101089140B1 (ko) 이단자립 낚시찌
KR100781696B1 (ko) 자립 낚시찌
US4065869A (en) Fishing down-rigger vane and release
US20160345564A1 (en) Fishing Bobbers
KR102570316B1 (ko) 막대찌
KR200204944Y1 (ko) 바다낚시찌
KR100979305B1 (ko) 낚시찌
KR100678399B1 (ko) 이단 낚시찌
KR100943275B1 (ko) 루어낚시용 찌
KR200370603Y1 (ko) 막대형 구멍찌
KR20130119677A (ko) 낚시용 전자 기울찌
KR200202741Y1 (ko) 바다낚시찌
KR200381813Y1 (ko) 낚시용 찌
JP3127262U (ja) 万能コマセ篭
KR200381287Y1 (ko) 속이 비어있는 낚시용 막대찌
KR200361565Y1 (ko) 이단 낚시찌
FI106093B (fi) Uistin
KR20190135133A (ko) 반자립형 탄소 낚시찌
KR102447564B1 (ko)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