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564B1 -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 Google Patents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564B1
KR102447564B1 KR1020200008788A KR20200008788A KR102447564B1 KR 102447564 B1 KR102447564 B1 KR 102447564B1 KR 1020200008788 A KR1020200008788 A KR 1020200008788A KR 20200008788 A KR20200008788 A KR 20200008788A KR 102447564 B1 KR102447564 B1 KR 102447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loat
buoyancy body
hole
fixe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930A (ko
Inventor
김인관
Original Assignee
김인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관 filed Critical 김인관
Priority to KR1020200008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5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척시에는 부력체에 축설된 중심대가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더 전달받아 하부측으로 신속하게 신장되어 낚시찌가 자립되게 하는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원뿔형 추 밑면에 축방향으로 무게조절부를 연장형성하고, 연장된 무게조절부에 하나 내지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추무게를 조절하게 한 것이다. 이는 부력체에 적합한 무게의 추로 교체장착시 추 무게가 증가되어도 추의 폭방향 부피는 일정하게 제공되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부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 것이다. 특히 기존의 추와 동일한 무게를 제공하면서 추의 폭을 더욱 줄일 수 있으므로 수직방향으로의 물부하를 더욱 감소시켜 낚시찌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self-reliance fishing float assembly with improved detection sensitivity}
본 발명은 투척시에는 부력체에 축설된 중심대가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더 전달받아 하부측으로 신속하게 신장되어 낚시찌가 자립되게 하는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원뿔형 추 밑면에 축방향으로 무게조절부를 연장형성하고, 연장된 무게조절부에 하나 내지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추무게를 조절하게 한 것이다. 이는 부력체에 적합한 무게의 추로 교체장착시 추 무게가 증가되어도 추의 폭방향 부피는 일정하게 제공되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물부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게 한 것이다. 특히 기존의 추와 동일한 무게를 제공하면서 추의 폭을 더욱 줄일 수 있으므로 수직방향으로의 물부하를 더욱 감소시켜 낚시찌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낚싯줄에 매어서 수면 위로 뜨게 하여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낚싯바늘에 걸리게 되면 낚시찌가 요동되어 낚시꾼에게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걸렸다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사용된다.
이러한 낚시찌에는 구멍찌와 막대찌가 있으며, 이들을 각각 자립찌와 비자립찌로 구분된다.
자립찌는 자체에 추가 부착되어 있어 처음부터 곧게 서기 때문에 채비가 내려가는 도중의 입질도 어느 정도는 파악할 수 있는 찌이고, 비자립찌는 찌 자체에는 추가 없어 찌에서부터 채비의 단부에 설치된 추와 미끼가 정확하게 원하는 지점에 가라앉을 때까지 찌가 서지 못하고 있다가 추와 미끼가 가라앉으면 서는 찌를 말한다.
이러한 낚시찌들 중 자립찌는 처음부터 곧게 서기 때문에 채비가 내려가는 도중의 입질도 파악할 수 있어 파도가 있고 조류나 바람이 강한 상황에 적합함으로 주로 바다 낚시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자립찌 중 막대찌는 상단에 가느다란 눈금이 표시된 찌톱과 부력을 좌우하는 중간 부분의 몸통과 낚싯줄과 연결하기 위하여 유연한 줄로 연결되는 날라리로 구성되어 있고, 구멍찌는 전체적으로 짧고 몸통이 넓으며 수직으로 낚시줄이 관통하여 끼워지게 구성되고 바람이 다소 불어오거나 아니면 파도가 높은 곳에서 물고기의 활동이 활발할 때나 파도가 부서지거나 포말이 형성되는 곳과 같은 조건이 주어질 때 많이 사용된다.
상기 종래 구멍찌는 원심력으로 투척하며, 이렇게 투척할 경우 부피가 작아 바람의 저항을 적게 받음으로써 낚시꾼이 원하는 투척지점에 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낚시 장소로부터 투척길이가 길면 구멍찌의 가시거리가 멀어짐으로써 물고기가 입질을 할 경우 낚시꾼이 구멍찌가 요동하는 상태를 보기가 어려워 낚시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반면에 막대찌는 구멍찌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어 막대찌를 낚시 장소로부터 먼 거리에 투척하여도 막대찌의 요동하는 상태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원하는 위치로 투척하는 과정에서 큰 부피로 인해 상대적으로 구멍찌보다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아 원하는 위치에 던지기 어렵고, 긴 길이로 인해 회전이 발생되어 낚시줄이 엉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81696호(2007.11.27.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은 자립 낚시찌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낚시줄이 관통되는 수직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어 부력이 작용하는 부력체와 ; 상기 부력체의 상단에 구비되고 낚시줄이 끼워지는 낚시줄 안치공과 통수공과 수직 절개홈이 형성된 중공의 톱대와 ; 상기 부력체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낚시줄이 관통하는 낚시줄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심대와 ; 상기 중심대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중심대에 형성된 낚시줄 관통홀과 대향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1은 중심대가 부력체 내부로 내입되어 전체가 수축된 상태로 투척되며, 투척된 후 추가 아래로 배출되면서 전체길이가 연장되어 수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은 원하는 위치에 찌 입수시 측면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여 찌가 수직으로 직립하지 못하고 옆으로 쓰러지게 된다. 옆으로 쓰러진 찌는 물 표면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되고, 찌의 표면에 표면작력이 작용하여 찌의 직립을 방해하여 신속한 직립이 이루어지기 않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9140호(2011.11.28.등록;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은 이단자립 낚시찌를 제시하여 선행문헌1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에서는 부력체의 수직 관통홀에 고정관을 결합하고, 중심대가 고정관에 인출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중심대와 고정관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낚시찌 투척 후 부력체 내부로 내입된 중심대를 스프링 탄성력을 가하여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신속한 직립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2는 수중찌를 적용했을 때 수중찌가 부력체와 이격되어 있어 투척시 낚시찌의 하단을 하부로 당겨 기울임을 발생시키고, 기울임은 낚시찌를 회전시켜 낚시줄이 엉키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77823호(2012.08.22.등록; 이하 '선행문헌3'이라 함)에서는 이단자립낚시찌를 제시하여 선행문헌2의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즉, 상기 선행문헌3은 수중찌의 상부면인 추와 대향되는 면에 끼움홈을 형성하여 추가 끼워지도록 하되 일정크기 힘에서는 탈거되도록 하는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3의 수중찌는 회수시 추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끼움결합되어야 하는데 수중찌에 형성된 끼움홈이 회수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개구되어 있어 내부에 갇힌 물이 빠져나오지 못하고 회수방향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하여 신속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못해 물고기를 낚아채는 시간이 지연되어 번번히 놓치게 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1 내지 3에서 사용되는 부력체는 일반목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데, 목재는 나무종류 또는 상태에 따라 내부 섬유조직의 친밀도가 달라 무게나 제공되는 부력크기가 다르다. 이는 부력이 적절하게 맞춰지지 않으면 과도하게 상승하여 자립되지 못하고 쓰러지게 되어 추로서의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부력크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부력체에 결합되는 추의 무게를 조절하게 되는데 기존에는 필요한 추 무게에 따라 역원뿔형태의 비율은 유지한테 크기만을 변화시켜 필요한 추를 장착하게 했다.
그러나 추가 폭방향으로 확장되면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시 저항을 높이기 때문에 민감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폭방향이나 길이방향으로의 변화없이 다양한 무게를 교체장착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추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81696호(2007.11.27.등록) : 자립 낚시찌 한국등록특허 제10-1089140호(2011.11.28.등록) : 이단자립 낚시찌 한국등록특허 제10-1177823호(2012.08.22.등록) : 이단자립낚시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는,
부력체의 모양을 타원체로 형성하되 수직방향인 장축대비 수평 폭방향인 단축 비율을 낮춰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민감도를 향상시키고, 부력체의 소재성질에 따라 가변되는 부력크기에 대응하여 추를 통해서 전체 낚시찌에 대한 부력크기를 조절하되 상기 장착되는 추의 무게가 변하더라고 추 자체의 폭은 일정하게 유지시켜 수직방향에 대한 민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찌는 추에 끼움결합되는 상부면이 홈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회수시 또는 입질시 수직방향 상측으로의 이동에 저항으로 작용하여 민감도를 저하시킴으로 수중찌로 인한 수직방향에 대한 민감도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는,
부력을 제공하고 수직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된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 관통구의 상단과 하단으로 각각 내입하여 결합되는 상부고정관 및 하부고정관과; 상기 부력체 상단의 상부고정관에 하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축결합되고, 내측으로는 낚시줄이 삽통하는 관통구가 수직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낚시줄을 관통구에서 측면으로 배출시키는 수직절개홈이 형성된 톱대와; 상기 상부고정관 및 하부고정관의 내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에 축방향으로 낚시줄을 삽통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중간측 외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중심대와; 상기 중심대의 하단에 결합되고, 수직의 축방향으로 낚시줄을 삽통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된 추와; 상기 하부고정관의 상단에 하부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부측에 협소부를 형성하여 중심대의 걸림턱에 걸려 상부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추는 하부에 원형 또는 다각형 뿔체로 첨단부가 형성되거나 돔형으로 형성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밑면에서 축방향의 상부로 연장된 기둥체인 무게조절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무게조절부의 상단에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중심대 하단에 결합되고, 측면에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무게조절홈을 형성하여 추무게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타원형 또는 달걀형으로 형성되되, 단축과 장축 비를 1 : 2~4 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추의 무게조절부에 형성된 무게조절홈에는 무게조절편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추 교체없이 무게조절편을 통해서 추 무게조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조절편은 무게조절홈의 수평단면 범위 내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관은 하단에서 축방향으로 일정길이 확장관부를 형성하여 회수 또는 투척 과정에서 낚시찌 길이가 축소될 때 추의 무게조절부가 내입되어 안치되도록 하고, 하단면에는 추의 머리부와 무게조절부 사이의 단턱이 안치되어 걸림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관의 확장관부는 부력체의 하부로 표출되도록 하거나, 부력체 하부로 내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고정관의 상단과 하부고정관의 중간 또는 하부 측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누수방지날개를 형성하여 부력체의 관통구 상단와 하단을 폐구시켜 부력체 내면과 상부고정관 및 하부고정관 외면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추의 머리부를 내입하도록 상부로 개구된 끼움홈이 형성된 용기형태이고, 수직의 축방향으로는 낚시줄이 삽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회수나 투척시 추의 머리부 또는 부력체 하부로 돌출된 하부고정관 하단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투척후 입수시에는 상기 추 머리부 또는 하부고정관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는 수중찌를 더 구비하되, 상기 수중찌는 끼움홈의 내부공간과 수중찌 하부외면을 연통시켜 회수시 끼움홈 내부의 가둬진 물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찌는 끼움홈의 입구 가장자리를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시켜 걸림링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고정관은 부력통 하단으로 표출된 하부 측면에 외면을 따라 다수개의 결합돌기부를 형성하거나 결합돌출링부를 형성하여, 상기 수중찌의 끼움홈과 결합시 하부고정관의 결합돌기부 또는 결합돌출링이 수중찌의 걸림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걸림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의 머리부는 무게조절부 방향의 단부측에 원주형태의 기둥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기둥면이 수중찌의 끼움홈 내면에 끼워져 걸림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는 내부 관통구가 중심대와 결합되는 단부부분에서 대향되는 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직경이 축소된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는,
부력체의 부력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추의 형태를 변경시켜 추 무게가 증가되어도 추의 폭은 증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부하가 증가되어 민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추의 무게조절이 수직으로 형성된 무게조절부를 통해 이루어짐으로 추 자체의 폭을 감소시킴은 물론 추를 결합하는 중심대와 상기 중심대를 내포하는 부력체의 폭도 각각 감소시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부력찌면서 막대찌와 유사한 민감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는 무게조절부에 형성된 무게조절홈에 무게조절편을 착탈가능하게 끼울 수 있으므로, 무게에 따른 다수의 추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추가장착할 수 있는 수중찌에도 내외부를 연통시킨 배출구를 다수 형성하여 내부 끼움홈에 유입된 물을 배출구를 통해 신속하게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회수시 수중찌에 작용하는 물부하를 최소화시켜 신속한 회수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고정관과 하부고정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심대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및 결합상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사시도 및 장착상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추를 도시한 사시도 및 수직단면도.
도 5c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원뿔형 관통구가 형성된 추를 도시한 단면도.
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관부가 형성된 하부고정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찌를 도시한 사시도 및 수직단면도, 추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10)는, 부력을 제공하고 수직방향으로 관통구(21)가 형성된 부력체(20)와; 상기 부력체 관통구의 상단과 하단으로 각각 내입하여 결합되는 상부고정관(30) 및 하부고정관(40)과; 상기 부력체 상단의 상부고정관에 하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축결합되고, 내측으로는 낚시줄이 삽통하는 관통구(51)가 수직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낚시줄을 관통구에서 측면으로 배출시키는 수직절개홈(52)이 형성된 톱대(50)와; 상기 상부고정관 및 하부고정관의 내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에 축방향으로 낚시줄을 삽통시키는 관통구(61)가 형성되고, 중간측 외면에 걸림턱(62)이 형성된 중심대(60)와; 상기 중심대의 하단에 결합되고, 수직의 축방향으로 낚시줄을 삽통시키는 관통구(71)가 형성된 추(70)와; 상기 하부고정관의 상단에 하부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부측에 협소부(81)를 형성하여 중심대의 걸림턱(62)에 걸려 상부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스프링(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력체(20)는,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장축이 형성된 타원형 또는 단축이 상향으로 편중된 달걀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부력체의 상부에는 톱대(50)가 결합되어 외부로 표시가 되도록 하고, 하부에는 추(70)가 배치되어 부력체를 수직으로 직립되도록 배치시킨다.
이러한 부력체(20)는 수평의 폭방향인 단축의 크기를 줄일수록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어 물고기가 물었을 때 반응민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력체(20)가 제공하는 단축과 장축 비는 기존 1 : (1.5~1.8) 의 범위에서 제공된 비율보다 1: (2~4)의 비율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기존보다 장축을 증가시키고 단축을 감소시키는 형태 변경에 의해 기존과 동일한 부력을 제공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저항을 최소화하여 민감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 장축비를 2 보다 낮추면 기존과의 민감도 차이가 미비하고, 장축비를 4 보다 높이면 부력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져 투척시 무게중심을 잡지 못하고 회전해 낚시줄이 엉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고정관(30)과 하부고정관(40)은, 도 1과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한 바와같이 내부에 수직공이 형성된 관체로, 부력체 관통구(21)의 상단과 하단으로 내입시켜 부력체 관통구 내에서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고정관(30)의 상단과 하부고정관(40)의 하부에는 각각 부력체의 관통구(2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누수방지날개(31,42)가 더 형성하고, 상기 누수방지날개(31,42)의 돌출된 면을 부력체(20) 관통구(2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부착 또는 밀착시켜 부력체 관통구(21)와 상부고정관(30) 및 하부고정관(40) 사이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누수방지날개(31,42)와 부력체(20) 외면 사이에는 고무패킹이나 와셔를 개재하여 수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관(40)은 누수방지날개(42) 하부로 일정길이 더 돌출시킬 수 있으며, 돌출부분의 직경크기를 조절하여 후술되는 수중찌의 상단이 걸리게 하거나, 수중찌의 끼움홈에 일부 내입되어 축결합되면서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의 걸림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톱대(50)는, 도 1을 참조한 바와같이 수면위로 노출되어 입질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으로 물과 대조되는 색깔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야광으로 형성하여 밤에도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톱대(50)는 부력체(20) 상단에 직접 또는 상부고정관(30) 상단에 고정 또는 착탈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상기 톱대(50) 내측에는 축방향으로 관통구(51)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수직절개홈(52)을 형성하여 중심에 배치된 낚시줄을 측면으로 배선되게 할 수 있다. 즉, 투척시에는 낚시줄이 톱대(50)의 관통구(51)를 통해 삽통되고, 낚시찌가 물에 안착되어 직립되면 낚시줄은 부력체 상단부분에서 사용자 방향으로 꺾이되 톱대의 수직절개홈(52)을 통해 낚시줄이 꺾이도록 하여 톱대(50)의 기울어짐 없이 낚시줄의 연결방향의 꺾임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톱대(50)는 측벽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하여 바람에 의한 저항을 감소시켜 강풍시 톱대가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상기 중심대(60)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한 바와같이 부력체(20)의 관통구(21)에 설치된 상부고정관(30)과 하부고정관(40)에 내설되되 부력체 하부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직으로 관통구(61)가 형성된다. 상기 중심대(60)는 중간에 걸림턱(62)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중심대(60)의 상부와 하부 관체 직경을 달리하여 단차에 의한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중심대 중간부분에 링을 설치하여 링에 의해 단차를 제공하여 걸림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대(60)의 상단에는 낚시줄을 삽통시키기 위해 중심에 통공이 형성된 캡(65)을 더 설치하여 중심대(60)가 부력체(20) 하부로 배출될 때 중심대(60) 상단이 상부고정관(30) 또는 상부고정관에 결합된 하부고정관(40)의 상단에 걸려 부력체 하부로의 배출길이를 제한하거나 중심대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80)은, 도 4a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부 일정구간을 나선 선회직경을 좁혀서 협소부(81)를 형성하여 부력체(20) 내부로 내입되는 중심대(60)에 걸려 탄성변형이 이루어지고, 외력제거시 중심대 하부를 신속하게 부력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스프링(80)의 일측단부는 부력체에 고정된 하부고정관(40)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하부고정관 및 상부고정관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중심대(60)에 걸림이 이루어지게 장착되어 상하 이동이 제한되게 한다.
즉, 도 4b와 도 4c를 참조한 바와같이 중심대(60)는 걸림턱(62)을 기준으로 상부의 소관부(63)와, 하부의 대관부(64)로 구분하고, 스프링 협소부(81)는 내경을 중심대의 소관부보다는 크고 대관부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협소부(81)가 중심대의 소관부(63)만 삽통되게함으로써, 스프링의 협소부는 상기 중심대의 소관부 영역에서만 배치된다. 즉, 중심대(60)는 중심대 상단의 캡(65)부분이 스프링(80)의 상부 협소부(81) 상단에 걸릴 때까지 하향 이동하고, 중심대 걸림턱(62)에 의해 협소부(81)가 걸리고, 협소부 하부측이 상향으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상향 이동된다. 상기 중심대(60)는 상향이동시 중심대 상부부분이 톱대(50) 내측 공간으로 내입되어 톱대 내부공간에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추(70)는, 중심대(60) 하단에 설치되어 투척후에는 부력체(20)와 최대한 멀리 떨어지게 하여 자립으로 낚시찌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한다.
도 5a와 5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추(70)는, 하부에 원형 또는 다각형 뿔체로 첨단부가 형성되거나 돔형으로 형성된 머리부(72)와, 상기 머리부의 밑면에서 축방향의 상부로 연장된 기둥체인 무게조절부(73)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71)는 무게조절부(73)와 머리부(72)의 중심축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낚시줄이 연통설치되게 한다.
상기 중심대(60)와의 결합은 결합부(74)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74)는 무게조절부(73)의 상단에 형성되어 중심대(60)와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74)는 도시된 바와같이 추(70)의 상단 내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중심대(60) 하단에 수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되도록 하거나, 추 상단 외면에 수나사산을 형성하고 중심대 하단에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방식은 착탈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나사결합방식 이외에 억지끼움이나 본드결합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머리부(72)에 무게조절부(73)를 축방향인 수직으로 연장형성하면 추(70)의 무게 증가시 폭방향으로의 확장없이 수직방향으로만 무게조절부(73)를 연장시켜 추의 무게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추의 수직방향 이동시 물과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추의 무게변화와 관계없이 민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폭방향의 면적을 더 축소시켜 민감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72)에는 무게조절부(73) 방향의 단부측에 원주형태의 기둥면(721)이 형성된다. 상기 기둥면은 후술되는 수중찌의 끼움홈에 내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기둥면(721)의 직경은 수중찌(90) 끼움홈(92)의 내경과 유사한 크기로 형성하여 수중찌의 끼움홈으로 추의 머리부분이 내입될 때 기둥면에 의해 수중찌기 지지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시켜 측면 방향으로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둥면(721)은 적어도 2mm 이상의 폭으로 형성하여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추의 길이를 감안하여 2~10mm 의 범위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 5c와 도 5d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추는 머리부의 기둥면이 형성된 형태(도 5c) 또는 기둥면이 없는 형태(도 5d)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의 관통구(71)는 점직적으로 내경을 변경시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추의 관통구(71) 형상을 도 5b와같이 중심대(60)와 연속되고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는 형태 이외에, 중심대(60)와 결합되는 상단의 단부에서 이와 대향되는 하단의 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직경이 축소된 원뿔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낚시줄을 추 관통구로 삽통시킬 때 낚시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70)는 도 6a를 참조한 바와같이 무게조절부(73)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무게조절홈(731)을 형성하여 무게조절홈(731)의 개수에 따라서 추무게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추(70)의 폭과 길이에 대한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추무게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어, 부력체(20)가 제공하는 부력정도에 따라 적합한 추(70)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무게조절홈의 형상은 도 6a와 같이 무게조절부의 측면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하거나, 도 6b와 같이 반원홈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무게조절홈(731)에는 무게조절편(75)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추(70) 자체를 교체장착하지 않고, 추의 무게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무게조절홈(731)은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의 반원홈으로 형성하고, 무게조절편(75)은 반원홈에 대응되는 반원판 형태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무게조절홈(731) 중 전체 또는 선택된 일부분에 대해 무게조절편(75)을 탈부착시켜 추(70) 전체 무게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게조절편(75)은 무게조절홈(731)의 수평단면 범위 내의 크기로 제공하여 장착시 무게조절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해 수직이동에 따른 물부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고정관(40)은 하부에 축방향으로 확장관부(41)를 형성하여 투척 또는 회수과정에서 중심대(60)가 부력체(20) 내측으로 내입될 때 무게조절부(73)가 형성된 추(70)도 하부고정관의 확장관부(41) 내측으로 내입시켜 부력체(20)와 중심대(60) 및 추(70)를 포함하는 전체 낚시찌 조립체(10)가 하나의 뭉치로 결합된 상태로 수평이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즉, 낚시찌 조립체(10) 전체를 뭉치화 함으로써 수평이동시 직선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기존의 이동하면서 회동되거나 각각 분리하여 이동함에 따라 낚시줄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관(40)의 확장관부(41)는 추(70) 전체를 내입시키거나, 확장관부(41)로 추의 무게조절부(73)만 내입되고 추의 머리부는 확장관부 하단에 걸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관부로 내입되는 추(70)는 확장관부(41)가 끝나는 상단의 단턱에 의해 하부고정관으로 내입되는 깊이를 한정할 수 있으며, 추의 머리부가 확장관부 하단에 걸려 내입깊이를 제한하게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의 머리부를 걸리게 할 경우 머리부(72)의 직경은 확장관부(41)의 외면 직경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하여 걸림이 이루어지되 측면방향으로의 돌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a와 도 7b는 추 상단이 하부고정관 하단을 내포하도록 결합된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하부고정관에 확장관부가 형성된 구조를 일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추의 직경을 중심대보가 작게 형성하여 추가 중심대 내측으로 내입되는 방식으로 결합할 경우 적어도 추의 무게조절부는 하부고정관 내부로 걸림없이 내입이 가능함으로 하부고정관에 확장관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고정관의 확장관부(41)는 도 7a와 같이 부력체(20)의 하부측으로 표출되도록 형성하거나, 도 7b와 같이 부력체(20) 내측으로 내입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력체(20) 내부로 하부고정관의 확장관부(41)를 내입시킬 경우 부력체(20)의 상하길이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동일한 부력을 제공할 때에는 부력체의 폭을 더욱 좁게 형성하여 상하방향의 물부하를 감소시켜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10)에는 수중찌(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중찌(90)는 낚시찌의 자립을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추(70)의 하단과 낚시바늘 사이의 낚시줄에 장착되어 추(70)와 함께 부력체(20)를 하부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한 바와같이, 수중찌(90)는 추(70)의 머리부(72)를 내입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끼움홈(92)이 형성된 용기형태이다. 상기 수중찌(90)는 수직의 축방향으로는 낚시줄이 삽통하는 관통구(91)가 형성되어 낚시찌 조립체를 투척하거나 회수할 때 추를 내입하여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때 수중찌는 부력체 하부로 돌출된 추의 머리부(72) 특히 머리부의 기둥면(721)이 수중찌의 끼움홈(92) 내벽에 걸려 수중찌(90)와 추(70)가 동일축으로 배열되게 하면서 소정크기의 끼움력을 제공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수중찌(90)와 추(70) 머리부(72)와의 끼움력은 투척후 입수시에는 추(70)로부터 수중찌(90)가 이탈될 수 있을 정도의 힘으로 끼움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상기 수중찌는 추 머리를 내포하면서 하부고정관 하단에 끼워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찌(90)는 회수를 위해 낚시줄을 당기면 물속에서 상향이동되면서 추(70)를 내포하면서 추의 머리부(7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중찌(90)가 추와 결합하기 위해 상향이동시 수중찌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직방향이동에 따른 저항으로 작용하여 낚시찌의 신속한 회수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중찌(90)는 끼움홈(92)의 내부공간과 수중찌 하부외면을 연통시키는 배출구(93)를 다수 형성하여 끼움홈(92) 내부의 가둬진 물을 배출구(93)를 통해 하부로 배출시킴으로서 수중찌(90) 상승과정에서의 물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구(93)는 유로 단면적을 증가시켜 신속한 물빠짐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수중찌를 망체로 형성하여 물빠짐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8d를 참조한 바와같이 추(70)를 내입하는 하부고정관(40)의 하단 외측에는 결합돌기부(43)를 더 형성하고, 수중찌(90)의 끼움홈(92) 상단 가장자리에는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링부(94)를 형성하여 수중찌가 하부고정관에 결합되도록 하고, 이 때 하부고정관의 결합돌기부(43)가 수중찌의 걸림링부(94)에 결합되어 걸림이 발생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관의 결합돌기부(43)는 하부고정관(40) 하단의 외측면을 따라 둘 이상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 형태 이외에 링형태로 돌출시킨 결합돌출링부를 형성하여 수중찌와 착탈가능하게 걸림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중찌(90)는 내부 끼움홈(92)에 하부고정관(40)하단이 내입되는 것만으로도 걸림이 발생되어 충분한 끼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10)는,
도 9a와 도 9b를 참조한 바와같이, 투척시 중심대(60) 하부가 부력체(20) 내부로 유입되고, 중심대 상부는 톱대(50) 내측으로 이동되어 낚시찌 조립체(10) 전체 길이가 단축된 수축상태로 수평으로 던져진다. 이때 수중찌(90)는 하부고정관 하단을 내입하면서 걸림이 이루어져 고정되고, 상기 추(70)는 하부고정관의 확장관부(41) 내측으로 내입되어 안치됨으로써 전체 낚시찌 조립체(10)의 길이를 축소시켜 안정적인 무게중심을 유지해 회전없이 목표지점으로 투척되게 한다.
목표지점에 낙하되어 낚시줄이 풀리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80)이 탄성복원되어 부력체(20)에 내입된 중심대(60)를 외측으로 밀어내고, 동시에 수중찌(90)가 하부고정관 하단 또는 추로부터 이탈되어 수중으로 하강하게 되면서 중심대(60)를 수중인 수직하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러한 수중으로의 당김에 의해 부력체(20)는 수직으로 신속하게 자립된다.
여기서 부력체(20)가 너무 물속으로 깊게 들어가거나 수직으로 직립하지 못하고 쓰러질 경우에는 부력체(20)의 부력크기에 비해 추(70)의 무게가 적당하지 않는 것으로 추의 무게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폭을 갖으면서 무게조절홈(731)의 개수에 의해 무게가 다른 추(70)를 제안하여 필요한 무게의 추를 장착하거나, 다수의 무게조절홈(731)에 필요한 만큼 무게조절편(75)을 끼워넣어서 추의 무게를 조절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회수시에는 낚시대를 당기면 낚시줄(101)이 당겨지고, 낚시줄의 매듭 또는 봉돌에 의해 걸린 수중찌(90)가 당겨지게 되면서 수중에서 상향이동된다. 이때 수중찌의 끼움홈(92)으로 유입되는 물은 수중찌 배출구(93)를 통해 하부로 배출됨으로 수중찌 상승에 따른 물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신속한 회수가 가능하다.
상승한 수중찌(90)는 중심대 하단에 결합된 추(70)를 내입하여 축설됨으로써 추 머리부의 기둥면이 수중찌의 끼움홈 내면에 넓은 면으로 접하여 축틀어짐을 방지하면서 지지가 이루어진다. 낚시줄의 당김력은 수중찌와 추를 통해 중심대로 전달되고, 중심대(60)는 스프링(80)을 탄성변형 시키면서 부력체(20) 내측으로 내입되어 낚시찌조립체(10) 전체길이를 축소시킨다.
이어서 낚시줄(101)을 통해 제공된 당김력은 수중찌(90)를 하부고정관(40) 하단에 끼워지고, 이때 결합력은 당김력 제거시 쉽게 분리될 정도로 끼움결합이며, 수중찌와 하부고정관 하단의 결합에 의해 길이가 축소된 낚시찌 조립체(10)는 수면위로 상승하면서 회수가 이루어진다.
10 : 낚시찌 조립체
101 : 낚시줄
20 : 부력체
21 : 관통구
30 : 상부고정관
31 : 누수방지날개
40 : 하부고정관
41 : 확장관부 42 : 누수방지날개
43 : 결합돌기부
50 : 톱대
51 : 관통구 52 : 수직절개홈
60 : 중심대
61 : 관통구 62 : 걸림턱
63 : 소관부 64 : 대관부
65 : 캡
70 : 추
71 : 관통구 72 : 머리부
73 : 무게조절부 74 : 결합부
75 : 무게조절편
721 : 기둥면 731 : 무게조절홈
80 : 스프링
81 : 협소부
90 : 수중찌
91 : 관통구 92 : 끼움홈
93 : 배출구 94 : 걸림링부

Claims (7)

  1. 부력을 제공하고 수직방향으로 관통구(21)가 형성된 부력체(20)와;
    상기 관통구(21)의 상단과 하단으로 각각 내입하여 결합되는 상부고정관(30) 및 하부고정관(40)과;
    상기 부력체 상단의 상부고정관(30)에 하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축결합되고, 내측으로는 낚시줄이 삽통하는 관통구(51)가 수직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낚시줄을 관통구에서 측면으로 배출시키는 수직절개홈(52)이 형성된 톱대(50)와;
    상기 상부고정관(30) 및 하부고정관(40)의 내부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에 축방향으로 낚시줄을 삽통시키는 관통구(61)가 형성되고, 중간측 외면에 걸림턱(62)이 형성된 중심대(60)와;
    상기 중심대의 하단에 결합되고, 수직의 축방향으로 낚시줄을 삽통시키는 관통구(71)가 형성된 추(70)와;
    상기 하부고정관의 상단에 하부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부측에 협소부(81)를 형성하여 중심대의 걸림턱(62)에 걸려 상부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스프링(8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추(70)는,
    하부에 원형 또는 다각형 뿔체로 첨단부가 형성되거나 돔형으로 형성한 머리부(72)와, 상기 머리부의 밑면에서 축방향의 상부로 연장된 기둥체인 무게조절부(7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무게조절부(73)의 상단에는 결합부(74)가 형성되어 중심대(60) 하단에 결합되고, 측면에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무게조절홈(731)을 형성하여 추무게를 다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20)는 타원형 또는 달걀형으로 형성되되, 단축과 장축 비를 1 : 2~4 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관(40)은 하단에서 축방향으로 일정길이 확장관부(41)를 형성하여 회수 또는 투척 과정에서 낚시찌 길이가 축소될 때 추의 무게조절부(73)가 내입되어 안치되도록 하고, 하단면에는 추의 머리부와 무게조절부 사이의 단턱이 안치되어 걸림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관(40)의 확장관부(41)는 부력체(20)의 하부로 표출되도록 하거나, 부력체 하부로 내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70)의 머리부(72)를 내입하도록 상부로 개구된 끼움홈(92)이 형성된 용기형태이고, 수직의 축방향으로는 낚시줄이 삽통하는 관통구(9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은 회수나 투척시 추의 머리부(72) 또는 부력체 하부로 돌출된 하부고정관(40) 하단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투척후 입수시에는 상기 추의 머리부 또는 하부고정관(4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는 수중찌(9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수중찌(90)는 끼움홈(92)의 내부공간과 수중찌 하부외면을 연통시켜 회수시 끼움홈 내부의 가둬진 물을 하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93)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70)의 머리부(72)는 무게조절부 방향의 단부측에 원주형태의 기둥면(721)이 더 형성되고, 상기 기둥면이 수중찌(90)의 끼움홈(92) 내면에 끼워져 걸림이 이루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70)는 내부 관통구(71)가 중심대(60)와 결합되는 단부부분에서 대향되는 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직경이 축소된 원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KR1020200008788A 2020-01-22 2020-01-22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KR10244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788A KR102447564B1 (ko) 2020-01-22 2020-01-22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788A KR102447564B1 (ko) 2020-01-22 2020-01-22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30A KR20210094930A (ko) 2021-07-30
KR102447564B1 true KR102447564B1 (ko) 2022-09-29

Family

ID=7714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788A KR102447564B1 (ko) 2020-01-22 2020-01-22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5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879Y1 (ko) 2003-12-19 2004-03-18 정윤기 개선된 바다낚시용 찌
KR100848974B1 (ko) 2007-03-15 2008-07-30 김명수 수중찌
KR101089140B1 (ko) 2009-01-30 2011-12-08 이문희 이단자립 낚시찌
KR101450269B1 (ko) 2013-04-26 2014-10-22 센트럴공조(주) 바다 낚시용 봉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4431Y2 (ja) * 1993-01-12 1996-07-10 株式会社釣研 可変浮力釣用浮き
KR100781696B1 (ko) 2006-09-22 2007-12-04 이상일 자립 낚시찌
KR20110017632A (ko) * 2009-08-14 2011-02-22 문병철 낚시찌 부력 조절용 웨이트 홀더 및 웨이트 홀더 어셈블리
KR101177823B1 (ko) * 2010-02-02 2012-08-31 이문희 이단자립 낚시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879Y1 (ko) 2003-12-19 2004-03-18 정윤기 개선된 바다낚시용 찌
KR100848974B1 (ko) 2007-03-15 2008-07-30 김명수 수중찌
KR101089140B1 (ko) 2009-01-30 2011-12-08 이문희 이단자립 낚시찌
KR101450269B1 (ko) 2013-04-26 2014-10-22 센트럴공조(주) 바다 낚시용 봉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30A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3857A1 (en) Safeslide bobber apparatus
US5243780A (en) Fishing float
US4845884A (en) Fishing line float
US20160106187A1 (en) Multi-purpose floating umbrella
KR102447564B1 (ko) 민감도가 향상된 이단자립 낚시찌 조립체
US7913445B2 (en) Adjustable buoyancy fishing bobber system
US5033227A (en) Fishing device
US20050050790A1 (en) Collapsible umbrella fishing rig
KR101177823B1 (ko) 이단자립 낚시찌
KR100643777B1 (ko) 수중 가두리 시설
KR101089140B1 (ko) 이단자립 낚시찌
US20090077858A1 (en) Bobber and sinker for fishing
KR100781696B1 (ko) 자립 낚시찌
KR101505087B1 (ko) 부력조절 기능을 갖는 구멍찌
KR20210001102U (ko) 관절부를 갖는 선형 낚시추 세트
US8341869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release of a tip-up signal indicator for a trap
KR20210001087U (ko) 찌맞춤이 용이한 낚시추 조립체
CN209950178U (zh) 一种打窝渔具和打窝饵料结构
KR100896006B1 (ko) 낚시용 구멍찌
KR100678399B1 (ko) 이단 낚시찌
GB2295074A (en) Fishing marker
WO2001088279A1 (en) A collapsible anchor
KR200361565Y1 (ko) 이단 낚시찌
KR200374986Y1 (ko) 수중 가두리 시설
JP3554974B2 (ja) 磯釣り飛ばし多用途浮子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