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436Y1 - 낚시대 안전 받침간 - Google Patents

낚시대 안전 받침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436Y1
KR200275436Y1 KR2020010034761U KR20010034761U KR200275436Y1 KR 200275436 Y1 KR200275436 Y1 KR 200275436Y1 KR 2020010034761 U KR2020010034761 U KR 2020010034761U KR 20010034761 U KR20010034761 U KR 20010034761U KR 200275436 Y1 KR200275436 Y1 KR 200275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clamping rods
clamping
center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태
Original Assignee
박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태 filed Critical 박경태
Priority to KR2020010034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4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43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인의 부주의로 물고기에 의한 낚시대(1)분실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낚시대 안전 받침간에 관한 것으로 낚시인이 자리를 비우는 등 부주의한 상태에도 물고기에 의해 낚시대(1)가 끌려가 이탈 되거나 분실 되어짐을 방지하며 낚시대(1)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 낚시대 안전 받침간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 조립대(2)상단(3)의 중앙부(4)좌우에 클램핑봉(6)(6')을 구성하여 낚시대(1)를 중앙부(4)의 브이형(V形)홈(5)에 안착(安着)시키면, 조립대(2)의 수납공간(17)에 장설 된 인장코일 스프링(TENSION COIL SPRING)(1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클램핑봉(6)(6')이 회동하여 낚시대(1)를 클램핑(CLAMPING)하여 낚시대의 이탈 및 분실이 방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낚시대 안전 받침간{omitted}
본 고안은 낚시대 받침대에 있어서 낚시대(1)이탈 및 분실 방지 기능이 있는 안전 받침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낚시의 경우에는 낚시인이 낚시질을 할 때 앞 받침대와 뒷받침대의 지주봉(9)을 지면에 삽설한 후 앞 받침대와 뒷받침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U형 받침간에 낚시대(1)를 재치하여 낚시를 하는 것 이였다.
이와 같이 낚시대(1)를 재치하여 낚시질을 할 때 낚시인이 자리를 비우는 등 낚시상태를 소홀히 한 틈에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물리어 낚시대(1)를 끌고 가서 종종 낚시대를 분실하곤 했었다.
따라서 낚시대(1)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램핑봉이 편심구멍에 삽설된 핀을 중심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양클램핑봉이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낚시대(1)를 양클램핑봉 사이에 삽설 하여 낚시대(1)가 전방부로 끌려가게 될 경우에는 양클램핑봉 들이 잡고 있어 낚시대(1)를 끌고 가지 못하도록 하는 선 고안이 채용되어 있다.(한국 실용신안등록 제 132,347참조)
그러나 선 고안은 양클램핑봉의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되게 되어 있으면서 그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어, 낚시대(1)를 양클램핑봉 사이에 삽설 하고자 할 때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낚시대(1)를 하향(下向)으로 일정한 힘을 가해야 가능하여 낚시대(1)삽설에 불편 하였으며 낚시질시 수십회 상기 동작을 반복하면 뒷받침대의 지주봉(9)이 지면으로 부터 흔들리게 되어 낚시질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클램핑봉에 형성된 편심구멍의 편심량이 일정하게 되어 있어, 통상 낚시인이 직경이 큰 낚시대와 작은 낚시대를 사용하는 현실에서 직경이 큰 낚시대와 작은 낚시대를 각각 재치(載置)하여 낚시대를 클램핑 하려면 편심량을 크게 취하여 하나, 그에 따른 클램핑봉의 직경이 커지는 문제점과 클램핑봉의 중앙부가 원주(圓柱)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편심량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낚시대를 클램핑시 중앙부의 협지(陜止)폭이 같아서 낚시대가 전방으로 끌려감과 동시에 상향으로 올라갈 때는 쉽게 이탈되어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선 고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이 창안 된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클램핑봉(6)(6')사이에 낚시대(1)가 용이하게 삽설되게 함과 동시에 직경이 큰 낚시대와 작은 낚시대의 사용시에도 쉽게 재치가 되면서 낚시대(1)가 상향으로도 이탈됨을 방지하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직경이 작은 낚시대(1)재치 상태도(최소협지상태)
제 3 도는 본 고안에 직경이 큰 낚시대(1)재치 상태도(최대 협지상태)
제 4 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 5 도는 제 4도의 A-A선 단면도
제 6 도는 제 4도의 B투상도(클램핑봉 상단부 16,16' 상세도)
제 7 도는 제 6도의 각 부분별 단면도(좌로부터 단면 E-E,F-F,G-G)
제 8 도는 제 2도의 C-C단면도(최소협지상태시 고리편(27)(27')위치상태도
제 9 도는 제 3도의 D-D단면도(최대 협지 상태시 고리편(27)(27')의 위치상태도.
제 10도는 본 고안의 내부 투상도
제 11도는 본 고안의 조립대(2)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 : 조립대 5 : 브이형(V形)홈 6,6' : 클램핑봉
8,8' : 탄성수지부재 9 : 지주봉
이하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낚시대(1)이탈 및 분실방지 기능이 있는 낚시대 안전 받침간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5도와 제 10도와 제 11도에 도시 되고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진 육면체판형(板形)이면서 타이(TEE)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단(3)중앙부(4)는 브이형(V形)홈(5)를 형성하고, 중앙부(4)의 내면 좌우에 상단(30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직경과 깊이를 가지면서 그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요형(凹形)홈(25)(25')이 형성된 자리파기구멍(22)(22')과 관통된 삽설구멍(12)(12')을 형성하고 관통된 삽설 구멍(12)(12')의 하단(10)방향으로 일정한 직경과 깊이를 가진 자리파기구멍(34)(34')을 형성하고, 중간부(26)에는 개방부(33)가 있는 일정 크기와 깊이의 수납공간(17)을 형성하고, 하단(10)중앙부(13)에 통상의 지주봉(9)압입구멍(14)이 형성되어 조립대(2)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관통된 삽설구멍(12)(12')은 후술하는 핀(15)(15')이 관통, 삽설 되어 회동하게 되며, 자리파기구멍(22)(22')은 후술하는 클램핑봉(6)(6')의 돌출보스(20)(20')가 삽설,회동하게 된다.
한편 클램핑봉(6)(6')은 제 5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일체형(-體形)으로 형성되어지되 상단부(16)(16')는 클램핑봉(6)(6')사이로 낚시대(1)를 삽설시 쉽게 간격이 벌어져 용이하게 낚시대(1)를 삽입할 수 있게, 용이하게 낚시대(1)를 삽입할 수 있게 제 6도와 제 7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곡율반경(曲率半徑)이 다른 2개의 곡선 R-1과R-2로 구성하여, 그 임의의 단면(斷面)이 원형(圓形)인 곡원추형(曲圓錐形)형상으로 형성하고, 중앙부(7)(7')는 원주형(圓柱形)으로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 띠형의 탄성수지부재(8)(8')를 부착시켜 낚시대(1)와 탄성수지부재(8)(8')간의 높은 마찰력으로 클램핑력(力)을 증대 시키게 구성되며 클램핑봉(6)(6')의 중심(18)(18')에서 일정거리 편심된 위치의 하단부(19)(19')일단에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가지면서 중심(18)(18')쪽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돌출보스(20)(20')가 형성되고, 이 돌출보스(20)(20')중심에 돌출보스(20)(20')가 기울어진 동일된 각도의 일정길이의 압입구멍(21)(21')을 형성하고 그 일면에 후크형(Hook 形)고리편(片)(27)(27')을 형성하여 클램핑봉(6)(6')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압입구멍(21)(21')은 후술하는 핀(15)(15')이 압설되어 클램핑봉(6)(6')이 조립대(2)상단(3)의 좌우에서 회동하게 되며, 고리편(27)(27')은 조립대(2)의 자리파기구멍(22)(22')에 돌출보스(20)(20')가 삽설된 후, 후술하는 공지의 인장 코일스프링(TENSION SPRING)(11)의 후크(Hook)(29)(29')를 걸어서 인장코일스프링(11)의 탄성반발력으로 인한 클램핑봉(6)(6')의 탄성반발을 발생하게 함과 동시에 제 8도와 제 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핑봉(6)(6')의 회동각과 회동위치도 제어(制禦)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양클램핑봉(6)(6')의 최대회동은 100~150°정도이며 제 1도와 제 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전의 양클램핑봉(6)(6')간의 형상은 중앙부(7)(7')의 협지간격이 하단부(19)(19')의 협지간격 보다 좁은 형상을 취하나, 양클램핑봉(6)(6')이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최대 회동시에는 양클램핑봉(6)(6')의 협지간격은 커지면서 중앙부(7)(7')의 협지간격이 하단부(19)(19')의 협지간격 보다 넓은 형상을 취하게 된다.이 현상은 회동전의 양클램핑봉(6)(6')의 돌출보스(20)(20')의 기울어진 각만큼 클램핑봉(6)(6')이 조립대(2)의 상단(3)중앙부(4)로 기울어지기 때문이며, 클램핑봉(6)(6')의 회동시에는 클램핑봉(6)(6')의 돌출보스(20)(20')가 일정거리 편심된 위치에서 클램핑봉(6)(6')의 중심(18)(18')쪽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하단부(19)(19')에서 중앙부(7)(7')로 올라 갈수록 편심량이 커지며, 돌출보스(20)(20')를 중심으로 클램핑봉(6)(6')이 회동하기 때문이다.
즉, 클램핑봉(6)(6')이 동일각도로 회동하드라도 중앙부(7)(7')는 하단부(19)(19')보다 협지간격이 크며 하단부(19)(19')는 중앙부(7)(7')보다 적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핀(15)(15')은 그 일단이 축(23)(23')직경보다 큰 머리부(24)(24')가 일체로 형성된 강성체(岡性體)로써 조립대(2)의 관통된 삽설구멍(12)(12')에 삽설되어 조립대(2)상단(3)중앙부(4)의 좌우에 클램봉(6)(6')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머리부(24)(24')를 형성한 것은 핀(15)(15')이 조립대(2)상단(3)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역활을 하는 것이다.
한편 인장코일스프링(TENSION COIL SPRING)(11)은 공지의 형상과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양단에 반원형의 후크(Hook(29)(20')가 형성되고 그 중간부(30)는 나선(螺旋)형상으로 일정직경과 길이로 형성된 것으로 제 5도에 도시 되고 있다.
한편 보호카바(COVDR)(28)는 얇은 판형(板形)으로 수납공간(7)의 개방부위(3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본 고안의 구성 후,수납공간(17)의 먼지 및 이물질의 유입을 보관하기 위해 압입,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한 구성품을 조합하여 본 고안의 낚시대 안전받침간을 구성함에 있어서 제 5도와 제 11도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띠형 탄성수지부재(8)(8')가 부착된 클램핑봉(6)(6')의 돌출보스(20)(20')를조립대(2)의 자리파기구멍(22)(22')에 삽설한다,
이때 돌출보스(20)(20')의 고리편(27)(27')을 자리파기 구멍(22)(22')의 요형홈(25)(25')에 일치시켜 삽설하면 용이하게 돌출보스(20)(20')는 자리파기 구멍(22)(22')에 삽설되며, 상기한 핀(15)(15')으로써 조립대(2)의 하단(10)에서 상단(3)으로 관통된 삽설구멍(12)(12')에 삽설한 후 클램핑봉(6)(6')의 돌출보스(20)(20')의 압입구멍(21)(21')에 압설한다. 이와 같이 핀(15)(15')을 관통 압설하면 클램핑봉(6)(6')은 조립대(2)상단(3)에서 이탈되지 않고 자리파기구멍(22)(22')에 삽설된 돌출보스(20)(20')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핀(15)(15')의 머리부(24)(24')는 자리파기구멍(34)(34')에 삽설되어 돌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인장코일 스프링(11)의 양단후크(29)(29')를 조립대(2)의 수납공간(17)의 내부에서 돌출보스(20)(20')의 일면에 형성된 고리편(27)(27')에 각각 걸면 인장코일 스프링(11)의 탄성반발력으로 제 1도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양클램핑봉(6)(6')의 중앙부(7)(7')의 협지 간격이 하단부(19)(19')의 협지간격보다 좁은 형상을 취하게 되며 낚시대(1)를 재치하기 전의 최초의 본 고안품의 구성형상이 된다.이때 고리편(27)(27')은 제 8도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그 일면(31)(31')이 조립대(2)의 내면과 접(接)하여 클램핑봉(6)(6')의 회동량과 회동위치를 제어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한 보호카바(28)로써 수납공간(17)의 개방부위(33)를 압입밀폐하여 본 고안의 구성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대(2)하단(10)중앙부(13)에 형성된 압입구멍(14)에 통상의 지주봉(9)을 압설하고 그 지주봉(9)을 지면(地面)에 90°정도로 삽설한 후 낚시대(1)를 클림핑봉(6)(6')사이에 삽설하면, 클램핑봉(6)(6')의 상단부(16)(16')가 제 4도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일정각도로 벌어지면서 제 6도와 제 7도에 도시하고 있는바와 같이 곡원추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램핑봉(6)(6')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용이하게 클램핑봉(6)(6')간의 간격이 넓어져 낚시대(1)가 삽입되면서 조립대(2)의 상단(3)의 V형홈(5)에 안착 된 후, 인장코일스프링(11)의 탄성반발력으로 양클램핑봉(6)(6')의 중앙부(7)(7')의 탄성수지 부재(8)(8')와 접촉되면서 낚시대(1)가 재치가 된다.
이 상태가 통상의 낚시질시 본 고안에 낚시대(1)가 재치된 상태로써 제 2도와 제 3도에 도시되어 설명되고 있다.
그러다가 낚시인이 자리를 비우거나 부주의 할 때 물고기가 낚시대(1)를 전방으로 끌고 가면 낚시대(1)와 양클림핑봉(6)(6')의 탄성수지부재(8)(8')의 마찰력으로 클램핑봉(6)(6')이 회동하여 낚시대(1)를 클램핑하여 낚시대(1)가 전방으로의 이탈과 상향으로의 이탈을 동시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통상의 방식으로 낚시대(1)를 챔질하면, 즉 낚시대(1)를 후방으로 당기면 클램핑봉(6)(6')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클램핑봉(6)(6')의 간격이 최대 협지 간격이 되어 용이하게 낚시대(1)가 본 고안품에서 분리가 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한 본 고안의 낚시대 안전받침간은 종래의 선 고안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한 것으로써 낚시대(1)의 재치가 용이하여 쾌적한 낚시를 제공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실용적이며 더욱 낚시대(1)의 상방향의 이탈도 방지되는 유능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낚시대(1)이탈 및 분실을 방지하는 낚시대 안전받침간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를 가진 육면체 판형 이면서 티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단(3)의 중앙부(4)는 브이형 홈(5)을 형성하고 중앙부(4)내면 좌우에 상단(3)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직경과 깊이를 가지면서 그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요형홈(25)(25')이 형성된 자리파기구멍(22)(22')과 관통된 삽설구멍(12)(12')을 형성하고, 관통된 삽설구멍(12)(12')의 하단(10)방향으로 일정한 직경과 깊이를 가진 자리파기구멍(34)(34')를 형성하고, 중간부(26)에는 개방부(33)가 있는 일정 크기 와 깊이의 수납공간(17)을 형성하고, 하단(10)중앙부(13)에 통상의 지주봉(9)압입구멍(14)이 형성된 조립대(2)와,
    상단부는 곡율반경이 다른 2개의 곡선으로 구성하여, 그 임의의 단면이 원형인 곡원추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중앙부(7)(7')는 원주형으로 형성 하면서 그 외주면에 띠형의 탄성수지부재(8)(8')를 부착하고, 중심(18)(18')에서 일정거리 편심된 위치의 하단부(19)(19')일단에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가지면서 중심(18)(18')쪽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돌출보스(20)(20')가 형성되고, 이 돌출보스(20)(20')의 중심에 돌출보스(20)(20')가 기울어진 동일된 각도의 일정 길이의 압입구멍(21)(21')을 형성하고, 그 일면에 후크형 고리편(27)(27')이 형성된 일체형(一體形)의 클램핑봉(6)(6')이
    일단이 축(23)(23')직경보다 큰 머리부(24)(24')가 일체로 형성된 강성체의 핀(15)(15')으로써,
    조립대(2)의 관통된 삽설 구멍(12)(12')과 클램핑봉(6)(6')의 압입구멍(21)(21')에 각각 삽설,압입한 후,
    양단에 반원형의 후크(29)(29')가 형성되고 중간부(30)는 나선형상으로 일정 직경과 길이의 공지의 인장코일스프링(11)을
    조립대(2)의 수납공간(17)의 내부에서, 돌출보스(20)(20')일면의 고리편(27)(27')에 인장코일스프링(11)의 후크(29)(29')를 걸고,
    얇은 판형으로 수납공간(17)의 개방부위(33)와 동일형상으로 형성된 보호카바(28)를,
    조립대(22)의 개방부위(33)에 압입,밀폐 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안전받침간.
KR2020010034761U 2001-11-12 2001-11-12 낚시대 안전 받침간 KR200275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61U KR200275436Y1 (ko) 2001-11-12 2001-11-12 낚시대 안전 받침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61U KR200275436Y1 (ko) 2001-11-12 2001-11-12 낚시대 안전 받침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436Y1 true KR200275436Y1 (ko) 2002-05-16

Family

ID=7311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761U KR200275436Y1 (ko) 2001-11-12 2001-11-12 낚시대 안전 받침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43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700Y1 (ko) 2008-06-30 2011-03-16 최주호 낚싯대 뒷 받침대
KR101036264B1 (ko) * 2010-12-20 2011-05-23 박성옥 낚싯대 지지대용 홀더
KR101260361B1 (ko) 2011-02-16 2013-05-07 박성옥 낚시대 지지대용 홀더
KR20220131776A (ko) * 2021-03-22 2022-09-29 윤효석 듀얼 회전캠을 구비한 낚시대 그립퍼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700Y1 (ko) 2008-06-30 2011-03-16 최주호 낚싯대 뒷 받침대
KR101036264B1 (ko) * 2010-12-20 2011-05-23 박성옥 낚싯대 지지대용 홀더
KR101260361B1 (ko) 2011-02-16 2013-05-07 박성옥 낚시대 지지대용 홀더
KR20220131776A (ko) * 2021-03-22 2022-09-29 윤효석 듀얼 회전캠을 구비한 낚시대 그립퍼 장치
KR102570974B1 (ko) 2021-03-22 2023-08-24 윤효석 듀얼 회전캠을 구비한 낚시대 그립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60935B1 (ja) 傘のろくろ
US4100652A (en) Golf club anchor
US4375731A (en) Adapter for fishing rod holder
US3992799A (en) Rod sections retaining socket & bracket
KR200275436Y1 (ko) 낚시대 안전 받침간
US3460356A (en) Device for narrowing diameter of finger ring
KR200407637Y1 (ko) 낚싯대 받침구
US2876581A (en) Fishing line float
FR2579381A2 (fr) Contact electrique a pression a pouvoir de fermeture et d'ouverture incorpore
EP1264542A2 (en) Angling rig device
US4633691A (en) Spring loop key holder
GB2199471A (en) Fishing tackle
KR20080002334U (ko) 스터드형 밴드케이블
WO1996003035A1 (en) Rod connector
KR200260455Y1 (ko) 낚시대 안전 받침간
US20070089354A1 (en) Device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 line and a method for its attachment and detachment
KR200249405Y1 (ko) 낚시대 안전받침간
KR101503706B1 (ko) 기타용 스트랩 버튼
KR20060045317A (ko) 낚시대 이탈방지용 받침구
JP2019520124A (ja) 髪留
KR100563918B1 (ko) 클립 조립체
KR200379467Y1 (ko) 낚시대 안전 받침간
CN113453544A (zh) 一键耦合式钓鱼铅坠组件
CN214339525U (zh) 一种可兼容不同手柄的多棱体矶钓竿
KR200221827Y1 (ko) 낚싯대 이탈 방지용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