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569A - 낚시 장치 - Google Patents

낚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569A
KR20150016569A KR1020147035319A KR20147035319A KR20150016569A KR 20150016569 A KR20150016569 A KR 20150016569A KR 1020147035319 A KR1020147035319 A KR 1020147035319A KR 20147035319 A KR20147035319 A KR 20147035319A KR 20150016569 A KR20150016569 A KR 20150016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line
needle
length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니 커드
크레이그 윔블던
Original Assignee
조니 커드
크레이그 윔블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니 커드, 크레이그 윔블던 filed Critical 조니 커드
Publication of KR2015001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8Accessories for angling for removing fish-hooks from th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4Arrangements for disengaging fish-hooks from obs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낚시 장치(1)는 몸체(20) 및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서 각각의 단부에 낚싯바늘(23a, 23b)을 갖는 제1 길이(21a) 및 제2 길이(21b)의 낚싯줄을 구비한다. 낚싯바늘 중의 하나에 물고기가 걸리면, 다른 낚싯바늘은 수용 부재 (30a, 30b) 내로 끌어당겨지며, 이에 따라 낚싯바늘은 걸린 물고기를 덮지 않고, 낚싯바늘에 걸린 물고기는 손상을 입지 않는다.

Description

낚시 장치{FI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낚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복수의 낚싯바늘을 갖는 낚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낚시는 영국에서 주요한 스포츠 중 하나이며, 이러한 활동의 대부분 낚싯바늘 및 낚싯줄의 사용을 수반한다. 대부분의 물고기는 호수 및 강과 같은 하천 등의 바닥 근처에서 그들의 삶의 대부분을 보내기 때문에 물고기를 잡기 위한 낚싯바늘 및 미끼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잡을 물고기의 종류에 따라, 낚시인은 수중의 다양한 깊이에 미끼를 투입한다. 플라이 낚시에 있어서는, 물고기를 유인하도록 미끼를 물의 표면을 향하여 놓고, 물 표면의 미끼를 곤충으로 오인하도록 한다. 그러나, 물고기를 잡을 가능성은 물고기의 먹잇감에 대해 다양한 은폐 위치를 제공하는 바위나 장애물이 있는 지역에 낚시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크게 증가되기 때문에 낚시인은 바닥의 물고기에 대해 수중의 바닥부 가까이에 미끼를 투입한다. 그러나, 낚시인이 바위와 같은 장애물이 많은 지역에서 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낚시도구(tackle)가 끊어지는 위험이 크다. 낚시인은 장애물에서의 장애를 느슨한 시간으로 처리하고 그들의 낚시줄을 파단시키지 않고 그들의 루어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노력은 시간 및 인력의 상당한 지출을 기꺼이 감수해야 하는 비싼 루어로 인해, 손실의 위험이 루어의 값에 일반적으로 비례하도록 한다. 또한, 시간 소비가 낚시를 전환하는 시간을 의미할 때 루어와 같은 낚시 장치를 회수하는 경쟁은 바람직하지 않다. 일부 낚시인들은 "무-걸림(snag-free)" 리그(rig)를 제안하지만, 이들 리그들은 끊어질 때와 같은 큰 응력 하에서는 분리될 수 있는 낚시바늘, 플로트 및 봉돌(sinker)과 같은 복잡한 배열을 포함한다.
낚싯바늘들이 걸렸을 때 그들이 조치 불가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중 낚싯바늘을 갖는 낚시 리그가 개발되었다. US 20080219242호는 두 개의 낚싯바늘의 사용을 논의하며, 스프레더(spreader)는 한 쌍의 죽 뻗은 암(outstretched arm)을 포함하며, 각각의 암은 개구부를 갖는 외단부를 가지며, 리그에 고정되고 외측 단부들이 개구부를 통해 각각 연장되는 가요성 리더(flexible leader)를 갖는 두 개의 가요성 부착물이 존재한다. 낚싯바늘은 가요성 리더들 중 각각의 하나의 외측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CA 1276787호는 리더에 대하여 장착된 적어도 두 개의 낚시바늘 사이에 장착된 구부릴 수 있는 부재(bendable member)를 가지는 생미끼 또는 인조 미끼용 낚시 리그를 다시 개시하며, 하나의 낚싯바늘이 물고기에 설정될 때 상기 구부러질 수 있는 부재는 리더의 끌어당김시에 구부려지고, 다른 낚시바늘은 상기 설정 낚시바늘을 향하여 이동되지만, 낚싯바늘들은 구부려질 수 있는 부재의 고정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러나, 하나의 낚싯줄에서의 두 개의 낚싯바늘의 사용은 영국에서의 대부분의 낚시 클럽에서는 대체로 금지된다. 이는, 하나의 낚싯줄에 부착된 두 개의 낚싯바늘은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그것은 낚시 리그에 부착된 낚싯바늘 중의 하나가 물고기를 잡았을 때 다른 낚싯줄의 고기를 손상시킬 수 있거나, 또는 자유로운 낚싯바늘이 있을 때 낚시인이 낚싯줄로부터 물고기를 제거할 때 자유로운 낚시바늘에 의해 상처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 또한, 자유로운 낚싯바늘은 하천의 바닥부 또는 수중의 다른 형태들에 걸려 낚시도구가 손실될 위험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위투성이의 수중 바닥부 위에 위치되는 한 쌍의 미끼가 끼워진 낚싯바늘에 대해 끊어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복잡하지 않은 구성의 합리적인 가격의 낚시 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고, "느슨한" 낚시 바늘을 낚시 장치의 안전 영역으로 회수시키는 것에 의해 장치의 안전을 유지하면서 낚싯줄을 회수할 수 있는 낚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낚싯줄이 통과하여 활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어를 갖는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낚싯줄은 제1 낚싯바늘이 제1 길이의 단부를 향하여 부착되는 제1 길이와 제2 낚싯바늘이 제2 길이의 단부를 향하여 부착되는 제2 길이를 가지는, 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는 제1 및 제2 위치에서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위치는 제1 및 제2 수용 부재에 근접하여, 상기 제1 낚싯바늘에 힘이 부여되는 경우 상기 제2 낚싯바늘이 상기 제2 수용 부재 내로 끌어당겨지며, 상기 제2 낚싯바늘에 힘이 부여되는 경우 상기 제1 낚싯바늘이 상기 제1 수용 부재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는, 낚시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가늘고 긴 관이다. 상기 관은 본체가 가라앉을 수 있는 정도의 중량을 제공하는 금속, 예를 들어 황동과 같은 상대적으로 고체 금속으로 전형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관은 상기 제1 및 제2수용 부재를 제공하는 나팔 모양의 단부들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 부재들은 상기 몸체와 일체이지만, 또한 상기 몸체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개별 부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 부재들은 상기 몸체의 제1 및 제2 위치로 밀어끼워맞춤될 수 있는 인서트(insert)이다.
바람직한 배열에 있어서, 각각의 수용 부재는 낚싯바늘이 몸체를 통하여 끌어당겨질 때 상기 낚싯바늘이 매립될 수 있는 발포 인서트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주 낚싯줄이 낚시 장치의 상기 몸체에 부착될 수 있는 앵커 지점들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미끼 공급 장치 또는 추(weight)가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갖는다.
상기 몸체는 하나의 몸체를 다른 몸체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각각이 낚싯줄을 갖는 복수의 보어를 가지며, 각각의 낚싯줄에는 상기 낚싯줄의 양 단부에 고정된 낚싯바늘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낚시 장치의 일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미끼 공급 부착물들을 구비한 도 1의 낚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낚싯줄에 대해 중앙인 장치를 구비하는 낚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낚싯줄을 수용하도록 개방될 수 있는 낚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낚시 장치의 단부들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방식으로 설명할 것이다.
낚시 장치는 도 1에 참조부호 "1"로 도시되어 있다. 낚시 장치는 몸체(20) 및 상기 몸체의 각각의 단부들을 포함하며, 몸체의 단부(21a, 21b)에는 개구부들이 존재한다. 각각의 개구부들로부터 소정 길이의 낚싯줄(22a, 22b)이 연장된다. 이러한 길이들은 몸체 내에서 함께 결합되는 낚싯줄의 개개의 길이일 수 있거나 또는 이들 길이들은 몸체를 통과하는 단일 낚싯줄의 단부들의 길이일 수 있다. 몸체는 낚싯줄을 지지하고 낚싯줄이 몸체에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도록 하는 인서트(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는 또한 낚싯줄이 몸체(20)를 통하여 활주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또는 진동을 방지하도록 배플(baffle)로서 작용할 수 있다. 커넥터(24a, 24b)에 의해 제1 및 제2 낚싯바늘(23a, 23b)이 낚싯줄(22a, 22b)에 부착된다. 커넥터들은 낚시 장치의 모두가 분실되지 않도록 특정 응력을 초과할 때 파손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몸체(20)의 양 단부에는, 도면들에서는 원뿔형으로 도시되는 수용 부재(30a, 30b)들이 존재하며, 이 수용 부재들은 낚싯바늘(23a 또는 23b)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수용 부재의 외경은 몸체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나팔 모양의 형상(flared shape)을 제공한다. 단부들이 나팔 모양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 단부들은 낚싯바늘을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다른 길이의 낚싯줄(40)의 각각의 단부는 수용 부재(30a, 30b)에 인접하여 커넥터(50a, 50b)에 의해 몸체(20)에 부착된다. 상기 다른 길이의 낚싯줄은 작은 바늘귀(smaller eye)(61)에 연결된 큰 바늘귀의 형태인 경우 차례로 회전 고리 루프(swivel loop)(60)에 부착된다. 작은 바늘귀(61)는 낚시 장치가 주 낚싯줄(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도록 한다. 낚싯줄(40)은 응력이 특정 지점을 지나 부여될 때, 그 자체의 로드 상의 낚싯줄이 손실되지 않도록 낚싯줄(40)이 끊어지는 치수일수 있다. 낚싯줄(22a, 22b)들은 낚시줄(40)과 바늘귀(61)에 부착되는 주 낚싯줄 보다 작은 파단 응력(breaking strain)을 가지며, 이에 따라 낚시 장치의 낚싯줄(22a, 22b) 상에 응력이 부여되는 경우 낚시도구(tackle)의 모두가 손실되는 것을 피하도록 장치의 희생부(sacrificial part)로서 작용하도록 첫 번째로 파괴된다.
도 2는 몸체(20) 및 수용 부재(30b)를 구비한 낚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수용 부재는 수용 부재에 밀어끼워맞춤되는 전형적으로 발포체인 인서트(31)를 구비한다. 인서트는 낚싯줄(22b)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개구부(32)를 갖는다. 낚싯줄이 타단부로부터 끌어당겨지면, 낚싯줄의 단부 상의 낚싯바늘(23b)은 인서트(31) 쪽으로 끌어당겨지며, 그 자체가 발포 인서트 내에 매립되어 거기에서 유지된다. 이는, 낚싯바늘, 특히 낚싯바늘의 미늘이 있는 단부(barbed end)가 다른 낚싯바늘(23a)에 의해 낚싯줄 상에 걸린 임의의 물고기에 상처를 입히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낚시인이 낚싯줄을 끌어당겨 걸린 물고기의 제거를 개시하는 경우, 낚시인은 낚싯바늘이 노출되지 않고 수용 부재 내에 유지되기 때문에 제2 낚싯바늘로 자신을 다치게 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 장치(1)는 이 낚시 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다양한 부착물들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부착물은 몸체(20)가 요구된 깊이 또는 수중의 바닥부까지 가라앉는 것을 지원하는 추(weight)(70)에 부착될 수 있다. 추(70)는 몸체(2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단일 추 또는 복수의 추일 수 있다. 추에 부가하여 또는 추 대신에, 미끼 공급 장치(80, 100 또는 200)가 몸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미끼 공급 장치에 부착된 추(90)를 구비할 수 있는 폐쇄 단부 미끼 공급 장치(80)의 형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케이지 미끼 공급 장치(cage feeder)(100)는 몸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개방 단부 미끼 공급 장치(200)는 이 미끼 공급 장치를 방문하는 물고기에 노출되는 일련의 개구부들을 갖는 전형적으로 가늘고 긴 몸체이다. 미끼 공급 장치는 몸체의 두 개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물고기는 몸체(20)의 각 단부에서 낚싯바늘(23a, 23b)의 근처에 대략 균등하게 유인될 것이다. 미끼 공급 장치들과 같은 다양한 부착물들은 해제 및 재부착이 쉽도록 해제 가능한 클립(clip)들에 의해 주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직 몸체의 두 개의 단부를 향하기 보다는, 몸체(20)의 전체 길이를 따라 고정되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낚싯줄(41)의 일부가 공급 장치의 길이를 따라 노출되도록 하며, 일부 낚싯줄이 자유로울 때 이는 몸체(20)를 따르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몸체에 고정되는 미끼 공급 장치에 대한 부착물을 제공한다.
도면들은 가늘고 긴 몸체(20)를 도시하지만, 상기 몸체는 원형, 정사각형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 호수 또는 연못과 같은 수중에서 발견되는 바위 또는 수생식물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몸체의 형상이 무엇이든지, 개구부 및 수용 부재들은 하나의 낚싯바늘이 걸린 물고기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경우, 다른 낚싯바늘은 몸체(20)의 일부 내에 끌어당겨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걸린 물고기는 다른 낚싯바늘에 의해 다치거나 상처를 입지 않는다. 더욱이, 두 개의 낚싯바늘이 설명되었지만, 단일 몸체 내에 복수 쌍의 낚싯바늘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함께 고정되는 두 개의 낚싯바늘을 갖는 복수의 몸체일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낚싯바늘이 이상적이며, 이에 따라 임의의 물고기가 잡혔을 때 낚싯바늘에 의해 상처를 입는 물고기는 없으며, 임의의 노출된 낚싯바늘들은 물고기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몸체 내로 끌어당겨진다.
도 4는 몸체(20)를 낚싯줄에 고정하는 대안적인 방식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몸체의 단부를 향하는 커넥터들을 갖는 것보다는, 몸체의 중앙 구역에 위치된 단일 커텍터(50)가 존재한다. 단일 커넥터는 낚싯줄을 쉽게 부착 또는 해제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에 있어서 몸체(20)는 힌지(214)에 의해 함께 힌지되고 캐치(catch)(2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두 개의 부분으로 제조된다. 이는, 몸체 내에 단부들을 갖는 낚싯줄(22a, 22b)을 고정하도록, 몸체는 개방되고, 낚싯줄은 몸체의 두 개의 부분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하며, 캐치(211)를 사용하여 폐쇄하고 이는 제위치에 낚싯줄을 유지시킨다.
개방된 몸체는 도 5에 더 상세히 도시된다. 몸체는 두 개의 부분(20a, 20b)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채널(channel)(213)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몸체의 두 개의 부분(20a, 20b)은 두 개의 몸체가 만나서 폐쇄되고 낚싯줄을 에워쌀 때 절반의 채널들을 갖는다. 두 개의 부분은 힌지(214)에 의해 함께 힌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줄은 채널(213)을 따라 통과하여 몸체의 단부 밖으로 연장되며, 인서트(31)들은 몸체의 단부에서 수용 부재 내에 위치되며, 몸체의 단부에서 낚싯줄을 유지시킨다. 몸체는 힌지 부재(214)에 의해 몸체의 두 개의 절반부를 서로를 향하여 접는 것에 의해 폐쇄되며, 몸체의 두 개의 부분들은 캐치(211)를 사용하여 함께 유지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낚시 장치는 해안선, 부두, 다리 또는 보트와 같은 위치에서 낚시하는 것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낚시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물고기에 대한 장애 및 손상을 보호하는 것에 의해, 물고기에 대한 손상 및 낚시도구 손실의 위험이 최소화되고,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기회가 최대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 장치는 어떠한 낚시도구 손실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도록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명되고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실시예들뿐만 아니라 설명된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Claims (16)

  1. 낚싯줄이 통과하여 활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어를 갖는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낚싯줄은 제1 낚싯바늘이 제1 길이의 단부를 향하여 부착되는 제1 길이와 제2 낚싯바늘이 제2 길이의 단부를 향하여 부착되는 제2 길이를 가지는, 낚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길이는 제1 및 제2 위치에서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위치는 제1 및 제2 수용 부재에 근접하여, 상기 제1 낚싯바늘에 힘이 부여되는 경우 상기 제2 낚싯바늘이 상기 제2 수용 부재 내로 끌어당겨지며, 상기 제2 낚싯바늘에 힘이 부여되는 경우 상기 제1 낚싯바늘이 상기 제1 수용 부재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는, 낚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가늘고 긴 관인, 낚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상기 제1 및 제2 수용 부재를 제공하는 나팔 모양의 단부들을 갖는, 낚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들은 상기 몸체와 일체인, 낚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들은 상기 몸체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개별 부재인, 낚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들은 상기 몸체의 제1 및 제2 위치로 밀어끼워맞춤될 수 있는 인서트인, 낚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용 부재는 낚싯바늘이 몸체를 통하여 끌어당겨질 때 상기 낚싯바늘이 매립될 수 있는 발포 인서트를 포함하는, 낚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주 낚싯줄이 낚시 장치의 상기 몸체에 부착될 수 있는 앵커 지점들을 갖는, 낚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미끼 공급 장치 또는 추(weight)가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갖는, 낚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나의 몸체를 다른 몸체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 수단을 갖는, 낚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각각이 낚싯줄을 갖는 복수의 보어를 가지며, 각각의 낚싯줄에는 상기 낚싯줄의 양 단부에 고정된 낚싯바늘을 갖는, 낚시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 장치의 몸체는 함께 힌지된 두 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부분은 서로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두 개의 부분 사이에 위치된 낚시줄의 적어도 일부분과 몸체의 단부들로부터 연장되는 낚싯줄의 제1 및 제2 길이를 에워싸는, 낚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폐쇄될 때, 상기 두 개의 부분은 낚싯줄을 몸체 내로 회수하거나 또는 도입하도록 개방될 수 있는 해제 가능한 캐치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낚시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재료로 제조되는, 낚시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낚시 장치에 부착되는 로드 및 주 낚싯줄을 포함하는, 낚시도구.
  16. 첨부하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실질적으로 기술되고, 첨부하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낚시 장치.
KR1020147035319A 2012-05-17 2013-05-15 낚시 장치 KR201500165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208665.8A GB2502119B (en) 2012-05-17 2012-05-17 Fishing apparatus
GB1208665.8 2012-05-17
PCT/GB2013/000220 WO2013171443A1 (en) 2012-05-17 2013-05-15 Fish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569A true KR20150016569A (ko) 2015-02-12

Family

ID=4645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319A KR20150016569A (ko) 2012-05-17 2013-05-15 낚시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150135581A1 (ko)
EP (1) EP2849561B1 (ko)
JP (1) JP2015516169A (ko)
KR (1) KR20150016569A (ko)
CN (1) CN104378977B (ko)
AU (1) AU2013261578B2 (ko)
BR (1) BR112014028502A2 (ko)
CA (1) CA2873606A1 (ko)
GB (1) GB2502119B (ko)
IN (1) IN2014DN10173A (ko)
NZ (1) NZ701910A (ko)
PH (1) PH12014502552A1 (ko)
RU (1) RU2014151052A (ko)
SG (1) SG11201407511XA (ko)
WO (1) WO2013171443A1 (ko)
ZA (1) ZA2014092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0415U (ja) * 2015-06-04 2015-10-22 左近 森 両針付きストッパーゴム付きハリス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0067A (en) * 1938-05-27 1939-08-22 George J Stephen Fishing lure
US2385415A (en) * 1944-09-28 1945-09-25 Jackson David Fishing hook releaser
US2577143A (en) * 1948-06-05 1951-12-04 Midland Thor Combined fishline sinker and hook spreader
US2551998A (en) * 1950-05-05 1951-05-08 Groot John Peter De Submersible drag
US2592741A (en) * 1950-05-22 1952-04-15 George N Ristine Fishing line spreader
US2719382A (en) * 1953-06-05 1955-10-04 George D Schachte Multipurpose sinker
US2874511A (en) * 1957-05-13 1959-02-24 Carl R Hettrick Line connector for fishing appliances
US3190029A (en) * 1963-04-19 1965-06-22 Justine R Bondi Fishing device
US3221436A (en) * 1964-01-30 1965-12-07 Julius A Mikus Fishing lure
US3550305A (en) * 1969-05-26 1970-12-29 Robert C Santosuosso Fishing device
JPS56153185U (ko) * 1980-04-18 1981-11-16
JPS60251832A (ja) * 1984-05-25 1985-12-12 長浦 善昭 集魚法及びその装置
US4561206A (en) * 1984-10-22 1985-12-31 Lowrance Arlen J Fishing capsule
US4642933A (en) * 1985-11-04 1987-02-17 Brown Frank E Fishing lure rigging system
US4793091A (en) * 1987-04-27 1988-12-27 Alexander Cerny Trap for sharks
JPH0623459U (ja) * 1992-08-27 1994-03-29 株式会社ヨーヅリ 太刀魚等用の仕掛け針
CN2200916Y (zh) * 1994-01-29 1995-06-21 赵爱光 多功能鱼钩植入装置
CN2286965Y (zh) * 1997-04-07 1998-08-05 宫雅新 弹簧防脱钓鱼器
US6176036B1 (en) * 1998-07-27 2001-01-23 Philp J. Pease Terminal tackle
US6347478B1 (en) * 2000-01-21 2002-02-19 Jerry W. Stephens Fishing device
US20020152670A1 (en) * 2001-04-18 2002-10-24 Paul Oleksak Floating bait harness
CN2601508Y (zh) * 2003-01-28 2004-02-04 赖加宏 一种钓鱼器具
CN2662646Y (zh) * 2003-09-17 2004-12-15 赖加宏 一种钓鱼器具
JP2006121963A (ja) * 2004-10-28 2006-05-18 Akira Ishikawa 集魚用調合剤、集魚用仕掛け、集魚用仕掛けの製造方法
US20060230666A1 (en) * 2005-04-18 2006-10-19 Moffitt Patrick E Method and apparatus for long line and recreational bait fishing
US20080040966A1 (en) * 2006-08-17 2008-02-21 Stone Gary D Fishing rig
US8635803B1 (en) * 2011-03-08 2014-01-28 Mark A. Cartwright Buoyant fishing device
WO2014047223A2 (en) * 2012-09-18 2014-03-27 Oc10, Llc Materials, methods and devices for joining l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78977A (zh) 2015-02-25
ZA201409241B (en) 2016-02-24
PH12014502552A1 (en) 2015-01-21
CA2873606A1 (en) 2013-11-21
GB201208665D0 (en) 2012-06-27
RU2014151052A (ru) 2016-07-10
NZ701910A (en) 2016-05-27
CN104378977B (zh) 2016-09-07
WO2013171443A1 (en) 2013-11-21
AU2013261578B2 (en) 2017-01-05
BR112014028502A2 (pt) 2019-09-24
EP2849561B1 (en) 2016-12-21
EP2849561A1 (en) 2015-03-25
JP2015516169A (ja) 2015-06-11
AU2013261578A1 (en) 2014-11-27
SG11201407511XA (en) 2014-12-30
GB2502119B (en) 2016-04-06
GB2502119A (en) 2013-11-20
US20150135581A1 (en) 2015-05-21
IN2014DN10173A (ko) 201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3966B2 (en) Fishing lure
US7861456B2 (en) Fishing rig
US7841129B2 (en) Snag-proof multi-purpose fishing tackle
KR100760354B1 (ko) 청각 유인 수단이 구비된 밑 걸림 방지 루어
KR100702172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바늘
US20080060254A1 (en) Self Baiting Fishing Rig and Method of Fishing
US20140259869A1 (en) Fishing jig attachment systen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KR100755892B1 (ko) 밑걸림방지 루어바늘
US9420773B2 (en) Swim bait
KR100760356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
KR102584278B1 (ko) 두족류 낚시용 에기
KR20150016569A (ko) 낚시 장치
US20130247443A1 (en) Swim Bait
US11375703B2 (en) Snag free fishing lift
US20230263145A1 (en) Fishing lure line attachment system
KR200496858Y1 (ko) 두족류 낚시용 전용 봉돌
KR100720169B1 (ko) 루어용 다기능 싱커
US20190014766A1 (en) Fishing system
KR100708898B1 (ko) 밑 걸림 방지 루어
JP2004081017A (ja) ルアー
KR20230075609A (ko) 낚시용 인공미끼에 장착 가능한 생미끼 고정용 프레임
KR20230008529A (ko) 낚시용 인조미끼
CZ32432U1 (cs) Rybářský návazec s tvarovou pamětí
KR20220111974A (ko) 두족류 낚시용 부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