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264Y1 - 낚시용 구멍찌와 수중찌 및 봉돌 - Google Patents

낚시용 구멍찌와 수중찌 및 봉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264Y1
KR200154264Y1 KR2019970015137U KR19970015137U KR200154264Y1 KR 200154264 Y1 KR200154264 Y1 KR 200154264Y1 KR 2019970015137 U KR2019970015137 U KR 2019970015137U KR 19970015137 U KR19970015137 U KR 19970015137U KR 200154264 Y1 KR200154264 Y1 KR 200154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ine
groove
cente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661U (ko
Inventor
안경돈
안성진
Original Assignee
안경돈
안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돈, 안성진 filed Critical 안경돈
Priority to KR2019970015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26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16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6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2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본 고안은 조류의 변화의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구멍찌들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수중찌와 봉돌의 부력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구멍찌와 수중찌 및 봉돌에 관한 것으로, 삽입공(121)(131)(141)이 중앙에서 주직으로 각각 관통되며, 그 일측의 오주면에 원줄(3)이 통과하는 절개홈(122)(132)(142)이 상기 삽입공(121)(131)(141)으로 각각 연통된 상부 부력체(120)와 하부 부력체(130) 및 추(140)가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121)(131)(141)에 삽입되고 내부에 원줄(3)이 끼워지는 중공홈(111)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외주연에 숫나사 (1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이탈방지용 환턱(113)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붕(110)과; 상기 지지봉(110)이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숫나사(112)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151)가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원줄관통홀(152)이 천공되며 그 일측의 외주면에 원줄(30이 통과하는 절개홈(153)이 상기 원줄관통홀(152)로 연통된 이탈방지용 마개(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찌이다.

Description

낚시용 구멍찌와 수중찌 및 봉돌
본 고안은 조류의 변화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구멍찌들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고 결합된 상태가 쉽게 분해되는 것은 방지하며, 또한 수중찌와 봉톨의 부력을 간편학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구멍찌와 수중찌 및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찌낚씨는 도 1에 도시되는 비와 같이, 릴(1)이 장착된 낚시대(2)의 원줄(3)에 구멍찌(4)를 끼운 상태에서 원줄(3)에 쿠션(5)을 끼우고 도래(6)를 사용하여 원줄(3)을 매듭짓고, 상기 도래(6)로부터 2 ~ 4m 길이의 목줄(7)을 만든후 그 목줄(7)의 끝에 낚시바늘(8)을 달아 낚시를 한다.
이때, 찌매듭(9)과 구멍찌(4)의 사이에는 구슬(10)이 설치되고, 상기 구멍찌(4)의 하부에 끼워진 쿠션(5)과 도래(6) 사이에는 수중찌(11)와 쿠션(12)이 설치되며, 상기 도래(6)와 낚시바늘(8) 사이에는 봉돌(13)이 설치된다.
상기 쿠션(5)은 구멍찌(4)와 수중찌(11)가 부딪쳐서 상처입지 않도록 하며, 쿠션(12)은 도래(6)의 라인 접속부의 보강과 찌의 손상을 방지한다.
여기서, 구멍찌(4)는 크기와 모양에 따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므로 조류의 흐름에 흐름에 따라 적당한 선택해서 사용하여야 하며, 상기 수중찌(11)와 봉돌(13)또한 조류의 세기에 따라 채비에 맞추어 부력상태를 적절하게 조정하여야 한다.
특히, 바다 낚시는 물때에 따라 조류의 흐름이 다르므로 물때에 따라서 이상적인 구멍찌(4)를 교환하여야 한다.
즉, 도 3의 (a)와 같은 형태의 구멍찌(4)는 조류에 적당히 민감하고, (b)와 같은 형태의 구멍찌(4)는 조류에 둔하고, (c)와 같은 형태의 구멍찌(4)는 조류에 민감하므로 주류의 세기에 따라 적당한 크기와 모양의 구멍찌(4)를 선택해서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구멍찌(4)는 한 번 채비를 갖춘 후 구멍찌(4)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쿠션(5)(12)과 도래(6)부분을 잘라 내야 하므로 쿠션(5)(12)과 도래(6) 등을 버리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구멍찌(4)의 교환시 채비를 다시 갖추려면 긴시간과 경비를 허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조래의 봉돌(13)은 일측으로 절개된 V홈(13a)을 목줄(7)에 끼운 상태에서 벌어진 V홈(13)을 뺀치 등으로 눌러 오므려서 고정하였기 때문에, 누르는 과정에소 목죽(7)이 손상되어 쉽게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구조상 중량을 더하기 위한 봉돌(13)의 더함은 가능하가 일단 설치된 봉돌(13)은 뺄 수 없기 때문에 감량이 불가능하여 이때는 목줄(7)을 버리고 다시 목줄(7)을 설치해서 봉틀(13)의 부력조정을 조류의 세기에 따라 다시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봉돌(13)의 재질이 납이기 때문에 납중독 및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수중찌(11)의 역할은 조류의 흐름을 감안하고, 무게를 더함으로 낚시줄을 멀리 던지는데 도움을 주며, 미끼를 빨리 가라앉히는 것으로서 종래의 수중찌(11)는 납 또는 흑단을 주로 이용하여 사용하였으나, 이 또한 조류의 세기에 따라 부력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과, 교환하기 위해서는 쿠션(12)을 빼거나 도래(6)를 잘라내고 갈아 끼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그 재질상 납일 경우 납중독과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95-31859호로 낚시줄을 절단하지 않고 중통찌의 결합,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중통찌의 중앙에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측부로부터 상기 가이드공에 연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찌본체의 상하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공의 내경보다 조금 튼 외경의 삽입부를 구비하고, 외단에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가장자리 면의 일측에 그 길이 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는 결개부가 형성된 잠금핀을 각각 장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잠금핀이 찌본체의 가이드공에 결합되었을 때 잠금핀이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낚시질하는데 방해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조류, 몰 때, 풍향의 변화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구멍찌들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고 또한 결합된 상태가 쉽게 분해되는 것도 방지하며, 미세한 입질도 용이하게 감지하며, 또한 구멍찌의 교환에 따른 경비 및 시간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구멍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류, 물 때, 풍향의 세기에 따라 수중찌의 중량 및 모양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채비에 맞추어 수중찌의 부력상태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중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조류, 물 때, 풍향의 세기에 따라 봉돌의 중량을 용이하게 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채비에 맞추어 봉돌의 부력상태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봉돌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짜낚시 도구의 전체구성도.
제2도는 종래 봉돌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제3도는 조류에 따른 구멍찌의 종류를 나타낸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구멍찌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조립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수중찌와 봉돌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조립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원줄 7 : 목줄
100 : 구멍찌 200 : 수중찌
300 : 봉돌 100, 210, 312 : 지지붕
111, 211, 311 : 중공홈 112, 212, 312 : 숫나사
113, 213, 313 :환턱 120 : 상부 부력체
130 : 하부 부력체 140 : 추
220, 330 : 중량체 121, 131, 141, 221, 321 : 삽입공
122, 132, 142, 222, 322 : 절개홈
150, 230, 330 : 마개 151, 231, 331 : 암나사
152, 232, 332 : 원줄관통홀 153, 233, 333 :절개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멍찌(100)는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원줄(3)이 끼워지는 중공홈(111)이 수직으고 관통되어 외주연으로 숫나사(1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이탈방지용 환턱(113)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봉(110)과; 상기 지지봉(110)에 끼워지는 삽입공(121)(131)(141)이 중앙에서 수직으로 각각 관통되며, 그 일측의 외주면에 원줄(3)이 통과하는 절개홈(122)(132)(142)이 상기 삽입공(121)(131)(141)으로 각각 연통된 상부 부력체(120)와 하부 부력체(130) 및 추(140)와; 상기 숫나사(112)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151)가 형성되어 중앙으로는 원줄관통홀(152)이 천공되고, 그 일 측의 외주면에 원줄(3)이 통과하는 절개홈(153)이 상기 원줄관통홀(152)로 연통된 이탈방지용 마개(150)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상, 하부 부력체(120)(130) 및 추(140)가 상호 결합되어 구멍찌(100)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외관은 조류, 물 때, 풍향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종래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여러 가지 종류로 각각 제작되며, 그 상, 하부 부력체(120)(130)의 외주연에는 종래와 같이 다양한 색상이 칠해진다.
이때, 상기 지지봉(1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추(140), 하부 부력체(130), 상부 부력체(120)가 순차적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하부 부력체(130)는 구멍찌(100)의 부력조절이 한층 더 용이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2개 이상의 분리체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외주연에 다양한 색상을 칠할 수 있다.
상기 추(140)는 구멍찌(100)의 부력조절이 용이하도록 중량이 각각 다른 여러 가지 종류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멍찌(100)는 먼저, 원줄(3)을 중공홈(111)으로 끼워서 관통시킨 상태에서 종래와 같이 쿠션을 끼우면 지지봉(110)이 원줄(3)에 고정되므로, 이 상태에서 지지봉(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줄(3)에 추(140)와 하부 부력체(130) 및 상부 부력체(120)에 각각 형성된 절개홈(142)(132)(122)을 순차적으로 각각 하나씩 끼워 넣어서 원줄(3)을 삽입공(141)(131)(121)에 위치시킨 후, 그 삽입공(141)(131)(121)을 지지봉(100)으로 각각 밀어 끼워서 고정시킨 다음 마개(150)의 절개홈(153)을 지지봉(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줄(3)에 끼워넣어서 원줄(3)을 원줄관통홀(15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암나사(151)를 지지봉(110)의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112)에 나사 결합하면 마개(150)가 지지봉(110)에 나사 결합되므로 구멍찌(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 하부 부력체(120)(130) 및 추(140)는 이탈방지용 환턱(113)과 마개(150)에 의해 빠지지 않으므로 지지봉(1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조류의 변화 등에 따라 이상적인 구멍찌(100)를 교환할 경우에는 상기 조립의 역순으로 간단하게 마개(150)를 풀은 상태에서 상부 부력체(120)와 하부 부력체(130) 및 추(140)를 각각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적당한 것으로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구멍찌(100)는 조류, 물 때, 풍향의 변화에 따라 원줄(3)을 잘라내지 않고도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구멍찌(100)들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한 입질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종래에 비하여 구멍찌(100)의 교환에 따른 경비 및 시간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수중찌(200)는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원줄(3)이 끼워지는 중공홈(211)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외주연으로 숫나사(2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이탈방지용 환턱(213)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봉(210)과; 상기 지지봉(210)에 끼워지는 삽입공(221)이 중앙으로 관통되며, 그 일측의 외주면에 원줄(3)이 통과하는 절개홈(222)이 상기 삽입공(221)으로 연통된 다수개의 중량체(220)와; 상기 숫나사(212)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213)가 형성되어 중앙으로는 원줄관통홀(232)이 천공되고, 그 일측의 외주면에 원줄(3)이 통과하는 절개홈(233)이 상기 원줄관통홀(232)로 연통된 이탈방지용 마개(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봉돌(300)이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목줄(3)이 끼워지는 중공홈(311)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외주연으로 숫나사(3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이탈방지용 환턱(313)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봉(310)과; 상기 지지봉(310)에 끼워지는 삽입공(321)이 중앙으로 관통되며, 그 일측의 외주면에 목줄(7)이 통과하는 절개홈(322)이 상기 삽입공(321)으로 연통된 다수개의 중량체(320)와; 상기 숫나사(312)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331)가 형성되어 중앙으로는 원줄관통홀(332)이 천공되고, 그 일측의 외주면에 목줄(7)이 통과하는 절개홈(333)이 상기 원줄관통홀(332)로 연통된 이탈방지용 마개(3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수중찌(200) 및 봉돌(300)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제6도와 제7도에 의거 다른 부호를 병기하여 이하에서는 같이 설명한다.
상기 중량체(220(320)는 금속재가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수중찌(200)와 봉돌(300)의 부력을 각각 조절하는 것으로, 중량이 다른 여러 가지 종류로 다수개가 제작된다. 이때, 상기 중량체(220)(320)는 금속재질을 사용하되,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납은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수중찌(200)와 봉돌(300)은 먼저, 원줄(3) 및 목줄(7)을 각각 중공홈(211)(311)으로 끼워서 관통시킨 상태에서 쿠션을 끼우면 지지봉(210)(310)이 원줄(3) 및 목줄(7)에 각각 고정되므로, 이 상태에서 지지봉(210)(3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줄(3) 및 목줄(7)의 다수개의 중량체(220)(320)에 각각 형성된 절개홈(222)(322)을 순차적으로 적당한 중량이 되는 개수만큼 하나씩 끼워 넣어서 원줄(3) 및 목줄(7)을 삽입공(221)(321)에 위치시킨 후, 그 삽입공(221)(321)을 지지봉(210)(310)으로 각각 밀어 끼워서 고정시킨 다음, 마개(230)(330)의 절개홈(233)(333)을 지지봉(210)(3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원줄(3) 및 목줄(7)에 끼워 넣어서 원줄(3) 및 목줄(7)을 원줄관통홀(232)(33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암나사(231)(331)를 지지봉(210)(310)의 상부에 형성된 숫나사(212)(312)에 나사 결합하면 마개(230)(330)가 지지봉(210)(310)에 나사 결합되므로 수중찌(200) 및 봉돌(300)의 조립이 각각 완료된다.
이때, 중량체(220)(320)는 채비에 맞추어 적당한 중량을 가지도록 알맞은 크기와 중량을 가지는 중량체를 필요한 개수만큼 장착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중량체(220)(320)는 이탈방지용 환턱(213)(313)과 마개(230)(330)에 의해 빠지지 않으므로 지지봉(210)(31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조류의 변화 등에 따라 이상적인 수중찌(200)의 부력 및 봉돌(300)의 부력을 각각 조절할 경우에는 상기 조립의 역순으로 간단하게 마개(230)(330)를 각각 풀은 상태에서 다양한 중량으로 제작된 중량체(220)(320)를 간편하게 교환하면서 수중찌(200)와 봉돌(300)의 중량을 간편하게 각각 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수중찌(200) 및 봉돌(300)은 조류, 물 때, 풍향의 변화에 따라 원줄(3) 및 목줄(7)을 잘라내지 않고도 수중찌(200)와 봉돌(300)의 중량이 용이하게 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채비에 맞추어 봉돌의 부력상태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특히 납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납중독 및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하여 경비, 시간의 절약 및 줄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 수중찌(200)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모양을 가지는 침강제를 상기 구멍찌(100)와 같은 방법으로 수중찌(200)에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수중찌(20)의 중량 뿐만 아니라 그 모양도 다양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류의 변화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구멍찌들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또한 수중찌와 봉돌의 부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조립된 상태가 분해되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삽입공(121)(131)(141)이 중앙에서 수직으로 각각 관통되며, 그 일측의 오주면에 원줄(3)이 통과하는 절개홈(122)(132)(142)이 상기 삽입공(121)(131)(141)으로 각각 연통된 상부 부력체(120)와 하부 부력체(130) 및 추(140)가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121)(131)(141)에 삽입되고 내부에 원줄(3)이 끼워지는 중공홈(111)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외주연에 숫나사 (1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이탈방지용 환턱(113)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붕(110)과; 상기 지지봉(110)이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숫나사(112)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151)가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원줄관통홀(153)이 천공되며 그 일측의 외주면에 원줄(3)이 통과하는 절개홈(153)이 상기 원줄관통홀(152)로 연통된 이탈방지용 마개(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찌.
  2. 삽입공(221)이 중앙으로 관통되며, 그 일측의 외주면에 원줄(3)이 통과하는 절개홈(222)이 삽입공(221)으로 연통된 다수개의 중량체(220)가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221)에 삽입되고 그 내부에 원줄(3)이 끼워지는 중공홈(211)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외주연으로 숫나사(2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이탈방지용 환턱(213)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봉(210)과; 상기 지지봉(210)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숫나사(212)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231)가 형성되어 중앙으로는 원줄관통홀(232)이 천공되고, 그 일측의 외주면에 원줄(3)이 통과하는 절개홈(233)이 원줄관통홀(232)로 연통된 이탈방지용 마개(2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찌.
  3. 삽입공(321)이 중앙으로 관통되며, 그 일측의 외주면에 목줄(7)이 통과하는 절개홈(322)이 삽입공(321)으로 연통된 다수개의 중량체(320)가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321)에 삽입되고 그 내부에 목줄(3)이 끼워지는 중공홈(311)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외주연으로 숫나사(3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치탈방지용 환턱(313)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봉(310)과; 상기 숫나사(312)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331)가 형성되어 중앙으로는 원줄관통홀(332)이 천공되고, 그 일측의 외주면에 목줄(7)이 통과하는 절개홈(333)이 원줄관통홀(332)로 연통된 이탈방지용 마개(330)를 포함하여 구성된 봉돌.
KR2019970015137U 1997-06-20 1997-06-20 낚시용 구멍찌와 수중찌 및 봉돌 KR200154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137U KR200154264Y1 (ko) 1997-06-20 1997-06-20 낚시용 구멍찌와 수중찌 및 봉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137U KR200154264Y1 (ko) 1997-06-20 1997-06-20 낚시용 구멍찌와 수중찌 및 봉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661U KR19990001661U (ko) 1999-01-15
KR200154264Y1 true KR200154264Y1 (ko) 1999-08-02

Family

ID=1950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137U KR200154264Y1 (ko) 1997-06-20 1997-06-20 낚시용 구멍찌와 수중찌 및 봉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2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66Y1 (ko) * 2013-02-22 2015-06-10 정한복 낚시찌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661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4236A (en) Fishing line slip sinker with quick attachment/detachment means
US4750290A (en) Double hook worm jig
US4986023A (en) Line tie
KR200476223Y1 (ko)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US3698119A (en) Fishing tackle
US4845877A (en) Line connector
KR200154264Y1 (ko) 낚시용 구멍찌와 수중찌 및 봉돌
US5797209A (en) Anchored, retrievable multi-line fish catching device
US2784518A (en) Multipurpose fishing float
KR20090121526A (ko) 낚시추
KR200361634Y1 (ko) 낚시찌의 중량부재 및 이를 포함한 낚시찌
US20140075823A1 (en) Fishing weight having optimized buoyancy characteristics
US3192661A (en) Casting bobber with selective line release
JP3519730B1 (ja) 釣り具
KR20190068105A (ko) 시인성이 우수한 낚시찌
JP2519648B2 (ja) 固定浮子及び浮子止ゴムの構造
KR200372321Y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347573Y1 (ko) 복수의 원줄 관통구멍이 형성된 바다낚시용 구멍찌
CN219288514U (zh) 一种浮钓集束钩
KR20200017875A (ko) 외수질 낚시용 채비
KR200272976Y1 (ko) 낚시용 찌고리
KR200377386Y1 (ko) 수중찌
KR102343538B1 (ko) 민물낚시용 봉돌 연결구
KR0130521Y1 (ko) 낚시찌
KR100808211B1 (ko) 바다낚시용 경사형 구멍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