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728B1 - 낚시 채비 - Google Patents

낚시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728B1
KR100626728B1 KR1020040084871A KR20040084871A KR100626728B1 KR 100626728 B1 KR100626728 B1 KR 100626728B1 KR 1020040084871 A KR1020040084871 A KR 1020040084871A KR 20040084871 A KR20040084871 A KR 20040084871A KR 100626728 B1 KR100626728 B1 KR 10062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member
fishing
fishing gear
rod
bo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064A (ko
Inventor
이만석
Original Assignee
이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만석 filed Critical 이만석
Priority to KR1020040084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728B1/ko
Publication of KR2004009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낚시 채비는 원줄(20)과 목줄(30)로 구성된 통상의 낚시 채비에 있어서, 도래(23)와 찌고무(24)에 의하여 원줄(20)상에 고정이 되되, 하단부로 갈수록 뾰족한 원추형 형상을 가진 하부몸체(41)와 상기 하부몸체(41)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찌톱(42)으로 구성된 찌(40)와; 중앙의 관통홀(54)을 통해 원줄(2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부에 원추형 형상을 가진 원추부(51)와 하부에 상기 원추부(51)의 하부 직경에 상응하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52)로 이루어진 기능성 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 채비는 구멍찌와 막대찌의 장점을 취합한 혼합형 찌를 제공함으로써 구멍찌와 막대찌의 기능을 동시에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낚시채비의 구성요소로 새롭게 제안되는 기능성 부재의 형상과 부피 및 비중에서 비롯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기존 구멍찌채비의 봉돌 내지 수중찌가 동시에 구비하지 못했던 조류동조, 채비엉킴 방지, 시인성, 어신전달, 안정성 등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기존 낚시 채비보다 개량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낚시 채비{FISHING TACKL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낚시 채비 중 반유동 채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재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재가 원줄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낚시대 40: 찌
20; 원줄 41: 하부몸체
23: 도래 42: 찌톱
24: 찌고무 50: 기능성 부재
30: 목줄 51: 원추부
31: 봉돌 52: 지지부
34: 바늘 53: 금속재
54: 관통홀
본 발명은 낚시 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종래의 막대찌채비와 구멍찌채비에서 발생하였던 문제점을 극복한 개량형 찌를 제공함과 아울러 다양한 기능을 가진 부재를 봉돌 일 측에 추가함으로 엉킴방지 및 정확한 어신을 전달하고 탁월한 조류 동조를 가지는 등의 여러 장점을 겸비한 낚시 채비를 제공하는 것에 관련한 것이다.
낚시 채비는 찌의 고정 방식에 따라 크게 찌고무를 사용하여 찌를 원줄의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지채비와 원줄이 찌를 통과하여 자유롭게 오르내리는 구성을 가진 흘림찌채비로 구별이 된다.
흘림찌 낚시채비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5.3m 길이의 낚시대(1)에 원줄(2) 150m 가 감기는 릴을 장착하여 원줄(2)에는 상부부터 차례로 찌매듭(4), 찌멈춤 구슬(5), 구멍찌 또는 막대찌(6), 수중찌 또는 봉돌(7)을 꿰고 원줄(2)의 종단을 도래(8)의 한쪽 고리에 묶은 다음 도래(8)의 반대편 고리에 목줄(3)을 보통 1.5 내지 2발 길이로 연결하고 목줄(3) 단부에 바늘을 멘 다음 목줄(3) 중간에 좁쌀봉돌(9) 1 내지 2개를 달아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채비를 흘림찌 채비라고 부르는 이유는 채비를 릴에 감겨 있는 원줄의 길이만큼 조류에 태워 흘려보낼 수 있기 때문이고 이를 유동채비(도 1은 반유동채비)라고도 하는데, 특히 감성돔, 참돔과 같이 조류를 따라 회유하는 고급 어종을 대상으로 낚시를 할 경우 자주 사용되는 채비이기도 하다.
이 흘림찌채비는 찌의 형태에 따라 크게 가는 막대모양의 찌 아래쪽 끝에 달린 도래의 구멍으로 원줄을 통과시키는 막대찌채비와, 타원형 구슬모양의 찌 가운데로 세로구멍이 뚫려 그 구멍으로 원줄을 꿰는 구멍찌채비로 구분된다.
구멍찌채비와 막대찌채비는 서로 대응하는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막대찌는 시인성 내지 입수저항 등에 있어서 구멍찌보다 탁월한 면이 있지만, 구멍찌채비는 원투성 내지 채비엉킴 측면, 사용지역의 범위 등에 있어서 막대찌채비와 비교하여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 표 1은 각 종류의 채비에 대한 기능을 비교한 도표이다.
[표 1] 채비의 종류별 기능성 비교
항 목 구멍찌 채비 막대찌 채비
반유동 채비 전유동채비
봉 돌 수중찌 봉 돌 수중찌
시인성 × × ×
원투성 × ×
지형파악 × × ×
수심조절 ×
조류동조 × ×
침강속도 × × ×
안정성 × × ×
어신전달 × ×
입수저항 × ×
( ○: 좋음, △ : 보통 ×: 나쁨)
상기 도표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종류의 흘림찌 채비는 일장일단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 조사에게 자주 사용되는 채비는 구멍찌 채비로서, 이는 막대찌 채비가 채비엉킴이 구멍찌채비에 비하여 심하고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원투성이 나빠 사용지역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러한 근거에 기인하여 상대적으로 장점이 많은 구멍찌 반유동채비가 낚시인들에게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용상에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구멍찌채비는 잔족부력을 최소화할 경우 찌가 거의 물에 잠기게 되어 시인성이 나빠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둘째, 물고기가 입질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중찌가 원줄 끝에 묶여진 도래에 얹혀서 찌의 부력을 상쇄시키고 있으나 수중찌 역시 구멍찌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물고기가 미끼를 물고 아래로 잡아당기면 수중찌는 물의 저항 때문에 순간적으로 가라앉지 못하여 구멍찌의 대부분 부력이 바늘 부위에 미치게 되어 미끼를 문 물고기가 잔존부력에 의한 입수저항감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구멍찌는 막대찌에 비해 채비엉킴 현상이 덜 발생되긴 하나, 후풍을 받는 경우에는 채비를 날릴 때 구멍찌가 선두에서 채비를 끌고 가다가 먼저 착수하면 곧 뒤이어 봉돌과 함께 바늘이 묶어진 목줄이 그 위를 덮치고 구멍찌가 떠있는 상태에서 수중찌가 목줄을 끌고 내려가는 과정에서 채비 엉킴이 발생하게 된다. 채비가 엉킬 경우, 구멍찌는 그 형상의 특성상, 즉시 그 상황의 확인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채비를 풀어내는 시간이 상당 소요되어 짧은 입질 피크 시간에는 큰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막대찌와 구멍찌가 가지고 있던 각각의 단점을 동시에 극복할 수 있는 혼합형 찌를 제공 함과 아울러 원투성의 용이한 확보 내지 원활한 조류동조 및 채비의 중심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별도의 기능성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채비엉킴을 최소화하면서 빠른 침강속도를 보이고 입수 위치의 정확도를 보장하기에 적합한 형상과 비중을 갖는 기능성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 채비는 원줄(20)과 목줄(30)로 구성된 통상의 낚시 채비에 있어서, 도래(23)와 찌고무(24)에 의하여 원줄(20)상에 고정이 되되, 하단부로 갈수록 뾰족한 원추형 형상을 가진 하부몸체(41)와 상기 하부몸체(41)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찌톱(42)으로 구성된 찌(40)와; 중앙의 관통홀(54)을 통해 원줄(2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부에 원추형 형상을 가진 원추부(51)와 하부에 상기 원추부(51)의 하부 직경에 상응하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52)로 이루어진 기능성 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 채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대 및 낚시 채비는 낚시대(10)에 원줄(20) 및 목줄(30)이 구비되어 원줄(20)에는 상부부터 차례로 찌매듭(21), 찌멈춤 구슬(22), 도래(23) 및 찌고무(24), 이 도래(23) 및 찌고무(24)에 연결된 찌(40), 기능성 부재(50)가 구비되고, 목줄(30)에는 봉돌(31), 도래(32), 좁쌀봉돌(33), 바늘(34)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봉돌을 사용하는 구멍찌채비와 유사하나, 이와 다른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찌(40)의 형상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낚시 채비에 대한 찌(40)는 구멍찌와 막대찌를 혼합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 하부의 구성체인 하부몸체(41)는 극히 가벼운 발포고무 재질로 제작되어 하단부로 갈수록 뾰족한 원추형의 구멍찌의 형상을 가지고 있되 상부에는 막대 형상의 찌톱(42)을 꽂아 형성이 되며, 도래(23)의 고리에 원줄(20)을 꿰고 고리 도래(23)에 꿰어진 찌고무(24)에 찌(4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이 된다.
이러한 찌(40)의 구성으로 구멍찌가 가진 안정성과 막대치가 가진 시인성을 동시에 겸비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낚시채비는 봉돌(31)의 일 측에 구비되는 기능성 부재(50)를 제공하며 이에 대한 도면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봉돌(31)의 일측부, 바람직하게는 상측의 원줄(20)에 기능성 부재(50)가 연결되어 제공된다.
기능성 부재(50)는 상부에 종단이 절단된 원추형 형상을 가진 원추부(51)와 하부에 원추부의 하부 직경에 상응하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52)로 구 성이 되어 있으며, 지지부(52)의 일측에는 금속재(53)가 위치하는데, 이 금속재(53)는 바람직하게 스테인레스 강(SUS 304)으로 제작이 되어 기능성 부재(50)의 무게 중심의 역할을 하게 되며, 8*17* 1.5의 체적으로 이루어져 지지부(52)의 바닥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재(53)의 형상은 어느 형상이던 상관이 없으나,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띠 형상으로 지지부(52)의 하부면에 삽입되거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추부(51)의 상부 직경은 대략적으로 6내지 10mm(바람직하게는,8mm)로 이루어져 있고 높이는 20 내지 30mm(바람직하게는, 25mm) 로 되어 있으며, 지지부(52)의 하부 직경은 20 내지 30mm(바람직하게는,25mm), 높이는 10 내지 20mm(바람직하게는,15mm)로 구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원추부(51)의 상부에서 지지부(52)의 하부로 관통된 관통홀(54)은 원줄(20)이 관통되는 공간으로서 직경이 2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원추부(51)는 종단부가 약간 절단된 상태로서 뾰족하게 되어 있는데 이는 릴을 감아들일 때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며, 지지부(52)의 하부 형상은 원줄(20)과 직각을 이루는 넓은 면으로 구성이 되는데 이는 물고기가 미끼를 물고 당길 때 원줄(20)과 도래(23)에 고정된 봉돌(31)은 쉽게 끌려가되 기능성 부재(50)는 물의 저항으로 그 자리에 머물러 있어 물고기가 미끼를 끌고 가는 만큼 봉돌(31)과 거리를 가지게 되므로 챔질 시 그로 인한 물의 저항을 받지 않아 바늘(34)이 물고기 입 언저리에 충분히 박힐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기능성 부재(50)의 원추부(51)와 지지부(52)는 여러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 나, 목재의 경우 그 밀도 변화가 심하게 되는 문제로 인해 제작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고분자 합성수지재, 특히 비중이 작은 폴리프로필렌(비중 0.91)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폴리프로필렌보다 비중이 큰 플라스틱 재질로도 제작 가능하나, 이 경우 기능성 부재(50)의 내부에 정확한 부피의 공동을 추가로 형성해 주어야 하므로 제작이 까다롭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기능성 부재(50)는 전체 체적이 대략 12,900mm3이며 채비를 캐스팅할 때를 고려하여 무게는 대략 11.23g 정도가 되고, 그 전체 비중이 1.024 내지 1.03으로(바람직하게는, 1.025) 설정/제작이 되어 입수 이후 서서히 하부로 가라앉게 된다. 하지만, 바닷물의 비중이 1.02 내지 1.024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서로의 비중 차가 극히 적어 바닷물 속에서의 기능성 부재의 무게는 없는 것으로 인정되거나 불과 0.015 내지 0.060g 으로서 만일 완전히 바닷물에 가라앉아 봉돌 상에 걸쳐진 상태에서도 채비의 무게 밸런스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기능성 부재(50)는 원줄(20)과 목줄(30)의 연결 지점에서 기본적으로 두 줄의 중심 역할로서의 의미도 가지게 된다.
상기 설명한 찌(40)와 기능성 부재(50)의 구성으로 인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 채비를 캐스팅하면 채비의 요소 중 가장 무거운 기능성 부재(50)가 채비를 끌고 날아가는데 이 때 찌(40)는 체적에 비해 무게가 극히 적어 공기의 저항으로 원줄(20)을 타고 뒤쪽으로 밀려가서 기능성 부재(50)와는 거리를 두고 착수하게 되고, 기능성 부재(50) 근처에 착수한 목줄(30)과 바늘(34)은 기능성 부재(50)와 함께 가라앉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낚시 채비는 그 채비의 엉킴이 거의 없다.
낚시 채비가 착수한 이후 완전히 물 속으로 가라앉는 동안 원줄(20)이 찌(40) 방향으로 풀려가면서 수면과의 마찰 저항으로 인하여 찌(40)를 상당 거리만큼 조사의 앞쪽 방향으로 끌고 오게 되는데 이 때 부피가 큰 기능성 부재(50)가 물 속에서 물의 저항을 받아 반발하므로 그 힘이 크게 상쇄되어 채비가 완전히 가라앉을 때까지 애초의 착수 지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게 된다.
봉돌이 수심바닥에 닿아 침력을 잃게 되면 상기 언급한 구조 상 무게중심이 상부에 있는 찌(40)에 의하여 그 즉시 찌(40)가 누워버려 처해진 상황을 뚜렷히 파악할 수가 있어 빠른 시간 내에 바닥의 지형을 파악하고 채비의 수심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바닥 걸림에 따른 채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조류가 있을 경우 기능성 부재(50)의 체적이 통상 사용되는 수중찌에 비하여 대략 6배 이상 크므로 수중찌에 비하여 훨씬 자연스럽게 조류와 함께 흘러 갈 수가 있다. 물론, 종래의 수중찌 역시 조류 동조의 역할을 하고 있으나 수중찌가 물밑 채비를 가라앉히고 찌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주 기능임에 반해 기능성 부재(50)는 채비의 무게 균형에 전혀 관계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더불어, 수심의 바닥층의 감성돔과 같이 물고기가 미끼를 물고 옆으로 달아날 때 수중찌보다 체적이 6배 이상 큰 기능성 부재(50)가 물의 저항으로 함께 딸려 가지 않고 원줄(20)만 통과시켜 찌(40)에 어신을 전달하게 되므로 아주 작은 물고기의 미세한 입질까지 쉽게 식별되어 챔질 시간을 놓칠 위험이 적게 되며, 잡고기에 미끼를 뜯긴 것도 모른 채 장시간 입질을 기다리는 시간과 노력의 허비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찌(40)는 밤낚시 채비로 사용될 경우 찌톱(42)을 빼고 그 자리에 캐미라이트 또는 전자찌로 쉽게 대체설치가 가능하여 곧바로 야간용 채비로 활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 채비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 채비는 구멍찌와 막대찌의 장점을 취합한 혼합형 찌를 제공함으로써 구멍찌와 막대찌의 기능을 동시에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낚시채비의 구성요소로 새롭게 제안되는 기능성 부재의 형상과 부피 및 비중에서 비롯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기존 구멍찌채비의 봉돌 내지 수중찌가 동시에 구비하지 못했던 조류동조, 채비엉킴 방지, 시인성, 어신전달, 안정성 등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기존 낚시 채비보다 개량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원줄(20)과 목줄(30)로 구성된 통상의 낚시 채비에 있어서,
    도래(23)와 찌고무(24)에 의하여 원줄(20)상에 고정이 되되, 하단부로 갈수록 뾰족한 원추형 형상을 가진 하부몸체(41)와 상기 하부몸체(41)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찌톱(42)으로 구성된 찌(40)와;
    중앙의 관통홀(54)을 통해 원줄(2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부에 원추형 형상을 가진 원추부(51)와 하부에 상기 원추부(51)의 하부 직경에 상응하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52)로 이루어진 기능성 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부재(50)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부재(50)의 하측에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작된 금속재(5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부재(50)의 전체 비중은 1.024 내지 1.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부재(50)의 상기 원추부(51)의 상부 직경은 6 내지 10mm, 높이는 20 내지 30mm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52)의 하부 직경은 20 내지 30mm, 높이는 10 내지 20mm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채비.
KR1020040084871A 2004-10-22 2004-10-22 낚시 채비 KR10062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871A KR100626728B1 (ko) 2004-10-22 2004-10-22 낚시 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871A KR100626728B1 (ko) 2004-10-22 2004-10-22 낚시 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064A KR20040097064A (ko) 2004-11-17
KR100626728B1 true KR100626728B1 (ko) 2006-09-21

Family

ID=37375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871A KR100626728B1 (ko) 2004-10-22 2004-10-22 낚시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65U (ko) 2019-05-30 2020-12-09 이만수 낚시채비
KR102384646B1 (ko) 2021-10-21 2022-04-08 허영웅 탈부착형 유동채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665U (ko) 2019-05-30 2020-12-09 이만수 낚시채비
KR102384646B1 (ko) 2021-10-21 2022-04-08 허영웅 탈부착형 유동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064A (ko)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10798A (en) Fishing bobber with bait guard
US7475510B2 (en) Quick change fishing implement
US20060254121A1 (en) Two-way sensitive fishing bobber and stop bead for use therewith
US20080244957A1 (en) Snell holding and storing device
US20120060404A1 (en) Screw-ball strike indicator
US5555668A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bait at desired depth while fishing
KR100626728B1 (ko) 낚시 채비
US5305543A (en) Slip sinker
US2768464A (en) Bait casting device
US6389737B1 (en) Float for fishing rod
KR200384445Y1 (ko) 사출형 구멍찌
KR200302108Y1 (ko)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
US20140041280A1 (en) Buoyant fishing device
JP3541242B2 (ja) 瞬間着脱式ウキ
JP2010252654A (ja) 複合ルアー
JP3160378U (ja) コマセ保持具
KR0130521Y1 (ko) 낚시찌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JP2002315487A (ja) 餌付針収納放出かごとこませかご付、パイプ天秤仕掛けの釣り具。
JP2603804B2 (ja) 浮 き
KR200265205Y1 (ko)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
JP2005348716A (ja) 一網打尽カニ取り君
KR20040040098A (ko) 민물낚시용 쌍 바늘채비
CN114190342A (zh) 一种矶竿滑漂钓鱼方法
JP3577699B2 (ja) 釣り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