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205Y1 -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 - Google Patents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205Y1
KR200265205Y1 KR2020010033395U KR20010033395U KR200265205Y1 KR 200265205 Y1 KR200265205 Y1 KR 200265205Y1 KR 2020010033395 U KR2020010033395 U KR 2020010033395U KR 20010033395 U KR20010033395 U KR 20010033395U KR 200265205 Y1 KR200265205 Y1 KR 200265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obber
hook
rotating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우
Original Assignee
이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우 filed Critical 이준우
Priority to KR2020010033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2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20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수중찌에 관한 것으로, 수중찌의 양단에 회전고리를 일체로 형성시켜 낚시채비를 간소화 하므로서 낚시 줄의 엉킴 현상을 줄이는 한편 낚시채비의 잔존 부력을 간단히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찌낚시 채비에 있어서, 수중찌의 양단에 회전고리를 일체로 형성시켜 수중찌의 무게를 회전고리가 포함된 무게로 제작하게 되어 낚시채비의 잔존 부력을 쉽게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낚시 채비를 간소화하여 엉킴 현상을 줄이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omitted}
본 고안은 낚시용 수중찌에 관한 것으로, 수중찌의 양단에 회전고리를 일체로 형성시켜 낚시채비의 잔존부력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채비를 간소화 시켜 줄이 엉키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에 관한 것이다.
낚시를 하기 위한 찌낚시 채비를 살펴보면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낚시원줄(1)에 도래(4)를 매개로 하여 목줄(2)이 연결되고 상기 목줄(2)의 하부에 미끼가 끼워지는 낚시바늘(3)이 연결되며, 도래(4)의 상측에는 'v'형 완충고무(8)와 수중찌(10)를 끼우고, 상기 수중찌(10)의 상부에 낚시찌(20)를 끼우며, 상기 낚시찌(20)의 상부에는 멈춤구슬(6)을 끼우는 한편 면사매듭(5)을 지우고, 낚시찌(20)의 하부에는 'o'형 완충 고무(7)를 끼워주도록 되어있다.
낚시원줄(1)은 수중찌(10)의 침력으로 인하여 수중에 가라앉게 되고 낚시찌(20)는 부력에 의하여 수면에 노출되게 되며, 멈춤구슬(6)은 면사매듭(5)에 걸려 낚시찌(20)의 상승을 저지하여 부력을 받게 하고, 'o'형 완충 고무(7)와 'v'형 완충고무(8)는 낚시찌, 수중찌, 도래 간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이 같은 낚시 채비는 낚시원줄(1)과 목줄(2)의, 굵기가 서로 다른 낚시줄을 연결하는 도래(4)에 의하여 연결되므로, 낚시원줄(1)이 목줄(2)과 엉키게 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낚시채비를 던질 때 수중찌(10)가 높은 비중에의해 가장 앞서 날아가게 되고 이때 공기나 바람의 저항에 의해 낚시찌(20)와 미끼등이 밀리게 되어 멀리 던질 경우 채비가 엉키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낚시채비의 잔존부력을 최적화하기가 곤란한 것이었다.
그리고 수중찌(10)는 바람과 상층조류의 방향에 영향을 받는 낚시찌를 하층조류의 방향으로 유도하게 하는 것으로, 채비를 투여된 밑밥과 동조하여 흐르게 하므로서 미끼에 생동감을 부여하고, 채비의 원거리 투하와 입수를 원활히 도와주게 된다.
한편 낚시채비는 수중찌(10)의 무게 즉, 침력에 맞추어 최상의 적절한 부력을 갖도록 해야 하지만 수중찌(10)이외의, 침력 계산에 두지 않은 도래(4)등이 매달리게 되어 낚시찌(20)의 부력을 수중찌 만으로는 정확히 제어하기가 곤란하여 원하는 최상의 적절한 잔존부력을 갖도록 낚시채비를 하기엔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본 고안의 수중찌(10)는 필요한 경우 다단으로 설치할 수가 있으나, 기존의 수중찌(10)는 낚시원줄(1)에 끼워져 있게 되어 자유롭게 이동되므로 두 개의수중찌(10)가 설치될 경우 자체 무게에 의하여 저절로 모여지게 되어, 수중찌(10)가 하층 조류에 적절히 동조하지 못하고 어신의 전달도 느릴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낚시 채비를 함에 있어서, 수중찌의 양단에 회전고리를 일체로 형성시켜 낚시원줄과 목줄의 꼬임이 수중찌에 형성된 회전고리에 의해 방지되도록 하는 한편 수중찌의 무게를 회전고리가 포함된 무게로 제작하게 되어 낚시채비의 원하는 잔존 부력을 쉽고도 정확하게 맞추어 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채비를 간소화하고 그에 따라 낚시 줄의 엉킴을 적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기존 낚시 채비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의 수중찌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수중찌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수중찌의 다른 실시예 설명도
도 5 는 본 고안 수중찌의 또 다른 실시예 단면도[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시원줄 2 : 목줄 3 : 낚시바늘
4 : 회전도래 5 : 면사매듭 6 : 멈춤구슬
7 : 'o'형 완충고무 8 : 'v'형 완충고무 10 : 수중찌
11 : 삽입관 12 : 무게추 15,16,17 : 회전고리
20 : 낚시찌
본 고안은 비중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낚시용 수중찌(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중찌(10)의 양단에 자유 회전되어지는 회전고리(15)(16)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다.
수중찌(10)는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관(11)이 내삽되고 하부에 비중이 다른 무게추(1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삽입관(11)의 양단에 회전고리(15)(16)를 빠지지 않게 끼워주되 상기 회전고리(15)(16)가 삽입관(11)에 끼워진 채로 자유 회전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수중찌(10)를 사용하면 기존 채비의 낚시원줄(1) 선단을 한쪽 회전고리(15)에 연결하되 낚시찌(20)와 수중찌(10)사이에 'v'형 완충 고무(8)를 끼우고, 상기 수중찌(10)의 다른 한쪽 회전고리(16)에는 낚시바늘(3)이 연결된 목줄(2)을 연결하므로써 채비가 완성된다.
이같이 회전고리(15)(16)가 일체로 형성된 수중적(10)를 사용할 경우 회전고리 무게가 포함되어 있어서, 이에 맞는 적절한 부력의 낚시찌(20)를 선택하면 간단하게 낚시찌(20)가 최적의 잔존 부력을 갖고 수면에 띄워지게 할 수 있다.
즉 기존과 같이 도래의 무게를 산정치 않아 수중찌(10)를 달았을 때 낚시채비의 잔존 부력을 맞추기 어려운 문제를 회전고리(15)(16)를 일체화 시켜 침력을 표시해 줌으로서 낚시꾼은 낚시찌(20)의 부력을 표시한 숫자와 수중찌(10)의 침력을 표시한 숫자를 보고 쉽게 낚시채비의 잔존 부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낚시원줄(1)은 릴에 감고 푸는 동작이 되풀이되면 꼬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나 본 고안에서는 낚시원줄(1)이 수중찌(10)의 한쪽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고리(15)에 연결되어 있어, 낚시줄(1)이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수중찌(10)에 회전고리(15)(16)(17)를 형성시켜 회전고리(15)에는 낚시원줄(1)을 연결하고, 회전고리(16)(17)에는 각각의 목줄을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하나의 수중찌(10)에 두 개의 낚시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한편 본 고안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찌(10)를 수직방향으로 사용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는 무게추(12)의 설치를 수중찌(10)의 측방향으로 설치하면 된다.
본 고안은 찌낚시 채비를 할 때 'o'형 완충 고무가 필요 없고, 수중찌를 낚시원줄에 끼우는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채비가 간단하고, 수중찌에 회전고리가 일체화되어 있어 낚시찌의 부력과 수중찌의 침력을 맞추어 주기가 용이하며, 낚시채비에서 낚시원줄이나 목줄이 꼬이게 되는 것을 회전고리에서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비중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재료로 제작된 수중찌(10)의 양단에 회전고리(15)(16)를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시키고, 한쪽 회전고리(15)에는 낚시찌(20)가 끼워진 낚시원줄(1)을 연결하며, 다른 한쪽 회전고리(16)에는 낚시바늘(3)이 연결된 목줄(2)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
  2. 제1항에 있어서, 수중찌(10)는 3개의 회전고리(15)(16)(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
KR2020010033395U 2001-10-31 2001-10-31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 KR2002652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395U KR200265205Y1 (ko) 2001-10-31 2001-10-31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395U KR200265205Y1 (ko) 2001-10-31 2001-10-31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205Y1 true KR200265205Y1 (ko) 2002-02-25

Family

ID=7307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395U KR200265205Y1 (ko) 2001-10-31 2001-10-31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2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213B1 (ko) * 2002-10-04 2005-06-07 김동기 낚시용 수중찌
KR20220124362A (ko) * 2021-03-03 2022-09-14 이정희 막대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213B1 (ko) * 2002-10-04 2005-06-07 김동기 낚시용 수중찌
KR20220124362A (ko) * 2021-03-03 2022-09-14 이정희 막대찌
KR102570316B1 (ko) * 2021-03-03 2023-08-24 이정희 막대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98815A (en) Fishing tackle
KR200477222Y1 (ko) 다분할 중량체를 구비한 편대 낚시 채비
KR200476223Y1 (ko)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KR200265205Y1 (ko) 회전고리 일체형 수중찌
US2734303A (en) Fishing bobber
KR200420628Y1 (ko) 분절형 낚시추를 이용한 낚시채비
JP2008212146A (ja) 疑似餌
US20030074827A1 (en) Tangle free fishing pole
KR200227432Y1 (ko) 떡밥 뭉치기용 낚시바늘 지지체
CN218869150U (zh) 一种卧立不倒式集束钩
JP3160378U (ja) コマセ保持具
US2310030A (en) Bobber for fish lines
CN203226172U (zh) 一种连接装置和一种钓鱼装置
US20030074826A1 (en) Tangle free fishing pole
KR100626728B1 (ko) 낚시 채비
CN215873157U (zh) 一种海钓用环保串钩线组
CN209914830U (zh) 新型漂浮夜光鱼钩钓组
KR200381813Y1 (ko) 낚시용 찌
KR200492190Y1 (ko) 수심측정용 봉돌
KR20110010876U (ko) 민물낚시용 쌍 낚시바늘채비
KR101277203B1 (ko) 유동성을 가지는 가짓줄 연결용 낚시채비
KR200401480Y1 (ko) 매듭처리가 가능한 고무 편납홀더
KR200265195Y1 (ko) 우럭 낚시용 낚시줄의 구성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JP3028694U (ja) 貝類の耳吊り養殖用耳吊りロ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