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377A - 눕힘형 낚시찌 - Google Patents

눕힘형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377A
KR20150093377A KR1020140014074A KR20140014074A KR20150093377A KR 20150093377 A KR20150093377 A KR 20150093377A KR 1020140014074 A KR1020140014074 A KR 1020140014074A KR 20140014074 A KR20140014074 A KR 20140014074A KR 20150093377 A KR20150093377 A KR 20150093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loat
fishing line
buoyancy
buoya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윤
Original Assignee
이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윤 filed Critical 이정윤
Priority to KR1020140014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3377A/ko
Publication of KR2015009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눕힘형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 장소의 현장여건에 따라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함과 함께 유동성이 우수하여 낚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자 본 발명은, 수면에 떠서 낚싯줄에 매달린 수중 낚시바늘의 입질을 감지하게 되는 눕힘형 낚시찌에 있어서, 하단의 연결구를 통해 상기 낚싯줄에 연결하게 되는 찌다리 및 상기 찌다리의 상단에 찌톱이 구비되되, 중앙 구멍에 결합되는 상기 찌다리를 따라 움직이면서 낚시찌의 부력이 가변하게 되는 부력체; 상기 구멍에 결합된 채 찌다리와 미끄럼 접촉하면서 부력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마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눕힘형 낚시찌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눕힘형 낚시찌{A fishing float}
본 발명은 눕힘형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 장소의 현장여건에 따라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함과 함께 유동성이 우수하여 낚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눕힘형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낚시줄에 매달아 입질을 전달하는 것으로,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미끼가 달린 낚시바늘을 물속에 가라앉힌 낚싯줄을 타고 전해지는 물고기의 입질을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낚시찌는 막대찌, 구멍찌, 고리찌, 던질찌, 어신찌, 수중찌, 기울찌 등이 있고, 낚시방식(낚시채비)에 따라 낚시찌의 유동방식에 따라 전유동 낚시찌 또는 반 유동 낚시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의 낚시찌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특허문헌)로는 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2005-0005953호(2005.03.07) 내지 국내특허공개 제10-2010-0121220호(2010.11.17), 국내특허출원 제10-2011-0131058호(2011.12.08) 등이 공지된 바에 있으며, 이는 공지된 바에 따라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하지만 종래의 선행기술은 낚싯줄이 꼬이거나 엉키기 쉽고 낚시채비의 투척이 불량해지며 낚시채비의 손실이 많아지고 낚시채비의 정렬이 불량해지며, 입질이 늦어짐은 물론 어신 파악이 지연되어 어획률이 저하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1.국내실용신안출원 제20-2005-0005953(2005.03.07) 2.국내특허공개 제10-2010-0121220(2010.11.17) 3.국내특허출원 제10-2011-0131058(2011.12.08)
본 발명의 목적은 조류의 세기나 기후변화 등 낚시장소의 현장여건에 따라 수면에 띄워지는 부력체에 찌다리가 결합하여 비스듬히 눕혀지고 이 찌다리를 따라 무력체를 움직여 무게 중심이 이동되고 낚시찌의 부력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되는 눕힘형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낚시찌가 낚싯줄을 따라 제한적으로 움직이는 반 유동 낚시를 손쉽게 채비할 수 있게 되는 눕힘형 낚시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수면에 떠서 낚싯줄에 매달린 수중 낚시바늘의 입질을 감지하게 되는 눕힘형 낚시찌에 있어서, 하단의 연결구를 통해 상기 낚싯줄에 연결하게 되는 찌다리 및 상기 찌다리의 상단에 찌톱이 구비되되, 중앙 구멍에 결합되는 상기 찌다리를 따라 움직이면서 낚시찌의 부력이 가변하게 되는 부력체; 상기 구멍에 결합된 채 찌다리와 미끄럼 접촉하면서 부력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마찰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눕힘형 낚시찌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찌다리의 하단부에 연결구를 결합시키는 쿠션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낚싯줄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이동 또는 고정되며 낚싯줄에 끼워진 연결구의 유동범위를 제한하게 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낚시찌의 부력체를 관통하는 찌다리가 수면에 비스듬히 누어 균형을 유지한 채 입질 대기중에 있고 수중 낚싯줄에 입질이 전해짐과 동시에 세로로 세워지면서 신속히 입질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조류의 흐름이나 기후변화 등 낚시장소의 현장여건에 따라 상기의 찌다리를 따라 부력체의 무게 중심을 움직여 낚시찌의 부력을 가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낚시채비의 무게를 적절히 가감하면서 어획률 및 조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낚시찌는 물론 낚시채비의 구성이 아주 간소화하여 낚싯줄이 꼬이거나 엉키는 등의 손상이 없고 초보자도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으며, 낚싯줄의 투척 및 정렬이 용이하며 낚시바늘의 입질을 신속하게 전달하여 어신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눕힘형 낚시찌는 학꽁지나 벵에돔 등의 낚시와 같이 입질 반응이 민감한 저 부력 낚시(채비)에 매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눕힘형 낚시찌(100)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눕힘형 낚시찌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눕힘형 낚시찌의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면에 떠서 낚싯줄(L)에 매달린 수중 낚시바늘(H)의 입질을 감지하게 되는 눕힘형 낚시찌에 있어서, 하단의 연결구(14)를 통해 상기 낚싯줄(L)에 연결하게 되는 찌다리(10) 및 상기 찌다리(10)의 상단에 찌톱(12)이 구비되되, 중앙 구멍(22)에 결합되는 상기 찌다리(10)를 따라 이동하면서 낚시찌의 부력이 가변하게 되는 부력체(20); 상기 구멍(22)에 결합된 채 찌다리(10)와 미끄럼 접촉하면서 부력체(20)의 위치를 고정하는 마찰부재(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르는 눕힘형 낚시찌(100)는 낚싯줄(L)에 연결되는 찌다리(10), 이 찌다리에 결합된 부력체(20)로 구성되며, 상기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 낚싯줄(L)에 매달린 낚시바늘(H)의 입질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찌다리(10)는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가는 봉체로 형성되고 상단에 찌톱(12)을 구비하여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게 되며 하단에 구비된 연결구(14)에 낚싯줄(L)이 관통 결합된다. 이처럼 상기 낚시찌(100)는 찌다리가 연결구를 통해 낚싯줄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입질시 어신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14)는 낚싯줄이 통과하도록 고리(15)를 가지는 도래가 바람직하며 상기 낚싯줄의 꼬임을 방지하고 낚시찌의 유동을 원활히 하며 수명이 연장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찌다리(10)의 하단부에 연결구(14)를 결합시키는 쿠션부재(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찌다리(10)의 하단부에는 연결구와의 결합부위를 쿠션부재(16)로 감싸서 고정함과 함께 부력체(20)를 멈추게 하는 완충작용으로 손상을 한다. 이때 상기 쿠션부재(16)는 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력이 가해지면 탄력적으로 휘어졌다가 원래대로 복원되면서 완충작용을 하여 손상 및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 부력체(20)는 비중이 물보다 가벼운 소재로 부력이 작용하게 되며 중앙의 구멍(22)에 결합된 찌다리(10)가 수면에서 비스듬히 기울여진 상태로 부상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부력체(20)가 찌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움직이면서 부력이 가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낚시찌(100)는 수면에 떠서 받침점이 되는 부력체(20)가 찌다리를 따라 움직이고 연결구(14)와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낚시찌의 부력 및 무게추의 무게를 가감할 수 있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도 2에서처럼 상기 부력체(20)가 하강하여 연결구(낚싯줄)에 근접하면 무게중심이 작용점에 가까워져 낚싯줄을 당기는 힘이 증대됨과 함께 무게추(W)의 무게를 늘려서 균형이 유지된다. 이에 상기 낚시찌의 부력 증가와 함께 입질이 반응이 둔감하고 동작이 크게 나타난다. 역으로, 상기 부력체가 연결구에서 점점 멀어질수록 무게중심이 이격되며 낚시찌는 적은 힘(입질)에도 쉽게 당겨지고 미약한 입질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즉 상기 낚시찌의 부력이 감소와 함께 무게추의 무게를 감소시키거나 무게추를 완전히 제거하여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부력체(20)는 스펀지, 스티로폼 등과 같은 발포수지 또는 목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체(20)의 구멍(22)에 결합되는 마찰부재(24)가 찌다리(10)와 탄력적으로 미끄럼 접촉하면서 부력체(20)의 위치를 이동 또는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찰부재(24)는 합성수지,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찌다리에 탄력적으로 밀착하면서 고정력이 작용하고 부력체를 잡고 힘을 주어 당기면 움직여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눕힘형 낚시찌(100)는 낚싯줄에 소정의 정지수단을 구비하여 현장의 낚시상황에 따라 낚시찌의 전유동 또는 반 유동 낚시로 전환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낚싯줄(L)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이동 또는 고정되며 낚싯줄(L)에 끼워진 연결구(14)의 유동범위를 제한하게 되는 스토퍼(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낚시찌(100)는 하단 연결구(14)에 낚싯줄(L)이 관통한 채 자연스럽게 유동하게 되되, 상기 낚싯줄에 구비된 스토퍼(30)에 의해 이동을 멈추는 반 유동 낚시에 적합하다.
상기 스토퍼(30)는 낚싯줄에 하나 또는 두 개가 한 쌍으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상부 또는 상부와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30)는 고무 또는 연질수지로 이루어져 낚싯줄에 탄력적으로 밀착한 채 고정력이 작용하고 손으로 잡고 힘을 주어 당기면 이동 및 낚시찌의 유동 간격이 조절된다.
10:찌다리 12:찌톱 14:연결구 16:쿠션부재
20:부력체 22:구멍 24:마찰부재 30:스토퍼
L:낚싯줄 H:낚시바늘 W:무게추

Claims (3)

  1. 낚싯줄(L)에 매달린 수중 낚시바늘(H)의 입질을 수면에서 감지하게 되는 눕힘형 낚시찌에 있어서,
    하단의 연결구(14)를 통해 상기 낚싯줄(L)에 연결하게 되는 찌다리(10) 및 상기 찌다리(10)의 상단에 찌톱(12)이 구비되되,
    중앙 구멍(22)에 결합되는 상기 찌다리(10)를 따라 움직이면서 낚시찌의 부력이 가변하게 되는 부력체(20); 상기 구멍(22)에 결합된 채 찌다리(10)와 미끄럼 접촉하면서 부력체(20)의 위치를 고정하는 마찰부재(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눕힘형 낚시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찌다리(10)의 하단부에 연결구(14)를 결합시키는 쿠션부재(1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눕힘형 낚시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L)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이동 또는 고정되며 낚싯줄(L)에 끼워진 연결구(14)의 유동범위를 제한하게 되는 스토퍼(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눕힘형 낚시찌.
KR1020140014074A 2014-02-07 2014-02-07 눕힘형 낚시찌 KR20150093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074A KR20150093377A (ko) 2014-02-07 2014-02-07 눕힘형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074A KR20150093377A (ko) 2014-02-07 2014-02-07 눕힘형 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377A true KR20150093377A (ko) 2015-08-18

Family

ID=5405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074A KR20150093377A (ko) 2014-02-07 2014-02-07 눕힘형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33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705A1 (ko) * 2016-01-17 2017-11-02 원철호 에어 포켓 현상을 이용한 부력조절 찌
CN110741981A (zh) * 2019-12-04 2020-02-04 范秀娟 养殖水体的肥水方法
KR20200115765A (ko) * 2019-03-25 2020-10-08 배완호 올인원 낚시찌가 구비된 낚시 기구 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705A1 (ko) * 2016-01-17 2017-11-02 원철호 에어 포켓 현상을 이용한 부력조절 찌
KR20200115765A (ko) * 2019-03-25 2020-10-08 배완호 올인원 낚시찌가 구비된 낚시 기구 세트
CN110741981A (zh) * 2019-12-04 2020-02-04 范秀娟 养殖水体的肥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3377A (ko) 눕힘형 낚시찌
US3613290A (en) Trolling underwater fishing kite
KR100858909B1 (ko) 낚시추
US2798331A (en) Trolling float
US20080313949A1 (en) Fishing bobber device
CN104521914A (zh) 一种流水钓鱼的方法
US5303499A (en) Fishing device
KR101551054B1 (ko)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KR101967363B1 (ko) 낚시찌
CN204272994U (zh) 一种稳定钓鱼结构
KR102511226B1 (ko) 원투 낚시채비
KR102229119B1 (ko) 낚시용 찌
US3006104A (en) Fish lure
KR200275437Y1 (ko) 분할 낚시 추
KR20210000674U (ko) 부력조절 낚시찌
US2444597A (en) Duck retriever
US2877594A (en) Interchangeable fishing float and sinker
KR200361713Y1 (ko) 부구를 구성한 낚시채비
KR20130119677A (ko) 낚시용 전자 기울찌
CN109221045A (zh) 可调浮力鱼漂
CN204670118U (zh) 智能顺流式网箱
CN213095636U (zh) 可调浮力的自动找底浮漂
KR200494187Y1 (ko) 부력조절 기능이 구비된 낚시찌
CN210671769U (zh) 杠杆浮漂
JP3789626B2 (ja) 釣用水中浮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