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987A - 개량형 봉돌 - Google Patents
개량형 봉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4987A KR20220084987A KR1020210070925A KR20210070925A KR20220084987A KR 20220084987 A KR20220084987 A KR 20220084987A KR 1020210070925 A KR1020210070925 A KR 1020210070925A KR 20210070925 A KR20210070925 A KR 20210070925A KR 20220084987 A KR20220084987 A KR 202200849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wire
- contactor
- fishing
- rubber
- rod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626 alert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낚시용 봉돌(1)은, 중량을 갖으며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h)이 형성되는 몸체(2)와; 몸체(2)의 관통홀(h)에 삽입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강선(3)과; 강선(3)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리(6)와; 강선(3)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몸체(2)의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4)에 접촉하는 접촉자(11)와; 강선(3)상에 결합되어 몸체(2)의 저면에 결합되는 찌고무(7)와; 그리고 강선(3)에 결합되어 찌고무(7)를 고정시키는 고정관(9)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강이나 호수, 해양의 바닥 지형에 적절하게 반응하고, 고기가 입질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하여 고기의 접근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돌은 낚시바늘이 물속에 가라앉도록 낚시줄 끝에 매어다는 작은 쇠덩이를 의미한다.
이러한 봉돌은 바다낚시 또는 민물낚시에 사용되며 부피는 최대한 작으면서 최대한 무거운 재료인 납덩어리로 이루어져 찌, 낚시바늘과 함께 낚시줄에 연결되어 물속에서 찌의 부력과 무게평형을 맞추어 물속에 원하는 위치에 머무르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봉돌은 투척될 때, 봉돌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강이나 호수의 바닥에 단순히 늘어뜨려져서 접촉하게 되는 바, 바닥의 지형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봉돌이 투척되어 바닥에 접촉할 때 소음이나 충격이 발생하거나, 바닥에서 이물질이 부유함으로써 물이 혼탁해져서 근처의 어류가 흩어지게 되므로 어획량이 감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강이나 호수, 해양의 바닥 지형에 적절하게 반응함으로써 낚시를 쉽게 할 수 있는 봉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봉돌 투척시 바닥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소음 혹은 충격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어류의 경계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봉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에 접촉하는 접촉자의 구조를 스프링 형상으로 하거나, 찌고무 등을 삽입함으로써 입질시 발생하는 진동을 증폭시킬 수 있는 봉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는 바, 이러한 낚시용 봉돌은,
중량을 갖으며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h)이 형성되는 몸체(2)와;
몸체(2)의 관통홀(h)에 삽입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강선(3)과;
강선(3)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리(6)와;
강선(3)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몸체(2)의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에 접촉하는 접촉자(11)와;
강선(3)상에 결합되어 몸체(2)의 저면에 결합되는 찌고무(7)와; 그리고
강선(3)에 결합되어 찌고무(7)를 고정시키는 고정관(9)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봉돌의 내부에 강선을 결합하여 강선의 하단이 강, 호수, 해양의 바닥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봉돌이 이끌릴 때 바닥 지형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낚시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강선상에 탄성력을 갖는 찌고무를 삽입함으로써 봉돌이 투척되어 접촉자가 바닥에 충돌할때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대상어들의 경계심을 줄여서 쉽게 낚을 수 있다.
셋째, 찌고무가 탄성력을 갖음으로써 고기 입줄시 발생하는 신호가 증폭됨으로써 고기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넷째, 강선의 하단을 경사면으로 가공함으로써 바닥에 접촉하여 이끌릴 때 바닥에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봉돌이 조류에 의하여 이동하는 경우 소음과 바닷물의 혼탁함을 감소시키고, 또한 보다 정밀하게 바닥지형을 읽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접촉자를 스프링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수직 관통할 필요가 없어서 공정이 간단해지고, 또한 찌고무 정도의 탄력을 구현할 수 있음으로 고기가 입질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스프링에 의하여 증폭되어 낚시줄 및 낚시대를 통하여 전달되므로 사용자는 쉽게 고기의 접근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이 낚시줄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봉돌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봉돌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봉돌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스프링 구조의 접촉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봉돌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봉돌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봉돌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스프링 구조의 접촉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낚시용 봉돌(1)은 중량을 갖으며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h)이 형성되는 몸체(2)와; 몸체(2)의 관통홀(h)에 삽입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강선(3)과; 강선(3)의 상부에 구비되며 핀 도래 핀(13)에 연결되어 낚시줄(17)에 연결되는 고리(6)와; 강선(3)의 하부에 구비되며 몸체(2)의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4)에 접촉하는 접촉자(11)와; 강선(3)상에 결합되어 몸체(2)의 저면에 결합되는 찌고무(7)와; 강선(3)에 결합되어 찌고무(7)를 고정시키는 고정관(9)을 포함한다.
이러한 낚시용 봉돌(1)에 있어서,
몸체(2)는 적절한 중량을 갖도록 통상적인 봉돌(1)의 재료로 형성되는 바, 예를 들면 납 혹은 텅스텐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몸체(2)는 무게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0호, 20호, 30호, 40호, 50호 등 다양한 규격으로 포함한다.
따라서, 30호 봉돌을 수중에 투척하였을 때, 봉돌이 바닥(4)에 닿지 않고 수중에 부유한다면 40호로 변경하여 투척하고, 이 경우에도 바닥(4)에 닿지 않는 다면 50호로 변경하여 투척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2)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h)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관통홀(h)을 통하여 강선(3)이 삽입됨으로써 상하로 배치된다.
이러한 강선(3)의 상부에는 고리(6)가 형성됨으로써 몸체(2)의 관통홀(h) 상부에 걸리게 된다. 이때 고리(6)는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원형 혹은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고리(6)에는 핀 도래 핀(13)이 연결됨으로써 낚시줄(17)에 연결된다. 물론, 핀 도래 핀(13)을 생략하고 낚시줄(17)에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강선(3)상에는 구체(5)가 삽입됨으로써 고리(6)와 몸체(2)의 상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구체(5)는 내측에 홀(h2)이 형성되고, 강선(3)이 이 홀(h2)을 관통함으로써 구체(5)가 강선(3)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강선(3)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탄력성을 갖는 선형 강선(3)일 수도 있고, 강체의 원형봉일 수도 있다. 또한, 강선(3)의 단면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봉돌(1)의 규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강선(3)의 하부에 구비되는 접촉자(11)는 그 하단이 강이나 호수의 바닥 지형(4)에 접촉함으로써 지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접촉자(11)의 하단(12)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바닥지형(4)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반구형상인 경우 바닥(4)과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됨으로써 봉돌이 조류에 의하여 흘러서 이동하거나, 사용자가 낚시대를 당겨서 봉돌이 이동하는 등과 같이 봉돌이 이동하는 경우, 반구형상이 바닥(4)에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게 되므로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고, 또한 이동시 바닥(4)으로부터 부유하는 이물질이 최소화될 수 있어 물이 혼탁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류의 경계심을 완화시킬 수 있다.
물론, 접촉자(11)의 하단이 반구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평면, 경사면 등 다양한 형상으로 가능하다.
그리고, 접촉자(11)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가능하며, 예를 들면 10cm 정도의 길이도 가능하다. 이러한 접촉자(11)의 길이는 수심 혹은 봉돌(1)의 규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찌고무(7)는 강선(3)상에 배치되는 바, 찌고무(7)의 내부에 홀(h3)이 형성됨으로써 강선(3)이 이 홀(h3)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 찌고무(7)는 고무와 같이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봉돌(1)이 수중에 투척되었을 때 접촉자(11)가 바닥(4)에 접촉할 때 충격이 발생하는 바, 이 찌고무(7)가 충력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찌고무(7)는 고정관(9)에 의하여 강선(3)상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관(9)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강선(3)이 이 공간을 관통함으로써 강선(3)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관(9)이 강선(3)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관(9)의 외부면에 외력을 가하여 고정관(9)을 강선(3)상에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고정관(9)은 강선(3)에 고정됨으로써 상측의 찌고무(7)가 강선(3)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기가 입질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찌고무(7)에 의하여 증폭되어 낚시줄 및 낚시대를 통하여 전달되므로 사용자는 쉽게 고기의 접근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봉돌(1)을 이용하여 낚시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먼저, 봉돌(1)의 고리(6)에 핀 도래 핀(13)을 연결함으로써 낚시대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낚시대를 회전시켜서 낚시줄(17)을 강이나 호수에 투척한다. 투척된 봉돌(1)은 일정 거리 날아간 후 수중으로 잠기게 되고, 중량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봉돌(1)의 접촉자(11)가 바닥(4)에 접촉하게 되면 하강이 정지된다. 이때, 접촉자(11)가 바닥(4)에 닿는 순간의 충력은 찌고무(7)에 의하여 흡수된다.
이와 같이 접촉자(11)가 바닥(4)에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낚시대를 당기는 경우, 접촉자(11)가 바닥(4)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바닥(4)의 지형에 따라 기울기가 변동되고, 이러한 변동에 의한 진동은 낚시줄(17)을 따라 낚시대에 전달됨으로써 사용자는 바닥(4)의 지형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바닥(4)의 지형에 따라 적절하게 봉돌(1)을 교환하거나 포인트를 이동하는 등의 대처를 신속하게 함으로써 낚시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봉돌의 다른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봉돌(1)은 몸체(2)를 관통하지 않고 몸체(2)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차이점이 있다.
즉, 몸체(2)의 하부에 일정 깊이로 나사홈(h1)을 형성하고, 이 나사홈(h1)에 접촉자(22)를 나사결합하는 방식이다.
이때, 접촉자(22)는 강체로서 봉형상을 가지며, 그 상단에는 나사산(24)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경사면(23)이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접촉자(22)의 상부를 몸체(2)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홈(h1)에 결합함으로써 몸체(2)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2) 이외의 다른 구성은 전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봉돌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봉돌(1)은 도 3에 도시된 접촉자(22)의 구조를 스프링 형상으로 개량한 차이점이 있다.
즉, 접촉자(22)의 상부(24)는 몸체(2)의 하부에 일정 깊이로 나사체결되고, 하부(23)는 바닥에 접촉할 수 있으며, 중간부(30)에는 스프링(32)이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접촉자(22)는 강체이며, 하부(23)에는 둥근형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사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접촉자(22)의 중간에는 스프링(32)이 배치되며, 다양한 형상의 코일 형상을 갖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촉자(22)의 스프링(32)은 하부(23)가 바닥에 접촉할 때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찌고무 등을 접촉자(22)에 삽입할 필요가 없어서 공정이 간단해지고, 또한 찌고무 정도의 탄력을 구현할 수 있음으로 고기가 입질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스프링에 의하여 증폭되어 낚시줄 및 낚시대를 통하여 전달되므로 사용자는 쉽게 고기의 접근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2) 이외의 다른 구성은 전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Claims (6)
- 중량을 갖으며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h)이 형성되는 몸체(2)와;
몸체(2)의 관통홀(h)에 삽입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강선(3)과;
강선(3)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리(6)와;
강선(3)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몸체(2)의 하부로 돌출되어 바닥(4)에 접촉하는 접촉자(11)와;
강선(3)상에 결합되어 몸체(2)의 저면에 결합되는 찌고무(7)와; 그리고
강선(3)에 결합되어 찌고무(7)를 고정시키는 고정관(9)을 포함하는 낚시용 봉돌(1). - 중량을 갖으며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홀(h)이 형성되는 몸체(2)와;
상부는 몸체(2)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되며 하부는 바닥(4)에 접촉하는 접촉자(11)를 포함하는 낚시용 봉돌(1). - 제 1항에 있어서,
강선(3)은 탄력성을 갖는 선형강체로 형성됨으로써 바닥(4)에 접촉할 때 충격이 전달되는 낚시용 봉돌(1). - 제 1항에 있어서,
접촉자(11)의 하단은 반구형상(12)이 형성됨으로써 바닥(4)의 충격을 전달하는 낚시용 봉돌(1). - 제 1항에 있어서,
찌고무(7)는 탄력성을 갖는 재질이므로 고기 입질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낚시용 봉돌(1). - 제 1항에 있어서,
접촉자(22)의 상부(24)는 몸체(2)의 하부에 일정 깊이로 나사체결되고, 중간부(30)에는 스프링(32)이 배치된 구조를 갖는 낚시용 봉돌(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4563 | 2020-12-14 | ||
KR20200174563 | 2020-12-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4987A true KR20220084987A (ko) | 2022-06-21 |
KR102624084B1 KR102624084B1 (ko) | 2024-01-11 |
Family
ID=8222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0925A KR102624084B1 (ko) | 2020-12-14 | 2021-06-01 | 개량형 봉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4084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9173U (ko) * | 1989-02-28 | 1991-01-29 | ||
KR200166786Y1 (ko) * | 1999-07-16 | 2000-02-15 | 허종우 | 낚시추 |
US6145240A (en) * | 1999-05-20 | 2000-11-14 | Lindy Little Joe, Inc. | Fishing sinker |
US20030019147A1 (en) * | 2001-07-27 | 2003-01-30 | Mojo Lure Co. | Fishing line sinker assemblage |
KR20040088472A (ko) | 2001-12-03 | 2004-10-16 | 신꼬오덴끼가부시끼가이샤 | 리니어 액튜에이터 |
KR101343943B1 (ko) * | 2012-10-24 | 2013-12-20 | 변재만 | 낚시추 조립체 |
KR20190000461U (ko) * | 2017-08-10 | 2019-02-20 | 김화규 | 밑걸림 방지 낚시추 |
-
2021
- 2021-06-01 KR KR1020210070925A patent/KR1026240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9173U (ko) * | 1989-02-28 | 1991-01-29 | ||
US6145240A (en) * | 1999-05-20 | 2000-11-14 | Lindy Little Joe, Inc. | Fishing sinker |
KR200166786Y1 (ko) * | 1999-07-16 | 2000-02-15 | 허종우 | 낚시추 |
US20030019147A1 (en) * | 2001-07-27 | 2003-01-30 | Mojo Lure Co. | Fishing line sinker assemblage |
KR20040088472A (ko) | 2001-12-03 | 2004-10-16 | 신꼬오덴끼가부시끼가이샤 | 리니어 액튜에이터 |
KR101343943B1 (ko) * | 2012-10-24 | 2013-12-20 | 변재만 | 낚시추 조립체 |
KR20190000461U (ko) * | 2017-08-10 | 2019-02-20 | 김화규 | 밑걸림 방지 낚시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4084B1 (ko) | 2024-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10104A (en) | Capsule fishing float | |
US2500078A (en) | Fishing float | |
KR20220084987A (ko) | 개량형 봉돌 | |
KR101551054B1 (ko) | 바닥과 중층 자동 수심 조절찌 | |
JP5813271B1 (ja) | 中通し浮き | |
KR102229119B1 (ko) | 낚시용 찌 | |
CA2349740A1 (en) | Two-stage fishing bobber | |
KR102511226B1 (ko) | 원투 낚시채비 | |
KR200204974Y1 (ko) | 낚시찌 | |
JP3132960U (ja) | 摩擦力を利用した浮 | |
JP2012161299A (ja) | 釣り具 | |
KR200227040Y1 (ko) | 민물 낚시의 구멍 찌 | |
KR200370603Y1 (ko) | 막대형 구멍찌 | |
JPWO2018074067A1 (ja) | 釣り用浮子 | |
CN210432677U (zh) | 一种钓线组 | |
KR200217482Y1 (ko) | 낚시찌 | |
JP2002112684A (ja) | 浮 き | |
KR200308337Y1 (ko) | 낚시용 구멍찌 | |
JP6464334B1 (ja) | 釣り用ウキ | |
JP2010284122A (ja) | 釣り用浮き | |
KR200454793Y1 (ko) | 낚시 채비 | |
KR100375352B1 (ko) | 낚시용 찌 | |
JP3130773U (ja) | 魚信の全方位感知装置 | |
KR200465542Y1 (ko) | 낚시찌용 유동 방지 링 | |
JP2002238422A (ja) | 釣り用浮き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