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919B1 - 낚시용 봉돌 - Google Patents
낚시용 봉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4919B1 KR101534919B1 KR1020130105837A KR20130105837A KR101534919B1 KR 101534919 B1 KR101534919 B1 KR 101534919B1 KR 1020130105837 A KR1020130105837 A KR 1020130105837A KR 20130105837 A KR20130105837 A KR 20130105837A KR 101534919 B1 KR101534919 B1 KR 1015349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buoyancy
- lower body
- fishing
- upper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260 weight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01K95/005—Sinkers not containing lea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낚시용 봉돌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낚시용 봉돌은 내부에 부력조절공간이 형성된 중공부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에는 상부도래가 결합되는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부력조절공간에 삽입결합되며 상기 부력조절공간의 부피가 조절되도록 승하강하며 그 하단부에 하부도래가 결합되는 하부체, 및 상기 상부체 또는 하부체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조절링을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부력과 무게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무게와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낚시줄에 고정되는 낚시용 봉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봉돌은 낚시바늘이 물속에 빨리 가라앉게 하고, 원하는 위치에 머무르게 하는 기능과 함께 물속에서 찌의 부력과 무게 평형을 맞추어 물고기의 어신을 찌에 전달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낚시용 봉돌은 대부분 중량체인 몸체의 상부에 낚시대의 낚시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마련되고, 몸체의 하부에 낚시바늘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마련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낚시용 봉돌은 부피는 최대한 작으면서 최대한 무거운 재료를 사용해야 하므로 주로 납을 사용하고 있고,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 평형을 맞추기 위해 몸체의 일부를 절단도구로 잘라내어 봉돌의 전체의 무게를 줄이거나 별도의 중량 추가부재를 부착하여 봉돌의 전체 무게를 늘이는 방법으로 무게 평형을 맞춰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납 재질의 낚시용 봉돌을 사용하는 경우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 평형을 맞추고 난 후에 물속에 버려지는 납 부스러기와 물속에서 이탈되는 중량 추가부재의 유해한 성분에 의해 환경오염이 유발되어 어족자원이나 수생식물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납 재질이 아닌 다른 재질의 몸체에 분해 가능한 무게 조절링을 분해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전체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봉돌이나 부력 조절을 통해 찌의 부력과의 무게 평형을 조절하는 낚시용 봉돌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52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462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제1 고리가 구비되며 금속으로 구비된 제1 봉돌과, 하단부에 제2 고리가 구비되며 금속으로 구비된 제2봉돌, 및 상기 제1,2 봉돌을 서로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봉돌과 상기 제2 봉돌의 사이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봉돌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봉돌은 무게조절부재의 설치여부, 무게조절부재의 설치개수, 무게조절부재의 무게를 조절하여 찌의 부력과 봉돌의 무게평형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수질과 어족자원이 오염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2는 외면에 설치되는 낚시줄을 묶을 수 있도록 된 고리와, 일면이 막힌 원통형 중공부의 내주연에 나선부를 갖춘 몸체와; 외면에 설치되는 낚시줄을 묶을 수 있도록 된 고리와, 이 몸체의 나선부와 나합되는 나선부를 갖추고서, 내부에 비중이 큰 금속이 플라스틱에 의해 내장되는 추로 이루어지되, 상기 나선부와 나선부의 결합은 중공부에 유입된 공기가 수압에 의해 빠져나오지 않도록 정밀한 결합이 되도록 제작되는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추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낚시용 추는 나선부의 조절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절될 수 있음으로 해서 추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납과 같은 중금속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추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추로서 납으로 된 다수의 추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봉돌은 전체의 무게만을 조절하거나 부력만을 조절할 수 있을 뿐이어서 찌의 부력과 낚시용 봉돌의 무게 평형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차적으로 전체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2차적으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찌의 부력과의 무게 평형을 간단한 구성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봉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낚시용 봉돌은 내부에 부력조절공간이 형성된 중공부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에는 상부도래가 결합되는 상부체와, 상기 상부체의 부력조절공간에 삽입결합되며 상기 부력조절공간의 부피가 조절되도록 승하강하며 그 하단부에 하부도래가 결합되는 하부체, 및 상기 상부체 또는 하부체에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게조절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력조절공간은 그 내주연에 암나사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체의 외주연에는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체는 상기 상부체의 부력조절공간과 나사결합에 의하여 승하강하도록 동작된다.
또한, 하부체는 상기 상부체의 암나사홈과 나사결합되도록 그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된 하부체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무게조절링은 상기 하부체 수나사부의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체의 외주 하단부 둘레에 파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의 상단에 와셔형상의 무게조절링이 착탈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낚시용 봉돌에 의하면 무게 조절링을 추가하거나 삭제하여 1차적으로 찌의 부력과 낚시용 봉돌의 무게 평형을 맞춘 다음 부력조절공간의 실질 부피를 조절하여 2차적으로 찌의 부력과 낚시용 봉돌의 무게 평형을 미세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물고기의 포획율을 높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되어 낚시용 봉돌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분해 종단면도
도 3은 결합상태에서 상부체의 부력조절공간의 실질 부피를 증가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상부체의 부력조절공간의 실질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봉돌의 종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게조절링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분해 종단면도
도 3은 결합상태에서 상부체의 부력조절공간의 실질 부피를 증가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상부체의 부력조절공간의 실질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봉돌의 종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게조절링의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분해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봉돌은 부력조절이 가능한 상부체(130), 하부체(120), 하부체에 분리/체결되게 구성되는 무게조절링(140)과, 상부체에 결합되는 상부도래(110), 그리고 하부체에 결합되는 하부도래(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부체(130)는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에 부력조절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중공형의 캡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부체의 상단부에는 상부도래(110)가 결합되는 상부 수나사부(134)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부체(130)는 내부에 중공형의 부력조절공간(132)을 형성하고, 부력조절공간의 상부는 밀폐된 캡형상으로 구성되어 하부체와 결합되어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부체(130)의 중공형의 하부 내주연에는 암나사홈(131)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하부체 수나사부(123)가 나사 결합되어 승하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중공의 부피를 조절하고, 결국 부력조절공간(132)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중공 부분이 실제 부력을 조절하기 위한 부력조절공간(132)으로 동작하며, 상부체(130)에 결합되는 하부체(120)와의 결합정도에 따라 부력조절공간(132)의 부피가 변화게 되어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부체(130)의 상단부에는 낚시줄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상부도래(110)가 결속될 수 있는 상부 수나사부(134)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체(130)의 부력조절공간(132)으로 부력을 조절하고, 하부체(120)에 결합된 무게조절링(140)으로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체(120)는 상부체 암나사홈(131)과 나사결합되도록 그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된 하부체 수나사부(123)가 형성되고, 하부체의 하단부에는 하부도래(150)가 분해/결합되는 하부 수나사부(124)가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체(130)와 나사 결합되어 승하강하는 하부체(120)의 동작에 의하여 상부체(130)의 중공의 하단부와 하부체(120)의 상단 부분이 생성하는 부력조절공간(132)이 변하게 되어 부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술한 상부도래(110)와 상부체(130)의 결합, 상부체(130)와 하부체(120)의 결합, 그리고 하부체(120)와 하부도래(150)의 결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나사 결합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방식의 일례를 제시한 것으로, 나사 결합방식에 국한하지 않고 분해/결합될 수 있는 결합방식이면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하부체(120)는 봉돌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무게 조절링(140)을 하부체(120)의 외주연에 손쉽게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한다.
즉, 다양한 무게조절링(140)을 착탈하게 함으로써 봉돌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무게 조절링(140)은 종래의 복잡한 구성으로부터 보다 간단하게 봉돌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와셔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하부체(120)에 손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 7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게조절링의 예시도를 참고하면, (a)도면과 같이 와셔의 일단이 절개된 형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b)도면과 같이 원형 형상의 와셔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부력조절공간의 크기에 따라 상부체(130)와 하부체(120)는 각각 유동되게 움직이므로,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필요가 있다.
즉, 도 6을 참고하면, 하부체 수나사부(123)의 외주 상부 둘레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밀폐링(126)을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물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체(120)의 외주 하단부 둘레에는 파지부(122)를 구성함으로써, 상부체(130)와 나사결합되는 하부체(120)가 손쉽게 승하강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파지부(122)의 외부 표면은 미끄럼방지를 위하여 널링(KNURLING)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체(130)와 하부체(120)가 최소 결합된 상태에서 한 손으로 상부체(13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하부체(120)의 파지부(122)를 계속 결합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체(120)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승된 하부체(120)는 결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무게조절링(140)은 하부체(120)의 파지부(122)의 상부에 결합되고, 무게조절링(140)의 설치여부, 설치개수, 무게를 통해 전체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낚시용 봉돌은 무게조절링(140)을 설치하지 않았을 때에 가장 가볍게 되고, 설치개수가 많을수록, 또 무게조절링(140)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낚시용 봉돌의 전체 무게는 무거워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봉돌은 무게조절링(140)을 통해 전체 무게를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부체(130)에 마련된 부력조절공간(132)의 실질 부피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부력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과 같이 하부체(120)를 상부체(130)에 최소 결합한 상태에서 상부체(130)를 고정하고 하부체(120)의 파지부(122)를 잡고 결합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하부체(120)가 상승하게 되며, 그에 따라 도 4와 같이 상부체(130)의 부력조절공간(132)의 실질 부피가 줄어들게 되면서 부력도 작아지게 된다.
도 4와 같이 상부체(130)의 부력조절공간(113)의 실질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에서 상부체(130)를 고정하고 하부체(120)를 결합방향과 반대방향(분리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하부체(120)가 하강하여 상부체(110)의 부력조절공간(132)의 실질 부피가 커지게 되면서 부력도 커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봉돌은 간단한 구성으로 무게와 부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찌의 부력과 낚시용 봉돌의 무게 평형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부체(130)의 상부 수나사부(134)와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상부도래(110)와 하부체(120)의 하부 수나사부(124)와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하부도래(150)는 몸체의 내부를 중공으로 형성하고 중공의 내주연에는 암나사산을 형성하여 각각 수나사부(134,124)와 나사 결합된다.
또한, 상부도래(110)의 상단부와 하부도래(150)의 하단부에는 낚시줄과 결합되는 고리부(114,154)가 각각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낚시줄 연결 시 낚시줄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봉돌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봉돌을 사용할 때는 상부체(130)과 하부체(120)에 각각 상부도래(110)와 하부도래(150)를 결합한 다음, 하부체(120)에 적절한 무게의 무게조절링(140)을 결합한 다음, 상부체(130)과 하부체(120)를 결합하고, 부력조절공간(132)을 조절한 다음, 상부고리(110)의 고리부(114)에 낚시줄(통상 원줄)을 연결하고, 하부고리(150)의 고리부(154)에 또 다른 낚시줄(통상 목줄)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 상부도래 120 : 하부체
130 : 상부체 132 : 부력조절공간
140 : 무게조절링 150 : 하부도래
130 : 상부체 132 : 부력조절공간
140 : 무게조절링 150 : 하부도래
Claims (4)
- 삭제
- 삭제
- 삭제
- 내주연에 암나사홈을 형성한 부력조절공간이 형성된 중공부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에는 상부도래가 결합되는 상부체;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되고 그 외주연에는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부력조절공간의 암나사홈과 나사결합에 의하여 승하강하도록 동작되어 상기 부력조절공간의 부피가 조절되도록 동작되며 그 하단부에 하부도래가 결합되는 하부체;
상기 하부체의 외주 하단부 둘레에 형성되며 널링(knurling)가공된 파지부;
상기 하부체 수나사부의 상부 둘레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 밀폐링;및
상기 하부체의 파지부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셔형상의 무게조절링;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의 부력조절공간으로 부력을 조절하고, 하부체에 결합된 무게조절링으로 무게를 조절하는 낚시용 봉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5837A KR101534919B1 (ko) | 2013-09-04 | 2013-09-04 | 낚시용 봉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5837A KR101534919B1 (ko) | 2013-09-04 | 2013-09-04 | 낚시용 봉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7471A KR20150027471A (ko) | 2015-03-12 |
KR101534919B1 true KR101534919B1 (ko) | 2015-07-07 |
Family
ID=5302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5837A KR101534919B1 (ko) | 2013-09-04 | 2013-09-04 | 낚시용 봉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491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6463B1 (ko) * | 2008-12-09 | 2011-07-04 | 전재훈 |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조립체 |
KR20120001084U (ko) * | 2010-08-06 | 2012-02-15 | 홍명표 | 공기를 이용한 부력조절 낚시 추 |
-
2013
- 2013-09-04 KR KR1020130105837A patent/KR1015349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6463B1 (ko) * | 2008-12-09 | 2011-07-04 | 전재훈 | 무게조절이 가능한 낚시추 조립체 |
KR20120001084U (ko) * | 2010-08-06 | 2012-02-15 | 홍명표 | 공기를 이용한 부력조절 낚시 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7471A (ko) | 2015-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39921A (ko) | 올림 낚시용 추 | |
KR101492326B1 (ko) | 낚시용 봉돌 | |
KR101457175B1 (ko) | 낚시용 봉돌 | |
KR101534919B1 (ko) | 낚시용 봉돌 | |
KR200484700Y1 (ko) | 정밀한 부력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 |
CN205830850U (zh) | 分段式可充气钓鱼浮漂 | |
KR20090013465A (ko) | 낚시 채비 | |
US2952937A (en) | Fishing tackle | |
CN207151678U (zh) | 一种自动钓鱼浮漂 | |
KR101556764B1 (ko) | 낚시용 채비 | |
JP5889482B2 (ja) | 浮力調節体が空気中に位置する浮力調節浮子 | |
KR20160003565U (ko) | 낚시용 봉돌 | |
KR101457174B1 (ko) | 낚시용 봉돌 | |
US20120073183A1 (en) | Adaptable Fishing Float | |
CN208273927U (zh) | 一种钓浮自动钓鱼器 | |
KR20160002384U (ko) | 하중 가변형 낚시채비 | |
KR200476992Y1 (ko) | 낚시채비용 미세 부력 조절추 | |
KR20140130396A (ko) | 낚시추 조립체용 장착홀더 | |
KR101453650B1 (ko) | 낚시용 봉돌 | |
US3011285A (en) | Fishing bobbers | |
KR20200144949A (ko) | 어신의 민감도를 세밀하게 조정가능한 낚시 채비 | |
CN207322440U (zh) | 一种高强度、高弯曲性的多节鱼竿 | |
CN205547063U (zh) | 钓饵自动连续动态逗鱼的装置 | |
CN207574336U (zh) | 一种钓鱼浮漂 | |
KR20160127909A (ko) | 부력조절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