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764B1 - 낚시용 채비 - Google Patents

낚시용 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764B1
KR101556764B1 KR1020130113190A KR20130113190A KR101556764B1 KR 101556764 B1 KR101556764 B1 KR 101556764B1 KR 1020130113190 A KR1020130113190 A KR 1020130113190A KR 20130113190 A KR20130113190 A KR 20130113190A KR 101556764 B1 KR101556764 B1 KR 101556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rod
fishing
buoyancy
weight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794A (ko
Inventor
오세호
Original Assignee
오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호 filed Critical 오세호
Publication of KR20150008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줄을 그대로 유지한 채 중량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채비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낚시용 채비는, 제1 낚싯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낚싯줄 또는 제1 낚싯바늘에 연결되는 낚시용 채비로, 상기 제1 낚싯줄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구비되는 무게 부재; 및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무게 부재를 나사 결합시키는 제1 나사 결합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나사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연결 부재 중 상기 무게 부재에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제1 수나사부; 및 상기 제1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무게 부재에 구비되는 제1 암나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채비{Fishing tool}
본 발명은 루어나 날(생) 미끼를 원하는 바닥 포인트까지 운반하는 싱커(sinker)와, 물고기의 입질을 눈으로 확인 하기 위해 낚싯줄에 매달아 물에 띄우는 찌와, 인조 미끼인 루어(lure)를 겸할 수 있는 낚시용 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는 물고기를 잡는 행위를 일컫는 말로, 장소에 따라 민물낚시와 바다낚시로 나눌 수 있고, 방법에 따라 대낚시, 릴낚시, 견지낚시, 루어낚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낚시를 위한 기본 채비로는 낚싯대, 릴, 낚싯줄, 찌, 싱커(sinker), 루어(lure), 날 미끼 등이 있다.
이 중, 싱커(일명, 봉돌, 추)는 낚싯줄에 매다는 중력체로, 루어나 날 미끼를 원하는 바닥 포인트까지 운반하고, 물 속에서는 찌의 부력과 무게평형을 맞추어 물고기의 어신(漁信; 물고기가 미끼를 물 때 움직이는 찌나 낚싯대의 반응)을 정확하게 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루어는 지렁이 등 날 미끼가 아닌 인조 미끼를 말하며, 스푼(spoon)처럼 생긴 스푼루어, 윗 부분에 작은 회전날개가 달린 형태의 스피너루어, 낚싯바늘의 머리에 납덩이를 달아 깊이 가라앉힐 수 있도록 만들어진 지그, 그리고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진 소프트 베이트 등으로 세분화된다.
하지만, 종래의 싱커는 중량 단위로 개별적 완제되어 공급되므로, 일단 낚싯줄에 매달면 중량 조절을 할 수 없고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싱커가 매달린 낚싯줄을 끊고 중량이 맞는 새로운 싱커를 낚싯줄에 매달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싱커는 통상 원형의 구 또는 타원형의 럭비공 형상을 하므로 입질이 와서 낚싯줄을 당길 경우 바닥의 틈새에 걸리는 밑걸림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싱커는 찌와 루어를 겸할 수 없어 찌, 루어, 싱커를 개별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낚싯줄을 끊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 채 중량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채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밑걸림을 최소화할 있는 낚시용 채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싱커, 루어, 찌를 겸할 수 있는 낚시용 채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제1 낚싯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낚싯줄 또는 제1 낚싯바늘에 연결되는 낚시용 채비로, 상기 제1 낚싯줄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구비되는 무게 부재; 및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무게 부재를 나사 결합시키는 제1 나사 결합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나사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연결 부재 중 상기 무게 부재에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제1 수나사부; 및 상기 제1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무게 부재에 구비되는 제1 암나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나사부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에서 돌출되어 그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거나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요입되어 그 내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제1 암나사부는, 상기 제1 수나사부가 상기 제1 연결 부재에서 돌출된 형태일 경우 상기 무게 부재에 요입되어 그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제1 수나사부가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요입된 형태일 경우 상기 무게 부재에서 돌출되어 그 외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무게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막대 형상의 중간 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로드는 제2 나사 결합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무게 부재 사이에 나사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 나사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중간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2 암나사부; 및 상기 제1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중간 로드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 수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상기 중간 로드에 구비되어 부력을 가하는 부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력 부재에는 장착홈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간 로드는 상기 장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력 부재는 미리 정해진 형태 또는 색깔로 제공되어 인공 미끼인 루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무게 부재를 통해 중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부력 부재를 통해 부력을 감소시켜 싱커 역할을 수행하거나, 상기 무게 부재를 통해 중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부력 부재를 통해 부력을 증가시켜 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게 부재의 말단에는 상기 제2 낚싯줄 또는 상기 제1 낚싯바늘이 연결되도록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제1 낚싯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낚싯줄 또는 제1 낚싯바늘에 연결되는 낚시용 채비로, 상기 제1 낚싯줄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중간 로드; 상기 중간 로드에 삽입되어 부력을 가하는 부력 부재; 상기 중간 로드에 삽입되는 가는 가감형 무게 부재; 및 상기 중간 로드의 말단에 나사 결합되는 제2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감형 무게 부재의 중심에는 상기 중간 로드에 삽입되기 위한 통과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외경은 상기 중간 로드의 외경 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제2 낚싯줄 또는 상기 제1 낚싯바늘이 연결되도록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제1 낚싯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낚싯줄 또는 제1 낚싯바늘에 연결되는 낚시용 채비로, 상기 제1 낚싯줄에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중간 로드; 상기 중간 로드에 삽입되어 부력을 가하는 부력 부재; 및 상기 중간 로드의 말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제1 낚싯줄을 연결하는 제1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무게 부재의 말단에는 상기 제2 낚싯줄 또는 상기 제1 낚싯바늘을 연결하는 제2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로드와 상기 무게 부재는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낚시용 채비로, 막대 형상의 중간 로드; 및 상기 중간 로드에 구비되어 부력을 증감시키는 부력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부력 조절 유닛은, 상기 중간 로드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실린더 부재; 상기 중간 로드에 관통되어 상기 실린더 부재의 일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 부재; 및 상기 중간 로드에 관통되어 상기 실린더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캡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피스톤 부재가 상기 중간 로드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실린더 부재의 내부 공기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부력을 증감시킬 수 있다.
상기 피스톤 부재 또는 상기 캡 부재는 물 속에서 부상이 가능한 부력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캡 부재는 물 솔에서 부상이 가능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캡 부재는 상기 실린더 부재의 타단에 삽입되어 압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캡 부재는 물속에서 부상이 가능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캡 부재와 상기 실린더 부재는 서로 나사 결합되어 압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낚싯줄에 연결되는 낚시용 채비로, 상기 낚싯줄에 연결되는 고리; 상기 고리에 일단이 구비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에 구비되어 다른 부재를 나사 결합시키는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연결 부재에서 돌출되어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상기 연결 부재에 요입되어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연결 부재, 무게 부재 및 제1 나사 결합 유닛을 포함하므로, 낚싯줄을 그대로 유지한 제1 나사 결합 유닛을 통해 무게 부재를 제1 연결 부재로부터 풀거나 다시 조이면서 원하는 중량의 무게 부재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중량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중량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무게 부재를 나사 결합을 통한 연이은 결합 방식으로 원하는 중량으로의 조절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막대 형상의 중간 로드가 제1 연결 부재와 무게 부재 사이에 구비되므로 중간 로드로 인해 낚시용 채비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낚시용 채비가 바닥의 틈에 걸리는 밑걸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부력 부재가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색깔로 제공되어 인공 미끼인 루어 역할을 수행하거나, 무게 부재를 통해 중량을 증가시키고 부력 부재를 통해 부력을 감소시켜 싱커 역할을 수행하거나, 무게 부재를 통해 중량을 감소시키고 부력 부재를 통해 부력을 증가시켜 찌 역할을 수행하는 등, 하나의 낚시용 채비로 루어, 싱커, 찌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부력 조절 유닛이 제공되므로, 별도의 부력 부재의 교체 없이, 자체 내에서 피스톤 방식으로 공기량을 조절하면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낚시용 채비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낚시용 채비에 중간 로드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4a는 도 3의 낚시용 채비에 부력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낚시용 채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b의 낚시용 채비가 싱커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b의 낚시용 채비에서 무게 부재를 상대적으로 가벼운 다른 무게 부재로 교체하여 루어로 사용되는 상태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b의 낚시용 채비에서 무게 부재를 상대적으로 가벼운 다른 무게 부재로 교체하여 찌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낚시용 채비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낚시용 채비 중 실린더 부재와 캡 부재의 다른 결합 방식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를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낚시용 채비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낚싯줄(13)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낚싯줄(도 5의 12) 또는 제1 낚싯바늘(미도시)에 연결되는 낚시용 채비로, 제1 연결 부재(210)와, 무게 부재(220)와, 그리고 제1 나사 결합 유닛(230)을 포함한다.
제1 연결 부재(210)는 제1 낚싯줄(13)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1 낚싯줄(13)에 연결되는 부위에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연결 부재(21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통 형상 등을 할 수 있다.
무게 부재(220)는 제1 연결 부재(210)에 구비되는 것으로, 낚싯바늘 등이 물 속으로 가라 않도록 봉돌 역할을 한다(도 5 참조). 특히, 무게 부재(220)는 다양한 중량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원하는 중량의 무게 부재(220)를 제1 연결 부재(21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나사 결합 유닛(230)은 제1 연결 부재(210)와 무게 부재(220)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으로, 제1 수나사부(231)와 제1 암나사부(232)를 포함한다. 제1 수나사부(231)는 제1 연결 부재(210) 중 무게 부재(220)에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되고, 제1 암나사부(232)는 제1 수나사부(231)에 나사 결합되도록 무게 부재(220)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나사부(231)는 제1 연결 부재(210)에서 돌출되어 그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암나사부(232)는 무게 부재(220)에 요입되어 그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나사부(231)를 제1 암나사부(232)에 일치시킨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수나사부(231)가 제1 암나사부(232)에 나사 결합되면서 점진적으로 제1 암나사부(232)에 삽입 고정되고,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수나사부(231)가 제1 암나사부(232)에서 풀리면서 점진적으로 제1 암나사부(232)로부터 빠져 분리된다.
따라서, 제1 수나사부(231)에 제1 암나사부(232)가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무게 부재(220)를 제1 연결 부재(2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특히, 낚싯줄을 그대로 유지한 제1 나사 결합 유닛(230)을 통해 무게 부재(220)를 제1 연결 부재(210)로부터 풀거나 다시 조이면서 원하는 중량의 무게 부재(220)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중량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중량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무게 부재를 나사 결합을 통한 연이은 결합 방식으로 원하는 중량으로의 조절도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낚시용 채비에 중간 로드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로드(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로드(240)는 막대 형상을 하며, 제1 연결 부재(210)와 무게 부재(2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로드(240)로 인해 본 발명의 낚시용 채비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므로 낚시용 채비가 바닥의 틈에 걸리는 밑걸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도 5 참조). 부연 하면, 중간 로드(240)로 인해 낚시용 채비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면 낚시용 채비가 바닥에 누워도 기복이 심한 암초, 암반의 거친 지형에 빠지지 않고 길게 걸쳐지므로 밑걸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중간 로드(240)는 제2 나사 결합 유닛(250)을 통해 제1 연결 부재(210)와 무게 부재(220) 사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나사 결합 유닛(2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암나사부(251)와 제2 수나사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암나사부(251)는 제1 수나사부(231)와 나사 결합되도록 중간 로드(24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나사부(252)는 제1 암나사부(232)와 나사 결합되도록 중간 로드(240)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나사부(231)에 제2 암나사부(251)가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중간 로드(240)를 제1 연결 부재(210)에 결합시킬 수 있고, 제1 암나사부(232)에 제2 수나사부(252)가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중간 로드(240)를 무게 부재(220)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낚싯줄을 끊지 않고 낚싯줄을 그대로 유지한 제1 및 제2 나사 결합 유닛(230)(250)을 통해 제1 연결 부재(210), 중간 로드(240) 및 무게 부재(220)를 결합시킬 수 있고, 제1 연결 부재(210), 중간 로드(240) 및 무게 부재(220)와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는 도 3의 낚시용 채비에 부력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낚시용 채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력 부재(260)는 중간 로드(240)에 구비되어 부력을 가하는 것으로, 발포실리콘(일명, "실리콘스폰지"라 하고, 내부에 다수의 기포가 형성되어 물에 뜰 수 있는 실리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스티로폼 또는 물에 뜨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로드(240)의 상반부에는 부력 부재(260)가 중간 로드(240)의 하반부에는 무게 부재(220)가 위치되므로, 부력 부재(260)에 의해 중간 로드(240)의 상반부는 물 위로 향하려고 하고, 무게 부재(220)에 의해 중간 로드(240)의 하반부는 물 속으로 가라 앉으려고 함에 따라, 본 발명의 낚시용 채비는 수중 바닥에 착지하는 순간 수직 기립하려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수직 기립하려는 특성으로 인해 낚시용 채비가 당겨질 때에도 대략 50도 내지 60도 각도로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도 5 참조)로 이동하게 되므로 모든 낚시의 고질적인 밑걸림 문제를 거의 막을 수 있다. 부연 하면, 낚시용 채비의 수직 기립의 특성으로 물 속 바위에 패각이 덮이거나 요철이 심해도 낚시용 채비가 당겨질 때 대략 50도 내지 60도 각도를 유지한 채 부드럽게 끌어 올려지고, 필요시 낚시대(미도시)를 살짝만 올려줘도 낚시용 채비가 바닥에서 가볍게 솟구치며 기복이 심한 지형을 타고 넘을 수도 있다.
나아가, 부력 부재(260)에는 장착홈(261)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중간 로드(240)는 이 장착홈(26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210)에 중간 로드(240)를 나사 결합시키기 전에 부력 부재(260)의 장착홈(261)을 중간 로드(240)의 선단에 위치시켜 장착홈(261)을 통해 부력 부재(260)를 중간 로드(240)에 삽입시키면 된다. 물론, 제1 연결 부재(210)가 중간 로드(240)와 유사하게 막대 형상을 갖는다면, 부력 부재(260)의 장착홈(361)을 제1 연결 부재(210)에 삽입한 후 부력 부재(260)를 중간 로드(240)까지 밀어 넣을 수도 있다. 특히, 부력 부재(260)는 자체 탄성을 가지므로 삽입 후 중간 로드(240)에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도 4b 참조). 부력 부재(260)를 뺄 때는 제1 연결 부재(210)를 먼저 중간 로드(240)에서 풀어 낸 후 부력 부재(260)를 손을 당기면 분리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원하는 부력을 갖는 부력 부재(26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부력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부력 부재를 연이어 삽입하여 원하는 부력으로의 조절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무게 부재(220)의 말단에는 제2 낚싯줄(도 5의 12) 또는 제1 낚싯바늘(미도시)이 연결되도록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4b의 낚시용 채비가 싱커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싱커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무게 부재(220)를 통해 중량을 증가시키고 부력 부재(260)를 통해 부력을 감소시켜 싱커(sinker)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부력 부재(260)의 부력은 낚시용 채비가 수직 기립이 가능할 수 있을 정도이어야 할 것이다.
다른 한편, 도 6은 도 4b의 낚시용 채비에서 무게 부재를 상대적으로 가벼운 다른 무게 부재로 교체하여 루어로 사용되는 상태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루어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력 부재(260)는 미리 정해진 형태 또는 색깔로 제공되어 인공 미끼인 루어(lure)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형태 또는 색깔'은 인공 미끼인 루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무게 부재(220)를 통해 중량을 감소시켜 부력 부재(260)가 물 속에서 유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부연 하면, 현장 상황의 낚시 대상 어(漁)에 맞춰 부력 부재(260)의 크기, 형태, 색깔 등을 선택하고, 무게 부재(220) 및 부력 부재(260)를 통해 각각 무게와 부력을 조절하여 낚시용 채비를 물에 뜨는 타입의 루어로 사용하거나, 서서히 잠기는 무중력 타입의 루어로 사용하거나, 가라 앉는 타입의 루어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7은 도 4b의 낚시용 채비에서 무게 부재를 상대적으로 가벼운 다른 무게 부재로 교체하여 찌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찌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무게 부재(220)를 통해 중량을 감소시키고 부력 부재(260)를 통해 부력을 증가시켜 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부력 부재(260)의 부력은 낚시용 채비가 수면에 뜰 수 있을 정도로 조절하면 될 것이고, 특히, 물고기의 어신(漁信; 물고기가 미끼를 물 때 꿈틀 하는 찌나 낚싯대의 반응)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대상 어(漁)가 물었을 때 낚시용 채비가 물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이에 맞는 부력으로 조절하면 될 것이다. 나아가, 무게 부재(220)의 중량은 낚시용 채비가 물 위에 기립할 수 있을 정도로 조절하면 될 것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낚싯줄(도 5의 13 참조)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낚싯줄(도 5의 13 참조) 또는 제1 낚싯바늘(미도시)에 연결되는 낚시용 채비로, 제1 연결 부재(210)와, 중간 로드(240)와, 부력 부재(260)와, 가감형 무게 부재(222)와, 제2 연결 부재(270)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부재(210), 중간 로드(240), 부력 부재(26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복수의 무게 부재(222)와 제2 연결 부재(270) 위주로 설명한다.
가감형 무게 부재(222)는 중간 로드(240)에 삽입되는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감형 무게 부재(222)의 중심에는 통과공(222a)이 형성되어, 이 통과공(222a)을 통해 중간 로드(240)에 거의 면 접촉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특히, 가감형 무게 부재(222)를 복수로 삽입시켜 무게를 증가시킬 수도 있고, 그 수를 줄여 무게를 줄일 수도 있다.
이렇게 삽입이 완료되면 제2 연결 부재(270)는 중간 로드(240)의 말단에 구비된 상술한 제2 수나사부(25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수나사부(252)와 나사 결합되기 위해 제2 연결 부재(270)의 선단에는 제3 암나사부(28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중간 로드(240)에 삽입된 가감형 무게 무재(222)가 빠지지 않도록 제2 연결부(270)의 외경은 중간 로드(240)의 외경보다 크게 설계될 수 있다.
제2 연결 부재(270)는 말단 캡(cap)의 역할 뿐만 아니라 무게 부재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연결 부재(270)에는 제2 낚싯줄(도 5의 12 참조) 또는 제1 낚싯바늘(미도시)이 연결되도록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사 결합 유닛(1230)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나사 결합 유닛(1230)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사 결합 유닛(1230)은, 제1 연결 부재(1210)와 무게 부재(1220)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으로, 제1 수나사부(1231)와 제1 암나사부(1232)를 포함한다. 제1 수나사부(1231)는 제1 연결 부재(1210) 중 무게 부재(1220)에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되고, 제1 암나사부(1232)는 제1 수나사부(1231)에 나사 결합되도록 무게 부재(122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수나사부(1231)는 제1 연결 부재(1210)에 요입되어 그 내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암나사부(1232)는 무게 부재(1220)에서 돌출되어 그 외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나사부(1231)를 제1 암나사부(1232)에 일치시킨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암나사부(1232)가 제1 수나사부(1231)에 나사 결합되면서 점진적으로 제1 수나사부(1231)에 삽입 고정되고,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암나사부(1232)가 제1 수나사부(1231)에서 풀리면서 점진적으로 제1 수나사부(1231)로부터 빠져 분리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낚싯줄(도 5의 13 참조)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낚싯줄(도 5의 12 참조) 또는 제1 낚싯바늘(미도시)에 연결되는 낚시용 채비로, 중간 로드(2240)와, 부력 부재(260)와, 그리고 무게 부재(22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부재(도 4의 210 참조)가 삭제되고 중간 부재(2240)에 직접 고리(2241))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변경된 부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중간 로드(2240)는 막대 형상을 하며 제1 낚싯줄(도 5의 13 참조)이 이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 로드(2240)의 선단에는 제1 낚싯줄(도 5의 13 참조)을 연결하는 제1 고리(2241)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중간 로드(2240)로 인해 본 발명의 낚시용 채비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므로 낚시용 채비가 바닥의 틈에 걸리는 밑걸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도 5 참조).
무게 부재(220)는 중간 로드(2240)의 말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무게 부재(220)와 중간 로드(2240)는 나사 결합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무게 부재(220)의 말단에는 제2 낚싯줄(도 5의 12 참조) 또는 제1 낚싯바늘(미도시)을 연결하는 제2 고리(2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를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낚시용 채비의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낚시용 채비 중 실린더 부재와 캡 부재의 다른 결합 방식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부재(도 4의 260) 대신 부력 조절 유닛(3260)을 채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부력 조절 유닛(3260) 위주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부력 조절 유닛(3260)은 막대 형상의 중간 로드(240)에 구비되어 부력을 증감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부력 조절 유닛(326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부재(3261)와, 피스톤 부재(3262)와, 그리고 캡 부재(326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부재(3261)(cylinder member)는, 말 그대로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는 부재로, 중간 로드(240)에 그 중공부가 관통되어 구비된다. 나아가, 실린더 부재(3261)는 피스톤 부재(3262)가 슬라이딩되는 동안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스톤 부재(3262)(piston member)는 중간 로드(240)에 관통되며 실린더 부재(3261)의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그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나아가, 부력 조절 유닛(3260)에 의해 부력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소정의 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피스톤 부재(3262)는 물 속에서 부상이 가능한 부력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피스톤 부재(3262)실린더 부재(3261)와의 사이에 밀봉력을 높이기 위해 탄성을 겸하는 부력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을 겸하는 부력 재질로는 발포실리콘(일명, "실리콘스폰지"라 하고, 내부에 다수의 기포가 형성되어 있어 물에 뜰 수 있는 실리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스티로폼 또는 물에 뜨는 플라스틱 등이 있을 수 있다.
캡 부재(3263)(cap member)는 중간 로드(240)에 관통되며 실린더 부재(3261)의 타단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나아가, 부력 조절 유닛(3260)에 의해 부력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소정의 부력을 가질 수 있도록, 캡 부재(3263)는 물 속에서 부상이 가능한 부력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캡 부재(3263)는 실린더 부재(3261)와의 사이에 밀봉력을 높이기 위해 피스톤 부재(3262)와 같이 탄성을 겸하는 부력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캡 부재(326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부재(3261)의 타단에 삽입되어 압착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부재(4263)와 실린더 부재(4261)는 서로 나사 결합되어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캡 부재(3263)를 빼거나 캡 부재(3263)와 실린더 부재(3261) 사이에 공기 틈을 준 상태에서 중간 로드(240)를 따라 피스톤 부재(3262) 이동시키면서 실린더 부재(3261)의 내부 공기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부력을 증감시킬 수 있다. 즉, 도 11을 기준으로 피스톤 부재(3262)가 상향 이동되면 실린더 부재(3261)의 내부 공기량이 줄어들어 부력이 감소되고, 피스톤 부재(3262)가 하향 이동되면 실린더 부재(3261)의 내부 공기량이 많아져 부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낚시용 채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1 연결 부재(210), 무게 부재(220) 및 제1 나사 결합 유닛(230)을 포함하므로, 낚싯줄을 그대로 유지한 제1 나사 결합 유닛(230)을 통해 무게 부재(220)를 제1 연결 부재(210)로부터 풀거나 다시 조이면서 원하는 중량의 무게 부재(220)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중량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중량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무게 부재를 나사 결합을 통한 연이은 결합 방식으로 원하는 중량으로의 조절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막대 형상의 중간 로드(240)가 제1 연결 부재(210)와 무게 부재(220) 사이에 구비되므로 중간 로드(240)로 인해 낚시용 채비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낚시용 채비가 바닥의 틈에 걸리는 밑걸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부력 부재(260)가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색깔로 제공되어 인공 미끼인 루어 역할을 수행하거나, 무게 부재(220)를 통해 중량을 증가시키고 부력 부재(260)를 통해 부력을 감소시켜 싱커 역할을 수행하거나, 무게 부재(220)를 통해 중량을 감소시키고 부력 부재(260)를 통해 부력을 증가시켜 찌 역할을 수행하는 등, 하나의 낚시용 채비로 루어, 싱커, 찌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부력 조절 유닛(3260)이 제공되므로, 별도의 부력 부재(도 4의 260)의 교체 없이, 자체 내에서 피스톤 방식으로 공기량을 조절하면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3: 제1 낚싯줄 12: 제2 낚싯줄
210: 제1 연결 부재 220: 무게 부재
230: 제1 나사 결합 유닛 231: 제1 수나사부
232: 제1 암나사부 240: 중간 로드
250: 제2 나사 결합 유닛 251: 제2 암나사부
252: 제2 수나사부 260: 부력 부재
261: 장착홈 270: 제2 연결 부재
3260: 부력 조절 유닛 3261: 실린더 부재
3262: 피스톤 부재 3263: 캡 부재

Claims (19)

  1. 제1 낚싯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낚싯줄 또는 제1 낚싯바늘에 연결되는 낚시용 채비로,
    상기 제1 낚싯줄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구비되는 무게 부재; 및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무게 부재를 나사 결합시키는 제1 나사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연결 부재 중 상기 무게 부재에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제1 수나사부; 및
    상기 제1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무게 부재에 구비되는 제1 암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낚시용 채비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무게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막대 형상의 중간 로드; 및
    상기 중간 로드에 구비되어 부력을 증감시키는 부력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력 조절 유닛은
    상기 중간 로드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실린더 부재;
    상기 중간 로드에 관통되어 상기 실린더 부재의 일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 부재; 및
    상기 중간 로드에 관통되어 상기 실린더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부재가 상기 중간 로드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실린더 부재의 내부 공기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부력을 증감시키는
    낚시용 채비.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수나사부는
    상기 제1 연결 부재에서 돌출되어 그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거나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요입되어 그 내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1 암나사부는
    상기 제1 수나사부가 상기 제1 연결 부재에서 돌출된 형태일 경우 상기 무게 부재에 요입되어 그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1 수나사부가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요입된 형태일 경우 상기 무게 부재에서 돌출되어 그 외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인 낚시용 채비.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중간 로드는 제2 나사 결합 유닛을 통해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무게 부재 사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 나사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중간 로드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2 암나사부; 및
    상기 제1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중간 로드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 수나사부를 포함하는 낚시용 채비.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부력 조절 유닛은 미리 정해진 형태 또는 색깔로 제공되어 인공 미끼인 루어 역할을 수행하는 낚시용 채비.
  8. 제1항에서,
    상기 무게 부재를 통해 중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부력 조절 유닛은 통해 부력을 감소시켜 싱커 역할을 수행하거나, 상기 무게 부재를 통해 중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부력 조절 유닛을 통해 부력을 증가시켜 찌 역할을 수행하는 낚시용 채비.
  9. 제1항에서,
    상기 무게 부재의 말단에는 상기 제2 낚싯줄 또는 상기 제1 낚싯바늘이 연결되도록 고리가 구비되는 낚시용 채비.
  10. 제1 낚싯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낚싯줄 또는 제1 낚싯바늘에 연결되는 낚시용 채비로,
    상기 제1 낚싯줄에 연결되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1 연결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중간 로드;
    상기 중간 로드에 구비되어 부력을 증감시키는 부력 조절 유닛;
    상기 중간 로드에 삽입되는 가감형 무게 부재; 및
    상기 중간 로드의 말단에 나사 결합되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감형 무게 부재의 중심에는 상기 중간 로드에 삽입되기 위한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 조절 유닛은
    상기 중간 로드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실린더 부재;
    상기 중간 로드에 관통되어 상기 실린더 부재의 일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 부재; 및
    상기 중간 로드에 관통되어 상기 실린더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부재가 상기 중간 로드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실린더 부재의 내부 공기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부력을 증감시키는
    낚시용 채비.
  11. 제10항에서,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외경은 상기 중간 로드의 외경 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제2 낚싯줄 또는 상기 제1 낚싯바늘이 연결되도록 고리가 구비되는 낚시용 채비.
  12. 제1 낚싯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낚싯줄 또는 제1 낚싯바늘에 연결되는 낚시용 채비로,
    상기 제1 낚싯줄에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중간 로드;
    상기 중간 로드에 구비되어 부력을 증감시키는 부력 조절 유닛; 및
    상기 중간 로드의 말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로드의 선단에는 상기 제1 낚싯줄을 연결하는 제1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무게 부재의 말단에는 상기 제2 낚싯줄 또는 상기 제1 낚싯바늘을 연결하는 제2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 조절 유닛은
    상기 중간 로드에 관통되어 구비되는 실린더 부재;
    상기 중간 로드에 관통되어 상기 실린더 부재의 일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 부재; 및
    상기 중간 로드에 관통되어 상기 실린더 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는 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부재가 상기 중간 로드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실린더 부재의 내부 공기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부력을 증감시키는
    낚시용 채비.
  13. 제12항에서,
    상기 중간 로드와 상기 무게 부재는 서로 나사 결합되는 낚시용 채비.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 제2항, 제4항,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피스톤 부재 또는 상기 캡 부재는 물 속에서 부상이 가능한 부력 재질로 이루어지는 낚시용 채비.
  17. 제1항, 제2항, 제4항,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캡 부재는 물 솔에서 부상이 가능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 부재는 상기 실린더 부재의 타단에 삽입되어 압착되는 낚시용 채비.
  18. 제1항, 제2항, 제4항, 제7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캡 부재는 물속에서 부상이 가능하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 부재와 상기 실린더 부재는 서로 나사 결합되어 압착되는 낚시용 채비.
  19. 삭제
KR1020130113190A 2013-07-15 2013-09-24 낚시용 채비 KR101556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3109 2013-07-15
KR1020130083109 2013-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794A KR20150008794A (ko) 2015-01-23
KR101556764B1 true KR101556764B1 (ko) 2015-10-15

Family

ID=5257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190A KR101556764B1 (ko) 2013-07-15 2013-09-24 낚시용 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239Y1 (ko) * 2020-07-02 2021-02-25 방승관 낚시용품
KR200497109Y1 (ko) * 2021-06-24 2023-07-28 곽병도 낚시용 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379Y1 (ko) * 2000-02-15 2000-07-15 정경원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JP3146268B2 (ja) * 1992-12-15 2001-03-12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高周波電力検出回路
KR200283376Y1 (ko) * 2002-04-30 2002-07-26 전재풍 부력체를 구비한 낚시용 봉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268B2 (ja) * 1992-12-15 2001-03-12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高周波電力検出回路
KR200189379Y1 (ko) * 2000-02-15 2000-07-15 정경원 부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KR200283376Y1 (ko) * 2002-04-30 2002-07-26 전재풍 부력체를 구비한 낚시용 봉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794A (ko) 2015-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82464A1 (en) Artificial fish lures and methods
KR101556764B1 (ko) 낚시용 채비
KR200476223Y1 (ko)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KR100858909B1 (ko) 낚시추
KR101483970B1 (ko) 낚시용 루어 및 이를 바닥 포인트로 운반하는 낚시용 싱커
CN205830850U (zh) 分段式可充气钓鱼浮漂
KR20090121526A (ko) 낚시추
US20110214333A1 (en) Fishing Lure
CN203851671U (zh) 钓鱼装备
CN108112521A (zh) 一种多层式人工鱼礁
CN210987808U (zh) 一种鱼漂
CN103891690A (zh) 钓鱼装备
CN108739580B (zh) 一种室外水产养殖捕捞用水产养殖网及浮漂结构
JP5596599B2 (ja) 疑似餌の姿勢状態変化制御方法及びそのための重量調整錘
KR101290907B1 (ko) 낚시용 찌
KR200487280Y1 (ko) 학꽁치용 오똑이 낚시찌
CN205492190U (zh) 钓鱼浮漂及钓具
KR200381287Y1 (ko) 속이 비어있는 낚시용 막대찌
CN105191886B (zh) 定点投放鱼饵的钓鱼竿
KR20150002173U (ko) 두족류 연체동물 낚시용 낚시어구
RU118841U1 (ru) Искусственная приманка для рыбной ловли
KR200469404Y1 (ko) 낚시용 봉돌
KR200496849Y1 (ko) 민물낚시 찌용 가변 부력조절구
KR20130119677A (ko) 낚시용 전자 기울찌
WO2016126106A1 (ko) 낚시용 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