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246B1 - 낚시추 조립체 - Google Patents

낚시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246B1
KR101904246B1 KR1020160147360A KR20160147360A KR101904246B1 KR 101904246 B1 KR101904246 B1 KR 101904246B1 KR 1020160147360 A KR1020160147360 A KR 1020160147360A KR 20160147360 A KR20160147360 A KR 20160147360A KR 101904246 B1 KR101904246 B1 KR 101904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ap
hole
hold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0839A (ko
Inventor
변재만
정경아
Original Assignee
변재만
정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만, 정경아 filed Critical 변재만
Priority to KR1020160147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2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0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하로 관통된 제1구멍이 형성된 제1캡과, 상하로 관통된 제2구멍이 형성된 제2캡과,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와 상기 바의 일측에 형성되는 받침부를 갖는 홀더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을 갖고 상기 홀더가 상기 중공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의 하단부는 상기 제1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홀더의 상단부는 상기 제2구멍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몸체의 중공에 관통되도록 삽입된 홀더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낚시줄이 끼워진 제1캡의 제1구멍과 낚시줄이 끼워진 제2캡의 제2구멍에 각각 끼워져서 낚시줄에 고정됨에 따라 별도로 낚시줄을 자르거나 묶을 필요없이 다양한 중량의 몸체를 제1캡 및 제2캡을 통해 용이하게 장착 및 교체할 수 있으며, 낚시줄에 고정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추 조립체{A fishing weight assembly}
본 발명은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의 중공에 관통되도록 삽입된 홀더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낚시줄이 끼워진 제1캡의 제1구멍과 낚시줄이 끼워진 제2캡의 제2구멍에 각각 끼워져서 낚시줄에 고정됨에 따라 별도로 낚시줄을 자르거나 묶을 필요없이 다양한 중량의 몸체를 용이하게 장착 및 교체할 수 있으며, 낚시줄에 고정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침하력을 가진 낚시추(또는 낚시봉돌)와 부력을 가진 낚시찌를 낚시줄에 고정한 채 물속에 넣어서 침하력과 부력을 적절하게 맞추는 찌맞춤 작업을 필수적으로 하게 된다.
찌맞춤 작업은 낚시를 하는 사람이 어신을 더욱 민감하게 감지하기 위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찌맞춤 작업은 낚시 기법 또는 낚시를 하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낚시추의 중량를 미세하게 변동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낚시추는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10-1455506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추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낚시추 조립체는, 외주연에 체결홈(111)이 형성된 몸통부(110)와, 상기 몸통부(110)의 하단(110b)에 구비되는 걸림턱(150), 및 상기 몸통부(110)의 상단(110a)에서 외합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재(130)로 이루어지는 지지틀, 및 상기 몸통부(110)의 상단(110a)에서 삽입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재(130)와 걸림턱(150)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 및 제2 분할판(121, 1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분할판(121)은 제1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분할판(122)은 상기 제1물질보다 낮은 비중을 갖는 제2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틀은 상기 제1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틀은 상기 걸림턱(15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목줄 걸림부(160), 상기 상부 고정부재(130)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줄 걸림부(140)를 더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낚시추 조립체는 낚시줄에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본줄 걸림부 및 목줄 걸림부에 묶여 있는 낚시줄(본줄 및 목줄)을 풀어서 원하는 길이로 자른 후 다시 본줄 걸림부 및 목줄 걸림부에 묶어야 하므로 낚시줄에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낚시추 조립체는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 제1분할판 및 제2분할판의 개수를 달리함에 따라 전체적인 외형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낚시추 조립체는 중량 조절 시 전체적인 외형의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변화된 전체적인 외형에 따라 수중에서의 저항 역시 변동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455506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몸체의 중공에 관통되도록 삽입된 홀더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낚시줄이 끼워진 제1캡의 제1구멍과 낚시줄이 끼워진 제2캡의 제2구멍에 각각 끼워져서 낚시줄에 고정됨에 따라 별도로 낚시줄을 자르거나 묶을 필요없이 다양한 중량의 몸체를 용이하게 장착 및 교체할 수 있으며, 낚시줄에 고정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낚시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낚시추 조립체는, 상하로 관통된 제1구멍이 형성된 제1캡과, 상하로 관통된 제2구멍이 형성된 제2캡과,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와 상기 바의 일측에 형성되는 받침부를 갖는 홀더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을 갖고 상기 홀더가 상기 중공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의 하단부는 상기 제1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홀더의 상단부는 상기 제2구멍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종방향으로 길게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의 하단에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제1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의 상단에는 상협하광의 형상을 갖는 제2삽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제1구멍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제2구멍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캡과 상기 제2캡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의 적어도 일부분의 직경은 상기 바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알루미늄, 티타늄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황동 및 스테인레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바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1받침부와, 상기 제1받침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받침부보다 상기 바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덜 돌출된 제2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하단은 상기 제1받침부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2받침부는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은,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까지 형성되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몸체의 하단까지 형성되는 대경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에는 상기 소경부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오링이 끼워지고, 상기 대경부에는 상기 바에 끼워진 상기 오링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링은 상기 제2받침부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는 별도로 낚시줄을 자르거나 묶을 필요없이 낚시줄에 고정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는 별도로 낚시줄을 자르거나 묶을 필요없이 다양한 중량의 몸체를 용이하게 장착 및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는 전체적인 외형의 변화없이 중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는 중량 조절 시 전체적인 외형의 변화가 없으므로 수중에서의 저항이 일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는 중량 조절 시에도 수중에서의 저항이 일정하므로 정확하고 일정한 찌올림 및 찌맞춤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는 절개홈 내에 낚시줄이 수용되므로 몸체 내부의 오링 또는 물속에 있는 물체들에 의한 낚시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는 복수 개를 낚시줄에 고정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는 낚시줄에 고정설치된 복수 개 각각의 중량을 별도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추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가 낚시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가 낚시줄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가 낚시줄에 복수 개(세 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가 낚시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가 낚시줄에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가 낚시줄에 복수 개(세 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는, 상하로 관통된 제1구멍(110)이 형성된 제1캡(100)과, 상하로 관통된 제2구멍(210)이 형성된 제2캡(200)과,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310)와 바(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받침부(320)를 갖는 홀더(300)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440)을 갖고 홀더(300)가 중공(440)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받침부(320)에 의해 지지되는 몸체(400)를 포함하되, 홀더(300)의 하단부는 제1구멍(110)에 끼워지고, 홀더(300)의 상단부는 제2구멍(210)에 끼워지는 것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캡(100)은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캡(100)은 뒤집어 진 원뿔(꼭지점이 하단에 있는 원뿔)에서 꼭짓점 부분이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된다. 제1캡(100)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실리콘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캡(100)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제1구멍(110)이 형성된다. 제1구멍(110)은 후술할 홀더(300)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구멍으로써 상하로 길게 형성된 관통공이고, 적어도 일부분의 직경이 후술할 바(3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구멍(110)은 후술할 홀더(300)의 하단부가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단부 일부분이 상광하협 형상을 가진다. 즉, 제1구멍(110)은 제1캡(100)의 상단에서 제1캡(100)의 상부 일측까지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구간이 존재하며, 제1캡(100)의 상기 상부 일측에서 제1캡(100)의 하단까지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1구멍(110)에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부분은 후술할 바(310)가 제1캡(10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후술할 바(3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구멍(110)에는 제1캡(100)을 관통하도록 낚시줄(L)이 끼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제1캡(100)은 낚시줄(L)에 끼워진 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2캡(200)은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캡(200)은 원뿔(꼭지점이 상단에 있는 원뿔)에서 꼭짓점 부분이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된다. 제2캡(200)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실리콘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캡(200)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제2구멍(210)이 형성된다. 제2구멍(210)은 후술할 홀더(30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구멍으로써 상하로 길게 형성된 관통공이고, 적어도 일부분의 직경이 후술할 바(3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구멍(210)은 후술할 홀더(300)의 상단부가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단부 일부분이 상협하광 형상을 가진다. 즉, 제2구멍(210)은 제2캡(200)의 하단에서 제2캡(200)의 하부 일측까지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구간이 존재하며, 제2캡(200)의 상기 하부 일측에서 제2캡(200)의 상단까지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2구멍(210)에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부분은 후술할 바(310)가 제2캡(20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후술할 바(3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구멍(210)에는 제2캡(200)을 관통하도록 제1캡(100)이 끼워진 낚시줄(L)이 끼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제2캡(200)은 제1캡(100)과 마찬가지로 낚시줄(L)에 끼워진 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1캡(100)과 제2캡(200)은 배치 상태만이 다를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서로 상하 대칭되게 낚시줄(L)에 끼워지고, 낚시줄(L)에 끼워진 상태로 제1캡(100)에서 직경이 가장 큰 상단부와 제2캡(200)에서 직경이 가장 큰 하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캡(100)과 제2캡(200)은 후술할 홀더(300)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각각 끼워진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00)는 종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홀더(300)는 후술할 몸체(40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써 알루미늄, 티타늄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300)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310)와 바(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받침부(320)를 갖는다.
바(31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막대로써 하단부가 제1캡(100)의 제1구멍(110)에 끼워지고, 상단부가 제2캡(200)의 제2구멍(210)에 끼워진다. 바(310)의 직경은 제1구멍(110)의 적어도 일부분의 직경 및 제2구멍(210)의 적어도 일부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바(310)는 후술할 몸체(400)의 중공(440)을 관통하도록 몸체(400)에 삽입된다. 바(310)는 하단에 제1삽입부(3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에 제2삽입부(3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삽입부(311)는 바(310)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1삽입부(311)는 뒤집어 진 원뿔형상(꼭지점이 하단에 있는 원뿔)으로 형성된다. 제1삽입부(311)의 하단은 손이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삽입부(311)는 홀더(300)가 제1캡(100)에 끼워질 때 제1구멍(110)을 관통한다.
제2삽입부(313)는 바(31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상협하광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2삽입부(313)는 원뿔형상(꼭지점이 상단에 있는 원뿔)으로 형성되고, 제1삽입부(311)와 상하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2삽입부(313)의 상단은 손이 찔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삽입부(313)는 홀더(300)에 제2캡(200)이 끼워질 때 제2구멍(210)을 관통한다.
제1삽입부(311)와 제2삽입부(313)는 낚시줄(L)을 당기거나 푸는 것에 따라 낚시줄(L)에 고정설치된 낚시추 조립체(10)가 상하 이동할 때 수중 저항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홀더(300)의 하단부 및 홀더(300)의 상단부를 각각 제1구멍(110)과 제2구멍(210)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삽입부(313)는 후술할 오링(500) 및 몸체(40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바(31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는 미끄럼방지부(315)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끄럼방지부(315)는 대략 바(310)의 중앙 외주면 전체를 두르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미끄럼방지부(315)는 널링(knurling)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미끄럼방지부(315)는 사용자가 제1캡(100) 및 제2캡(200)에 홀더(300)를 끼우거나 뺄 때 잡는 부분으로써 손이 바(310)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미끄럼방지부(315)는 바(310)에 끼워지는 후술할 오링(500)이 쉽게 상하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바(310)의 하부에는 받침부(320)가 형성된다. 받침부(320)는 홀더(300)에 끼워져 장착되는 후술할 몸체(400) 및 바(310)에 끼워져 장착되는 후술할 오링(500)이 지지되는 부분으로써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받침부(321)와 제2받침부(323)를 포함한다.
제1받침부(321)는 바(3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받침부(321)는 바(3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바(310)의 전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제1받침부(321)는 원판 형상의 플랜지의 형태로 바(3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받침부(321)는 후술할 몸체(400)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받침부(321)의 상부에는 제2받침부(323)가 형성된다. 제2받침부(323)는 제1받침부(32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동시에 바(3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2받침부(323)는 바(3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바(310)의 전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제2받침부(323)는 제1받침부(321)보다 바(3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덜 돌출된다. 즉, 제2받침부(323)의 직경은 제1받침부(321)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받침부(323)는 원통 형상의 플랜지의 형태로 바(310) 및 제1받침부(321)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2받침부(323)의 직경은 후술할 몸체(400)에 형성된 대경부(443)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제2받침부(323)는 후술할 몸체(400)에 형성된 대경부(443)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대략 딱 맞도록 삽입되어 홀더(300)에 장착되는 후술할 몸체(400)가 수평방향 즉, 몸체(400)의 반경방향 내외측으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홀더(300)에 장착되는 후술할 오링(5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홀더(300)의 하단부 즉, 바(310)의 하단부는 제1삽입부(311)를 통해 낚시줄(L)이 끼워져 있는 제1캡(10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진다. 이때, 제1삽입부(311)는 제1구멍(110)의 하부로 돌출되고, 제1캡(100)의 상단면은 제1받침부(321)의 하면에 접촉된다. 또한, 제1캡(100)에 끼워져 있던 낚시줄(L)은 제1캡(100)의 내부 둘레면과 바(310)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제1캡(100)의 복원력에 의해 제1캡(100)의 내부 둘레면과 바(310)의 외주면에 압착된다. 이로 인해 제1캡(100) 및 홀더(300)가 낚시줄(L)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제1캡(100)을 통해 낚시줄(L)에 고정설치된 홀더(300)의 바(310)에는 낚시추 조립체(10)의 전체적인 중량을 조절하기 위한 오링(500)이 끼워져 장착된다. 오링(500)은 연속적인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진다. 오링(500)의 외경은 제1받침부(3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받침부(323)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후술할 몸체(400)에 형성된 소경부(44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후술할 몸체(400)에 형성된 대경부(443)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며, 바(3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오링(500)의 내경은 제1받침부(3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받침부(32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후술할 몸체(400)에 형성된 소경부(44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후술할 몸체(400)에 형성된 대경부(44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바(310)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오링(500)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절하고자 하는 중량에 따라 홀더(300)에 끼워지는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홀더(300)에 장착된 오링(500)은 홀더(300)의 바(310)에 끼워진 채 제2받침부(323)의 상면에 접촉되어 제2받침부(323)에 의해 지지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00)에는 몸체(400)가 장착된다. 몸체(4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몸체(400)는 황동 및 스테인레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400)에는 홀더(300)가 관통되도록 삽입되고, 이에 따라 몸체(400)가 홀더(300)에 장착된다. 몸체(400)는 중량이 각기 다른 복수 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교환하여 홀더(3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몸체(400)의 외면 일측에는 제1캡(100), 제2캡(200), 홀더(300) 및 몸체(400)의 중량의 합이 마킹될 수 있다. 몸체(400)는 중앙부(410), 하측부(420) 및 상측부(430)를 갖는다.
중앙부(410)는 몸체(400)의 중앙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써 상하방향으로 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중앙부(410)의 하단에는 상광하협 형상의 하측부(420)가 일체로 형성된다. 하측부(420)는 뒤집어 진 원뿔(꼭지점이 하단에 있는 원뿔)에서 꼭짓점 측 일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잘려나간 형태로 형성된다. 즉, 하측부(42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진다. 하측부(420)의 하단면은 홀더(300)의 제1받침부(321)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제1받침부(321)에 의해 몸체(400)가 지지된다.
중앙부(410)의 상단에는 상협하광 형상의 상측부(4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측부(430)는 원뿔(꼭지점이 상단에 있는 원뿔)에서 꼭짓점 측 일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잘려나간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측부(43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진다. 상측부(430)는 후술할 대경부(443) 내부 둘레면에 대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부(431)를 갖는다. 걸림부(431)의 내경은 후술할 소경부(441)의 직경이다. 상측부(430)의 상면에는 홀더(30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제2캡(200)의 하단면이 접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몸체(400)는 중앙부(410)가 원통형, 하측부(420) 및 상측부(430)가 원뿔대의 형상으로 형성되나, 몸체(400)는 수중 저항을 고려해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몸체(400)는 중공(440)을 갖는다. 중공(440)은 종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몸체(400)의 중앙 상단에서 몸체의 중앙 하단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중공(440)은 소경부(441)와 대경부(443)를 포함한다.
소경부(441)는 몸체(400)의 상단에서 몸체(400)의 상부 일측까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경부(441)는 상측부(430)의 중앙 상단측 내부에 형성된다. 소경부(441)의 직경은 바(310)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고, 후술할 오링(5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후술할 오링(500)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소경부(441)는 걸림부(431)의 내주면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걸림부(431)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소경부(441)의 하단에는 대경부(443)가 형성된다. 대경부(443)는 소경부(441)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몸체(400)의 상기 상부 일측에서 몸체(400)의 하단까지 길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경부(443)는 하측부(420)의 하단에서부터 중앙부(410)를 거쳐 소경부(441) 하단의 상측부(430)까지 이어지도록 길게 형성된다. 대경부(443)는 오링(500)이 수용되는 부분으로써 대경부(443)에 수용된 오링(500)은 걸림부(431)의 하면에 걸려 소경부(441)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못한다. 몸체(400)의 대경부(443)의 직경은 소경부(441)보다 크게 형성되고, 후술할 오링(500)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1받침부(3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받침부(323)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오링(500)이 끼워진 홀더(300)에 몸체(400)가 장착될 경우, 대경부(443)에는 홀더(300)에 장착된 오링(500)이 수용되고, 오링(500)은 제2받침부(323) 및 걸림부(431)에 의해 대경부(443) 내부에서 몸체(400)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한다. 이에 따라 오링(500)은 외부로 돌출 또는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낚시추 조립체(10)의 전체적인 외형이 변하지 않는다.
몸체(400)의 외면에는 절개홈(450)이 형성된다. 절개홈(450)은 낚시추 조립체(10)를 낚시줄(L)에 고정설치할 때 몸체(400)의 외면을 상하로 지나는 낚시줄(L)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절개홈(450)은 몸체(400)의 외면에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절개홈(450)은 하측부(420)의 외면 중앙 부근에서 중앙부(410)를 거쳐 상측부(430)의 외면 중앙 부근까지 이어지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절개홈(450)은 중공(440)과 수평방향 즉, 몸체(400)의 반경방향으로 연통되지 않도록 내부 바닥이 중공(440)에 대해 막혀 있다. 여기서 절개홈(450)의 내부 바닥이라 함은 절개홈(450) 내부의 면들 중에서 몸체(400)의 외부측과 마주하는 면을 말하며, 절개홈(450)에 수용된 낚시줄(L)은 절개홈(450)의 내부 바닥에 올려진다. 절개홈(450)의 내부 바닥이 중공(440)에 대해 막혀 있는 이유는 낚시추 조립체(10)를 낚시줄(L)에 고정설치할 때 절개홈(450)에 수용되는 낚시줄(L)이 중공(440)의 대경부(443)에 수용된 후술할 오링(50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절개홈(450)을 통해 중공(440) 내부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또한, 절개홈(450)은 수중에 존재하는 여러 물체들에 의해 낚시줄(L)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준다.
몸체(400)는 홀더(300)가 대경부(443)를 거쳐 소경부(441)를 통해 관통되도록 홀더(300)에 끼워지고, 하측부(420)의 하면이 홀더(300)의 제1받침부(321)의 상면에 접촉될 때까지 홀더(300)끼워져 장착된다. 몸체(400)는 홀더(300)에 장착된 채 홀더(300)의 상단부가 제2캡(200)의 제2구멍(210)에 끼워짐으로써 홀더(300) 및 낚시줄(L)에 고정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400)가 장착된 홀더(300)의 상단부 즉, 바(310)의 상단부는 제2삽입부(313)를 통해 낚시줄(L)이 끼워져 있는 제2캡(20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진다. 이때, 제2삽입부(313)는 제2구멍(2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제2캡(200)의 하단면은 몸체(400)의 상면 즉, 상측부(430)의 상면에 접촉된다. 또한, 제2캡(200)에 끼워져 있던 낚시줄(L)은 제2캡(200)의 내부 둘레면과 바(310)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제2캡(200)의 복원력에 의해 제2캡(200)의 내부 둘레면과 바(310)의 외주면에 압착된다. 이로 인해 제2캡(200), 홀더(300) 및 몸체(400)가 낚시줄(L)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며, 낚시추 조립체(10)가 낚시줄(L)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가 낚시줄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의 부호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캡(100)과 제2캡(200)이 서로 상하 대칭되도록 제1구멍(110)에 낚시줄(L)을 끼워 낚시줄(L)의 하부에 제1캡(100)이 배치되게 하고, 제2구멍(210)에 낚시줄(L)을 끼워 낚시줄(L)의 상부에 제2캡(200)이 배치되게 한 후, 제1캡(100)을 낚시줄(L)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바(310)의 하단에 형성된 제1삽입부(311)를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내려 바(310)의 하단부를 제1캡(100)의 제1구멍(110)에 끼운다. 이때, 바(310)의 하단부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삽입부(311)가 제1캡(100)의 하단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캡(100)에 끼워지고, 제1캡(100) 및 홀더(300)는 제1캡(1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낚시줄(L)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제1캡(100)의 상단면은 제1받침부(321)의 하면에 접촉된다.
다음,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개수만큼의 오링(500)을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내려 바(310)의 상단에 형성된 제2삽입부(313)를 통해 홀더(300)에 끼운다. 이때, 오링(500)은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310)의 하부에 형성된 제2받침부(323)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다음,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00)를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내려 바(310)의 상단에 형성된 제2삽입부(313)를 통해 홀더(300)에 끼운다. 이때, 제2받침부(323)에 의해 지지되는 오링(500)은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경부(443)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동시에 외부로 돌출되지도 않으며, 바(310)의 상단에 형성된 제2삽입부(313) 및 바(310)의 상부 일부분은 몸체(400)의 소경부(441)를 통해 몸체(400)의 상단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하측부(420)의 하단면은 제1받침부(321)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몸체(400)가 홀더(300)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캡(200)을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내려 바(310)의 상단에 형성된 제2삽입부(313)가 제2구멍(210)을 관통하도록 하여 제2캡(200)을 홀더(300) 즉, 바(310)의 상단부에 끼운다. 이때, 제2캡(200)은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삽입부(313)가 제2캡(200)의 상단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바(310)의 상단부에 끼워지고, 제2캡(2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캡(200) 및 홀더(300)가 낚시줄(L)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제1캡(100)과 제2캡(200) 사이의 낚시줄(L)은 몸체(400)에 형성된 절개홈(450) 내에 수용되어 지고, 제2캡(200)의 하단면은 상측부(430)의 상면에 접촉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는 낚시줄(L)에 고정설치되어지며, 낚시추 조립체(10)는 제1캡(100) 및 제2캡(200)을 낚시줄(L)의 원하는 위치까지 상하로 이동시킨 후 홀더(300) 및 몸체(400)를 장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추 조립체(10)는 복수 개가 낚시줄(L)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낚시추 조립체(10)를 낚시줄(L)에 서로 이격시켜서 고정설치할 수 있으며, 각각의 낚시추 조립체(10)의 중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낚시추 조립체 100 : 제1캡
110 : 제1구멍 200 : 제2캡
210 : 제2구멍 300 : 홀더
310 : 바 311 : 제1삽입부
313 : 제2삽입부 315 : 미끄럼방지부
320 : 받침부 321 : 제1받침부
323 : 제2받침부 400 : 몸체
410 : 중앙부 420 : 하측부
430 : 상측부 431 : 걸림부
440 : 중공 441 : 소경부
443 : 대경부 450 : 절개홈
500 : 오링 L : 낚시줄

Claims (10)

  1. 상하로 관통된 제1구멍이 형성된 제1캡;
    상하로 관통된 제2구멍이 형성된 제2캡;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와 상기 바의 일측에 형성되는 받침부를 갖는 홀더;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을 갖고 상기 홀더가 상기 중공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의 하단부는 상기 제1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홀더의 상단부는 상기 제2구멍에 끼워지고,
    상기 홀더(300)에는 복수개의 오링(500)이 장착되어 상기 몸체(400) 내부에 수용되고 조절하고자 하는 중량에 따라 끼워지는 상기 복수개의 오링(50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오링(500)은 몸체(400)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중량 조절시 외형이 변화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면에는 종방향으로 길게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하단에는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제1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의 상단에는 상협하광의 형상을 갖는 제2삽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제1구멍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제2구멍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과 상기 제2캡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의 적어도 일부분의 직경은 상기 바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알루미늄, 티타늄 및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황동 및 스테인레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바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제1받침부와, 상기 제1받침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받침부보다 상기 바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덜 돌출된 제2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하단은 상기 제1받침부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2받침부는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까지 형성되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서 상기 몸체의 하단까지 형성되는 대경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에는 상기 소경부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오링이 끼워지고,
    상기 대경부에는 상기 바에 끼워진 상기 오링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상기 제2받침부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추 조립체.
KR1020160147360A 2016-11-07 2016-11-07 낚시추 조립체 KR101904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360A KR101904246B1 (ko) 2016-11-07 2016-11-07 낚시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360A KR101904246B1 (ko) 2016-11-07 2016-11-07 낚시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839A KR20180050839A (ko) 2018-05-16
KR101904246B1 true KR101904246B1 (ko) 2018-10-05

Family

ID=6245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360A KR101904246B1 (ko) 2016-11-07 2016-11-07 낚시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2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4848B2 (ja) * 2003-03-26 2008-03-19 マルキユー株式会社 釣り用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4848B2 (ja) * 2003-03-26 2008-03-19 マルキユー株式会社 釣り用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839A (ko)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943B1 (ko) 낚시추 조립체
US6213441B1 (en) Mount for fishing rod holders
US4852290A (en) Fishing rod holder
US6052937A (en) Fishing rod holder device
KR101904246B1 (ko) 낚시추 조립체
US3612454A (en) Fishing rod holder
KR102113115B1 (ko) 낚시대 거치 장치
JPH11294688A (ja) 支柱高さ調節具
KR101800808B1 (ko) 낚시용 무게추 조립체
US2323624A (en) Swivel
US4919316A (en) Fishing rod holder
US2958491A (en) Outrigger fishing pole supports
KR20150145150A (ko)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
US3606234A (en) Releasable swivel chair support construction
KR20140130396A (ko) 낚시추 조립체용 장착홀더
KR20140109160A (ko) 낚시추 조립체
KR20130107775A (ko) 마네킹 홀더
KR200481795Y1 (ko) 러버콘 지지대
KR20160008437A (ko) 텐트고정용 팩
EP0682864A1 (en) Bite indicator
US3001314A (en) Fishing rod holder
KR20220131777A (ko) 낚시대 지지대의 방수 방진용 클램프 레버 장치
US6419200B1 (en) Device at a Christmas-tree stand
US92284A (en) Improvement in telegraph-sounders
KR20160019232A (ko) 파라솔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