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150A -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 - Google Patents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150A
KR20150145150A KR1020140074612A KR20140074612A KR20150145150A KR 20150145150 A KR20150145150 A KR 20150145150A KR 1020140074612 A KR1020140074612 A KR 1020140074612A KR 20140074612 A KR20140074612 A KR 20140074612A KR 20150145150 A KR20150145150 A KR 20150145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topper
tent
stopper body
t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학
Original Assignee
장동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학 filed Critical 장동학
Priority to KR102014007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5150A/ko
Publication of KR20150145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프가 스토퍼 표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극대화하여, 스토퍼로 로프의 움직임을 견고하게 제동하여 로프의 장력을 변함없이 오랫동안 유지시켜줄 수 있는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텐트나 타프의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고 고정해주는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경질의 스토퍼 몸체와, 스토퍼 몸체의 양 옆면의 전 길이에 걸쳐 내부 방향으로 만곡되어 로프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로프 안착부와, 스토퍼 몸체의 상하부에 각각 로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 로프 삽입공을 포함하여, 스토퍼 몸체의 양 옆면에 만곡된 형상의 로프 안착부를 형성함으로써, 로프가 로프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로프가 로프 안착부의 표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극대화하여, 로프가 스토퍼 몸체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제동되어 오랫동안 변함없이 로프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로프 삽입공의 둘레에 내측으로 절개된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로프 안착부 표면에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어, 로프를 로프 삽입공에 삽입한 상태에서 1차로 테이퍼부에 접촉되고, 2차로 로프 안착부 및 돌기부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로프가 스토퍼 몸체에 접촉되는 접촉 면적을 더욱 극대화하여 로프)가 스토퍼 몸체에 의해 더더욱 견고하게 제동되어 외부 충격이나 바람으로 인한 흔들림에도 변함없이 로프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 {Rope stoper for tent and tarp}
본 발명은 로프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프가 스토퍼 표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극대화하여, 스토퍼로 로프의 움직임을 견고하게 제동하여 로프의 장력을 변함없이 오랫동안 유지시켜줄 수 있는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프는 텐트 또는 타프를 지면에 고정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텐트 또는 타프의 가장자리에 재봉된 원형 고리와 지면에 박힌 고정팩을 연결해준다. 로프를 단단하고 팽팽하게 당겨 원형 고리와 고정팩을 연결할수록 텐트 및 타프는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스토퍼는 원형고리와 팩을 연결하는 로프의 장력을 유지해주기 위해 로프에 설치하는 것으로, 주로 막대형 스토퍼가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막대형 스토퍼(100)를 설명하면, 원통형의 막대 형상으로 양단에 로프 삽입공(110)이 관통형성된다. 로프 삽입공(110)에 로프(10)를 삽입한 후 막대형 스토퍼(100)를 수직으로 세워 로프(10)를 당겨서 장력을 조절해준다. 그 후 막대형 스토퍼(100)를 경사지게 기울이면 로프(10)가 로프 삽입공(110) 및 막대형 스토퍼(100)의 표면에 걸려 제동되고, 로프(10)가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막대형 스토퍼(100)와 로프(10)가 접촉하는 면적이 작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로프(10)가 막대형 스토퍼(100)에서 미끄러짐으로써 장력이 느슨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로 인해 지면에 고정된 텐트 및 타프의 견고한 고정이 어려우며,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이 있을 때 그 모양이 쉽게 흐트러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막대형 스토퍼(100)로 로프(10)의 장력을 조절할 때 막대형 스토퍼(100)가 원통형의 막대 형상이기 때문에 막대형 스토퍼(100)의 양 옆면에 로프(10)가 걸리게 되므로, 로프(10)의 장력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KR 20-0175248 Y1
본 발명의 목적은 로프가 스토퍼 표면에 닿는 면적을 극대화하여, 로프가 스토퍼에 더욱 견고하게 걸려 제동되게 하여, 스토퍼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로프의 장력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로프의 장력을 조절할 때 스토퍼 형상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손쉽게 장력 조절이 가능한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텐트나 타프의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고 고정해주는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경질의 스토퍼 몸체(200)와, 상기 스토퍼 몸체(200)의 양 옆면의 전 길이에 걸쳐 내부 방향으로 만곡되어 로프(10)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로프 안착부(210)와, 상기 스토퍼 몸체(100)의 상하부에 각각 로프(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 로프 삽입공(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로프 삽입공(220)의 둘레에는 내측 방향으로 절개된 테이퍼부(23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로프 안착부(210)의 표면에는 로프(10)와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돌기부(24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토퍼 몸체(200)의 양 옆면에 만곡된 형상의 로프 안착부(210)를 형성함으로써, 로프(10)가 로프 삽입공(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로프(10)가 로프 안착부(210)의 표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극대화하여, 로프(10)가 스토퍼 몸체(200)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제동되어 오랫동안 변함없이 로프(1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로프 삽입공(220)의 둘레에 내측으로 절개된 테이퍼부(230)가 형성되고, 로프 안착부(210) 표면에 돌기부(240)가 돌출 형성되어, 로프(10)를 로프 삽입공(220)에 삽입한 상태에서 1차로 테이퍼부(230)에 접촉되고, 2차로 로프 안착부(210) 및 돌기부(240)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로프(10)가 스토퍼 몸체(200)에 접촉되는 면적을 더욱 극대화하여 로프(10)가 스토퍼 몸체(200)에 의해 더더욱 견고하게 제동되어 외부 충격이나 바람으로 인한 흔들림에도 변함없이 로프(1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스토퍼 몸체(200)의 양 옆면에 내측으로 만곡된 형상이 로프 안착부(210)로 인해 로프(10)의 장력 조절 시, 로프(10)가 스토퍼 몸체(200)의 양 옆면에 걸림 없이 로프(10)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막대형 스토퍼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의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막대형 스토퍼와 본 발명의 스토퍼를 비교하여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는 스토퍼 몸체(200)와, 스토퍼 몸체(200)의 양 옆면에 형성된 로프 안착부(210)와, 스토퍼 몸체(200)의 상하부에 형성된 로프 삽입공(220)을 포함한다.
스토퍼 몸체(200)는 약 1 내지 4cm의 두께와 약 5 내지 10cm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스토퍼 몸체(200)의 두께와 길이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스토퍼 몸체(200)는 로프(10)에 걸리는 장력을 용이하게 견딜 수 있도록 경질의 금속재로 형성된다. 이때 사용되는 금속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두랄루민 및 크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경질의 금속이라면 다양한 종류를 적용할 수 있다.
로프 안착부(210)는 스토퍼 몸체(200)의 양 옆면에 내부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파여져 형성된다. 이때 로프 안착부(210)는 스토퍼 몸체(200)의 전 길이에 걸쳐 균등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로프 삽입공(220)은 스토퍼 몸체(2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1개소씩 관통형성되는 구멍이다. 로프 삽입공(220)은 로프(10)가 인입되는 구멍으로, 로프(10)의 원활한 인입을 위해 로프(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의 사용을 설명한다.
로프(10)의 한쪽을 텐트의 원형 고리(미도시)에 고정한 상태에서 로프(10)의 다른 한쪽을 스토퍼 몸체(200)의 로프 삽입공(220)에 삽입한다. 이때 로프(10)를 스토퍼 몸체(200)의 상부에 형성된 로프 삽입공(220)에 삽입한다.
이후 로프 삽입공(220)에서 빠져나온 로프(10)를 텐트 고정팩(미도시)에 걸어 고정한 후 로프(10)를 스토퍼 몸체(200)의 하부에 형성된 로프 삽입공(220)에 삽입하여 매듭을 지어준다.
텐트 고정팩 측에 고정된 로프(10)를 손으로 아래 방향으로 당기면서 스토퍼 몸체(200)를 다른 한 손으로 잡고 위 방향으로 밀어주거나, 아래 방향으로 당겨주어 로프(10)의 장력을 조절한다.
이때 로프 안착부(210)의 형상이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스토퍼 몸체(200)의 양 옆면에 걸림 없이 로프(10)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로프(10)를 충분히 팽팽하게 당겨준 후 스토퍼 몸체(200)에서 손을 떼면 로프(10)가 팽팽하게 고정된다. 즉 로프(10)가 스토퍼 몸체(200)에 의해 제동되어 로프(10)의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로프(10)는 내부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로프 안착부(210)의 표면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된다.(도 3의 확대도 참조)
이로써 로프(10)가 로프 삽입공(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로프 안착부(210)에 밀착되는 면적이 극대화되므로, 스토퍼 몸체(200)로 로프(10)의 움직임을 견고하게 제동해주어 로프(10)의 장력을 변함없이 오랫동안 유지시켜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는 스토퍼 몸체(200)와, 스토퍼 몸체(200)의 양 옆면에 형성된 로프 안착부(210)와, 스토퍼 몸체(200)의 상하부에 형성된 로프 삽입공(220)을 포함한다.
아울러 로프 삽입공(220)의 둘레에는 테이퍼부(230)가 더 형성된다.
또한 로프 안착부(210)의 표면에는 로프(10)와 접촉되는 돌기부(240)가 더 형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제1실시예와 달라지는 부분에 대하여 중점을 두고 설명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2실시예 제1실시예를 포함하며, 제1실시예에 테이퍼부(230)와 돌기부(240)가 더 포함된 것이다.
테이퍼부(230)는 로프 삽입공(220)의 둘레가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개된 것으로, 로프(10)가 로프 삽입공(220)에 삽입되었을 때 밀착된다. 로프(10)가 테이퍼부(230)에 1차로 밀착되고, 2차로 로프 안착부(210)의 표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더더욱 견고하게 로프(10)의 움직임을 제동해주고, 로프(10)의 장력을 변함없이 유지할 수 있다.
돌기부(240)는 로프 안착부(210)의 표면에 다수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로프(10)가 로프 삽입공(220)에 삽입되었을 때 밀착되어, 로프(10)가 스토퍼 몸체(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나 바람에 의한 흔들림으로 미끄러져 제동이 풀려, 로프(10)의 장력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즉 로프(10)는 테이퍼부(230)에 1차로 밀착되고, 2차로 로프 악착부(210) 및 돌기부(240)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로프(10)는 스토퍼 몸체(200)에 의해 더더욱 움직임이 제동되고, 로프(10)의 장력을 변함없이 더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때 돌기부(240)는 스토퍼 몸체(200)의 상부 및 하부,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안착부(210)의 표면에서 로프(10)가 밀착되는 부분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돌기부(240)는 설계에 따라 형성 위치 및 형성 부위를 로프 안착부(210)의 전체 표면 또는 다른 부분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돌기부(240)는 로프(10)의 장력을 변함없이 더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면 로프 안착부(210)의 표면에 빗살 무늬을 새기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은 종래의 막대형 스토퍼와 본 발명의 스토퍼를 비교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종래의 막대형 스토퍼와 본 발명의 스토퍼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좌측이 본 발명의 스토퍼이고, 우측이 종래의 막대형 스토퍼이다.
종래의 막대형 스토퍼(100)의 경우 그 형상이 원통형이기 때문에 로프(10)가 로프 삽입공(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막대형 스토퍼(100)의 표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작으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는 스토퍼 몸체(200)의 양 옆면에 만곡된 형상의 로프 안착부(210)가 형성되어, 로프(10)가 로프 삽입공(2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로프 안착부(210)의 표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극대화되어 로프(10)를 더욱더 견고하게 제동할 수 있고, 외부 충격이나 바람으로 인한 로프(10)의 장력 변화를 최소화해준다.
10 : 로프
100 : 막대형 스토퍼
110 : 로프 삽입공
200 : 스토퍼 몸체
210 : 로프 안착부 220 : 로프 삽입공 230 : 테이퍼부
240 : 돌기부

Claims (3)

  1. 텐트나 타프의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고 고정해주는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경질의 스토퍼 몸체(200)와,
    상기 스토퍼 몸체(200)의 양 옆면의 전 길이에 걸쳐 내부 방향으로 만곡되어 로프(10)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 로프 안착부(210)와, 상기 스토퍼 몸체(100)의 상하부에 각각 로프(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된 로프 삽입공(220)을 포함하는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삽입공(220)의 둘레에는 내측 방향으로 절개된 테이퍼부(23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안착부(210)의 표면에는 로프(10)와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돌기부(240)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
KR1020140074612A 2014-06-18 2014-06-18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 KR20150145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612A KR20150145150A (ko) 2014-06-18 2014-06-18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612A KR20150145150A (ko) 2014-06-18 2014-06-18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150A true KR20150145150A (ko) 2015-12-29

Family

ID=5508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612A KR20150145150A (ko) 2014-06-18 2014-06-18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51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132B1 (ko) * 2020-12-21 2021-09-08 엠플러스에프엔씨(주) 정비 차량의 휴대용 정비 천막
KR20220000476U (ko) 2020-08-19 2022-02-28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로프 고정용 스토퍼
KR20220094467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스트링 스토퍼
KR102553867B1 (ko) * 2022-12-21 2023-07-11 복정수 컨베이어벨트 리프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248Y1 (ko) 1999-10-12 2000-03-15 문제현 텐트의 로프용 스토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248Y1 (ko) 1999-10-12 2000-03-15 문제현 텐트의 로프용 스토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476U (ko) 2020-08-19 2022-02-28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로프 고정용 스토퍼
KR102300132B1 (ko) * 2020-12-21 2021-09-08 엠플러스에프엔씨(주) 정비 차량의 휴대용 정비 천막
KR20220094467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스트링 스토퍼
EP4023839A1 (en) 2020-12-29 2022-07-06 Woojin Plastic Co., Ltd String stopper
US11619284B2 (en) 2020-12-29 2023-04-04 Woojin Plastic Co., Ltd. String stopper
KR102553867B1 (ko) * 2022-12-21 2023-07-11 복정수 컨베이어벨트 리프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9083B2 (en) Spring enabled audio device mounting apparatus
KR20150145150A (ko) 텐트, 타프용 로프 스토퍼
KR200488198Y1 (ko) 벨트 조정 및 고정이 가능한 후크
JP2017516627A5 (ko)
JP5684437B1 (ja) 巻き爪矯正具
US20150317962A1 (en) Throw off for a snare drum
USD836877S1 (en) Guiding surface rail
US20130108396A1 (en) Nail structure
US9877534B2 (en) Tool-free accessory retaining device for a helmet
US8474838B1 (en) Hidden braking device
US10244834B2 (en) Bead bracelet loom
EP3923250A4 (en) RECORDING CONTROL DEVICE FOR USE FOR A VEHICLE, IMAGING DEVICE FOR USE FOR A VEHICLE, RECORDING CONTROL METHOD FOR USE FOR A VEHICLE, AND PROGRAM
JP2022088534A (ja) 道具ホルダ
US20150221291A1 (en) External Drum Ring Control (EDRC)
JP2009082073A (ja) 釣り糸係止具
KR200469724Y1 (ko) 지우개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필기구
US20170238517A1 (en) Fish hook stopper
JP6556599B2 (ja) 顔面装着具のバンド長さ調節体
JP6048671B2 (ja) 眼鏡
JP6177425B2 (ja) 車載機器のネジ構造および当該ネジ構造を備えた車載機器
KR102565307B1 (ko) 봉돌 유동 다운 샷 채비
KR20130005373U (ko) 낚싯대 지지용 홀더
KR100800173B1 (ko)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JP3213475U (ja) 傘用のろくろ開閉機構
US10854179B2 (en) Cymbal support and method for using cymbal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