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173B1 -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173B1
KR100800173B1 KR1020070012835A KR20070012835A KR100800173B1 KR 100800173 B1 KR100800173 B1 KR 100800173B1 KR 1020070012835 A KR1020070012835 A KR 1020070012835A KR 20070012835 A KR20070012835 A KR 20070012835A KR 100800173 B1 KR100800173 B1 KR 10080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fastening
ring
mobile phon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익
Original Assignee
주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익 filed Critical 주익
Priority to KR1020070012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2Strips of hook or ey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핸드폰의 삽입홈에 체결하는 연결고리와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핸드폰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와 상기 장식부재 사이에 제 1 체결부재 및 제 2 체결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탈부착되되 상기 연결고리에 중공을 형성한 블록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폰 액세서리의 구성요소 중 연결고리와 장식부재 사이 중 어느 한 곳을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하고, 연결고리에 블록을 삽입하여도 핸드폰의 삽입홈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핸드폰 액세서리를 형성하여 연결고리부분에 장식을 하여 고리가 짧아지거나, 장식부재의 부피가 크더라도 핸드폰의 삽입홈에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핸드폰, 액세서리, 연결고리, 블록, 분리형

Description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Separation Type Accessory for Mobile Phone}
도 1은 일반적인 핸드폰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의 정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의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210: 제 1 체결부재
220: 제 2 체결부재 230: 연결고리
240: 매듭 250: 관통공
260: 제 1 나사산 265: 고정턱
270: 제 2 나사산 280: 장식부재
285: 중공 290: 고정부
295: 블록
본 발명은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폰 액세서리의 구성요소 중 연결고리와 액세서리 사이의 어느 한 부분 이상을 탈착이 용이하도록 형성하며, 핸드폰 액세서리를 핸드폰에 장착한 후에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고리에 장식용 블록을 삽입하는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에는 액세서리를 장착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홈에 루프형 핸드폰 줄의 일단을 끼운 다음 그 끼운 부분에 핸드폰 줄의 나머지 부분을 끼워 당김으로써 핸드폰 줄을 핸드폰에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핸드폰 액세서리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액세서리(100)는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고 다니면서 간편하게 핸드폰(14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핸드폰(140)에 형성된 삽입홈(110)에 핸드폰 액세서리(100)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고리(120)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핸드폰 액세서리(100)의 타측에 구비된 액세서리(130)를 핸드폰에 장착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핸드폰(140)에 형성된 삽입홈(110)에 연결고리(120)의 일단을 끼워서 삽입홈(110)을 통과한 연결고리(120)에 핸드폰 액세서리(130)의 나머지 부분을 삽입하여 당김으로써 핸드폰 액세서리(100)를 핸드폰(140)에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핸드폰 액세서리(100)의 종류 및 형상은 다양하지만 삽입홈(110)에 핸드폰 액세서리(100)를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위와 같이 체결하는 것은 가장 일반적이며, 연결고리(120)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경우 연결고리(120)를 삽입홈(110)에 삽입한 후 액세서리(130)를 삽입홈(110)을 통과한 연결고리(120)로 삽입하여 통과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연결고리(120)를 삽입홈(110)에 삽입하였을 때 연결고리(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최소한 액세서리(130)가 통과할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연결고리(120)의 길이를 가져야만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세서리(130)가 링(Ring) 형상인 핸드폰 액세서리(100)가 가장 일반적인데, 사용자는 링 형상의 액세서리(130)에 손가락을 걸어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핸드폰(140)을 사용하고,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놓치더라도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핸드폰(14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핸드폰 액세서리(100)는 핸드폰 액세서리(100)를 핸드폰(140)에 체결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구비하는 연결고리(120)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핸드폰 액세서리(100)의 길이가 길어지며, 체결 후에도 액세서리(130)가 통과할 만큼의 연결고리(120)의 길이만큼이 그대로 남기 때문에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연결고리(120)의 길이는 무한정 길게 형성하는 것 또한 사용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큰 액세서리(130)는 핸드폰(140)에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핸드폰 액세서리의 구성요소 중 연결고리와 액세서리 사이의 어느 한 부분 이상을 탈착이 용이하도록 형성하며, 핸드폰 액세서리를 핸드폰에 장착한 후에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고리부에 장식용 블록을 삽입하는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핸드폰의 삽입홈에 체결하는 연결고리와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핸드폰 액세서리에 있어서, 연결고리와 장식부재 사이에 제 1 체결부재 및 제 2 체결부재를 구비하여 제 1 체결부재와 제 2 체결부재가 탈부착되되 연결고리에 중공을 형성한 블록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200)는 제 1 체결부재(210), 제 2 체결부재(220) 및 연결고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고리(230)는 일정 길이를 가진 끈 부재의 양단을 매듭지어 형성하며 매듭(240)이 형성된 반대쪽부분을 제 1 체결부재(210)의 하부로 삽입한다. 제 1 체결부재(210)는 중공형상으로 하부의 내경은 비교적 넓으며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250)의 내경은 연결고리의 상부(매듭(240)이 형성된 반대쪽)가 삽입되되 매듭(240)은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로 형성한다. 매듭(240)은 관통공(250)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 1 체결부재(210)의 내경에 위치하며 연결고리(230)를 잡아당겨서 매듭(240)의 크기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제 1 체결부재(210)의 내경에는 제 1 나사산(260)을 형성하고, 제 2 체결부재(220)의 상부 외주면에는 제 2 나사산(270)을 형성한다. 제 2 체결부재(220)는 제 1 체결부재(210)와 나사결합하여 고정되며 제 2 체결부재(220)의 하부에는 장식부재(280)를 구비한다.
장식부재(280)는 체인형태의 액세서리, 기능성 액세서리, 패션용 액세서리 및 분실 방지용 액세서리 등 핸드폰 액세서리로 활용할 수 있는 것 중 임의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한정하지 않으나 링 형상의 장식부재의 경우 다른 실시예를 통해 따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체결부재(220)는 제 1 체결부재(210)와 나사결합 하여 고정되며 제 2 체결부재(220)의 하부에는 장식부재(280)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290)를 형성한다.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200)의 연결고리(230)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하려면 제 1 체결부재(210)에 연결고리(230)를 삽입한 상태로 핸드폰의 삽입홈(미도시)에 연결고리(230)를 삽입하였을 때 삽입홈을 통과한 연결고리(2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 제 1 체결부재(210)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길이를 조절하면 된다.
위와 같이 하더라도 제 1 체결부재(210)가 통과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의 연결고리(230) 길이가 남게 되는데, 연결고리(230)의 재질을 탄성이 있는 끈 부재를 사용하여 더욱 짧게 구비하며 핸드폰의 삽입홈에 삽입하여 연결고리(230)를 잡아당겨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제 1 체결부재(210)를 삽입하게 되면 연결고리(230)의 탄성에 의해 수축하여 핸드폰의 삽입홈과 제 1 체결부재(210) 사이의 거리를 극소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일반적인 길이의 연결고리(230)를 사용하는 경우 연결고리(230)에 블록(295)을 삽입하여 연결고리(2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블록(290)에 의해 미감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블록(290)은 중공(285)을 형성하여 연결고리(230)에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한정하지 않으나 블록(290)의 크기가 클 경우 블록(290) 또한 핸드폰의 삽입홈을 통과한 연결고리(2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블록(295)의 가로 길이 또는 직경이 10mm를 넘지않는다면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할 것이다.
블록(29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면에 이니셜 등의 문자를 삽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의 단면도이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되 제 1 체결부재(310) 및 제 2 체결부 재(320)의 나사산 위치만 변경한 것이다.
제 1 실시예(도 2)의 연결고리(230)는 매듭(240)을 지은 후 제 1 체결부재(210)에 삽입하여 고정한 이후 제 2 체결부재(220)와 나사 결합하는데 이때 매듭(240) 부위 중 일부가 결합시 제 1 나사산(260)과 제 2 나사산(270) 사이에 끼어 결합을 방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도 3)에서는 제 1 체결부재(310)의 외주면에 제 1 나사산(360)을 형성하고, 제 2 체결부재(320)의 내주면에 제 2 나사산(370)을 형성하여 매듭(340)이 제 1 체결부재(310)의 내부에 항상 위치하도록 하여 나사결합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한편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체결부재(210, 310)와 제 2 체결부재(220, 320)가 나사 결합한 후 사용중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체결부(210, 310)와 제 2 체결부재(220, 320) 사이에 풀림 방지 부재(275, 375)를 구비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실시예의 경우 제 1 체결부재(210)와 제 2 체결부재(220)가 체결되었을 때 매듭(240)과 제 2 체결부재(220)의 상부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또는 고정턱(265)과 제 1 체결부재(210)의 하부가 접하는 부위 사이에 풀림 방지 부재(275)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경우 제 1 체결부재(310)와 제 2 체결부재(320)를 체결하였을 때 접하는 제 1 체결부재(310)의 하부와 제 2 체결부재(320)의 내주면 바닥 사이에 풀림 방지 부재(375)를 구비한다.
풀림 방지 부재(275, 375)는 고무 재질로 체결시 풀림 방지 부재(275, 375)가 압축되면서 제 1 체결부재(210, 310) 및 제 2 체결부재(220, 320)의 축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 1 나사산(260, 360)과 제 2 나사산(270, 37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풀림 방지 부재(275, 375)와 접하는 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의 정면도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400)는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200, 3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연결고리(430), 제 1 체결부재(410), 제 2 체결부재(420) 및 블록(495))를 포함하되 제 2 체결부재(420) 이후에 장식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에 회전기능이 있는 제 3 체결부재를 추가로 구비한 것이다.
도 4를 보면 가장 일반적인 장식부재인 링 형상의 부재로 설명하기로 한다. 링 형상의 부재(이하 반지(480)라 칭한다.)는 손가락에 끼워 사용하기 때문에 손가락에 반지(480)가 고정된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핸드폰(미도시)이 회전하게 마련이고, 회전시 제 1 체결부재(410)와 제 2 체결부재(420)가 결합된 부분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체결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반지(480)가 아닌 다른 형태의 장식부재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핸드폰을 손에 쥔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장식부재가 회전하게 마련이고, 회전시 위와 마찬가지로 제 1 체결부재(410)와 제 2 체결부재(420)가 결합된 부분에 회전 력이 전달되어 체결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장식부재와 제 2 체결부재(420) 사이에 회전 가능한 제 3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장식부재와 핸드폰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이 발생하더라도 회전력이 직접 제 1 체결부재(410)와 제 2 체결부재(42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3 체결부재는 반지(480)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원형의 제 1 관통공(445)을 형성하고 내주면측에는 제 1 관통공(445)의 내경보다 큰 원형의 제 1 삽입홈(440)을 형성하며 제 1 관통공(445)과 제 1 삽입홈(440)에 장착하는 제 1 장착부재(490)를 구비하되 제 1 장착부재(490)의 하부는 제 1 삽입홈(440)에 위치하여 제 1 장착부재(490)가 제 1 관통공(445)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 1 삽입홈(440)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며, 상부는 제 1 관통공(445)을 통해 반지(480)의 외주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 1 관통공(445)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제 1 장착부재(490)가 반지(480)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형성한다.
제 1 장착부재(490)를 반지(480)에 삽입하고 반지(480)의 외주면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에 제 2 체결부재(420) 또는 제 2 체결부재(420)에 연장하여 형성한 연결부재(450)의 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 1 결합공(460)을 형성하여 결합부재(470)를 이용해 제 2 체결부재(420) 또는 연결부재(450)와 체결한다.
따라서 반지(480)와 제 1 장착부재(490)는 자연스럽게 회전하는 구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지(480)와 핸드폰간에 상대적으로 회전이 발생하더라도 회전력이 직접 제 1 체결부재(410)와 제 2 체결부재(42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의 평면도이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500)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연결고리(530)에 블록(595)을 삽입하는 것은 동일하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510, 520)의 형상 및 결합방식에 차이가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500)는 블록(595), 연결고리(530), 제 1 체결부재(510) 및 제 2 체결부재(520)를 구비하는데, 연결고리(530)의 단부에 제 1 체결부재(510)가 직접 체결될 수도 있으며, 연결고리(530)와 제 1 체결부재(510) 사이에 핸드폰의 삽입홈(미도시)을 통과한 연결고리(5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과할 수 있는 체인 또는 가죽 끈 등의 연결부재(미도시)를 삽입할 수도 있다.
연결고리(530) 또는 연결부재에 구비된 제 1 체결부재(510)는 반지에 형성된 제 2 체결부재(520)가 탈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원형 봉(513)의 단부에 원형 봉(513)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진 구형 볼(515)이 부착된 형상이다.
제 2 체결부재(520)는 반지(580)의 외주면에 체결공(540) 및 슬릿(545)을 형성하며 탄성부재(5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체결공(540)은 내주면측과 외주면측의 형상이 다른데, 단면도를 보면 외주면측은 경사면(550)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주면측은 라운드(555)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외주면측은 원추의 일부분과 같은 형상이며, 내주면측은 반구형상의 반구형 체결홈(565) 형성하는 것이다. 체결공(540)의 중앙은 완전히 관통되어 있으 며, 관통공(체결공)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반지의 외부로부터 제 1 체결부재(5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슬릿(545)을 형성한다. 도 6b를 보면 슬릿(545)을 체결공(540)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된 위치로 도시하였는데 위 각도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바닥면과 수직하게 형성한 것에 비해 제 1 체결부재(510)가 자연적으로 탈착되는 확률이 적다.
한편 반지(580)의 내주면에는 판 형태의 탄성부재(560)를 구비한다. 탄성부재(560)는 판형 스프링을 사용하며, 탄성부재(560)는 체결공(540)의 하부에 위치하며 반지(580)의 내주면에 탄성부재(560)의 양측 고정된다. A 부분과 탄성부재(560) 사이의 거리(B)는 볼(515)의 지름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체결부재(510)의 원형 봉(513)부위를 슬릿(545)으로 삽입하여 볼(515)이 반구형 체결홈(565)에 위치하도록 하면 탄성부재(560)의 탄성에 의해 볼(515)이 반구형 체결홈(565)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체결이 완성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의 정면도이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600)는 제 4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연결고리(630)에 블록(695)을 삽입하는 것은 동일하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610, 620)의 형상 및 결합방식에 차이가 있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600)는 블록(695), 연결고리(630), 제 1 체결부재(610) 및 제 2 체결부재(620)를 구비하는데, 연결고리(630)의 단부에 제 1 체결부재(510)가 직접 체결될 수도 있으며, 연결고리(630)와 제 1 체결부재(610) 사이에 핸드폰의 삽입홈(미도시)을 통과한 연결고리(6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과할 수 있는 체인 또는 가죽 끈 등의 연결부재(미도시)를 삽입할 수도 있다.
제 1 체결부재(610)는 랍스터 고리(613) 또는 SR 장식(615) 중 하나를 선택한다. 랍스터 고리(613) 및 SR 장식(615)은 레버를 누르면 오-링 형태의 일부가 열려 개구부가 형성되고 레버를 놓으면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는 연결용 부재로 목걸이나 팔찌 등을 연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체결부재(620)는 장식부재측에 구비하는데 제 5 실시예 또한 장식부재가 반지(680)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반지(680)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원형의 제 3 관통공(645)을 형성하고 내주면측에는 제 3 관통공(645)의 내경보다 큰 원형의 제 3 삽입홈(640)을 형성하며 제 3 관통공(645)과 제 3 삽입홈(640)에 장착하는 제 3 장착부재(690)를 구비하되 제 3 장착부재(690)의 하부는 제 3 삽입홈(640)에 위치하여 제 3 장착부재(690)가 제 3 관통공(645)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 3 삽입홈(640)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며, 상부는 제 3 관통공(645)을 통해 반지(680)의 외주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 3 관통공(645)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제 3 장착부재(690)가 반지(680)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형성한다.
제 3 장착부재(690)를 반지(680)에 삽입하고 반지(680)의 외주면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에 제 2 결합공(650)을 형성하며, 제 2 결합공(650)에는 제 2 링(655) 을 삽입한다. 제 2 링(655)은 제 2 결합공(650)에 체결가능하고, 폐 루프 형태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연결고리(630)에 블록(695)을 삽입하고 핸드폰의 삽입홈(미도시)에 체결한 후 제 2 체결부재(620)의 제 2 링(655)에 제 1 체결부재(610)를 체결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2 링(655)을 구비한 장식부재라면 반지(680)가 아니더라도, 장식부재 또는 제 2 링(655)의 크기나 형상에 구애를 받지 않으며, 연결고리(630)에 블록(695)을 삽입한 상태로 핸드폰의 삽입홈(미도시)에 체결할 수 있고 제 1 체결부재(610)의 실시예인 랍스터 고리(613) 또는 SR 장식(615)을 이용해 제 2 링(655)과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한다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드폰 액세서리의 구성요소 중 연결고리와 장식부재 사이 중 어느 한 곳을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하고, 연결고리에 블록을 삽입하여도 핸드폰의 삽입홈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핸드폰 액세서리를 형성하여 연결고리부분에 치장을 하여 고리가 짧아지거나, 장식부재의 부피가 크더라도 핸드폰의 삽입홈에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핸드폰의 삽입홈에 체결하는 연결고리와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핸드폰 액세서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와 상기 장식부재 사이에 제 1 체결부재 및 제 2 체결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탈부착되되 상기 연결고리에 중공을 형성한 블록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는 탄성이 있는 끈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재에 제 1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체결부재에 제 2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나사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결합한 후 상기 제 1 나사산과 상기 제 2 나사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 방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부재와 상기 장식부재 사이에 회전기능이 있는 제 3 체결부재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링 형상의 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체결부재는,
    제 1 관통공 및 제 1 삽입홈을 형성한 상기 반지;
    상기 제 1 관통공 및 상기 제 1 삽입홈에 장착하하되 제 1 결합공을 형성한 제 1 장착부재; 및
    상기 반지의 외주면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제 1 장착부재에 상기 제 2 체결부재 또는 상기 제 2 체결부재에 연장하여 형성한 연결부재의 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
    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체결부재 또는 상기 연결부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는 반지이되,
    상기 연결고리 또는 상기 연결고리에 추가로 구비하는 연결부재에 구비되되 원형 봉 단부에 볼이 부착된 형상의 상기 제 1 체결부재; 및
    상기 반지의 외주면에 체결공 및 슬릿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공에는 반구형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반지 내주면에 판 형태의 탄성부재 포함하는 상기 제 2 체결 부재
    로 구성하여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상기 원형 봉 부위를 상기 슬릿으로 삽입하여 상기 볼이 상기 반구형 체결홈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볼이 상기 반구형 체결홈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9. 제 1 항에 있어서,
    랍스터 고리 및 SR 장식 중 어느 한가지인 상기 제 1 체결부재;
    상기 장식부재에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제 2 링을 포함하는 제 2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KR1020070012835A 2007-02-07 2007-02-07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KR100800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835A KR100800173B1 (ko) 2007-02-07 2007-02-07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835A KR100800173B1 (ko) 2007-02-07 2007-02-07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173B1 true KR100800173B1 (ko) 2008-01-31

Family

ID=3921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835A KR100800173B1 (ko) 2007-02-07 2007-02-07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0192A (zh) * 2018-06-01 2018-11-02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穿戴式电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046Y1 (ko) * 2000-07-08 2000-12-15 박영규 핸드폰 분실방지용 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046Y1 (ko) * 2000-07-08 2000-12-15 박영규 핸드폰 분실방지용 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0192A (zh) * 2018-06-01 2018-11-02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穿戴式电子装置
CN108720192B (zh) * 2018-06-01 2020-10-16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穿戴式电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1378B2 (en) Elastic resistance cord training system and handles
US20060105893A1 (en) Chest expander handle
US7343760B2 (en) Body jewelry
US20080302382A1 (en) Hair hoop structure
US20100257898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Interchangeable Pendant System
US8757665B2 (en) Interchangeable two-piece insert for snow ski or snowboard
KR100800173B1 (ko)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US20210219691A1 (en) A Bead
KR100919609B1 (ko) 체결용 보조텐션을 갖는 귀걸이
US7137914B1 (en) Ball with receptacle to receive a key
CN210382238U (zh) 一种宠物绳
KR101375032B1 (ko) 카메라용 핸드스트랩
KR101202235B1 (ko) 귀걸이 체결구조
KR101468186B1 (ko) 줄넘기 운동구
KR101292060B1 (ko) 카라 고정구
KR200483175Y1 (ko) 악세사리
KR100889462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200254899Y1 (ko) 귀걸이 착탈구
KR200461710Y1 (ko) 다용도 걸이용 캡
US20160142524A1 (en) Media device harness
KR101226448B1 (ko) 액세서리 밴드 장식 부착 구조
KR200201877Y1 (ko) 장식구 체결용 회전버클
KR200386144Y1 (ko) 버클장치의 잠금 구조
KR101691472B1 (ko) 배낭에 탈착이 용이한 스틱 걸이
KR200232806Y1 (ko)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걸림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