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899Y1 - 귀걸이 착탈구 - Google Patents

귀걸이 착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899Y1
KR200254899Y1 KR2020010024792U KR20010024792U KR200254899Y1 KR 200254899 Y1 KR200254899 Y1 KR 200254899Y1 KR 2020010024792 U KR2020010024792 U KR 2020010024792U KR 20010024792 U KR20010024792 U KR 20010024792U KR 200254899 Y1 KR200254899 Y1 KR 2002548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earring
state
fasten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건
Original Assignee
임지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지건 filed Critical 임지건
Priority to KR2020010024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8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8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899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측에 연경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고정구가 구비되고, 이 고정구의 결합공에 귀걸이의 핀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고정되도록 구성하여 흔들림이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귀걸이의 핀이 착탈구의 결합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핀에 의하여 사용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귀걸이 착탈구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외경을 가지며 중심부에 관통공(22)이 형성된 상부몸체(20)와,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24)이 형성되고,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상부몸체(20)의 상단에 결합고정된 하부몸체(26)와, 상단이 상기 상부몸체(20)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하부몸체(26)의 수용공간(24)에 개재되고, 하단이 콘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귀걸이(32)의 핀(34)이 압입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는 결합공(30)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구(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귀걸이 착탈구{Ring Type Apparatus for Hanging in Ear}
본 고안은 귀걸이 착탈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에 연경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고정구가 구비되고, 이 고정구의 결합공에 귀걸이의 핀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고정되도록 구성하여 흔들림이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귀걸이의 핀이 착탈구의 결합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핀에 의하여 사용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귀걸이 착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걸이는 여성들이 애용하는 것으로서 귀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각종 형태로 제작되어 아름다움을 표출하기 위해 귀볼에 착용하는 장식구이며, 이러한 귀걸이가 귀볼에 착용되는 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되어진다. 첫째, 다양한 형상 및 모양으로 디자인된 장식체의 후면에 돌출구성된 핀을 귀볼에 뚫린 구멍에 결합고정하는 방식과 둘째, 다양한 형상 및 모양으로 디자인된 장식체의 후면에 귀볼에 결합고정되는 탄성집게가 돌출구성된 방식으로 구분되어진다.
그러나, 장식체의 후면에 탄성집게가 돌출구성된 방식은 탄성집게가 귀볼을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사용자가 고통 및 통증을 받음으로 그 사용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귀걸이 착탈구가 귀걸이의 핀에 결합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귀걸이 착탈구가 귀걸이의 핀에결합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다양한 형상 및 모양으로 디자인된 귀걸이(10)가 구비되어지고, 이 귀걸이(10)의 후면 일측에는 귀볼에 뚫린 구멍에 삽입고정되는 핀(12)이 외측으로 돌출구성되어진다. 내측에 귀걸이(10)의 후면에 돌출구성된 핀(12)이 삽입고정되는 결합공(14)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착탈구(16)가 구비되어지고, 이 착탈구(16)는 핀(12)이 귀볼(18)에 뚫린 구멍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귀걸이가 착탈구에 의하여 귀볼에 결합고정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귀걸이(10)의 후면에 돌출구성된 핀(12)을 귀볼(18)에 뚫린 구멍으로 삽입한다. 이때, 핀(12)이 귀볼(18)에 뚫린 구멍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상태를 갖는다. 귀걸이(10)의 후면에 돌출구성된 핀(12)의 자유단이 귀볼(18)에 뚫린 구멍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면, 이 핀(12)의 자유단에 착탈구(16)를 결합고정한다. 이때, 핀(12)의 자유단은 착탈구(16)에 형성된 결합공(14)에 압입된 상태로 결합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착탈구를 이용하여 귀걸이를 귀볼에 결합고정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착탈구는 핀과 결합공의 마찰로 인하여 착탈구의 결합공이 마모 확장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착탈구의 결합공이 마모 확장된 상태에서 흔들이나 외부에서 충격이 전달되면 핀이 착탈구의 결합공에서 이탈됨으로 귀걸이가 분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핀이 착탈구의 결합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되어 있음으로 핀에 의하여 사용자가 부상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핀이 착탈구의 결합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되어 있음으로 미관(美觀)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내측에 연경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고정구가 구비되고, 이 고정구의 결합공에 귀걸이의 핀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고정되도록 구성하여 흔들림이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귀걸이의 핀이 착탈구의 결합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핀에 의하여 사용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귀걸이 착탈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귀걸이 착탈구가 귀걸이의 핀에 결합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귀걸이 착탈구가 귀걸이의 핀에 결합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착탈구가 귀걸이의 핀에 결합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착탈구가 귀걸이의 핀에 결합고정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상부몸체 22 : 관통공
24 : 수용공간 26 : 하부몸체
28 : 고정구 30 : 결합공
32 : 귀걸이 34 : 핀
36 : 나사산 38 : 귀볼
40 : 착탈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외경을 가지며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몸체와,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상부몸체의 상단에 결합고정된 하부몸체와, 상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하부몸체의 수용공간에 개재되고, 하단이 콘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귀걸이의 핀이 압입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는 결합공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착탈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구는 귀걸이의 핀이 나사결합가능한 정도의 신축성을 갖는 경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착탈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착탈구가 귀걸이의 핀에 결합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착탈구가 귀걸이의 핀에 결합고정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설명하면, 소정의 외경을 갖는 상부몸체(20)가 구비되고, 이 상부몸체(20)의 중심부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된다. 이 상부몸체(20)는 얇은 박판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24)이 형성된 하부몸체(26)가 구비되고, 이 하부몸체(26)의 상단은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부몸체(20)의 상단에 결합고정된다.
하부몸체(26)의 내경은 상부몸체(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하부몸체(26)는 상부몸체(20)와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단이 상부몸체(20)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하부몸체(26)의 수용공간(24)에 개재되는 고정구(28)가 구비되고, 이 고정구(28)의 하단은 콘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고정구(28)의 내측에 상부몸체(20)에 형성된 관통공(22)과 동일축상을 갖는 결합공(30)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고정구(28)는 연경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착탈구가 귀걸이의 핀에 결합고정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귀걸이(32)의 후면에 돌출구성된 핀(34)을 귀볼(38)에 뚫린 구멍으로삽입한다. 이때, 핀(34)의 자유단에는 나사산(3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귀걸이(32)의 후면에 돌출구성된 핀(34)이 귀볼(38)에 뚫린 구멍으로 삽입되면, 핀(34)의 자유단이 귀볼(38)에 뚫린 구멍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된 상태를 갖는다.
귀걸이(32)의 후면에 돌출구성된 핀(34)의 자유단이 귀볼(38)에 뚫린 구멍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면, 이 핀(34)의 자유단에 착탈구(40)를 가 체결시킨 상태에서 착탈구(40)를 회전시킨다. 이때, 핀(34)의 자유단은 상부몸체(20)에 형성된 관통공(22)을 통하여 고정구(28)의 결합공(30)에 나사결합된 상태를 갖는다. 즉, 착탈구(40)를 회전시키면, 핀(34)의 자유단에 형성된 나사산(36)이 연경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고정구(28)의 결합공(30)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결합고정되는 것이다.
귀걸이(32)의 핀(34)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구(28)의 결합공(30)에 압입된 상태로 나사결합되어 있음으로 흔들림이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귀걸이(32)가 착탈구(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귀걸이(32)가 착탈구(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귀걸이(32)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구(28)가 연경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고정구(28)의 결합공(30)이 마모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핀(34)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구(28)의 결합공(30)에 압입된 상태로 나사결합되어 있음으로 핀(34)과 착탈구(4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핀(34)이 고정구(28)의 결합공(30)에 삽입고정되어 있음으로 사용자가 핀(34)에 의하여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핀(34)이 고정구(28)의 결합공(30)에 삽입고정된 상태로 사용자의 귀볼(38)에 귀걸이(32)가 착용됨으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의 착탈구는 내측에 연경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고정구가 구비되고, 이 고정구의 결합공에 귀걸이의 핀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결합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흔들림이나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하여 귀걸이의 핀이 착탈구의 결합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핀에 의하여 사용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소정의 외경을 가지며 중심부에 관통공(22)이 형성된 상부몸체(20)와,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24)이 형성되고, 상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상부몸체(20)의 상단에 결합고정된 하부몸체(26)와,
    상단이 상기 상부몸체(20)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로 하부몸체(26)의 수용공간(24)에 개재되고, 하단이 콘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귀걸이(32)의 핀(34)이 압입된 상태로 나사결합되는 결합공(30)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구(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착탈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8)는 귀걸이(32)의 핀(34)이 나사결합가능한 정도의 신축성을 갖는 경질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착탈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0)와 하부몸체(26)는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착탈구.
KR2020010024792U 2001-08-16 2001-08-16 귀걸이 착탈구 KR2002548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792U KR200254899Y1 (ko) 2001-08-16 2001-08-16 귀걸이 착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792U KR200254899Y1 (ko) 2001-08-16 2001-08-16 귀걸이 착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899Y1 true KR200254899Y1 (ko) 2001-12-01

Family

ID=7310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792U KR200254899Y1 (ko) 2001-08-16 2001-08-16 귀걸이 착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8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77Y1 (ko) 2012-05-17 2014-03-19 김점숙 피어싱 액세서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777Y1 (ko) 2012-05-17 2014-03-19 김점숙 피어싱 액세서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41856A (en) Ear ornament with three-point resilient support within the tragus, the antitragus and the anti-helix
US5170542A (en) Jewelry clutch
KR200254899Y1 (ko) 귀걸이 착탈구
KR200315243Y1 (ko) 귀걸이 고정구
WO2002065868A1 (fr) Accessoires
KR20030039941A (ko) 다용도 장신구
KR200260669Y1 (ko) 귀고리
KR200489750Y1 (ko) 장식 귀걸이
KR200174917Y1 (ko) 팔찌
KR100800173B1 (ko) 분리형 핸드폰 액세서리
JP3214237U (ja) ピアスキャッチ
KR200323322Y1 (ko) 귀걸이 탈착구
TWI296508B (ko)
KR200179629Y1 (ko) 귀고리 체결구
KR200307423Y1 (ko) 피어싱 액세서리의 착탈구조
KR200174874Y1 (ko) 귀걸이 홀더
JPS606652Y2 (ja) 留具
KR200232806Y1 (ko)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걸림구
KR200257336Y1 (ko) 귀걸이용 클러치
JPH10201507A (ja) 耳装飾具
KR200276913Y1 (ko) 귀고리
KR200260666Y1 (ko) 귀걸이 체결구조
JP3128830U (ja) 装身具用掛止具
KR200325175Y1 (ko) 진주목걸이용 장식구 체결구조
KR200335718Y1 (ko) 교체가능한 액세사리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