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874Y1 - 귀걸이 홀더 - Google Patents

귀걸이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874Y1
KR200174874Y1 KR2019990020192U KR19990020192U KR200174874Y1 KR 200174874 Y1 KR200174874 Y1 KR 200174874Y1 KR 2019990020192 U KR2019990020192 U KR 2019990020192U KR 19990020192 U KR19990020192 U KR 19990020192U KR 200174874 Y1 KR200174874 Y1 KR 200174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lder body
fastener
earr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수
Original Assignee
윤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수 filed Critical 윤장수
Priority to KR2019990020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8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결이 용이하도록 안출된 귀걸이 홀더에 관한 것이다.
고리부(14)가 일체로 구성된 홀더몸체(10)를 구성하되, 그 일단은 호형으로 굴곡하여 탄력부(12)를 형성하고 탄력부(12)의 말단은 상향으로 절곡하여 제어부 (12')를 구성하는 한편, 홀더몸체(10)의 타단은 상부에 체결구멍(16')이 형성된 체결구(16)를 힌지(16')로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탈이 극히 용이 하고, 특히 일체로 구성된 고리부에 의해서 다양한 보석을 선택적으로 바꿔낄 수 있다

Description

귀걸이 홀더 {Earring holder}
본 고안은 체결이 용이하도록 안출된 귀걸이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일체형의 홀더몸체와 이와 결합된 체결구를 형성하되, 체결부의 일단을 호형으로 굴곡하여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게한 탄력부를 구성하여 이 탄력부에 의해 상기 체결구가 극히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귀걸이는 주로 여성들에게 장신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성들의 구미에 맞도록 다양한 디자인을 갖춘 재질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다. 특히 귀걸이는 여성들에게 외모를 아름답게 꾸미는데 사용될 뿐 아니라 인체에 유익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보조기구로도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귀걸이를 착용하기 위한 종래의 귀걸이 홀더는 그 착용방식이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나사조임식이라든지 탄성편에 의한 접지되는 구조가 있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일측의 나사의 조임으로 인해 타측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착용되는데 이는 나사를 돌려서 착용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외관이 아름답지 못했다. 후자의 경우, 첨부한 도 3에서와 같이 탄성편(60')에 의한 접지되는 구조는 걸고리 (62)의 고정된 형상으로 인해 악세사리를 바꿔낄 때 악세사리의 걸고리를 이완시킨 후 이를 홀더(50)의 걸고리(62)에 끼워넣어야 하고 수차례 반복할 경우에는 악세사리의 걸고리의 이완되는 부위가 끊어져 버리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일체형의 홀더몸체와 이와 결합된 체결구를 형성하되, 체결부의 일단을 호형으로 굴곡하여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게한 탄력부를 구성하여 이 탄력부에 의해 상기 체결구가 극히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귀걸이 홀더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3는 종래의 귀걸이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홀더몸체 12 : 탄력부
14 : 고리부 16 : 체결구
16′: 체결구멍 16″: 힌지
18 : 보석
고리부(14)가 일체로 구성된 홀더몸체(10)를 구성하되 그 일단은 호형으로 굴곡하여 탄력부(12)를 형성하고 탄력부(12)의 말단은 상향으로 절곡하여 제어부 (12')를 구성하는 한편, 홀더몸체(10)의 타단은 상부에 체결구멍(16')이 형성된 체결구(16)를 힌지(16')로 결합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을 이루는 귀걸이의 홀더몸체(10)는 인위적인 가압에 의해 말단의 제어부(12')가 힌지(16')결합된 체결구(16)의 체결구멍(16')의 내주면의 상면과 탄력적으로 접하는데 이때, 탄력부(12)는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제어부는 체결구멍 (16')에 삽입을 이룬다. 삽입이 완료된 다음 다시 탄력부(12)의 탄력에 의해서 복원을 이루어 잠금상태가 된다. 이러한 동작은 풀림할때에도 동일한 작용을 이루게 되는데 이때는, 탄력부(12)에 탄력적으로 결합된 체결구(16)를 인위적으로 외측으로 당기어 제어부(12')에서 이탈되게 하여 풀림을 이룬다. 또한 고리부(14)는 일체로 구성된 홀더몸체(10)의 타단에서 구성되기 때문에 선택한 보석(18)을 상기 제어부(12')와 체결구(16)가 개방된 상태, 즉 풀림상태에서 제어부(12')의 말단쪽에서 부터 끼움하여 타단의 고리부(14)에 까지 유도하여 간편하게 착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끼움된 보석(18)은 첨부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협소하게 상향 절곡된 부위에 의해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특히 주로 고정된 형상의 고리부가 형성된 보석을 일체로 구성된 홀더몸체(10)의 고리부(14)에 의해서 착탈이 용이하여 착용자가 다양한 보석(18)을 선택적으로 바꾸어 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고리부가 일체로 구성된 홀더몸체에 탄력부를 형성하고 탄력부의 말단은 상향으로 절곡하여 제어부를 구성하여 착용을 극히 용이하게 하고, 특히 일체로 구성된 고리부에 의해서 다양한 보석을 선택적으로 바꿔낄 수 있다.

Claims (1)

  1. 고리부(14)가 일체로 구성된 홀더몸체(10)를 구성하되 그 일단은 호형으로 굴곡하여 탄력부(12)를 형성하고 탄력부(12)의 말단은 상향으로 절곡하여 제어부 (12')를 구성하는 한편, 홀더몸체(10)의 타단은 상부에 체결구멍(16')이 형성된 체결구(16)를 힌지(16')로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홀더.
KR2019990020192U 1999-09-18 1999-09-18 귀걸이 홀더 KR200174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192U KR200174874Y1 (ko) 1999-09-18 1999-09-18 귀걸이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192U KR200174874Y1 (ko) 1999-09-18 1999-09-18 귀걸이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874Y1 true KR200174874Y1 (ko) 2000-03-15

Family

ID=1958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192U KR200174874Y1 (ko) 1999-09-18 1999-09-18 귀걸이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8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3178A (en) Decorative or ornamental appliance for use with articles such as wrist watches
EP1677643B1 (en) Attaching apparatus of artificial nail
US8973399B2 (en) Latch mechanism for a timepiece
EP2801277B1 (en) Removable jewelry setting
US6209351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accessory
KR200174874Y1 (ko) 귀걸이 홀더
KR200280016Y1 (ko) 장식체 교체형 반지
JP3071869U (ja) 宝石などの装飾部材を取替え可能とした装身具
US7096690B2 (en) Bracelet and pendant
KR100504248B1 (ko) 귀걸이
KR200251877Y1 (ko) 손톱 장신구
KR200338532Y1 (ko) 귀걸이
CN209528093U (zh) 一种具有简易固定结构的卡扣手镯
KR101143258B1 (ko) 목걸이형 시계
KR200251878Y1 (ko) 손톱 장신구
KR200242625Y1 (ko) 장식이 탈부착되는 반지
KR200228379Y1 (ko) 손목시계용시계줄
KR200328557Y1 (ko) 장신구
KR200343199Y1 (ko) 장신구용 길이조절장치
KR200254899Y1 (ko) 귀걸이 착탈구
KR200369884Y1 (ko) 손톱 장신구
JP3011909U (ja) ブローチ兼用ペンダント
KR200291611Y1 (ko) 펜던트링
KR200328377Y1 (ko)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
KR200224624Y1 (ko) 머리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