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377Y1 -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 - Google Patents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377Y1
KR200328377Y1 KR20-2003-0019641U KR20030019641U KR200328377Y1 KR 200328377 Y1 KR200328377 Y1 KR 200328377Y1 KR 20030019641 U KR20030019641 U KR 20030019641U KR 200328377 Y1 KR200328377 Y1 KR 200328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opening
ornament
ben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현
Original Assignee
장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현 filed Critical 장지현
Priority to KR20-2003-0019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3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3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5Piercing typ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7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 A44C15/008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on the n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4Ear-clips
    • A44C7/005Ear-clips made of one piece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는 단일체의 금속선을 절곡하여 개폐가능하게 탄성작동되도록 타원형으로 절곡된 고리본체의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접하는 접촉부분에는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에 인접한 일단에는 장식물이 고정되는 고정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에 인접한 타단에는 상기 개폐부의 개방작동이 용이하도록 외향으로 벌어지도록 절곡된 삽입절곡부가 형성되어, 보석 등의 장식물을 장신구본체에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조를 갖게 하므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종류의 장식물을 교체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항상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고, 구조가 혁신적일 정도로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가 저렴하게 되며, 사용이 빈번한 손톱에 장신구의 고정시 장신구의 착탈고정이 대단히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 A coupling link }
본 고안은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석등의 장식물이 달린 장신구를 장신구본체나 착용자의 신체등에서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장신구본체를 다양한 장식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장신구의 효용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가 저렴하면서도 착탈작동이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장식물을 손톱이나 발톱에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장신구를 착용하는 범위를 획기적으로 넓힌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주, 에메랄드,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 등의 장식물로 치장된 장신구는 장신구를 치장하는 보석인 장신구가 일정위치에 고정되게 되므로 장신구본체에 고정된 장식물을 떼어내거나 다시 붙이거나 하는 것은 생각할 수 없었으며, 특히 손톱에 장신구를 고정하는 것은 신체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손이며 손에다 장신구를 부착시키는 것은 그 만큼 손의 사용이 불편하게 되므로 장신구를 손톱에 반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유사한 종래의 목걸이줄의 줄과 줄의 사이를 연결하는 목걸이 연결고리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에 목걸이의 줄이 고정되는 고정단부가 형성된 원형의 고정본체(100)와, 상기 고정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101)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되면서 다른 줄의 고리를 고정하는 습동가동되는 고리부(102)로 구성된 목걸이 연결고리가제안되어 있으나, 이러한 목걸이 연결고리는 우선은 부피가 크게 되어 장신구본체나 손톱상에 장식물과 같이 고정이 될 수 없으며 또한 그 구조가 스프링(101)이 반드시 필요하면 그 외에도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복잡하며 조립시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고 손톱에 고정시에는 손톱의 파손과 같은 우려가 있으므로 손톱과 같은 연약한 신체에는 직접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석 등의 장식물을 장신구본체에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조를 갖게 하므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종류의 장식물을 교체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항상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이 빈번한 손톱에 장신구의 고정시 장신구의 착탈고정이 대단히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혁신적일 정도로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가 저렴하게 되는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들은 진주, 에메랄드 등의 보석인 장식물이 일단에 고정된 고정단부를 가지며 타단은 탄성적으로 개폐작동되는 개폐단부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의 장식물이 고정된 사시도
도3은 도2의 장신구연결고리를 손톱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2의 장신구연결고리를 손톱에서 고정시키거나 이탈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고리를 머리핀에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장신구연결고리를 사용하는 귀걸이의 사시도
도7은 종래의 목걸이의 절단된 목걸이줄을 연결하는 목걸이연결고리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장신구연결고리 1.고리본체 2.개폐부 3.장식물
4.고정단부 5.삽입절곡부 6.손톱 7.귀걸이
61.손톱천공홀 71.고정공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A)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체의 금속선을 절곡하여 개폐가능하게 탄성작동되도록 타원형으로 절곡된 고리본체(1)의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접하는 접촉부분에는 개폐부(2)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2)에 인접한 일단에는 장식물(3)이 고정되는 고정단부(4)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2)에 인접한 타단에는 상기 개폐부(2)의 개방작동이 용이하도록 외향으로 벌어지도록 절곡된 삽입절곡부(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원형으로 절곡된 고리본체(1)는 개폐부(2)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탄력지지하는 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A)는 손톱(6)끝에 천공된 손톱천공홀(61)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기에 적합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장신구연결고리(A)의 일단부에는 별모양의 에메랄드가 고정된 장식물(3)이 고정된 고정단부(4)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손톱천공홀(61)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삽입절곡부(5)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절곡부(5)는 고정단부(4)와 밀착되지 않고 외향으로 벌어져 있으므로 벌어진 삽입절곡부(5)의 단부를 손톱천공홀(61)상에 끼우기가 용이하므로 삽입절곡부(5)를 손톱천공홀(61)상에 끼우고 계속 밀어넣으면 서로 밀착된 개폐부(2)가 열리면서 손톱이 타원형의 고리본체(1)내로 들어가게 되고(도4에 도시) 이와 동시에 개폐부(2)는탄성적인 스프링힘에 의하여 서로 밀착되도록 폐쇄되게 되면서 본 고안의 장식물(3)이 고정된 장신구연결고리(A)가 손톱상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도3에 도시). 만일 장식물연결고리(A)를 손톱에서 빼고자 할 경우에는 역순으로 손톱천공홀(61)부근으로 삽입절곡부(5)를 이동시킨후에 계속 힘을 가하면 밀착상태의 개폐부(2)가 벌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삽입절곡부(5)를 손톱천공홀(61)에서 빼내면 장식물연결고리(A)가 손톱에서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연결고리(A)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금으로 제조되고 다수의 고정공(71)이 천공된 귀걸이(7)에도 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이 되므로 귀걸이(7)에 고정되는 장식물을 임의로 교환하여 부착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다양한 보석을 항상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대단히 편리한 구조를 갖는 고안이다. 귀걸이만이 아니라 목걸이, 머리핀, 브로우치 등의 다른 신변장신구에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는 단일체의 금속선을 절곡하여 개폐가능하게 탄성작동되도록 타원형으로 절곡된 고리본체의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접하는 접촉부분에는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에 인접한 일단에는 장식물이 고정되는 고정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에 인접한 타단에는 상기 개폐부의 개방작동이 용이하도록 외향으로 벌어지도록 절곡된 삽입절곡부가 형성되어, 보석 등의 장식물을 장신구본체에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조를 갖게 하므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종류의 장식물을 교체하여 고정시키는것이 가능하게 되어 항상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고, 구조가 혁신적일 정도로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가 저렴하게 되며, 사용이 빈번한 손톱에 장신구의 고정시 장신구의 착탈고정이 대단히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일체의 금속선을 절곡하여 개폐가능하게 탄성작동되도록 타원형으로 절곡된 고리본체의 양단이 착탈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접하는 접촉부분에는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에 인접한 일단에는 장식물이 고정되는 고정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에 인접한 타단에는 상기 개폐부의 개방작동이 용이하도록 외향으로 벌어지도록 절곡된 삽입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
KR20-2003-0019641U 2003-06-21 2003-06-21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 KR200328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641U KR200328377Y1 (ko) 2003-06-21 2003-06-21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641U KR200328377Y1 (ko) 2003-06-21 2003-06-21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377Y1 true KR200328377Y1 (ko) 2003-09-29

Family

ID=4933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641U KR200328377Y1 (ko) 2003-06-21 2003-06-21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3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7485Y1 (ko) 벨크로형 머리카락장신구용 연결구
US6026658A (en) Convertible jewelry article
KR200328377Y1 (ko) 착탈가능한 장신구연결고리
US60531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jewelry to hair
JP3129475U (ja) 吊下げ式装身具
KR200400292Y1 (ko) 악세사리용 체결구
KR200348518Y1 (ko) 손톱장신구
JP3115496U (ja) ピアスイヤリング
KR200269199Y1 (ko) 장신구의 연결구조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0313343Y1 (ko) 장신구 걸이용 목걸이 줄
KR100531179B1 (ko)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KR200286030Y1 (ko) 장신구용 보석고정구
KR200413046Y1 (ko) 보조잠금장치를 가진 장식부재
KR200348517Y1 (ko) 손톱장신구
US20120279026A1 (en) Ornament lock with wide opening ornament clasp
KR200251878Y1 (ko) 손톱 장신구
KR100760470B1 (ko) 팔찌, 등찌 및 반지가 일체화된 장신구
KR200187524Y1 (ko) 헤어핀
KR200179934Y1 (ko) 장신구
KR200241318Y1 (ko) 손톱 장신구
JP3139019U (ja) ピアスキャッチ
KR200358472Y1 (ko) 장식용 줄
KR200321292Y1 (ko) 커플 목걸이용 이중 펜던트
KR200251877Y1 (ko) 손톱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