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334Y1 - 신발끈 조임구 - Google Patents

신발끈 조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334Y1
KR200362334Y1 KR20-2004-0017077U KR20040017077U KR200362334Y1 KR 200362334 Y1 KR200362334 Y1 KR 200362334Y1 KR 20040017077 U KR20040017077 U KR 20040017077U KR 200362334 Y1 KR200362334 Y1 KR 200362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fastener
present
shoelaces
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성
Original Assignee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2004-0017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끈을 관통시킨 후 신발끈의 양 단부를 좌·우 양 방향으로 벌려 고정함으로써 묶지 않고도 간편하게 신발끈을 조여 묶을 수 있는 신발끈 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신발끈 조임구는, 상·하부 링(11)(12)의 각 일측이 연결되어 "8"자의 형상을 하는 조임구 본체(10)와; 상기 상·하부 링(11)(12)의 각 투공부(h)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신발끈(S)의 양 단부 일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며, 상부 링(11)측 하부 링(12) 상부 외면 양 측 또는 신발 갑피의 외면 양측 중의 어느 하나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2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신발끈 조임구는 힘이 없거나 신발끈을 잘 묶을 수 없는 노약자도 간편하게 신발끈을 조일 수 있도록 하여 주며, 한 쌍의 링이 일체로 결합된 "8"자 형상의 조임구 본체가 일종의 장식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원가가 낮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신발끈 조임구{The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string}
본 고안은 신발끈을 조여주기 위한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최종 신발끈 구멍을 관통한 상태에서 묶여지는 신발끈의 양 단부를, 한 쌍의 링이 동일 평면상에서 인접 결합된 "8"자형 몸체의 양 투공부에 차례로 통과시킨 후 양 단부를 좌·우 양 방향으로 벌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묶지 않고도 간편하게 신발끈을 조여 묶을 수 있도록 한 신발끈 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필요한 것들 중의 하나인 신발은 용도에 따라 수많은 종류가 있으나, 용도에 관계 없이 대부분의 신발에는 신발을 조여주기 위한 신발끈이 구비된다.
물론, 신발은 보행시 벗겨지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를 선택하여야 하고, 벗고 신기에 적당하도록 신발끈을 다소 느슨하게 묶은 상태에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가능한 한 보행시에는 신발이 발에 압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꼭 맞도록 끈을 조여주는 것이 발의 건강에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거나 조이는 것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당히 묶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보통의 경우이기는 하나, 일반 보행시에도 신발끈은 종종 풀어져 다시 묶어야 하는 귀찮음을 초래하기도 하고, 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신발끈의 양 단부가 고정되지 않으므로써 단정치 못한 느낌을 줄 수도 있으며, 신발끈이 긴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더욱이, 초등학교 저학년 내지는 초등학교 이전의 어린아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신발끈을 풀었다 조이는 일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특히 등산, 경륜 등과 같이 운동을 하고 있는 선수들이나 사람들의 경우 고정되지 않은 신발끈의 양 단부나 매듭이 격렬한 움직에 의해서나 외부 물체에 걸려 풀리게 되면 기록저하, 안전사고의 발생 등 결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신발끈의 풀림은 절대적으로 방지되어야 한다.
또한, 운동 중 쉬는 시간에는 꽉 조여진 신발끈을 손쉽게 풀 수 있어야만 충분히 쉴 수 있는 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신발끈을 쉽게 조일 수 있으며, 조여진 상태가 지속되어야 하는 동시에 필요시 손쉽게 신발끈을 느슨하게 풀 수 있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서로 상반되는 신발끈의 조임과 풀림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발끈을 쉽게 조일 수 있는 기구들이 개발되었는 바, 국내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1998-069037호 내지 제2003-0323590호에는 신발끈 관통홈과 관통구가 구비된 "T"자형 본체와 걸림돌기가 구비된 신발끈 결속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장치들은 신발끈을 다수의 관통홈과 관통구 및 걸림돌기를 통하여 신발끈을 고정하는 구조로서, 조여진 신발끈이 쉽게 풀어지지는 않겠으나 신발끈과 밀착되는 관통홈과 관통구 및 걸림돌기 등을 통하여 조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어린이와 노인이 사용하기에는 쉽지 않을 뿐더러, 복잡한 구조와 아울러 신발끈이 삽입 관통되는 결속장치의 본체 두께에 의해 결속장치가 신발의 상부로 돌출되어 외관을 헤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종래 조임구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낮으며, 그에 따라 신발의 가격 상승을 초래하게 될 뿐 아니라, 장시간 반복 사용시 신발끈 자체의 손상을 초래하여 미관을 해치고 신발끈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신발끈 조임 장치들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임구가 신발의 상부로 높게 돌출되지 않아 외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해 소손되지 않고, 장식물과 같이 신발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간편하여 누구나 신발끈을 손쉽게 조이고 풀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분리할 수도 있는 신발끈 조임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제1실시예 고정부재 결합형 신발끈 조임구를 보인 것으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신발끈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제1실시예 신발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제2실시예 신발끈 조임구와 신발끈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제3실시예 고정부재 분리형 신발끈 조임구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제4실시예 고정부재 결합형 신발끈 조임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임구 본체 11. 상부링
12. 하부링 13. 걸림홈
20. 고정부재 21. 마무리부재
S. 신발끈 h. 투공부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상·하로 연결되는 한 쌍의 링과, 상기 각 링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신발끈의 양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실발끈 조임구는, 경질의 합성수지나 금속과 같이 강성을 갖는 상기 한 쌍의 링이 상·하로 연결되어 "8"자 형상을 하는 조임구 본체와, "C" 또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임구 본체와 고정부재로 구성된 본 고안의 신발끈 조임구는 상·하부 링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킨 신발끈의 양 단부를 단순히 벌린 상태에서 벌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신발끈의 양 단부를 고정시키기만 하면 조여진 신발끈이 느슨하게 되지 않고 단단히 고정되는 바, 그 사용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최종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신발끈의 양 단부를, 조임구 본체의 상·하부 링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신발끈의 양 단부가 서로 평행하도록 신발끈의 양 단부를 잡은 후 신발끈의 양 단부를 좌·우 양 방향으로 벌리게 되면 신발끈이 양 방향으로 벌려지면서 조임구 본체가 신발끈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양 측에 위치한 한 쌍의 최종 신발끈 구멍 사이에 인접한 설포 상부 중앙 상면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포 상부 중앙 상면에 본 고안 조임구 본체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양 측 방향으로 벌려진 신발끈의 양 단부를 고정부재에 끼워 신발끈의 벌려진 각도를 고정시킴으로써 신발끈이 조여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신발끈의 벌려진 각도는 180°정도가정도가 하여야 하며, 이 각도가 180°에 미치지 못하면 조임구 본체가 신발의 후방측으로 움직이게 되어 신발끈이 느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의 신발끈 조임구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필요에 따라 조임구 본체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고정부재와 분리된 상태에서 신발 갑피의 양 측면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으며, 조임구 본체의 재질과 색깔에 제한이 없으나 본 고안의 신발끈 조임구가 신발의 상면에 장착되는 바, 미관을 위하여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만들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과 자세한 기술적 특성 및 작용 효과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고안 일실시예 신발끈 조임구의 사시도를, 도 2에 사용 상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끈 조임구는 신발끈의 양 단부가 통과하는 투공부(h)가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상·하부 링(11)(12)이 상·하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된 "8"자 형상의 조임구 본체(10)와; 상기 상·하부 링(11)(12)의 각 투공부(h)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신발끈(S)의 양 단부가 양 측으로 벌려진 상태에서 각 단부의 일측부가 각각 끼워지며, 상부 링(11)측 하부 링(12) 상부 외면 양 측에 각각 고정 결합된 한 쌍의 고정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신발끈 조임구를 사용하여 신발끈을 조이는 경우, 신발끈의 양 단부가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재로부터 신발끈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길게 되면 발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부재를 통과한 신발끈이 움직이게 되어 미관상 좋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를 통과한 신발끈의 양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링(12)의 하단부 외면에 "ω"형상의 단면을 갖는 마무리부재(21)를 결합시킨 후 마무리부재(21)에 구비된 한 쌍의 요홈에 신발끈의 양 단부를 추가적으로 고정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마무리부재(21)는 한 쌍의 고정부재(20)를 상호 축 방향이 평행하도록 결합시킨 형상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구 본체에 결합된 고정부재(20)를 조임구 본체(10)와 분리시켜 신발 갑피의 양 외측면에 결합시킬 수도 있는 바, 이를 보인 것이 도 4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구 본체의 하부 링(12)을 관통하여 벌려진 신발끈이 더욱 안정적으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 링(11)측 하부 링(12) 상부 내주면 양 측에 신발끈의 일부가 들어가 걸리게 되는 걸림홈(13)을 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근래의 신발들 중, 특히 등산화 등에는 신발끈을 신발끈 구멍에 통과시키지 않고 거는 방식으로 신발끈을 신발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신발끈 구멍의 위치에 "C"자형 걸쇠가 결합되어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상기 고정부재대신에 상기 걸쇠를 고정부재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신발끈 조임구를 사용하여 신발끈을 조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신발끈이 벌려진 각도가 180°정도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으로서, 고정부재(20)를 조임구 본체(10)의 하부 링(12) 또는 신발 갑피의 양 측에 결합시킬 때는 그 결합 위치를 신발끈의 벌려진 각도가 반드시 180°정도로정도로수 있는 위치로 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신발끈이 통과된 상태에서 신발끈이 벌려짐에 따라 신발끈을 타고 움직이게 되는 조임구 본체(10)를 설포의 상면에 밀착시켜 신발끈(S)을 고정부재(20)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신발끈(S)이 느슨하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신발끈(S)을 벌려 조임구 본체(10)를 설포 상면에 밀착시키는 외력에 대하여 조임구 본체(10)가 소성 변형은 물론 탄성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반대로 신발끈(S)이 끼워져 물린 상태가 되는 고정부재(20)의 경우에는 반복적으로 끼워지는 신발끈(S)을 단단히 물고있을 수 있도록 강한 탄성력을 가진 탄성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끈 조임구는 단순히 신발끈을 벌려 고정시키는 단순한 방법을 통하여 신발끈을 조일 수 있기 때문에 힘이 없거나 신발끈을 잘 묶을 수 없는 노약자도 간편하게 신발끈을 조일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신발끈과 접촉하게 되는 조임구 본체와 고정부재의 면이 만곡면을 이루기 때문에 신발끈의 소손이 최소화 될 뿐만 아니라, 투공부를 갖는 한 쌍의 링이 일체로 결합된 "8"자 형상의 조임구 본체가 일종의 장식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신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임구 본체의 경우 거의 2차원적인 평면 구조로서, 설포의 상면에서 크게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 물체에 걸려 손상될 위험이 거의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분리한 후 종래와 같이 매듭에 의해 신발끈을 묶을 수도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원가가 낮은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신발끈을 조여 주는 신발끈 조임구에 있어서, 상·하부 링(11)(12)의 각 일측이 연결되어 "8"자의 형상을 하는 조임구 본체(10)와; 상기 상·하부 링(11)(12)의 각 투공부(h)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신발끈(S)의 양 단부 일부가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상부 링(11)측 하부 링(12) 상부 외면 양 측 또는 신발 갑피의 외면 양측 중의 어느 하나에 각각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C"자형 또는 "U"자형 중의 어느 한 단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11)측 하부 링(12) 상부 내주면 양 측에는 걸림홈(13)이 각각 부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링(12)의 하단부 외면에는 "ω"형상의 단면을 갖는 마무리부재(21)가 부가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구.
KR20-2004-0017077U 2004-06-17 2004-06-17 신발끈 조임구 KR200362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077U KR200362334Y1 (ko) 2004-06-17 2004-06-17 신발끈 조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077U KR200362334Y1 (ko) 2004-06-17 2004-06-17 신발끈 조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334Y1 true KR200362334Y1 (ko) 2004-09-16

Family

ID=4943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077U KR200362334Y1 (ko) 2004-06-17 2004-06-17 신발끈 조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35U (ko) * 2020-10-10 2022-04-19 이석종 8자 도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835U (ko) * 2020-10-10 2022-04-19 이석종 8자 도래
KR200496646Y1 (ko) 2020-10-10 2023-03-23 이석종 8자 도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5829B2 (en) U-shaped lace buckle
US7506420B2 (en) Footwear and clothes fastening and transforming system
US85339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stening footwear having releasably locking device(s)
US10561196B2 (en) Shoe with exchangeable upper
US8991018B2 (en) Shoelace fastener system
US20110289742A1 (en) Shoelace fastener
US20130340286A1 (en) Shoe With Exchangeable Upper
KR890000901B1 (ko) 스포츠화
KR200362334Y1 (ko) 신발끈 조임구
EP3177168A1 (en) Lacing system for shoes and shoe manufactured with said lacing system
US9486038B1 (en) Apparatus that fits into the eyelets of lace up footwear and permits a closure means alternative to laces
KR101614858B1 (ko) 신고 걸으면 끈이 조여지며 끈 교체가 가능한 운동화
KR101315194B1 (ko) 신발끈 조임장치
US20070039145A1 (en) Shoelace holder
KR200433780Y1 (ko)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
AU2018101169A4 (en) Fastening device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KR200246554Y1 (ko)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끈의 결속장치
CN103381004B (zh) 鞋扣及鞋子
KR200242103Y1 (ko) 신발용 체결구
JP3245848U (ja)
KR200422637Y1 (ko) 신발끈 풀림방지용 고리쇠
JPS6116811Y2 (ko)
KR200184587Y1 (ko) 신발 끈을 신속하게 묶을 수 있는 신발
KR20170123491A (ko) 신발끈 고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