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780Y1 -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 - Google Patents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3780Y1 KR200433780Y1 KR2020060026568U KR20060026568U KR200433780Y1 KR 200433780 Y1 KR200433780 Y1 KR 200433780Y1 KR 2020060026568 U KR2020060026568 U KR 2020060026568U KR 20060026568 U KR20060026568 U KR 20060026568U KR 200433780 Y1 KR200433780 Y1 KR 20043378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s
- shoe
- fixing
- operating
- finis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8—Hook fastenings; Rotary hoo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을 벗을 때에는 신속하게 느슨하도록 하고 신발을 착용할 때에도 신속하게 신발을 조여주도록 하여 신발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신발에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신발이 더욱 편리하면서도 미려하도록 하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즉 기준봉(11)의 한쪽으로 일정 폭을 유지하는 고정편(12)을 구비한 복수의 고정부재(10)와, 장착홈(33)을 유지하는 복수의 마감본체(31)를 연결편(32)으로 연결하고 유입홈(34)을 대칭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마감부재(30)와, 마감편(22)의 양측 끝단에 작동공(23)을 형성한 원통형의 작동본체(21)의 외 측으로 개방공간(24)을 형성하여 구성한 다수의 작동부재(20)를 각각 구성하여 고정편(12)을 신발(40)의 본체갑피(41)에 부착하여 고정부재(10)가 대칭이 되도록 한 다음 고정부재(10) 하단에 마감부재(30)가 결착되도록 하고 작동부재(20)가 대칭의 고정부재(10) 사이에 기준봉(11)과 작동공(23)에 의해 연결어 고정부재(10)의 기준봉(11)을 타고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조임구, 신발, 결속장치, 고정장치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의 (가)(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도 3의 (가)(나)(다)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도 5의 (가)(나)는 종래의 조임구를 신발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결착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 1a: 조임구 10: 고정부재
11: 기준봉 12: 고정편
20: 작동부재 21: 작동본체
22: 마감편 23: 작동공
24: 개방공간 30: 마감부재
31: 마감본체 32: 연결편
33: 장착홈 34: 유입홈
40: 신발 41: 본체갑피
42: 보호갑피 50: 마감구
본 고안은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벗을 때에는 신속하게 느슨하도록 하고 신발을 착용할 때에도 신속하게 신발을 조여주도록 하여 신발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신발에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신발이 더욱 편리하면서도 미려하도록 하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신발은 구두, 운동화, 슬리퍼, 장화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어 구성되고 있으며 특히 구두나 운동화와 같이 조임구를 신발에 부착하여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후 조임구에 의해 착용자의 발에 밀착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활동이 편안하도록 것으로서 통상적인 조임구는 신발끈, 지퍼, 매직 테이프 및 버튼 등 다양한 형태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조임구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되어 신발에 적용되는 것 으로서 이중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조임구는 다수의 구멍을 신발에 형성한 다음 그 구멍으로 끈을 역어 매듭지어 조이는 방식에 사용되는 신발끈으로써, 이는 신발의 조임을 원활히 하여 착용자의 발을 편안하게 하는 이점이 있으나 신발을 신고 벗을 때 신발끈을 매듭짓고 풀기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착용 중 매듭이 자발적으로 풀리거나 잘 풀리지 않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이 있으며, 지퍼로 구성된 조임구는 사용이 용이하나 신발에 구성함으로써 신발의 디자인을 나쁘게 할 뿐만 아니라 신발의 특성상 지퍼에 흙이나 각종먼지가 쉽게 접촉되어 지퍼의 고장을 유발하여 신발의 수명을 단축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실용신안등록 제0409510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신발끈의 매듭을 풀지 않고도 간편하게 신발끈을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결속부가 신발끈에 결속되어 신발의 조임과 이완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신발끈 결속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신발끈의 매듭을 풀지 않고도 간편하게 신발의 조임 상태를 조절함과 아울러 신발끈이 상호 복잡하게 얽히는 현상을 방지하며, 결속 부재를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신발끈을 신속하게 조이거나 해제하도록 하여 신발을 용이하게 벗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 또한 별도의 결속장치를 구성하여야 함에 따라 구성비용이 신발의 가격을 상승하는 원인이 됨은 물론 별도의 결속장치로 인해 신발의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면서도 무거워질 뿐만 이니라 결속장치의 고장이나 파손으로 인하여 신발의 수명이 줄어들게 되며, 작업화나 등산화 같이 신발 발목 부분이 긴 신발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단점과 함께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0306985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한 쌍의 신발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 및 상기 신발 구멍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조임구를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신발에 형성된 구멍에 신발끈을 대신하여 체결되어 신발을 조이기 위한 것으로 신발을 신고 신발 조임구의 한 쌍의 조임구를 대응하는 한 쌍의 신발 구멍에 체결하는 것만으로 신발을 조일 수 있고, 신발을 벗을 때에는 한 쌍 중 하나의 신발 구멍에 체결된 조임구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조임을 해제할 수 있어 신발끈을 이용하는 것보다 신발을 용이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고 조임구의 형상과 구성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어 신발끈을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매듭과 여분의 신발끈으로 정돈되지 않은 외관상의 문제가 해결되어 신발이 단정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형상의 조임구를 구성함에 따르는 생산비용의 상승으로 상기의 조임구가 구성되는 신발의 가격이 상승 될 뿐만 아니라 작은 구조로 형성되는 다수의 조임구가 각각 별도로 신발에 개별 체결되도록 함으로서 여전히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별개로 구성된 각각의 조임구를 풀거나 고정해야 하는 작업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손가락의 움직임이 익숙지않은 어린이나 노약자 및 장애인이 사용하기에는 오히려 통상의 신발끈보다 어렵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을 착용하여 사용하는 도중에 조임구가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 하여 신발의 사용이 불가능해지게 되는 등의 문제들이 발생함에도 관련업계나 생산공장에서는 이에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신발의 본체갑피에 신발끈을 결속하는 연결고리나 연결공을 구성하지 않고 대칭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를 구성하여 다수의 작동부재가 고정부재를 타고 이송하도록 연결함으로써, 신발을 벗을 때에는 신속하게 신발을 느슨하게 하고 신발을 착용한 후에는 용이하게 신발을 조여주도록 하여 신발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착용 후 신발이 발에 밀착하도록 함은 물론 하나의 신발로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의 신발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를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키로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지름을 유지하는 기준봉(11)의 한쪽으로 일정폭을 유지하는 고정편(12)을 구비한 복수의 고정부재(10)와;
장착홈(33)을 유지하는 복수의 마감본체(31)를 연결편(32)으로 연결하고 마감본체(31)의 외부 양측으로 장착홈(33)과 외부가 연통 되는 유입홈(34)을 대칭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마감부재(30)와;
일정한 폭과 길이를 유지하는 마감편(22)의 양측 끝단에 작동공(23)을 형성한 원통형의 작동본체(21)의 외측으로 작동공(23)과 외부가 관통되는 일정폭의 개방공간(24)을 형성하여 구성한 다수의 작동부재(20)를 각각 구성하여 고정부재(10)의 고정편(12)을 신발(40)의 본체갑피(41)에 부착하여 고정부재(10)가 대칭이 되도록 한 다음 기준봉(11) 하단부를 장착홈(33)에 삽입하여 고정부재(10) 다단에 마감부재(30)가 결착되도록 하고 양측의 기준봉(11)에 작동공(23)을 평행하게 삽설하여, 작동부재(20)가 대칭의 고정부재(10) 사이에 기준봉(11)과 작동공(23)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부재(10)의 기준봉(11)을 타고 슬라이드 되도록 하고, 양측의 기준봉(11) 상단이 마감구(50)를 각각 결착하여 작동부재(20)가 고정부재(10)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통상의 신발(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 부분의 본체갑피(41)를 분리하여 형성한 개구부에 보호갑피(42)를 구성하여 발등을 보호하도록 하고 개구부를 신발끈이나 연결고리와 같은 조임구(1a)를 사용하여 분리된 본체갑피(41)의 거리를 좁히거나 넓히면서 신발(40)의 착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신발(40)을 착용시 신발(40)이 발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신발의 착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부재(10)를 대칭이 되도록 하여 고정편(12)을 신발(40)의 본체갑피(41)에 장착하여 고정한 다음 하단부에 마감부재(30)를 고착시켜서 하단부가 연결 고정된 고정부재(10)의 작동봉에 다수의 작동부재(20)를 순차적으로 끼움 안착하여 작동부재(20)로 대칭으로 구비된 고정부재(1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신발(40)의 발등부위에 형성된 개구부는 발목부위와 가까운 측이 보편적으로 넓게 구성됨에 따라 본체갑피(41)에 고정편(12)에 의해 고정되어 대칭으로 구성된 고정부재(10) 또한 본체갑피(41)의 형상과 같이 발목부위에 가까운 측의 거리가 넓어진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신발을 착용하기 용이함에 따라 평상시에는 상기와 같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10)에 안착 되어 슬라이드 되는 작동부재(20)를 도 2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앞 측으로 이동시켜서 발목 측이 넓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다음, 도 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20)를 발목 쪽으로 이동하여 신발(40)의 발등 부분에 형성된 개구부를 좁혀지도록 하여 신발(40)의 보호갑피(42)가 발등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작동부재(20)의 이동만으로 신발(40)의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작동부재(20)를 개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신발을 착용할 때 각각의 작동부재(20) 간의 거리를 임의로 조절하여 신발의 외관을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10)와 작동부재(20)의 재질을 합성수지로 구성함에 따라 일정부분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유연성이 있어 용이하게 굽혀지도록 함으로서 고정부재(10)의 기준봉(11)에 작동부재(20)의 작동본체(21)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준봉(11)에서 작동공(23)에 의해 작동부재(20)가 유기적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신발에 장착하여 신발을 착용자가 신은 상태에서도 별다른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마감부재(30)는 대칭으로 구성되는 장착홈(33) 사이에 유입홈(34)을 형성하여 고정부재(10)의 고정편(12)이 유입홈(34)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준봉(11)의 끝단이 장착홈(33)에 삽입되도록 하여 대칭으로 구성된 고정부재(10)의 끝단면을 마감부재(30)로 장착한 상태로 연결 고정하여 마감함에 따라 작동부재(20)가 고정부재(10)의 하단으로 임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병행할 뿐만 아니라 작동부재(20)가 고정부재(20)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겸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신발을 벗고자 할 때는 발목부위 측의 고정부재(10)를 연결하는 작동부재(20)를 마감부재(30) 측으로 모두 이동시켜서 발목부위 측의 고정부재(10)가 연결하던 작동부재(20)에서 이탈되면서 대칭으로 구성된 고정부재(10)가 발목부위에서부터 거리가 넓어지면서 신발의 발목부위가 넓어지게 되므로 고정부재(10)에서 작동부재(20)를 완전히 이탈하지 않고도 신발을 용이하게 벗을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의 구성과 작용으로 인하여 본 고안은 신발(40)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고정부재(10)의 길이만을 변경하여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고정부재(10)의 길이에 따라서 작동부재(20)의 수량을 적절히 변경하거나 착용자의 취향이나 신발의 형태에 따라 작동부재(20)의 수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장화와 단화는 물론 보다 다양한 신발의 종류와 디자인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40)의 측면에 적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신발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신발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특히 마감편(22)의 재질과 색상에 따라 신발(40) 자체의 기능과 디자인을 다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마감편(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본체갑피(4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하여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조임구(1)를 결합하여 개구부를 체결하여도 신발의 이질감을 완화하도록 하는 것이 보편적이며, 필요에 따라 재질을 고무나 스판섬유와 같은 탄성재로 구성하면 신발의 연결구 자체에 탄성력이 발생하여 신발의 착용을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기준봉(11) 상부에 장착하는 마감구(50)는 작동부재(20)가 고정부재(10)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재질과 색상 및 디 자인의 변경만으로도 신발 전체의 디자인을 달라지게 하는 요소가 되는 것이다.
또한, 마감편(22)의 외면에 원색과 같은 다양한 색상이나 각종 도안을 추가하여 사용하기 용이함에 따라 신발(40)에 각기 다른 색상과 디자인으로 구성되는 작동부재(20)만을 교체하여도 신발 전체의 외관과 디자인이 달리 보이게 됨에 따라 개성을 중시하고 선호하는 신세대의 젊은 소비자들이 한 켤레의 신발(40)로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각종 글씨를 도안하여 사용할 경우 학교나 각종 단체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동일한 형태의 신발에 사용자의 이름이나 번호를 용이하게 주입하여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 기술된 것과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고안의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1)는 고정부재(10)에 작동부재(20)의 체결과 이동이 용이하여 신발을 벗을 때에는 신속하게 신발을 느슨하게 하고 신발을 착용한 후에는 용이하게 신발을 조여주도록 하여 신발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착용 후 신발이 발에 밀착하도록 함은 물론 하나의 신발로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의 신발을 연출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고 그 응용 범위가 넓어 더욱 다양한 형태의 신발에 적용하기 용이한 기존의 조임구(1a)와는 격이 다른 구성으로 실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여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는 취급이 용이하여 어린이나 노약자뿐만 아니라 손발의 사용이 불편한 장애인들도 쉽게 사용하여 신발을 벗을 때에는 신속하게 신발을 느슨하게 하고 신발을 착용한 후에는 용이하게 신발을 조여주도록 하여 신발착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착용 후 신발이 발에 밀착하도록 하여 조임구의 효능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의 작동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신발로 여러 가지 색상과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모양과 기능이 서로 다른 다양 형태의 신발에도 적용이 용이하여 그 사용범위가 무한하며 변화와 개성을 중시하는 현대의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신발에 부담없이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그 기대되는 바가 매우 큰 고안이다.
Claims (2)
- 일정한 지름을 유지하는 기준봉(11)의 한쪽으로 일정폭을 유지하는 고정편(12)을 구비한 복수의 고정부재(10)와;장착홈(33)을 유지하는 복수의 마감본체(31)를 연결편(32)으로 연결하고 마감본체(31)의 외부 양측으로 장착홈(33)과 외부가 연통되는 유입홈(34)을 대칭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마감부재(30)와;일정한 폭과 길이를 유지하는 마감편(22)의 양측 끝단에 작동공(23)을 형성한 원통형의 작동본체(21)의 외측으로 작동공(23)과 외부가 관통되는 일정 폭의 개방공간(24)을 형성하여 구성한 다수의 작동부재(20)를 각각 구성하여 고정부재(10)의 고정편(12)을 신발(40)의 본체갑피(41)에 부착하여 고정부재(10)가 대칭이 되도록 한 다음 기준봉(11) 하단부를 장착홈(33)에 삽입하여 고정부재(10) 다단에 마감부재(30)가 결착되도록 하고 양측의 기준봉(11)에 작동공(23)을 평행하게 삽설하여, 작동부재(20)가 대칭의 고정부재(10) 사이에 기준봉(11)과 작동공(23)에 의해 연결어 고정부재(10)의 기준봉(11)을 타고 슬라이드 되도록 하고, 양측의 기준봉(11) 상단이 마감구(50)를 각각 결착하여 작동부재(20)가 고정부재(10)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
- 제 1 항 에 있어서;상기 마감편(11)을 고무나 스판섬유와 같은 탄성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6568U KR200433780Y1 (ko) | 2006-09-29 | 2006-09-29 |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6568U KR200433780Y1 (ko) | 2006-09-29 | 2006-09-29 |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3780Y1 true KR200433780Y1 (ko) | 2006-12-12 |
Family
ID=4178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6568U KR200433780Y1 (ko) | 2006-09-29 | 2006-09-29 |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3780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1392B1 (ko) | 2012-04-18 | 2012-07-02 | 이영국 | 신발끈 체결장치 |
KR101368815B1 (ko) | 2012-09-21 | 2014-02-28 | 홍문기 |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
-
2006
- 2006-09-29 KR KR2020060026568U patent/KR20043378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1392B1 (ko) | 2012-04-18 | 2012-07-02 | 이영국 | 신발끈 체결장치 |
KR101368815B1 (ko) | 2012-09-21 | 2014-02-28 | 홍문기 |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06420B2 (en) | Footwear and clothes fastening and transforming system | |
US10016019B2 (en) | Storage device for shoelace | |
US20060156586A1 (en) | Shoe strap and method of employment | |
US9700102B2 (en) | Clasp and system | |
US20140000126A1 (en) | Removable and Reversible Shoe Fashion Accessory | |
TWD115919S1 (zh) | 鞋面 | |
US20160081433A1 (en) | Lacing system for shoe | |
KR200433780Y1 (ko) | 착용이 용이한 신발 조임구 | |
US9700097B2 (en) | Clasp and system | |
JP2008167988A (ja) | 指サンダル | |
US20110247242A1 (en) | Asymmetrical footwear having a configuration that is continuous from one shoe to another | |
KR101140424B1 (ko) | 신발 끈 정리 장치 | |
TW201909772A (zh) | 易穿脫及更換鞋面的鞋子 | |
US20140305007A1 (en) | Modular Footwear System | |
US20080313925A1 (en) | Crazy strangs | |
JP3245848U (ja) | 靴 | |
KR20090001669U (ko) | 탈부착식 신발끈 | |
KR20130068228A (ko) | 신발 장신구 | |
KR200471213Y1 (ko) | 신발 결속구 | |
KR200281351Y1 (ko) | 갑피 및 장식의 탈, 부착이 가능한 신발 | |
KR200474036Y1 (ko) | 신발 결속구 | |
JP3218448U (ja) | 足用緩衝具 | |
KR200362334Y1 (ko) | 신발끈 조임구 | |
JP3207402U (ja) | 和装用履物 | |
KR20150001880U (ko) | 신발의 착용성과 미려함을 개선한 신발 장식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120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