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036Y1 - 신발 결속구 - Google Patents

신발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036Y1
KR200474036Y1 KR2020120009474U KR20120009474U KR200474036Y1 KR 200474036 Y1 KR200474036 Y1 KR 200474036Y1 KR 2020120009474 U KR2020120009474 U KR 2020120009474U KR 20120009474 U KR20120009474 U KR 20120009474U KR 200474036 Y1 KR200474036 Y1 KR 2004740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tring
string member
engag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470U (ko
Inventor
김병기
윤상희
Original Assignee
김병기
윤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기, 윤상희 filed Critical 김병기
Priority to KR2020120009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03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4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0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0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2Fastening devices with elastic tightening parts between pairs of eyelets, e.g. clamps, spring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 결속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결속구는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끈부재; 상기 끈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신발의 끈 결속공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구두나 운동화의 착용시 끈부재에 마련된 결합부재를 신발의 끈 결속공에 끼워 걸어줌으로써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풀림이 방지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결한 결속이 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매듭을 묶을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한 착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발 결속구{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본 고안은 신발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끈부재의 양단부에 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이 걸림부재가 신발의 결합공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끈 매듭을 묶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고, 풀림이 방지될 수 있는 신발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끈부재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일직선으로 직조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끈부재는 묶었을 때, 발목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으로 묶어진 끈이 쉽게 스스로 풀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끈부재가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많은 선행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일 예로써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96-19744호(선행기술 1이라 함)에는 잘 풀려지지 않는 끈부재가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신발의 상/하 전면으로 수지돌기를 부착시킨 것으로 제작이 어렵고,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끈부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선행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1160호(선행기술 2라 함)에는 "끈부재 풀림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를 살펴보면, 신발의 발등 덮개부 겉면에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가 고정되어 신발에 결속된 끈부재의 매듭을 발등 덮개부에 밀착시켜 끈부재의 매듭이 흔들림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풀림방지부재, 이 풀림방지부재가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홈과 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풀림방지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발등 덮개부의 겉면에 고정되는 끈 고정구재, 상기 끈 고정구재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눌리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풀림방지부재를 고정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버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2는 끈부재를 결속시키기 위한 풀림방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여전히 끈 결속공을 모두 결합시킨 후 마지막에 매듭을 지어야 하므로 이러한 매듭짓는 공정이 번거로운 단점을 갖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는 끈부재의 단부에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끈 결속공에 끼우는 방법만으로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어 착용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신발 결속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끈부재; 상기 끈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신발의 끈 결속공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끈부재는 신축성소재이며 봉형상 또는 편평한 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끈부재는 상기 결합공의 외주에 돌출된 환상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끈부재의 하부의 결합공로부터 끼워지는 고정구; 상기 끈부재의 상부의 결합공으로부터 끼워져서 상기 고정구와 결합되는 장식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끈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지며, 내측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상단 내주연에는 환턱이 형성된 보스; 상기 보스의 하단에 수평되게 형성된 걸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스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식구는 특정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단의 돌기가 형성된 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끈부재의 환상돌부가 삽입되도록 환형의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신발의 끈 결속공에 삽입되는 축핀이 하부로 돌출 형성된 끈부재; 상기 신발의 끈 결속공에 삽입되어 상기 축핀에 결합되며, 상기 끈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며, 신축성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형성된 끈부재; 상기 끈부재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신발의 끈 결속공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걸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두나 운동화의 착용시 끈부재에 마련된 결합부재를 신발의 끈 결속공에 끼워 걸어줌으로써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풀림이 방지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결한 결속이 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매듭을 묶을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한 착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모습과 크기, 유광 무광,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가능한 효과가 있다.
탄성조절이 가능하여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세탁이 용이하며, 물에 젖지 않고, 견고하여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또 신발을 벗거나 신을때, 걸을때, 뛸때 매우 편하다.
그리고 외면에 다양한 문양 또는 캐릭터를 부착하여 아이들이 좋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결속구가 적용된 신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결합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끈부재'의 여러가지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결속구가 적용된 신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결합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끈부재'의 여러가지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1)는,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100)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결합공(10)이 형성된 끈부재(1)와; 끈부재(1)의 결합공(10)에 끼워져 결합되며, 신발의 끈 결속공(110)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끈부재(1)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면서 신축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신발의 종류에 따라 크게 봉형상 또는 띠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구두에는 얇은 봉형상의 끈부재가 적용되며, 운동화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띠형상의 끈부재가 적용되고 있다.
끈부재(1)의 양측에는 걸림부재(T)가 장착되도록 결합공(10)이 각기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공(10)의 외주에 환상돌부(14)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결합공(10) 주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어 신장 작용시 절단되는 단점이 보완되도록 하였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부재(1)의 상면에 특정 문양을 갖도록 엠보싱이 형성되거나 또는 로고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끈부재(1)의 다양한 형상으로 인해 개성을 표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장식구(3)를 교환할 수도 있어 젊은 층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걸림부재(T)는 상기 끈부재(1)의 하부의 결합공(10)으로부터 끼워지는 고정구(2)와; 끈부재(1)의 상부의 결합공(10)으로부터 끼워져서 상기 고정구(2)와 결합되는 장식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구(2)는 끈부재(1)의 하부측 결합공(10)에 끼워지며, 내측에 장착홈(225)이 형성되고, 장착홈(225)의 상단 내주연에는 환턱이 형성된 보스(22)와; 보스(22)의 하단에 수평되게 형성된 걸림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스(22)는 대략 원통형이며, 내부에 장착홈(225)이 형성되고, 장착홈(225)의 상단 내주연에 환턱이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227)이 형성되어 탄성을 갖도록 한다.
걸림판(23)은 원판형이면서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발등에 닿더라도 자극을 주지않고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한다.
한편 장식구(3)는 고정구(2)와 결합시 결합되는 깊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신발의 끈 결속공(110)이 형성된 주변 가죽의 두께는 신발마다 차이가 있고, 또 하나의 신발이라도 발등쪽과 발목쪽의 가죽의 두께가 상이하다.
따라서 가죽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도 고정구(2) 및 장식구(3)의 장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 깊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고려하여 장식구(3)는 특정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32)와, 플레이트(32)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단의 돌기(36)가 형성된 축핀(3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단의 돌기(36)는 대략 3단계로 형성됨으로써 고정구(2)와의 결합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플레이트(32)와 제1단 돌기(36) 사이의 간격은 3mm가 적당하고, 제1단 돌기(36)와 제2단 돌기(36) 사이의 간격은 4~5mm이며, 제2단 돌기(36)와 제3단 돌기(36)는 6~7mm 가 적당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고정구(2)의 보스(22)는 3mm의 길이로 형성된다.
물론 다단의 돌기(36)는 반드시 3개로만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그 갯수의 증감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한 플레이트(32)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이외에도 별, 사각형, 십자형, 원형, 만화 캐릭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구(2)를 신발의 끈 결속공(110)의 내측에 삽입하여 보스(22)를 끈 결속공(110)에 끼운다.
이후 고정구(2)의 보스(22)를 끈부재(1)의 결합공(10)의 하부로부터 끼워넣으면 끈부재(1)가 신축성을 갖고 있어 결합공(10)이 늘어나면서 억지끼움이 가능해진다.
이후 보스(22)가 결합공(10)에 끼워진 후 그 상부로부터 장식구(3)가 결합된다.
이때는 장식구(3)의 축핀(33)을 약간만 결합시킨 후 적당한 힘을 주어 가압하면 축핀(33)의 돌기(36)가 보스(22)의 환턱을 지나면서 끼워지게 되고, 강한 힘으로 당기지 않는 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보스(22)의 측면에 절개홈(227)이 형성되어 있어 보스(22)의 벌어짐과 오므려짐이 가능한 탄성을 갖게 되므로 축핀(33)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장식구(3)의 플레이트(32)에 형성된 걸림턱(324)이 끈부재(1)의 환상돌부(14)에 꼭맞게 끼워짐으로써 끈부재(1)를 당기더라도 결합공(10)이 늘어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할 수 있어 절단이나 크랙 발생과 같은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방식을 통해 대향 형성된 한쌍의 끈 결속공(110)에 각기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구(2) 및 장식구(3)의 결합에 의해 한개의 끈부재(1)를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쌍의 끈 결속공(110)에 각기 걸림부재(T)를 결합시키고, 이에 대응되는 다수의 끈부재(1)가 결합된다.
다수의 끈부재(1)는 수평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대응되는 한쌍의 끈 결속공(110)에 한개의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결속구(A)를 수평으로 결합시킨 것으로, 총 6개의 신발 결속구(A)가 사용된 것이다.
제2실시예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2)는,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100)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결합공(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0)의 외주에는 환상돌부(14)가 형성된 끈부재(1); 상기 끈부재(1)의 결합공(10)의 하부로부터 끼워지는 고정구(2)와, 결합공(10)으로부터 끼워져서 상기 고정구(2)와 결합되는 장식구(3)로 구성된 걸림부재(T);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2)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고정구(2)와 동일하다.
특히 상기 장식구(3)는 특정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32); 상기 플레이트(32)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단의 돌기(36)가 형성된 축핀(33);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32)는 끈부재(1)의 환상돌부(14)가 끼워지도록 환형의 걸림턱(324)이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환형의 걸림턱(324)은 그 내측으로 끈부재(1)의 환상돌부(14)가 삽입되도록 결합됨으로써 끈부재(1)를 횡방향으로 당겼을때 결합공(10) 및 그 주변의 환상돌부(14)가 밀려나지 않게 되어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끈부재 2 : 고정구
3 : 장식구 22 ; 보스
23 : 걸림판 32 : 플레이트
33 : 축핀 36 : 돌기

Claims (9)

  1.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끈부재;
    상기 끈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며, 신발의 끈 결속공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끈부재의 하부의 결합공로부터 끼워지는 고정구;
    상기 끈부재의 상부의 결합공으로부터 끼워져서 상기 고정구와 결합되는 장식구;로 구성되고,
    상기 장식구는
    특정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단의 돌기가 형성된 축핀;
    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는 하부에 끈부재의 환상돌부가 삽입되도록 환형의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끈부재는 신축성소재이며 봉형상 또는 편평한 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끈부재는 상기 결합공의 외주에 돌출된 환상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끈부재의 결합공에 끼워지며, 내측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의 상단 내주연에는 환턱이 형성된 보스;
    상기 보스의 하단에 수평되게 형성된 걸림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끈부재는 신축성소재이며 봉형 또는 편평한 띠형상이고, 엠보싱이 형성되거나 또는 로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KR2020120009474U 2012-10-19 2012-10-19 신발 결속구 KR2004740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74U KR200474036Y1 (ko) 2012-10-19 2012-10-19 신발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74U KR200474036Y1 (ko) 2012-10-19 2012-10-19 신발 결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470U KR20140002470U (ko) 2014-04-29
KR200474036Y1 true KR200474036Y1 (ko) 2014-08-21

Family

ID=5198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474U KR200474036Y1 (ko) 2012-10-19 2012-10-19 신발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0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763B1 (ko) * 2021-09-13 2022-11-23 오남석 신발 결속밴드 고정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4434A1 (en) * 2001-03-12 2002-09-12 Harry Hsin Sandal with interchangeable upper and sole
KR20090001669U (ko) * 2007-08-17 2009-02-20 김형일 탈부착식 신발끈
US8069538B2 (en) * 2006-03-10 2011-12-06 Robert Wilcox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yet removably attaching ornaments to shoes, clothing, pet collars and the like
JP2012254271A (ja) * 2011-05-16 2012-12-27 Miyata Bussan:Kk 靴紐通し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4434A1 (en) * 2001-03-12 2002-09-12 Harry Hsin Sandal with interchangeable upper and sole
US8069538B2 (en) * 2006-03-10 2011-12-06 Robert Wilcox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yet removably attaching ornaments to shoes, clothing, pet collars and the like
KR20090001669U (ko) * 2007-08-17 2009-02-20 김형일 탈부착식 신발끈
JP2012254271A (ja) * 2011-05-16 2012-12-27 Miyata Bussan:Kk 靴紐通し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470U (ko)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38181A1 (en) Footwear with detachable straps
US9603410B2 (en) Modular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ttachment
US20160015117A1 (en) Ankle Strap for Flip-Flops
US10582738B2 (en) Shoe system
KR200473618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150002376U (ko) 신발 결속구
KR200468319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0474036Y1 (ko) 신발 결속구
KR20100011161U (ko) 조립식 신발
KR200471213Y1 (ko) 신발 결속구
KR200468320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US20100088926A1 (en) Decorative Straps for Shoes
KR101498683B1 (ko) 샌들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JP3131450U (ja) サンダル
CN216363853U (zh) 一种系带拖鞋
KR101279787B1 (ko)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운동화끈
JP3148372U (ja) 靴飾り保持プレート
KR200388225Y1 (ko) 구두굽
KR200480336Y1 (ko) 장식덮개 탈부착 가능한 신발
KR200446742Y1 (ko) 장신구가 장착된 신발
JP3162645U (ja) シューズバンド
KR200357397Y1 (ko) 슈레이스를 고정하는 버클의 구조물
KR20140053040A (ko) 장착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101037291B1 (ko) 샌들 장식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