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376U - 신발 결속구 - Google Patents

신발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376U
KR20150002376U KR2020130010311U KR20130010311U KR20150002376U KR 20150002376 U KR20150002376 U KR 20150002376U KR 2020130010311 U KR2020130010311 U KR 2020130010311U KR 20130010311 U KR20130010311 U KR 20130010311U KR 20150002376 U KR20150002376 U KR 201500023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hole
pin member
coupling portion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실리콘
Priority to KR2020130010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376U/ko
Priority to PCT/KR2014/010413 priority patent/WO2015088139A1/ko
Priority to US14/786,551 priority patent/US20160143398A1/en
Priority to EP14870584.1A priority patent/EP3015013A1/en
Publication of KR201500023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3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2Fastening devices with elastic tightening parts between pairs of eyelets, e.g. clamps, spring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4Fastenings fixed along the upper edges of the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5/00Eyelet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 결속구가 개시된다. 제시되는 신발 결속구는, 구두나 운동화에 형성된 끈구멍에 결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신발의 끈구멍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구두나 운동화의 착용시 밴드부재에 마련된 핀부재를 신발의 끈구멍에 끼워 걸어줌으로써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풀림이 방지될 수 있고, 간결한 방식으로 결속할 수 있어 시간 절약이 가능하며 종래와 같이 매듭을 묶을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한 착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발 결속구{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본 고안은 신발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끈을 대체할 수 있고, 매듭이 필요없는 신발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나 구두와 같은 신발에 형성된 다수의 끈구멍을 묶는 밴드부재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직물을 직조하여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다수의 끈구멍은 신발의 발등 부위에 형성되며 양측에 대칭되게 배열된다.
따라서 밴드부재를 다수의 끈구멍을 관통하여 지그재그로 연결한 후 마지막에는 묶어서 매듭을 짓게된다.
그러나 밴드부재는 묶었을 때, 발목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으로 인해 묶여진 매듭이 쉽게 스스로 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밴드부재가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많은 선행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일 예로써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96-19744호(선행기술 1이라 함)에는 잘 풀려지지 않는 밴드부재가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신발의 상/하 전면으로 수지돌기를 부착시킨 것으로 제작이 어렵고,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밴드부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선행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1160호(선행기술 2라 함)에는 "밴드부재 풀림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를 살펴보면, 신발의 발등 덮개부 겉면에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가 고정되어 신발에 결속된 밴드부재의 매듭을 발등 덮개부에 밀착시켜 밴드부재의 매듭이 흔들림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풀림방지부재, 이 풀림방지부재가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홈과 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풀림방지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발등 덮개부의 겉면에 고정되는 끈 고정부재, 상기 끈 고정부재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눌리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풀림방지부재를 고정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버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2는 밴드부재를 결속시키기 위한 풀림방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여전히 끈구멍을 모두 결합시킨 후 마지막에 매듭을 지어야 하므로 번거롭고 또 매듭이 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발에 구비된 끈구멍에 압입 끼움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시켜 끈을 대체하도록 함으로써 매듭을 묶을 필요가 없어 신속한 착용이 가능하고, 매듭이 풀릴 염려가 없으므로 착용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두나 운동화에 형성된 끈구멍에 결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신발의 끈구멍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재는 탄력을 갖는 신축성소재이며 편평한 띠형상이고, 양단부는 일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위는 결합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상기 끈구멍에 삽입되는 협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양단부에 각기 통공이 형성되고, 양단부의 통공을 연결하는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이며, 상기 통공과 통로를 관통하여 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직선 형상이거나 구부러진 곡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 형상의 결합부는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수직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통공 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가 양단에 형성되고, 결합부의 길이보다 긴 봉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통공 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가 일단에 형성되며 결합부의 길이보다 긴 봉체와, 상기 봉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마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머리부는 구형, 원추형, 반구형 중 택일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체의 외주에는 결합부의 양단부에 대응되도록 제1돌기 및 제2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돌기 및 제2돌기는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마름모 형상 중 택일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부재는 상면에 엠보싱이 형성되거나 또는 로고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두나 운동화의 착용시 밴드부재에 마련된 핀부재를 신발의 끈구멍에 끼워 걸어줌으로써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풀림이 방지될 수 있고, 간결한 방식으로 결속할 수 있어 시간 절약이 가능하며 종래와 같이 매듭을 묶을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한 착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모습과 크기, 유광 무광,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결속구가 적용된 신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착용예를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장착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장착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 결속구가 적용된 신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착용예를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장착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장착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두나 운동화는 갑피의 상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에는 텅(510)이 부착되어 발등을 덮게 된다. 그리고 절개부의 양측에는 서로 마주보게 다수쌍의 끈구멍(520)이 형성된다.
끈구멍(520)은 대개 아일렛이 결합되어 있어 원형이 유지될 수 있고, 끈의 마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각 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1,A2,A3)는 한쌍의 끈구멍(520)을 서로 연결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신발 결속구(A1,A2,A3)는 직선형태로 다수 결합되거나 또는 X자 형태로 교차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1)는,
구두나 운동화에 형성된 끈구멍에 결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결합부(110)가 형성된 밴드부재(100);
상기 밴드부재(100)의 결합부(110)에 결합되며, 신발(500)의 끈구멍(520)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핀부재(2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밴드부재(100)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면서 신축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신발의 종류에 따라 크게 봉형상 또는 띠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구두에는 얇은 봉형상의 밴드부재가 적용되며, 운동화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띠형상의 밴드부재가 적용된다.
밴드부재(100)에는 상면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촉감이 향상될 수 있고, 특정의 로고가 인쇄되어 형성된다.
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밴드부재(100)는 탄력을 갖는 신축성소재이며 편평한 띠형상이고,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위는 결합부(110)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상기 끈구멍(520)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갖는 협소부(120)가 형성된다.
협소부(120)는 끈구멍(520)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 길이로 형성되는데, 협소부(120)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110)는 양단부에 각기 통공(112)이 형성되고, 양단부의 통공(112)을 연결하는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공(112)과 통로를 관통하여 핀부재(200)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직선 형상의 결합부(110)는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되게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2)는,
구두나 운동화에 형성된 끈구멍(520)에 결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결합부(110a)가 형성된 밴드부재(100);
상기 밴드부재(100)의 결합부(110a)에 결합되며, 신발의 끈구멍(520)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핀부재(200a);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결합부(110a)는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구부러진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응되어 핀부재(200a)도 완만한 곡율을 갖도록 구부러진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부러진 곡선 형상의 결합부(110a)도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핀부재(200)는 상기 결합부(110)의 통공(112) 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220,220')가 양단에 형성되고 결합부의 길이보다 긴 봉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220,220')는 구형, 원추형, 반구형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부재(200)는 밴드부재(100)의 결합부(110)에 억지끼움이나 또는 이중사출로 결합된다. 이중사출이란 핀부재(200)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이고 밴드부재(100)는 연질의 수지 재질이므로 경도의 차이 및 경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이다.
보통 이중사출은 접착제를 발라서 경질부재와 연질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인데, 본 고안은 접착제를 바르지 않고 이중사출을 해서 핀부재(200)가 자유롭게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억지끼움의 경우 머리부(220,220')는 결합부(110)의 통공(112)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므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전단이 구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며, 결합부(110)에 결합된 후에는 핀부재(2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후단은 단턱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핀부재(200)의 길이, 특히 봉체(210)의 길이는 결합부(110)의 길이보다 약 1.5배 이상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핀부재(200)가 결합부(110)에 결합된 후에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여유분을 갖도록 한다.
상기 봉체(210)의 외주에는 결합부(110)의 양단부에 대응되도록 제1돌기(231) 및 제2돌기(23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돌기(231) 및 제2돌기(232)는 결합부(110)의 통로에 끼워질 수 있어야 하므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마름모 형상 중 택일되고, 그 직경은 결합부(110)의 통로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핀부재(200)를 결합부(110)에 끼운 후 끈구멍(520)에 삽입하는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끈구멍(520)에 끼울때는 핀부재(200)를 일측으로 밀어 길게 된 부위부터 끈구멍(520)에 밀어넣는다. 제1돌기(231)는 결합부(110)의 통로의 안쪽으로 억지끼움으로 삽입된다.
이후 결합부(110)까지 끈구멍(520)을 통과한 후 수평되게 배치한다.
이후 핀부재(200)를 다시 반대편으로 이동시켜 결합부(110)에 균형되게 배치한다. 이때 제1돌기(231)는 결합부(110)의 통로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제1돌기(231) 및 제2돌기(232)는 결합부(110)의 양단부에 근접된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3)는,
구두나 운동화에 형성된 끈구멍(520)에 결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결합부(110b)가 형성된 밴드부재(100);
상기 밴드부재(100)의 결합부(110b)에 결합되며, 신발의 끈구멍(520)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핀부재(200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결합부(110b)는 지면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핀부재(200b)를 상하방향으로 결합부에 끼워 결합시키고,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끈구멍(520)에 끼워넣을 수 있다.
끈구멍(520)에 끼워넣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부(110)는 수직일 수도 있지만 발등의 곡률을 고려하여 약간 기울어진 사선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핀부재(200c)는 결합부(110c)의 통공(112c) 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220c)가 일단에 형성되며 결합부(110c)의 길이보다 긴 봉체(210c)와, 상기 봉체(210c)의 타단에 결합되는 마감구(22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감구(223c)는 중심에 통공(223-1)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어 슬릿(223-2)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봉체(210c)의 외주면에 꼭맞게 결합되도록 억지끼움됨으로써 결합부(110c)의 타측에 지지되어 핀부재(200c)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핀부재(200c)의 타단에는 머리부(220c) 보다는 작은 직경이지만 마감구(223c)의 통공(223-1) 보다는 직경이 큰 돌출부(225c)가 형성됨으로써 마감구(223c)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되 결합부(110c)의 통공(112c)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끈부재 110 : 결합부
112 : 통공 120 : 협소부
200 : 핀부재 210 : 봉체
220,220' ; 머리부 231 : 제1돌기
232 : 제2돌기 520 : 끈구멍

Claims (10)

  1. 구두나 운동화에 형성된 끈구멍에 결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 결속구에 있어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밴드부재;
    상기 밴드부재의 결합부에 결합되며, 신발의 끈구멍에 삽입되어 걸려져 고정되는 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재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탄력을 갖는 신축성소재이며, 양단부는 일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부위는 결합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상기 끈구멍에 삽입되는 협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양단부에 각기 통공이 형성되고, 양단부의 통공을 연결하는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과 통로를 관통하여 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직선 형상이거나 구부러진 곡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형상의 결합부는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수직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통공 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가 양단에 형성되고, 결합부의 길이보다 긴 봉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구형, 원추형, 반구형 중 택일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의 외주에는 결합부의 양단부에 대응되도록 제1돌기 및 제2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 및 제2돌기는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마름모 형상 중 택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통공 보다 직경이 큰 머리부가 일단에 형성되며 결합부의 길이보다 긴 봉체와, 상기 봉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마감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KR2020130010311U 2013-12-11 2013-12-11 신발 결속구 KR20150002376U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311U KR20150002376U (ko) 2013-12-11 2013-12-11 신발 결속구
PCT/KR2014/010413 WO2015088139A1 (ko) 2013-12-11 2014-11-03 신발 결속구
US14/786,551 US20160143398A1 (en) 2013-12-11 2014-11-03 Device for tying shoes
EP14870584.1A EP3015013A1 (en) 2013-12-11 2014-11-03 Device for tying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311U KR20150002376U (ko) 2013-12-11 2013-12-11 신발 결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376U true KR20150002376U (ko) 2015-06-19

Family

ID=5337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311U KR20150002376U (ko) 2013-12-11 2013-12-11 신발 결속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143398A1 (ko)
EP (1) EP3015013A1 (ko)
KR (1) KR20150002376U (ko)
WO (1) WO2015088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0368B2 (en) 2010-10-13 2017-07-11 Angiodynam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ly ablating tissue of a patient
US8850675B2 (en) 2012-02-06 2014-10-07 Hickies, Inc. Fastening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9538802B2 (en) 2012-02-06 2017-01-10 Hickies, Inc. Fastening devices and methods
KR200476765Y1 (ko) * 2013-11-25 2015-03-31 주식회사 쿨에버 신발 결속구
ES1232995Y (es) * 2019-06-21 2019-10-18 Martinez Luciano Javier Jimenez Dispositivo de ajuste para calzad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692U (ja) * 1994-11-29 1995-05-30 株式会社システムサポートセンター 靴用スナップ
KR960019744U (ko) 1994-12-08 1996-07-18 임성조 잘 풀려지지 않는 신발끈
US8590121B1 (en) * 2005-09-07 2013-11-26 Jibbitz, Llc Elastomeric fastener
KR200451160Y1 (ko) 2009-03-19 2010-11-30 방규열 신발끈 풀림 방지 장치
KR200468319Y1 (ko) * 2011-10-31 2013-08-06 김병기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0468320Y1 (ko) * 2011-10-31 2013-08-06 김병기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8139A1 (ko) 2015-06-18
US20160143398A1 (en) 2016-05-26
EP3015013A1 (en)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2376U (ko) 신발 결속구
KR200476765Y1 (ko) 신발 결속구
US20110094072A1 (en) Shoelace with shoelace fastener
KR200473618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JP2008055129A (ja) スプリングが装着された履物
KR200468319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101844135B1 (ko)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KR200468320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JP2014117415A (ja) 線状体および靴
KR101222636B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CN103783733A (zh) 一种硅胶免绑鞋带
KR200474036Y1 (ko) 신발 결속구
WO2008062484A1 (en) Accessory for footwear with laces suitable for preventing the unfastening of the laces
KR20140053040A (ko) 장착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0177790Y1 (ko) 스스로 풀리지 않는 신발끈.
KR101279787B1 (ko)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운동화끈
KR20130004714U (ko) 신발 결속구
KR20140053039A (ko) 장착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US899888A (en) Fastening for lacings.
KR20170123491A (ko) 신발끈 고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KR200476512Y1 (ko) 신발 결속구
KR20160095831A (ko) 신발끈 매듭 고정구슬
JPS62485Y2 (ko)
KR200325162Y1 (ko) 샌들용 발가락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