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636B1 -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 Google Patents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636B1
KR101222636B1 KR1020110101288A KR20110101288A KR101222636B1 KR 101222636 B1 KR101222636 B1 KR 101222636B1 KR 1020110101288 A KR1020110101288 A KR 1020110101288A KR 20110101288 A KR20110101288 A KR 20110101288A KR 101222636 B1 KR101222636 B1 KR 10122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shoe
clip
lock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168A (ko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박성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금 filed Critical 박성금
Publication of KR2012012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2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provided with tags, buttons, or decorative tuf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는,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신발끈의 양단부에 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가 신발의 끈 결속공에 끼워져 걸려 고정되도록 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듭을 묶을 필요없이 신발끈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또 다양한 형상의 캐릭터 몸체를 부착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EASY TIE DEVICE FOR SHOESTRINGS}
본 발명은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끈의 양단부에 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이 걸림부재가 신발의 결합공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매듭을 묶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고, 풀림이 방지될 수 있는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끈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일직선으로 직조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상기 신발끈은 묶었을 때, 발목의 움직임에 따른 진동으로 묶어진 끈이 쉽게 스스로 풀리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신발끈이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많은 선행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일 예로써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96-19744호(선행기술 1이라 함)에는 잘 풀려지지 않는 신발끈이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신발의 상/하 전면으로 수지돌기를 부착시킨 것으로 제작이 어렵고,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신발끈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선행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51160호(선행기술 2라 함)에는 "신발끈 풀림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를 살펴보면, 신발의 발등 덮개부 겉면에 신발의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가 고정되어 신발에 결속된 신발끈의 매듭을 발등 덮개부에 밀착시켜 신발끈의 매듭이 흔들림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풀림방지부재, 이 풀림방지부재가 횡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홈과 이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풀림방지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고정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발등 덮개부의 겉면에 고정되는 끈 고정부재, 상기 끈 고정부재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눌리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풀림방지부재를 고정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버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2는 신발끈을 결속시키기 위한 풀림방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여전히 끈 결속공을 모두 결합시킨 후 마지막에 매듭을 지어야 하므로 이러한 매듭짓는 공정이 번거로운 단점을 갖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는 신발끈의 단부에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를 끈 결속공에 끼우는 방법만으로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어 착용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끈에 있어서, 양단부에 걸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가 신발의 끈 결속공에 끼워져 걸려 고정되도록 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신발끈은 신축성소재이며, 봉형 또는 편평한 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간에 수직되게 형성된 걸림구로 구성되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가 신발끈의 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신발끈의 단부에 장착되는 클립; 상기 클립에 끼워져 고정되며 일측에 걸림구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구는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간에 수직되게 형성된 걸림구로 구성되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은 금속편을 절곡시켜 이루어지고, 양끝단에 후크가 형성되어 신발끈의 단부에 결합된 후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클립이 끼워지도록 전단이 개구되고, 내측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단의 내면에는 클립을 고정시키도록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외부에는 특정된 형상을 갖는 캐릭터 몸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릭터 몸체는 직사각형, 타원형, 스타형, 삼각형 중 택일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두나 운동화의 착용시 신발끈에 마련된 결합부재를 신발의 끈 결속공에 끼워 걸어줌으로써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풀림이 방지될 수 있고, 이러한 간결한 결속이 가능하여 종래와 같이 매듭을 묶을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한 착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부재에 다양한 형상의 캐릭터 몸체를 부착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고, 자신만의 개성을 표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가 적용된 신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3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착용 순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에 '캐릭터 몸체'를 장착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캐릭터 몸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8에 대한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10에 대한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가 적용된 신발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3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의 착용 순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에 '캐릭터 몸체'를 장착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캐릭터 몸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8에 대한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10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1)는,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100)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며, 양단부에 걸림부재(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2)가 신발의 끈 결속공(120)에 끼워져 걸려 고정되도록 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신발끈(200)은 신축성을 갖는 재질이며, 신발의 종류에 따라 크게 봉형상 또는 띠형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구두에는 얇은 봉형상의 신발끈이 적용되며, 운동화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띠형상의 신발끈이 적용되고 있다.
신발끈(200)의 양 끝단에는 걸림부재(2)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이 걸림부재(2)를 끈 결속공(120)에 끼워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걸림부재(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편을 말아 환봉형으로 형성시키되 중간부위에 신발끈(200)의 단부를 협지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걸림구(22)의 일단을 끈 결속공(120)에 삽입한 후 타단까지 완전히 삽입하여 걸림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대응되는 복수의 끈 결속공(120)끼리 수평 또는 대각 방향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A1)을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대응되는 한쌍의 끈 결속공(120)에 한개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끈(A1)을 수평으로 결합시킨 것으로, 총 6개의 신발끈(A1)이 사용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신발끈의 착용 상태는 이후에 설명되는 실시예 2 내지 4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착용상태에 대한 도면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2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2)는,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100)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양단부에 걸림부재(2b)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2b)가 신발(100)의 끈 결속공(120)에 끼워져 걸려 고정되도록 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걸림부재(2b)는, 상기 신발끈(200)의 단부에 장착되는 클립(23)과; 상기 클립(23)에 끼워져 고정되며 일측에 걸림구(26)가 형성된 본체(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2)는 운동화에 적용되는 넓은 폭을 갖는 신발끈(200)의 양끝단에 클립(23)을 체결한 후 이 클립(23)에 본체(24)를 결합시켜 완성된다.
상기 본체(24)에는 걸림구(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끈 결속공(120)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걸림구(26)는 수직부(265)와 수평부로 이루어져 '┴'자 형상이며, 상기 수평부는 길이가 짧은 단부(261)와 길이가 긴 장부(262)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2)를 끈 결속공(120)에 결합시킬 때는, 먼저 걸림구(26)의 수평부의 장부(262)를 끈 결속공(120)에 삽입하여 통과시킨 후 곧이어 단부(261)를 끈 결속공(120)에 삽입하여 장부(262) 및 단부(261)가 끈 결속공(120)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반면 분리시킬 때는 상기 걸림구(26)의 수평부의 단부(261)를 먼저 끈 결속공(120)으로부터 빼내고 순차적으로 수평부의 장부(262)를 빼냄으로써 신발끈(A2)의 탈거가 용이해질 수 있다.
클립(23)은 금속편을 절곡시켜 이루어진 것이며, 양끝단에 후크(221)가 형성되어 압착에 의해 신발끈(20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221)가 물려져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체(24)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완성된 것으로, 클립(23)이 끼워지도록 전단이 개구되고 내측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단의 내면에는 클립(23)의 전단에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기(242)가 형성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 본체(24)의 외부에는 특정된 형상을 갖는 캐릭터 몸체(5)가 결합된다.
이러한 캐릭터 몸체(5)를 부착시킴으로써 신발이 예쁘게 보이고, 자신만의 개성을 표출할 수 있어 청소년 층의 욕구를 충족해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릭터 몸체(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타원형, 스타형, 삼각형 중 택일된 형상이며, 상기 본체(24)의 외면에 장착된다.
즉 상기 캐릭터 몸체(5)는 상술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하부에 브릿지(52)가 형성되어 본체(24)의 외면에 접착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된다.
상기 탈부착 가능한 구조라 함은 상기 캐릭터 몸체(5)의 브릿지(52)가 본체(24)의 외면에 형성된 장착홈(244)에 암수결합에 의한 끼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상술한 형상 외에 만화 캐릭터나 동물 캐릭터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며 이러한 구현 가능한 형상이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실시예 3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3)는,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100)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양단부에 걸림부재(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2c)가 신발(100)의 끈 결속공(120)에 끼워져 걸려 고정되도록 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걸림부재(3)는, 신발끈(200)의 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핀(324)이 형성되며 하부에 걸림구(33)가 형성된 플레이트(32)와; 상기 플레이트(32)에 결합되며 내부에 신발끈(200)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캡(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32)는 신발끈(200)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양측에 단턱(322)이 형성된 판재이며, 상면에는 신발끈(200)에 관통되도록 다수의 핀(324)이 형성되고, 후측에는 후술될 잠금용 후크(315)가 결합되는 잠금공(326)이 형성된다.
상기 캡(31)은 양측벽의 하단에 후크(312)가 형성어 플레이트(32)의 양단부의 하단에 걸림고정되고, 후측에는 잠금용 후크(315)가 형성된다.
따라서 플레이트(32)의 상면에 신발끈(200)의 단부를 안착시킨 후 캡(31)을 상방으로부터 가압시켜 결합시킴으로써 다수의 핀(324)이 신발끈(200)을 관통하여 결합됨에 의해 신발끈(200)이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구(33)는 수직부(331)와 수평부로 이루어져 '┴'자 형상이며, 상기 수평부는 길이가 짧은 단부(332)와 길이가 긴 장부(333)로 구성된다.
따라서 결합시킬 때는 상기 걸림구(33)의 수평부의 장부(333)를 먼저 끈 결속공(120)에 삽입하여 통과시킨 후 단부(332)를 끈 결속공(120)에 결합시키면 걸림구(33)가 끈 결속공(120)의 하단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반면 분리시킬 때는 상기 걸림구(33)의 수평부의 단부(332)를 먼저 끈 결속공(120)으로부터 빼내고 순차적으로 수평부의 장부(333)를 빼냄으로써 신발끈의 탈거가 용이해질 수 있다.
실시예 4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신발 결속구(A4)는,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100)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양단부에 걸림부재(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2c)가 신발(100)의 끈 결속공(120)에 끼워져 걸려 고정되도록 하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걸림부재(3)는, 상기 신발끈(200)의 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핀(324)이 형성되며 하부에 걸림구(33)가 형성된 플레이트(32)와; 상기 플레이트(32)에 연결편(5)에 의해 연결되며 내부에 신발끈(200)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캡(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32)는 신발끈(200)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양측에 단턱(322)이 형성된 판재이며, 상면에는 신발끈(200)에 관통되도록 다수의 핀(324)이 형성된다.
상기 캡(31)은 플레이트(32)의 일단과 연결편(5)에 의해 연결되어 상방으로 접혀지면서 플레이트(32)와 결합된다.
즉 캡(31)의 양측벽의 하단에는 상기 플레이트(32)의 양단부의 하단에 걸림고정되도록 후크(312)가 형성된다.
따라서 플레이트(32)의 상면에 신발끈(200)의 단부를 안착시킨 후 캡(31)을 상방으로 회전시켜 연결부(5)가 접혀지면서 플레이트(32)와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핀(324)이 신발끈(200)을 관통하여 결합됨에 의해 신발끈(200)이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구(33)는 수직부(331)와 수평부로 이루어져 '┴'자 형상이며, 상기 수평부는 길이가 짧은 단부(332)와 길이가 긴 장부(333)로 구성된다.
따라서 결합시킬 때는 상기 걸림구(33)의 수평부의 장부(333)를 먼저 끈 결속공(120)에 삽입하여 통과시킨 후 단부(332)를 끈 결속공(120)에 결합시키면 걸림구(33)가 끈 결속공(120)의 하단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반면 분리시킬 때는 상기 걸림구(33)의 수평부의 단부(332)를 먼저 끈 결속공(120)으로부터 빼내고 순차적으로 수평부의 장부(333)를 빼냄으로써 신발끈의 탈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걸림부재 5 : 캐릭터 몸체
21 : 수평부 22 : 걸림구
23 : 클립 24 : 본체
100 : 신발 120 : 끈 결속공
200 : 신발끈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끈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의 양단부에 걸림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걸림부재는 신발끈의 단부에 장착되며, 금속편을 절곡시켜 이루어지고, 양끝단에 후크가 형성되어 신발끈의 단부에 결합된 후 압착되는 클립;
    상기 클립에 끼워져 고정되며 일측에 일정길이를 갖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간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가 'T' 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클립이 끼워지도록 전단이 개구되고, 내측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단의 내면에는 클립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4. 구두나 운동화에 적용되어 신발이 발에 견고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발끈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의 양단부에 걸림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신발끈의 단부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의 핀이 형성되며, 하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간에 수직되게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가 'T' 자 형상으로 구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연결편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결합되며, 내부에 신발끈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는 직사각형, 타원형, 스타형, 삼각형 중 택일된 형상을 갖는 캐릭터 몸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10. 삭제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외부에는 직사각형, 타원형, 스타형, 삼각형 중 택일된 형상을 갖는 캐릭터 몸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결속구.
  12. 삭제
KR1020110101288A 2011-05-11 2011-10-05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101222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008 2011-05-11
KR20110004008 2011-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168A KR20120127168A (ko) 2012-11-21
KR101222636B1 true KR101222636B1 (ko) 2013-01-16

Family

ID=4751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288A KR101222636B1 (ko) 2011-05-11 2011-10-05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803B1 (ko) * 2021-06-24 2022-04-18 전상용 신발조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618Y1 (ko) * 2013-01-02 2014-07-15 윤상희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CN103783733A (zh) * 2014-01-24 2014-05-14 佛山市佳时电子有限公司 一种硅胶免绑鞋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655Y1 (ko) 2001-06-20 2001-11-16 박성남 고리가 결합된 신끈
KR100886105B1 (ko) 2007-08-30 2009-02-27 조연규 신발끈
KR20100106270A (ko) * 2010-09-03 2010-10-01 (주)슈추어 묶지않는 신발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655Y1 (ko) 2001-06-20 2001-11-16 박성남 고리가 결합된 신끈
KR100886105B1 (ko) 2007-08-30 2009-02-27 조연규 신발끈
KR20100106270A (ko) * 2010-09-03 2010-10-01 (주)슈추어 묶지않는 신발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803B1 (ko) * 2021-06-24 2022-04-18 전상용 신발조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168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KR101222636B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US20140041167A1 (en) Elastic Shoe Lace with Fastener
KR200468319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20150002376U (ko) 신발 결속구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KR200473618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US20130097887A1 (en) Shoe closure system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US20150040360A1 (en) Shoe lace clip for securing shoe laces without tying and method therefor
KR200468320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JP2007007404A (ja) ウェイクボードビンディング用の紐の終端の接続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KR200480700Y1 (ko)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KR101279787B1 (ko)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운동화끈
KR200471213Y1 (ko) 신발 결속구
GB2505556A (en) Fasteners for footwear
KR200314697Y1 (ko) 신발끈 체결구
KR200474036Y1 (ko) 신발 결속구
KR20040024691A (ko) 신발끈 체결구
KR20170123491A (ko) 신발끈 고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KR200480786Y1 (ko) 착용이 용이한 운동화
KR20060126028A (ko) 신발끈 고정고리 와 신발끈 결속방법
KR101433740B1 (ko) 신발결속구
KR101509923B1 (ko)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