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00Y1 -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 Google Patents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0700Y1 KR200480700Y1 KR2020110008895U KR20110008895U KR200480700Y1 KR 200480700 Y1 KR200480700 Y1 KR 200480700Y1 KR 2020110008895 U KR2020110008895 U KR 2020110008895U KR 20110008895 U KR20110008895 U KR 20110008895U KR 200480700 Y1 KR200480700 Y1 KR 2004807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ot
- shoelace
- string
- shoe
- identif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2—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provided with tags, buttons, or decorative tuft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27—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from a material having special colour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4—Forming ends of laces of plastics, celluloid, rubber,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3789—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having means covering tip of lacing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에 형성된 끈구멍을 통과한 후 양 종단부가 매듭지어지는 신발끈에 있어서, 신발끈의 매듭을 짓는 과정 또는 매듭이 지어진 이후에 느슨해진 매듭을 조이기 위하여 잡아당겨야 할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발끈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고안은 신발끈을 결속한 이후에 형성되는 매듭의 2개 고리부 영역 중에서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인식할 수 있도록, 각 종단부의 소정 영역에 식별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을 제공한다.
본 고안을 통하여 착용자가 매듭을 짓거나 느슨해진 매듭을 조이는 과정에서 선형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잡아당김으로써, 신발끈이 다시 풀어지는 예기치 못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신발끈을 조이기 위하여 잡아당겨야 할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인식시킴으로써,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신발끈을 조일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은 신발끈의 중앙을 인식할 수 있는 부가적인 식별부를 통하여 별도의 주의 없이도 신발의 끈구멍을 통과한 후 양 종단부의 잔여 길이가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 편리성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통하여 착용자가 매듭을 짓거나 느슨해진 매듭을 조이는 과정에서 선형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잡아당김으로써, 신발끈이 다시 풀어지는 예기치 못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신발끈을 조이기 위하여 잡아당겨야 할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인식시킴으로써,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신발끈을 조일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은 신발끈의 중앙을 인식할 수 있는 부가적인 식별부를 통하여 별도의 주의 없이도 신발의 끈구멍을 통과한 후 양 종단부의 잔여 길이가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 편리성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당겨야 할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매듭부를 형성하는 과정이나 결속 후에 느슨해진 매듭부를 용이하게 조일 수 있는 신발끈에 관한 것이다.
운동화 및 구두를 포함한 대부분의 신발은 착용자에게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하고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등 부분에 신발끈을 매어 조일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끈으로는 섬유 재료로 짠 끈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납작한 스트립(strip) 형상 또는 원형 단면의 스트링(string) 형상을 갖는다.
신발을 세척하거나 수선을 할 때에는 신발끈의 매듭 부분을 풀어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수선자의 손이 신발의 내부까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신발끈을 신발의 발등 대응 부분에 형성된 구멍으로 결속하고 양 단부를 매듭지은 후 신발을 착용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로서, 양 단부가 매듭지어진 신발끈을 도시하고 있다.
신발(10)에 신발끈(1)을 매기 위해서는 신발끈(1)의 중간 부분을 신발(10)의 발등 대응 부위에 2열로 배치된 끈구멍(11; 또는 끈걸쇠에 형성된 구멍) 중 최하단의 2개의 끈 구멍(11a) 사이에 위치시킨 후, 양 종단부를 인접한 끈구멍 사이를 종횡으로 통과시킨다. 최종적으로 신발끈(1)의 양 종단부를 매듭지음으로써 신발끈(1)의 결속이 종료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신발끈(1)을 결속한 후, 신발끈(1)의 양 종단부에 형성된 매듭(1a)은 2개의 고리부(1b)와 2개의 선형부(1c; 잔여 종단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 고리부(1b)는 최상단 끈구멍(11b)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b-1) 및 선형부(1c)에 대응하는 부분(1b-2)으로 구분된다.
신발끈(1)의 종단부를 매듭지은 후, 매듭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착용자는 각 고리부(1b) 중 최상단 끈구멍(11b)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b-1)을 각각 잡고 신발(10)의 외측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그러나, 매듭부(1a)로 인하여 고리부(1b) 중 최상단 끈구멍(11b)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b-1)과 매듭(1a)의 선형부(1c)에 대응하는 부분(1b-2)을 구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착용자가 고리부(1b) 중 선형부(1c)에 대응하는 부분(1b-2)을 잡고 외측으로 잡아당길 경우 매듭(1a)이 풀어지게 되며, 따라서 신발끈(1)을 다시 매듭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한편, 신발끈(1)이 결속된 상태에서 신발끈(1)에 외력이 작용하거나 또는 신발을 장시간 착용한 후 매듭(1a)이 자연스럽게 느슨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매듭(1a)이 느슨해질 경우, 착용감이 불안정하고 신발이 벗겨질 수 있으며, 따라서 착용자는 신발끈(1)의 매듭(1a)을 조이게 된다.
느슨해진 매듭(1a)을 다시 조이는 경우에도 매듭(1a)으로 인하여 고리부(1b) 중 어느 부분이 최상단 끈구멍(11b)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인지 확인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조건에서 별도의 궁리 없이 고리부를 잡아당기면 오히려 매듭이 풀어질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본 고안은 신발끈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듭을 짓는 과정이나 느슨해진 매듭을 다시 조이는 과정에서 당겨야 할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발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통하여 신발끈을 결속하는 과정에서 신발끈이 다시 풀어질 위험성 없이 편리하면서 신속하게 신발끈을 조이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각 종단부의 소정의 영역에 식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매듭을 지은 후, 매듭의 2개의 고리부의 영역 중 신발의 최상단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식별부를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신발끈을 제공한다.
여기서, 식별부는 각 종단부의 소정 영역 중 어느 한 면 또는 전체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부는 종단부 및 결속부와 색상 또는 디자인을 통하여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신발끈의 중앙에 부가적인 식별부를 형성하여 처음 신발끈을 매는 과정에서 부가적인 편리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은 신발끈은 처음 매듭을 조일 때 또는 느슨해진 매듭을 조일 때 매듭을 구성하는 고리부의 영역 중에서 당겨야 할 부분만을 시각적으로 구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잡고 신발 외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매듭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조일 수 있다.
또한, 부가적인 식별부를 추가하여 신발에 처음 결속할 때 착용자가 신발에 형성된 끈구멍 중 최하단 2개의 끈구멍 사이에 신발끈의 중앙이 위치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균형있는 매듭을 형성할 수 있는 용이성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0)은 다양한 재료, 예를 들어 섬유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납작한 스트립 형상 또는 원형 단면의 스트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양 종단부(120 및 130)를 포함한다.
양 종단부(120 및 130)는 신발의 최상단 끈구멍을 통과한 후 노출되는 부분이다. 한편, 양 종단부(120 및 130)의 선단에는 신발의 끈구멍을 원활히 통과시키기 위하여 경질의 부재로 감겨져 있는 압착부(121 및 131)가 형성되어 있다.
신발끈(100)의 양 종단부(120 및 130)의 소정 영역에는 식별부(122 및 1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식별부(122 및 132)는 각 종단부(120 및 130)의 소정 영역의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각 종단부(120 및 130)의 소정 영역의 전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식별부(122 및 132)는 색상 및/또는 디자인을 통하여 인식이 가능하다. 즉, 식별부(122 및 132)는 양 종단부(120 및 130)와는 다른 색상을 갖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다른 색상의 도료를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식별부가 매듭의 형성시 형성되는 2개 고리부의 영역 중 신발의 최상단에 형성된 끈구멍을 통과한 후 노출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조한 신발끈을 본 고안의 내용 및 범위로 한다.
즉, 식별부는, 매듭의 형성시 나타나는 2개의 고리부의 영역 중에서 당겨야 할 부분만을 시각적으로 구별, 확인할 수 있도록 제조한 신발끈을 본 고안의 내용 및 범위로 한다.
여기서는, 식별부가 매듭의 형성시 형성되는 2개 고리부의 영역 중 신발의 최상단에 형성된 끈구멍을 통과한 후 노출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조한 신발끈을 본 고안의 내용 및 범위로 한다.
즉, 식별부는, 매듭의 형성시 나타나는 2개의 고리부의 영역 중에서 당겨야 할 부분만을 시각적으로 구별, 확인할 수 있도록 제조한 신발끈을 본 고안의 내용 및 범위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발끈이 사용된 신발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0) 및 착용자의 발등과 대응하는 부분에 2열로 배치된 다수의 끈구멍(11)을 갖는 신발(10)을 함께 도시하였다.
도 3에서는 신발(10)의 예로서 운동화를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의 사용 대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은 구두, 전투화 등 신발끈이 통과하는 끈구멍이 형성된 모든 신발류에 적용될 수 있다.
신발(10)에 신발끈(100)을 매기 위해서는 신발끈(100)의 중간 부분을 신발(10)의 발등 대응 부위에 2열로 배치된 끈구멍(11; 또는 끈걸쇠) 중 최하단의 2개의 끈구멍(11a)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착용자는 신발끈(100)의 양 종단부(120 및 130)를 인접한 끈구멍(11) 사이를 종횡으로 통과시키며, 최상단의 2개의 끈구멍(11b)을 통과한 양 종단부(120 및 130)를 매듭지어 결속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듭(100a)은 2개의 고리부(100b)와 2개의 선형부(100c; 잔여 종단부)를 서로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각 고리부(100b)는 최상단의 끈구멍에 삽입되어 통과된 후 노출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00b-1) 및 이에 연장되어 선형부(100c)에 대응하는 부분(100b-2)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각 고리부(100b)는 끈구멍을 통과한 후 노출되는 신발끈의 종단부 중 매듭(100a)을 통과한 부분(100b-1)과 선형부(100c)에 연결되는 부분(100b-2)이 연속하여 동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매듭(100a)의 형성시 매듭에는 2개의 고리부(100b)와 2개의 선형부(100c; 잔여 종단부)일측이 서로 결합되며, 각 고리부(100b)는 끈구멍에 삽입된 후 노출되는 부위에서 연장되는 부분(100b-1) 및 이에 연장되면서 선형부(100c)에 연결되는 부분(100b-2)이 신발끈의 연장선상에 동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매듭(100a)은, 신발끈의 매듭을 짓는 과정 또는 매듭이 지어진 이후에 느슨해진 매듭을 조일 때 당겨야 할 부분에 위치하면서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토록 종단부의 소정 영역인 최상단의 끈 구멍에 각각 삽입된 후 노출되는 부분(100b-1)에 식별부(122)(13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식별부(122)(132)는 매듭의 형성시 루프(100d)의 양측에 대칭토록 각각 위치한다.
그리고, 각 고리부(100b)는 최상단의 끈구멍에 삽입되어 통과된 후 노출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00b-1) 및 이에 연장되어 선형부(100c)에 대응하는 부분(100b-2)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각 고리부(100b)는 끈구멍을 통과한 후 노출되는 신발끈의 종단부 중 매듭(100a)을 통과한 부분(100b-1)과 선형부(100c)에 연결되는 부분(100b-2)이 연속하여 동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매듭(100a)의 형성시 매듭에는 2개의 고리부(100b)와 2개의 선형부(100c; 잔여 종단부)일측이 서로 결합되며, 각 고리부(100b)는 끈구멍에 삽입된 후 노출되는 부위에서 연장되는 부분(100b-1) 및 이에 연장되면서 선형부(100c)에 연결되는 부분(100b-2)이 신발끈의 연장선상에 동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매듭(100a)은, 신발끈의 매듭을 짓는 과정 또는 매듭이 지어진 이후에 느슨해진 매듭을 조일 때 당겨야 할 부분에 위치하면서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토록 종단부의 소정 영역인 최상단의 끈 구멍에 각각 삽입된 후 노출되는 부분(100b-1)에 식별부(122)(13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식별부(122)(132)는 매듭의 형성시 루프(100d)의 양측에 대칭토록 각각 위치한다.
한편, 신발끈(100)의 양 종단부(120 및 130)의 소정 영역에 각각 형성된 식별부(122 및 132)는 매듭의 각 고리부(100b) 중 끈구멍에 삽입된 후 노출되는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00b-1)에 위치한다.
신발끈(100)을 매듭지은 후, 매듭(100a)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착용자는 각 고리부(100b) 중 식별부(122 및 132)를 시각적으로 확인한 후 식별부(122 및 132)가 형성된 부분(100b-1)을 잡고 신발(100)의 외측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따라서, 선형부(100c)에 대응하는 부분(100b-2)을 잡아당김으로써 신발끈이 다시 풀어지는 예기치 못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도5와 같이, 매듭에 의해 형성된 2개의 고리부와 2개의 선형부에서 신발끈의 매듭을 짓는 과정 또는 매듭이 지어진 이후에 느슨해진 매듭을 조일 때 당겨야 할 부분을 표시하는 식별부(122)(132)가 형성되어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토록 되어 이를 당길 때 신발끈의 풀림이 방지된다.
즉, 도5와 같이, 매듭에 의해 형성된 2개의 고리부와 2개의 선형부에서 신발끈의 매듭을 짓는 과정 또는 매듭이 지어진 이후에 느슨해진 매듭을 조일 때 당겨야 할 부분을 표시하는 식별부(122)(132)가 형성되어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토록 되어 이를 당길 때 신발끈의 풀림이 방지된다.
여기서, 신발끈(10)의 전체 길이, 끈구멍(11)의 개수 및 신발끈(100) 중에서 끈구멍(11)에 대응하는 길이, 즉 체결부의 길이를 고려하여 식별부(122 및 132)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즉, 식별부(122 및 132)가 형성된 부분이 매듭(100a)의 각 고리부(100b) 중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100b-1)에 배치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끈구멍에 삽입된 후 노출되는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100b-1)에만 형성되는 식별부는, 매듭(100a)의 형성시 당겨야 할 부분만을 구별, 확인토록 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상기 끈구멍에 삽입된 후 노출되는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100b-1)에만 형성되는 식별부는, 매듭(100a)의 형성시 당겨야 할 부분만을 구별, 확인토록 하는 영역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로서, 신발끈의 중앙에 부가적인 식별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신발끈(100)이 신발에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신발끈에서, 부가적인 식별부(111)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신발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단지 부가적인 식별부(111)를 통하여, 별도의 행위 없이 간단하게 신발끈(100)의 양쪽 길이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착용자는 신발끈(100)의 양 종단부(120 및 130)를 인접한 끈구멍(11) 사이를 종횡으로 통과시킨다. 이때, 신발끈(10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부가적인 식별부(111)를 신발(10)의 최하단의 2개의 끈구멍(11a)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후 양 종단부(120 및 130)를 매듭지어 결속한다. 부가적인 식별부(111)에 의하여 매듭이 지어지는 양 부분의 길이가 동일하게 나타나며, 따라서 균형있는 신발끈(100)의 매듭(100a)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Claims (5)
- 신발이 소정 영역에 형성된 끈 구멍을 마지막으로 통과한 후 노출되는 양 종단부가 매듭 지어지는 신발끈에 있어서,
상기 끈구멍을 마지막으로 통과한 후 노출되는 신발끈의 양 종단부가 매듭(100a)으로 서로 결합되어 매듭(100a)의 양측에 대향되는 2개의 고리부(100b)와 선형부(100c)가 각각 형성되며,
각 고리부(100b)는 끈구멍을 통과한 후 노출되는 신발끈의 종단부 중 매듭(100a)을 통과한 부분(100b-1)과 선형부(100c)에 연결되는 부분(100b-2)이 연속하여 동시에 연결되고,
상기 매듭(100a)은, 신발끈의 매듭을 짓는 과정 또는 매듭이 지어진 이후에 느슨해진 매듭을 조일 때 당겨야 할 부분에 위치하면서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토록 종단부의 소정 영역인 끈구멍을 통과한 후 노출되는 부분(100b-1)에만 식별부(122)(13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식별부는, 매듭에 의해 형성되는 각 고리부(100b) 중 매듭(100a)로 결합된 부분(100b-1)에 연결되어 매듭(100a)를 중심으로 매듭의 양측에 각각 대향토록 위치하여 양측의 식별부를 각각 당길 때 매듭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토록 설치되고,
상기 신발끈의 중앙에 부가적인 식별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식별부는 다른 색상을 갖는 섬유재료 또는 도료코팅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895U KR200480700Y1 (ko) | 2011-10-05 | 2011-10-05 |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
JP2014534472A JP5909741B2 (ja) | 2011-10-05 | 2012-10-04 | 結び易さを改善した靴紐 |
US14/350,163 US20140237781A1 (en) | 2011-10-05 | 2012-10-04 | Shoelace tightened with ease |
PCT/KR2012/008037 WO2013051857A1 (ko) | 2011-10-05 | 2012-10-04 |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8895U KR200480700Y1 (ko) | 2011-10-05 | 2011-10-05 |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270U KR20130002270U (ko) | 2013-04-15 |
KR200480700Y1 true KR200480700Y1 (ko) | 2016-06-27 |
Family
ID=4804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8895U KR200480700Y1 (ko) | 2011-10-05 | 2011-10-05 |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237781A1 (ko) |
JP (1) | JP5909741B2 (ko) |
KR (1) | KR200480700Y1 (ko) |
WO (1) | WO201305185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39266B2 (en) | 2020-06-08 | 2023-12-12 | BriTemp IP Holdco LLC | Footwear laces and method for tightening footwear laces |
CN112656089A (zh) * | 2021-01-26 | 2021-04-16 | 范玺 | 一种防松开的鞋带使用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260550A1 (en) | 2002-01-03 | 2005-11-24 | Wilk Kelly A | Instructional shoelaces system and method of use |
US20120009554A1 (en) | 2010-07-08 | 2012-01-12 | Tarrus Johnson | Instructional shoelace ty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46630A (en) * | 1950-03-06 | 1953-07-28 | Miller Edna Barlow | Educational shoelace |
US5562457A (en) * | 1995-06-21 | 1996-10-08 | Haslam; Shawn A. | Aid for teaching children to tie shoelaces |
JP3525089B2 (ja) * | 2000-03-14 | 2004-05-10 | 新道繊維工業株式会社 | 紐用フィルム |
JP3091879U (ja) * | 2002-05-22 | 2003-02-21 | 孝夫 西川 | 色分けされた紐 |
KR100448407B1 (ko) * | 2002-09-02 | 2004-09-13 | 김성수 | 인쇄면을 가지는 운동화끈 |
JP3109728U (ja) * | 2004-11-29 | 2005-06-02 | 謙一 吉田 | 目印つき靴紐 |
TWM287068U (en) * | 2005-06-09 | 2006-02-11 | Asia Summit Innovation Corp | Non-slip shoelace |
US20070294868A1 (en) * | 2006-06-21 | 2007-12-27 | Gnatenko Vatalii I | Lace and method of forming knots |
KR20080017130A (ko) * | 2006-08-21 | 2008-02-26 | 유종현 | 신발끈 |
-
2011
- 2011-10-05 KR KR2020110008895U patent/KR200480700Y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10-04 WO PCT/KR2012/008037 patent/WO201305185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10-04 JP JP2014534472A patent/JP590974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0-04 US US14/350,163 patent/US20140237781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260550A1 (en) | 2002-01-03 | 2005-11-24 | Wilk Kelly A | Instructional shoelaces system and method of use |
US20120009554A1 (en) | 2010-07-08 | 2012-01-12 | Tarrus Johnson | Instructional shoelace ty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909741B2 (ja) | 2016-06-01 |
US20140237781A1 (en) | 2014-08-28 |
JP2014531943A (ja) | 2014-12-04 |
WO2013051857A1 (ko) | 2013-04-11 |
KR20130002270U (ko) | 2013-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0235Y1 (ko) |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 |
KR100552073B1 (ko) | 운동화 끈 조임 구조 | |
US8056265B2 (en) | Shoe tying aid and method | |
US20170245595A1 (en) | Shoe lacing system | |
JP3160573U (ja) | 靴紐及びそれを備えた靴 | |
US8991074B2 (en) | Footwear lacing system | |
WO2015076477A9 (ko) | 신발 결속구 | |
US20150143717A1 (en) | Shoelace retention devices | |
US20090229095A1 (en) | Hook Elastic Shoelaces | |
US11033078B2 (en) | Slip resistant shoelace and cord | |
US20140041167A1 (en) | Elastic Shoe Lace with Fastener | |
KR200467145Y1 (ko) |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 |
KR200480700Y1 (ko) |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 |
US20170231325A1 (en) | Lacing System for Shoes and Shoe Manufactured with Said Lacing System | |
US20130097887A1 (en) | Shoe closure system | |
KR100765244B1 (ko) | 신발끈 결속구 | |
JP3165710U (ja) | 靴締付バンド | |
KR101075895B1 (ko) | 신발 끈 조임구 | |
WO2017078419A1 (ko) | 신고 걸으면 끈이 조여지며 끈 교체가 가능한 운동화 | |
US20170172255A1 (en) | Shoe lacing system | |
JP2014531943A5 (ko) | ||
KR20060024830A (ko) | 단번에 결속시키는 탈부착 신발끈 장치 및 그 형성방법 | |
KR100829365B1 (ko) | 신발끈 고정구 | |
KR200246554Y1 (ko) |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끈의 결속장치 | |
KR200292236Y1 (ko) | 풀림방지를 위한 장식 레이스가 형성된 신발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