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51857A1 -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 Google Patents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51857A1
WO2013051857A1 PCT/KR2012/008037 KR2012008037W WO2013051857A1 WO 2013051857 A1 WO2013051857 A1 WO 2013051857A1 KR 2012008037 W KR2012008037 W KR 2012008037W WO 2013051857 A1 WO2013051857 A1 WO 20130518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oelace
knot
shoe
presen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80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주원
Original Assignee
Lee Joo W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Joo Won filed Critical Lee Joo Won
Priority to JP2014534472A priority Critical patent/JP5909741B2/ja
Priority to US14/350,163 priority patent/US20140237781A1/en
Publication of WO20130518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518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2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provided with tags, buttons, or decorative tuf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27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from a material having special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4Forming ends of laces of plastics, celluloid, rubber,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3789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having means covering tip of lac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that can easily tighten the loosened knot after the process of forming the knot or the binding.
  • shoelaces woven from fibrous materials are mainly used, and mainly have a flat strip shape or a string shape of a circular cross section.
  • the user's / repairer's hand When washing or repairing a shoe, the user's / repairer's hand can easily reach the inside of the shoe by loosening and removing the knots of the shoelace. Then, the user binds the shoelace to a hol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oot of the shoe, knots both ends, and then wears the sho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in which a general shoelace is tied, showing a shoelace in which both ends are knotted.
  • the middle portion of the shoelace 1 is arrang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string hole 11 (or a hole formed in the laces) arranged in two rows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oot of the shoe 10. After positioning between two string holes 11a, both ends are pass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etween adjacent string holes. Finally, the binding of the shoelace 1 is terminated by tying both ends of the shoelace 1.
  • each ring portion 1b is divided into a portion 1b-1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uppermost string hole 11b and a portion 1b-2 corresponding to the linear portion 1c.
  • the wearer After knotting the end of the shoelace 1, in order to secure the knot, the wearer respectively grasps the portion 1b-1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uppermost string hole 11b of each hook portion 1b. It is pulled out of the (10). However, the portion 1b-1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uppermost string hole 11b of the ring portion 1b due to the knot portion 1a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inear portion 1c of the knot 1a ( 1b-2) becomes difficult to distinguish.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aused by the shoelace, to provide a shoelace that can visually identify the portion to be pulled in the process of knotting or re-tightening the loose knot.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shoelaces conveniently and quickly without risk of loosening the shoelaces again in the process of binding the shoelaces.
  • the identification part is identified among the areas of the two loop parts of the knot corresponding to the part inserted into the top end of the shoe. It provides a shoelace that can be recognized through.
  • the identification portion may be formed on any one surface or the entire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region of each end portion.
  • the identification unit is preferably to be recognized through the end portion and the binding portion through the color or design.
  • an additional identification unit in the center of the shoelace may provide additional convenience in the process of tying the first shoelace.
  • the shoe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visually distinguish and confirm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uppermost shoe hole of the shoe among the areas of the ring portion constituting the knot when the first knot or the tightened knot are tightened. As a result, by grasping this part and pulling it out of the shoe, the knot can be tightened simply, conveniently and accurately.
  • the wearer makes it easy to form a balanced knot by making sure that the center of the shoelace is located between the two lowest bottom hole formed in the shoe. You can also provid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with a typical shoelace tied.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l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is tied to the shoelace shown in FIG.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l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is tied to the shoelace shown in FIG.
  • the shoela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for example, a fiber material, a flat strip shape or a string shape of a circular cross section Can have
  • the shoelace 10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ludes both end portions 120 and 130.
  • Both ends 120 and 130 are exposed portions after passing through the top strap hole of the shoe.
  • the front end portions of both end portions 120 and 130 are formed with pressing portions 121 and 131 wound by a hard member so as to smoothly pass the shoelaces of the shoes.
  • Identification portions 122 and 132 are formed in predetermined regions of both ends 120 and 130 of shoelace 100, respectively.
  • the identification parts 122 and 132 may be formed on only one surface of a predetermined area of each of the termination parts 120 and 130, or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a predetermined area of each of the termination parts 120 and 130.
  • the identification units 122 and 132 can be recognized through color and / or design. That is, the identification portions 122 and 132 may be made of a fiber material having a different color from the both ends 120 and 130, or may be formed by coating a paint of a different color.
  • a shoelace manufactured so as to recognize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portion inserted into a shoelace of a shoe among two ring portions of a knot is the conten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using the shoelace shown in FIG. 2, the shoela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string holes 11 arranged in two rows corresponding to the foot of the wearer 11 Shown with a shoe 10 having.
  • the sneaker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the shoe 10, but the object of use of the shoe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hoe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footwear formed with a strap hole through which the shoelace, such as shoes, combat shoes.
  • the middle of the shoelace 100 is arranged in two rows at the 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foot of the shoe 10. It is located between the holes 11a.
  • the knot 100a is composed of two ring portions 100b and two linear portions 100c (remaining ends), each ring portion 100b corresponding to a portion inserted into a string hole. And a portion 100b-2 corresponding to 100b-1 and the linear portion 100c.
  • the identification portions 122 and 132 formed in predetermined regions of both end portions 120 and 130 of the shoelace 100, respective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string hole of each loop portion 100b of the knot ( 100b-1).
  • the wearer visually checks the identification portions 122 and 132 of each ring portion 100b to secure the knot 100a, and then the portions 122 and 132 are formed. Holding the (100b-1) is pulled out of the shoe (100). Therefore, by pulling the portion 100b-2 corresponding to the linear portion 100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expected situation that the shoelaces are released again.
  • the number of the lace holes 11 and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ace hole 11 among the shoe laces 100 that is, the length of the fastening portion, Adjust the position accordingly. That is, the portions formed with the identification portions 122 and 132 are adjusted to be disposed in the region 100b-1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string hole among the ring portions 100b of the knot 100a.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l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bound to the shoelace shown in Figure 4
  • the additional identification unit 11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hoelace
  • the shoelace 100 shows the state bound to the shoe.
  • the other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additional identification unit 111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shoelaces shown in Figs. Only through the additional identification unit 111, it provides a function that can simply adjust both lengths of the shoelace 100 equally without a separate action.
  • the wearer passes both ends 120 and 130 of the shoelace 100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etween the adjacent stringholes 11.
  • the additional identification portion 111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shoelace 1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string holes 11a at the bottom of the shoe 10, and then both ends 120 and 130. Tie a knot.
  • the lengths of both parts of the knot formed by the additional identification unit 111 are shown to be the same, thus forming a balanced knot 100a of the shoelace 100.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형성된 끈구멍을 통과한 후 양 종단부가 매듭지어지는 신발끈에 있어서, 신발끈의 매듭을 짓는 과정 또는 매듭이 지어진 이후에 느슨해진 매듭을 조이기 위하여 잡아당겨야 할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발끈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신발끈을 결속한 이후에 형성되는 매듭의 2개 고리부 영역 중에서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인식할 수 있도록, 각 종단부의 소정 영역에 식별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착용자가 매듭을 짓거나 느슨해진 매듭을 조이는 과정에서 선형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잡아당김으로써, 신발끈이 다시 풀어지는 예기치 못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신발끈을 조이기 위하여 잡아당겨야 할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인식시킴으로써,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신발끈을 조일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신발끈의 중앙을 인식할 수 있는 부가적인 식별부를 통하여 별도의 주의 없이도 신발의 끈구멍을 통과한 후 양 종단부의 잔여 길이가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 편리성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본 발명은 매듭부를 형성하는 과정이나 결속 후에 느슨해진 매듭부를 용이하게 조일 수 있는 신발끈에 관한 것이다.
운동화 및 구두를 포함한 대부분의 신발은 착용자에게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하고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등 부분에 신발끈을 매어 조일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발끈으로는 섬유 재료로 짠 끈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납작한 스트립(strip) 형상 또는 원형 단면의 스트링(string) 형상을 갖는다.
신발을 세척하거나 수선을 할 때에는 신발끈의 매듭 부분을 풀어 제거함으로써 사용자/수선자의 손이 신발의 내부까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신발끈을 신발의 발등 대응 부분에 형성된 구멍으로 결속하고 양 단부를 매듭지은 후 신발을 착용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로서, 양 단부가 매듭지어진 신발끈을 도시하고 있다.
신발(10)에 신발끈(1)을 매기 위해서는 신발끈(1)의 중간 부분을 신발(10)의 발등 대응 부위에 2열로 배치된 끈구멍(11; 또는 끈걸쇠에 형성된 구멍) 중 최하단의 2개의 끈 구멍(11a) 사이에 위치시킨 후, 양 종단부를 인접한 끈구멍 사이를 종횡으로 통과시킨다. 최종적으로 신발끈(1)의 양 종단부를 매듭지음으로써 신발끈(1)의 결속이 종료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신발끈(1)을 결속한 후, 신발끈(1)의 양 종단부에 형성된 매듭(1a)은 2개의 고리부(1b)와 2개의 선형부(1c; 잔여 종단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각 고리부(1b)는 최상단 끈구멍(11b)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b-1) 및 선형부(1c)에 대응하는 부분(1b-2)으로 구분된다.
신발끈(1)의 종단부를 매듭지은 후, 매듭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착용자는 각 고리부(1b) 중 최상단 끈구멍(11b)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b-1)을 각각 잡고 신발(10)의 외측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그러나, 매듭부(1a)로 인하여 고리부(1b) 중 최상단 끈구멍(11b)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b-1)과 매듭(1a)의 선형부(1c)에 대응하는 부분(1b-2)을 구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조건에서 착용자가 고리부(1b) 중 선형부(1c)에 대응하는 부분(1b-2)을 잡고 외측으로 잡아당길 경우 매듭(1a)이 풀어지게 되며, 따라서 신발끈(1)을 다시 매듭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한편, 신발끈(1)이 결속된 상태에서 신발끈(1)에 외력이 작용하거나 또는 신발을 장시간 착용한 후 매듭(1a)이 자연스럽게 느슨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매듭(1a)이 느슨해질 경우, 착용감이 불안정하고 신발이 벗겨질 수 있으며, 따라서 착용자는 신발끈(1)의 매듭(1a)을 조이게 된다.
느슨해진 매듭(1a)을 다시 조이는 경우에도 매듭(1a)으로 인하여 고리부(1b) 중 어느 부분이 최상단 끈구멍(11b)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인지 확인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조건에서 별도의 궁리 없이 고리부를 잡아당기면 오히려 매듭이 풀어질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본 발명은 신발끈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듭을 짓는 과정이나 느슨해진 매듭을 다시 조이는 과정에서 당겨야 할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발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신발끈을 결속하는 과정에서 신발끈이 다시 풀어질 위험성 없이 편리하면서 신속하게 신발끈을 조이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각 종단부의 소정의 영역에 식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매듭을 지은 후, 매듭의 2개의 고리부의 영역 중 신발의 최상단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식별부를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신발끈을 제공한다.
여기서, 식별부는 각 종단부의 소정 영역 중 어느 한 면 또는 전체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부는 종단부 및 결속부와 색상 또는 디자인을 통하여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신발끈의 중앙에 부가적인 식별부를 형성하여 처음 신발끈을 매는 과정에서 부가적인 편리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은 처음 매듭을 조일 때 또는 느슨해진 매듭을 조일 때 매듭을 구성하는 고리부의 영역 중에서 신발의 최상단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시각적으로 구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잡고 신발 외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매듭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조일 수 있다.
또한, 부가적인 식별부를 추가하여 신발에 처음 결속할 때 착용자가 신발에 형성된 끈구멍 중 최하단 2개의 끈구멍 사이에 신발끈의 중앙이 위치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균형있는 매듭을 형성할 수 있는 용이성을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0)은 다양한 재료, 예를 들어 섬유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납작한 스트립 형상 또는 원형 단면의 스트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양 종단부(120 및 130)를 포함한다.
양 종단부(120 및 130)는 신발의 최상단 끈구멍을 통과한 후 노출되는 부분이다. 한편, 양 종단부(120 및 130)의 선단에는 신발의 끈구멍을 원활히 통과시키기 위하여 경질의 부재로 감겨져 있는 압착부(121 및 131)가 형성되어 있다.
신발끈(100)의 양 종단부(120 및 130)의 소정 영역에는 식별부(122 및 1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식별부(122 및 132)는 각 종단부(120 및 130)의 소정 영역의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각 종단부(120 및 130)의 소정 영역의 전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식별부(122 및 132)는 색상 및/또는 디자인을 통하여 인식이 가능하다. 즉, 식별부(122 및 132)는 양 종단부(120 및 130)와는 다른 색상을 갖는 섬유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다른 색상의 도료를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매듭의 2개 고리부의 영역 중 신발의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조한 신발끈을 본 발명의 내용 및 범위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발끈이 사용된 신발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100) 및 착용자의 발등과 대응하는 부분에 2열로 배치된 다수의 끈구멍(11)을 갖는 신발(10)을 함께 도시하였다.
도 3에서는 신발(10)의 예로서 운동화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의 사용 대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신발끈은 구두, 전투화 등 신발끈이 통과하는 끈구멍이 형성된 모든 신발류에 적용될 수 있다.
신발(10)에 신발끈(100)을 매기 위해서는 신발끈(100)의 중간 부분을 신발(10)의 발등 대응 부위에 2열로 배치된 끈구멍(11; 또는 끈걸쇠) 중 최하단의 2개의 끈구멍(11a)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착용자는 신발끈(100)의 양 종단부(120 및 130)를 인접한 끈구멍(11) 사이를 종횡으로 통과시키며, 최상단의 2개의 끈구멍(11b)을 통과한 양 종단부(120 및 130)를 매듭지어 결속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듭(100a)은 2개의 고리부(100b)와 2개의 선형부(100c; 잔여 종단부)로 이루어지며, 각 고리부(100b)는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00b-1) 및 선형부(100c)에 대응하는 부분(100b-2)으로 구분된다.
한편, 신발끈(100)의 양 종단부(120 및 130)의 소정 영역에 각각 형성된 식별부(122 및 132)는 매듭의 각 고리부(100b) 중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100b-1)에 위치한다.
신발끈(100)을 매듭지은 후, 매듭(100a)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착용자는 각 고리부(100b) 중 식별부(122 및 132)를 시각적으로 확인한 후 식별부(122 및 132)가 형성된 부분(100b-1)을 잡고 신발(100)의 외측으로 잡아 당기게 된다. 따라서, 선형부(100c)에 대응하는 부분(100b-2)을 잡아당김으로써 신발끈이 다시 풀어지는 예기치 못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신발끈(10)의 전체 길이, 끈구멍(11)의 개수 및 신발끈(100) 중에서 끈구멍(11)에 대응하는 길이, 즉 체결부의 길이를 고려하여 식별부(122 및 132)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즉, 식별부(122 및 132)가 형성된 부분이 매듭(100a)의 각 고리부(100b) 중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영역(100b-1)에 배치될 수 있도록 조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신발끈이 결속된 신발의 사시도로서, 신발끈의 중앙에 부가적인 식별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신발끈(100)이 신발에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신발끈에서, 부가적인 식별부(111)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신발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단지 부가적인 식별부(111)를 통하여, 별도의 행위 없이 간단하게 신발끈(100)의 양쪽 길이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착용자는 신발끈(100)의 양 종단부(120 및 130)를 인접한 끈구멍(11) 사이를 종횡으로 통과시킨다. 이때, 신발끈(10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부가적인 식별부(111)를 신발(10)의 최하단의 2개의 끈구멍(11a)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후 양 종단부(120 및 130)를 매듭지어 결속한다. 부가적인 식별부(111)에 의하여 매듭이 지어지는 양 부분의 길이가 동일하게 나타나며, 따라서 균형있는 신발끈(100)의 매듭(100a)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Claims (5)

  1. 신발의 소정 영역에 형성된 끈구멍을 통과한 후 양 종단부가 매듭지어지는 신발끈에 있어서,
    각 종단부의 소정의 영역에 식별부가 각각 형성되어 신발끈을 결속한 이후에 형성되는 매듭의 2개 고리부 영역 중에서 끈구멍에 삽입된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인식이 식별부를 통하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2. 제 1 항에 있어서, 식별부는 다른 색상을 갖는 섬유 재료 또는 다른 색상의 도료를 코팅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3. 제 1 항에 있어서, 식별부가 각 종단부의 소정 영역의 어느 한 면 또는 전체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4. 제 1 항에 있어서, 식별부가 그림 또는 인쇄 등의 디자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5. 제 1 항에 있어서, 끈의 중앙에 부가적인 식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PCT/KR2012/008037 2011-10-05 2012-10-04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WO201305185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34472A JP5909741B2 (ja) 2011-10-05 2012-10-04 結び易さを改善した靴紐
US14/350,163 US20140237781A1 (en) 2011-10-05 2012-10-04 Shoelace tightened with e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895 2011-10-05
KR2020110008895U KR200480700Y1 (ko) 2011-10-05 2011-10-05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1857A1 true WO2013051857A1 (ko) 2013-04-11

Family

ID=4804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8037 WO2013051857A1 (ko) 2011-10-05 2012-10-04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237781A1 (ko)
JP (1) JP5909741B2 (ko)
KR (1) KR200480700Y1 (ko)
WO (1) WO20130518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6089A (zh) * 2021-01-26 2021-04-16 范玺 一种防松开的鞋带使用方法
US11839266B2 (en) 2020-06-08 2023-12-12 BriTemp IP Holdco LLC Footwear laces and method for tightening footwear la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613A (ja) * 2000-03-14 2001-09-25 Shindo Seni Kogyo Kk 紐用フィルム
US20070294868A1 (en) * 2006-06-21 2007-12-27 Gnatenko Vatalii I Lace and method of forming knots
KR20080017130A (ko) * 2006-08-21 2008-02-26 유종현 신발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6630A (en) * 1950-03-06 1953-07-28 Miller Edna Barlow Educational shoelace
US5562457A (en) * 1995-06-21 1996-10-08 Haslam; Shawn A. Aid for teaching children to tie shoelaces
US20060064855A1 (en) * 2002-01-03 2006-03-30 Wilk Kelly A Woven oval shoe lace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091879U (ja) * 2002-05-22 2003-02-21 孝夫 西川 色分けされた紐
KR100448407B1 (ko) * 2002-09-02 2004-09-13 김성수 인쇄면을 가지는 운동화끈
JP3109728U (ja) * 2004-11-29 2005-06-02 謙一 吉田 目印つき靴紐
TWM287068U (en) * 2005-06-09 2006-02-11 Asia Summit Innovation Corp Non-slip shoelace
US20120009554A1 (en) * 2010-07-08 2012-01-12 Tarrus Johnson Instructional shoelace ty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613A (ja) * 2000-03-14 2001-09-25 Shindo Seni Kogyo Kk 紐用フィルム
US20070294868A1 (en) * 2006-06-21 2007-12-27 Gnatenko Vatalii I Lace and method of forming knots
KR20080017130A (ko) * 2006-08-21 2008-02-26 유종현 신발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9266B2 (en) 2020-06-08 2023-12-12 BriTemp IP Holdco LLC Footwear laces and method for tightening footwear laces
CN112656089A (zh) * 2021-01-26 2021-04-16 范玺 一种防松开的鞋带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37781A1 (en) 2014-08-28
KR20130002270U (ko) 2013-04-15
KR200480700Y1 (ko) 2016-06-27
JP2014531943A (ja) 2014-12-04
JP5909741B2 (ja)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5418B2 (en) Tendon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006410B2 (en) Shoe, particularly sport or leisure shoe
US20110099843A1 (en) Device for Tightening Shoelace
JP2010516310A (ja) ブーツ、特にスキー又はスノーボード用ブーツ
US20170245595A1 (en) Shoe lacing system
US8316561B2 (en) Lace and toungue configuration
KR930004690B1 (ko) 신발의 끈 매기장치
WO2015076477A1 (ko) 신발 결속구
WO2012138062A2 (ko) 비대칭 구조의 도르래를 이용한 신발끈 고리
US20170280827A1 (en) Adjustable Shoelace Fastener and Method of Use
WO2013051857A1 (ko)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US20140041167A1 (en) Elastic Shoe Lace with Fastener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WO2022260377A1 (ko) 상하로 분리된 신발끈 결속장치 형성방법
US20110277283A1 (en) Anti-Slip Lace
KR100445965B1 (ko)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 및 그 신발끈 결속방법
US5997051A (en) Shoelace tying system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WO2017078419A1 (ko) 신고 걸으면 끈이 조여지며 끈 교체가 가능한 운동화
US11839266B2 (en) Footwear laces and method for tightening footwear laces
WO2008156347A1 (en) Method of tying string and footwear employing the same
JP2014531943A5 (ko)
US201501283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ipping and tightening laces
KR920004858B1 (ko) 신발끈 조임구
KR200246554Y1 (ko)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끈의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378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3447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50163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378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