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690B1 - 신발의 끈 매기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의 끈 매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690B1
KR930004690B1 KR1019900013110A KR900013110A KR930004690B1 KR 930004690 B1 KR930004690 B1 KR 930004690B1 KR 1019900013110 A KR1019900013110 A KR 1019900013110A KR 900013110 A KR900013110 A KR 900013110A KR 930004690 B1 KR930004690 B1 KR 930004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traps
shoe
row
l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184A (ko
Inventor
비. 니콜스 스티븐
Original Assignee
케이-스위스 인코퍼레이티드
비. 니콜스 스티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스위스 인코퍼레이티드, 비. 니콜스 스티븐 filed Critical 케이-스위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10011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3732Includes lacing holding structure within directing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3768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having loop or sleeve shaped directing means
    • Y10T24/3776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having loop or sleeve shaped directing means formed from wir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발의 끈 매기장치
제1도는 청구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왼쪽 신발의 사시도.
제2a도는 제1도의 활모양선(2a)를 따라 도시된 확대도면.
제2b도는 끈없이 도시된 제2a도와 같은 도면.
제3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사시도.
제4a도는 제3도의 4a-4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제4b도는 4b-4b선에서 바라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운동화(신발) 12 : 신발밑창
14,29 : 신울 16 : 발가락부
18 : 발목부 20 : 신발끈
22,24 : 끈수용구 26 : 눈구멍
27 : 앞닫이 28 : 붙박이
30,32 : 뱃대끈 수용구 30a,30b,32a,32b : D-고리
34 : 끈수용구 42 : 우측신발
44 : 신발밑창 46 : 신울
48 : 발가락부 50 : 발목부
52 : 연속되는 신발끈 54,56,58,60 : 끈수용구
62,64 : 끈매기열
본 발명은 신발류 끈매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운동화의 끈을 매기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다수의 종래방법으로 착용자의 발에 조여질 수 있다. 운동화는 통상 끈으로 매어져 묶여진다. 운동화, 특히 테니스 및 농구와 같은 경기에서 착용된 신발이 특별한 문제를 일으킨다. 이상적으로 이같은 신발의 신발바닥은 경기자 발바닥에 대해 항상 정확히 같은 관계에 있다. 그러나 측면방향 이동을 포함하는 경기에서 발이 다소 미끄러지는 경우가 있게 된다. 이같은 미끄러짐은 경기자의 불균형을 일으켜 그의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경주자가 넘어지도록 하기까지 한다.
끈의 각기 다른 부분에서 각기 다른 인장력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신발의 끈매기방법이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그의 발둘레에서 신발의 인장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의해 신발이 발에 보다 꼭맞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발둘레에서 보다 꼭 맞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신발 바닥에 보다 가까운 끈매기 점을 갖음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라센(Larsen)에게 특허된 미국특허 제4,245,408호 및 제4,366,631호가 모두 끈매기 배치에 대한 것으로 신발의 윗굽부분의 안쪽을 향하도록 되어 신발의 측면을 따라 끈매기 수단이 제공하여지는 이전의 관례를 따르지 않는 다양한 끈매기가 운동화에서 적용되어 왔다. 비록 신발 윗굽이 신발속에 효과적으로 고정된다해도 발가락 부분들은 이같은 배치에 의해 고정되지 않았다.
오트리(Autry)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670,949호는 한 끈매기 배치를 가르치며 여기서는 한 끈이 관례에 의하지 않은 형태로 서로 엇갈려진다. 그러나 결과의 형태는 종래의 관례적인 형태보다 발가락들을 잘 붙잡도록 하지 못한다.
정해진 형태로 끈매기 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수단이 공지되어 있다. 특별히 관심을 끄는 것은 아담스(Adams)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538,367호이다. 뱃대끈 조임점을 갖는 부츠가 공지되었다. 각 측면에 하나씩 있는 뱃대끈 조임점은 모든 다른 끈 수용구와 나란히 되어 있다. 따라서, 운동화 앞닫이는 뱃대끈 조임점이 끈 수용구선 즉 끈 수용수단 선과 신발의 바깥측 바닥사이에 놓이므로써 가능한 때처럼 발둘레에서 효과적으로 조여질 수 없다.
아담스(Adams)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200,998호는 관례적인 한 끈매기 배치를 갖는 운동화에 끈을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공개한다.
보스트 워크(Bostwick)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1,095,700호는 신발상부에서 끈을 묶는 것을 피하기 위해 끈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가르친다.
그린들러(Grundlehner)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1,830,646호는 끈 묶는 것을 피하기 위한 선택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아담스(Adams)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546,796호는 상하측 끈매기 수단을 갖는 운동화를 공개한다. 그러나, 끈수용구 각각은 완전히 종래의 배치로 두 열중 한 열내에 있게 된다.
드 배레(De Baere)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3,085,823호는 하나의 순환선을 갖는 로우프 줄을 가르친다. 운동화의 경우 로우프 줄 또는 끈의 이같은 배치는 잘 알려진 이중고리 뱃대끈의 관례적인 이중순환선 보다는 덜 사용된다.
오스트리아 특허 제193275호, 스위스 특허 제181518호 영국특허 제366177호 및 7868호가 공지되 있으나, 본원 발명과는 관계하지 않는다.
운동화를 착용자의 발에 꼭맞도록 하기 위해 끈매기선 바깥쪽에 있는 한 끈매기점을 갖는 운동화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끈 수용구(lace receiver) 이중배치에 그 바깥으로 놓인 끈 수용구들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같은 끈수용구들은 뱃대끈(cinch) 배치를 하거나 끈이 자유로이 통과하도록 한다. 이같은 끈배치를 갖는 신발들은 더욱더 꼭맞게 된다. 본 발명의 끈매기 배치는 운동화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외측 신발 바닥을 갖는 연속적으로 끈매기가 가능한 신발, 상기 신발을 끈매기하기 위한 끈, 첫번째 열의 끈수용구, 두번째 열의 끈수용구, 신발의 적절한 중앙축을 따라 배치된 첫번째 및 두번째 열, 그리고 첫번째 열의 끈수용구와 운동화 바닥 사이 중간에 위치한 쌍을 이루며 멀리 떨어져 있는 철재고리의 수용수단으로, 이에 의해 전술한 끈이 쌍을 이루는 전술한 끈수용구를 통해 꿰어질 수 있으며 쌍을 이루는 철재고리 수용수단에서 발둘레의 인장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철재고리 수용수단을 포함하는 운동화 끈을 수용하기 위한 한 체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목적은 첫번째 열의 끈수용구와 두번째 열의 끈수용구를 형성시키며 각 열이 운동화의 적절한 중앙축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끈수용구, 그리고 쌍을 이루며 가장 바깥측에 있는 끈수용구인 D-고리수용구와 첫번째 열과 운동화 바닥 거의 중앙에 오며 운동화의 바깥측에 위치하는 두번째 D-고리 수용구를 포함하는 바닥이 있는 운동화의 끈을 묶기위한 한 체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에서, 왼발에 맞는 운동화(10)는 신발밑창(12), 신울(14), 발가락부분(16), 발목부(18)로 되어 있으며 신발끈(20)에 의해 착용자의 발에 고정된다.
동 신발은 그 중앙축을 따라 그리고 신발혀에 인접하여 다수의 첫번째 열 또는 다수의 끈수용구(22) 배치와 두번째 열 또는 다수의 끈수용구(24) 배치를 갖는다. 여기서 첫번째 다수의 끈수용구는 신발이 바르게 착용된 때 각 신발 중앙측 바깥측 끈수용구의 배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두번재 끈수용구는 신발이 바르게 착용된때 각 신발 중앙측 안쪽 끈수용구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끈(20)은 신발 가죽 안쪽으로 도려내진 두개의 원형 끈수용구 또는 눈구멍(26)에 의해 그리고 신발의 신울로 이어지는 첫번째 다수의 끈수용구(22) 및 두번째 다수의 끈수용구에 의해 발가락 끝에서 고정되는 것이 좋다. 끈수용구는 예를 들어 D-고리에서 매지고 신 좌우쪽 가에 댄 발목까지 올라오는 신울(29)까지 엮어진 나일론과 같은 강한 재료의 스트립(strip)인 끈 수용구 붙박이(28)에 의해 고정된다. 세번째 및 네번째 끈매기열은 첫번째의 동떨어진 뱃대끈 수용구(30)과 두번째 동떨어진 뱃대끈수용구(32)를 갖는다. 여기서 “뱃대끈”이라함은 본래 말의 안장을 배에 걸쳐서 조르는 줄을 말하는 것이나 본원에서의 신발을 말에 비유하여 볼때 끈수용구(22)과 신발밑창(12) 사이에 오는 쓴수용 수단부분을 의미한다.
각 뱃대끈 수용구(30, 32)는 한쌍의 매우 가까이 위치한 고정된 D-고리(30a, 30b)(32A, 32b)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끈(20)이 통과되며 통상의 방법으로 뱃대끈으로서 연결하여 진다. 첫번째 뱃대끈 수용구(30)과 두번째 뱃대끈 수용구(32)는 신울(29) 바깥측 앞닫이(27) 위 다수의 끈수용구(22) 열과 신발 밑창과 신울의 접함에 의해 형성된 선(line)(33) 사이에 위치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2a도에서 끈(20)은 끈수용구(34) (신울(29)의 바깥측 중간축상에 위치한)을 통과한 뒤에 D-고리(30a, 30b) 모두를 통과하게 된다. 다음에 끈(20)이 D-고리(30a, 30b) 모두를 통과하게 된다. 다음에 끈(20)이 D-고리(30a)와 D-고리(30b)에서 되포개어지며 신발의 발가락부분(부리부분)이 꼭 맞도록 하기 위해 뱃대끈 수용구(30) 부분에서 꼭 조여진다. 다음에 끈(20)은 계속해서 끈수용구(34)를 통과하며, 두번째 뱃대끈 부분이 뱃대끈 수용구(30)과 관련해서 이제막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뱃대끈 수용구(32)에 의해 조여진다.
대개 뱃대끈 수용구(30, 32) 부분 모두가 단단히 조여지는때, 발가락부분에서 수요된 끈은 그 상측부에서의 끈이 이동하지 않는때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발가락 부분에서 계속 매어진 끈(20)은 착용자의 발등에서 끈으로 묶여지는 신울부에서의 끈보다 다소 단단히 혹은 느슨하게 묶여질 수 있다.
멀리 떨어져 있는 뱃대끈수용구(30, 32)이 신울(29)의 바깥측 앞닫이(27)에서만 배치되므로 뱃대끈 수용구(30, 32)가 있는 신발을 착용하는때 각 신발에 한쌍씩 있는 두쌍의 뱃대끈은 통상의 사용시 서로 접촉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두쌍의 뱃대끈이 앞닫이(27) 안쪽에 있게되면 우연히 서로 체결되어 사용자가 걸려 넘어지게 하는 가능성을 배제시킨다. 이같은 뱃대끈 수용구(30, 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근접한 간격의 D-고리(30a, 30b) 또는 (32a, 32b)을 포함한다. 다른 고리형 끈부재들은 예를 들면 약 0.75″까지 떨어져 있다.
제3도에서 우측신발(42)이 신발밑창(44), 신울(46), 발가락부(48), 그리고 발목부(50)로 되어 있으며, 연속된 끈(52)에 의해 착용자의 발에 고정되 있다. 멀리 떨어져 있는 끈수용구(54, 56)은 세번째 끈매기 열에 제공된다.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끈수용구(58, 60)는 다섯번째 끈매기 열에 제공된다.
4a도 및 4b도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끈수용구(54)는 끈매기 열(64)의 세번째 끈매기열을 통과하는 한 끈(52)를 수용한다. 다음에 이 끈이 끈수용구(54)를 통과하여 네번째 끈매기열인 끈수용구(70)로 보내진다. 가장 바깥에 놓인 두번째 끈수용구(58)은 네번째 끈매기열 끈수용구(70, 71)을 통과한 뒤에 끈을 수용한다.
이때의 끈(신발끈)은 여러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끈수용구를 통과하여 꿰어질 수 있다. 각기 다른 사용자는 제각기 다른 끈매기 형식을 좋아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의 끈은 가장 바깥에 있는 끈수용구(54, 56, 58, 그리고 60)에서 고정되거나 뱃대끈처럼 묶여지나, 그밖의 다른 끈수용구를 통해 꿰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끈매기 또는 조이기를 제공하는 끈수용구(54, 56, 58 및 60)의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 종래의 끈매기 배치가 허용하는 것보다 밑창에 더욱 가까운 점은 착용자가 바라는 바대로 발에 꼭맞을 수 있도록 한다.
제4b도에서 끈수용구(56, 60)은 끈매기열(64)로부터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나, 끈수용구(54, 58)만큼 떨어져 있지 않게되어 다른 한쪽 신발의 내측열에 비슷하게 놓여진 끈수용구로부터 아무런 방해가 없도록 한다. 끈(52)는 이같은 실시예의 어떤 점에서도 뱃대끈식으로 열결되지 않으나 대신 끈이 가장 바깥쪽 끈수용구(56, 60)을 통해 자유롭게 움직인다.
특별한 끝매기 형식은 중요하지 않음을 주목함이 중요하다. 오히려 본 발명은 끈매기열(62, 64)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끈수용구들을 신발 밑창으로 더욱 가까이 위치시키는 끈수용구의 위치변화에 있는 것이다.
비록 제1도가 왼쪽 신발을 도시하고 제3도는 오른쪽 신발을 도시하고 있으나, 두 끈매기형식은 각 신발을 한쌍으로 묶기위한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생각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정상적인 사용시 한컬레의 신발이 두 끈매기 방법중 한 방법을 사용하도록 된 것이라 생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의 끈매기 형식은 운동화에서 사용되기에 특히 적합하나 다른 타입의 신발도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멀리 떨어진 끈수용구로부터 이익을 볼 수 있다.

Claims (6)

  1. 신발(10)의 끈을 매기 위한 끈(20), 첫번째 열의 끈수용구(22), 두번째 열의 끈수용구(24), 신발의 중앙쪽을 따라 배치된 첫번째와 두번째 열의 끈수용구(22, 24)로서, 첫번째열은 신발의 바깥측에 인접하여 있고 두번째열은 신발의 바깥측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끈수용구(22, 24), 그리고 상기 첫번째 열의 끈수용구(22)와 신발밑창(12)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두개의 분리되고 독립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철재고리의 끈수용수단으로서, 각각의 멀리 떨어져 있는 뱃대끈수용구(30, 32)이 발가락부(16)에서 독립하여 신발에 붙박혀 있으므로써 상기끈이 적어도 이들 수용수단중 하나를 통과하게 되고 멀리 떨어진 끈수용수단 부분에서 발주위의 인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의 끈매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멀리 떨어진 뱃대끈수용구(30, 32)중 적어도 하나가 단일의 철재고리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의 끈매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멀리 떨어진 뱃대끈수용구(30, 32)중 적어도 하나가 단일의 D-고리(30a, 30b, 32a 또는 32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의 끈매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리 떨어진 뱃대끈수용구(30, 32)중 적어도 하나가 멀리 떨어진 끈수용수단부분에서 끈을 뱃대끈과 같이 조이기 위해 서로 인접하여 있는 한쌍의 고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의 끈매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멀리 떨어진 뱃대끈수용구(30, 32)중 적어도 하나가 끈수용수단 부분에서 끈을 뱃대끈과 같이 조이기 위해 중앙의 축에 수직한 축을 따라 배치된 서로 인접한 한쌍의 D-고리(30a, 30b)(32a, 32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의 끈매기 장치.
  6. 신발(10)의 끈을 매기 위한 끈(20), 첫번째열의 끈수용구(22), 두번째열의 끈수용구(24), 이들 끈수용구(22, 24)가 중앙축을 따라 첫번째와 두번째의 열로 배치되고, 적어도 두개에 분리되 있으며 독립한 멀리 떨어져 있는 철재고리의 뱃대끈수용구(30, 32)으로서 첫번째와 두번째열의 끈수용구(22, 24)와 신발밑창(12)사이에 위치하며, 각각의 그와 같은 멀리 떨어져 있는 철재고리의 뱃대끈수용구(30, 32)이 발가락부(16)에서 독립적으로 붙박이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서 상기끈(20)이 멀리 떨어져 있는 철재고리의 뱃대끈수용구(30, 32)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여 끈(20)이 통과하게 될 멀리 떨어져 있는 철재고리의 끈수용수단 부분에서 발둘레의 인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뱃대끈수용구(30, 32), 그리고 뱃대끈수용구(30, 32) 부분에서 끈(20)을 뱃대끈처럼 묶기위한 가까이 떨어져 있는 한쌍의 D-고리(30a, 30b)(32a, 32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의 끈매기 장치.
KR1019900013110A 1989-12-01 1990-08-24 신발의 끈 매기장치 KR930004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44,668 US5042120A (en) 1989-12-01 1989-12-01 Shoe lacing system
US444668 1989-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184A KR910011184A (ko) 1991-08-07
KR930004690B1 true KR930004690B1 (ko) 1993-06-03

Family

ID=2376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110A KR930004690B1 (ko) 1989-12-01 1990-08-24 신발의 끈 매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042120A (ko)
KR (1) KR930004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4378A (en) * 1991-11-18 1993-02-09 K-Swiss Inc. Lacing system for shoes
US5271130A (en) * 1991-11-18 1993-12-21 K-Swiss Inc. Lacing system for shoes
US5377430A (en) * 1993-09-17 1995-01-03 Nike, Inc. Shoe with elastic closure system
JP2756650B2 (ja) * 1995-03-24 1998-05-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ノーボード用ブーツ
USD377114S (en) * 1995-11-22 1997-01-07 Fila U.S.A., Inc. Shoe eyelets
US5682654A (en) * 1996-04-18 1997-11-04 Fila U.S.A., Inc. Closure element
USD382392S (en) * 1996-04-18 1997-08-19 Fila U.S.A., Inc. Speed lace
USD386896S (en) * 1996-11-29 1997-12-02 Nike, Inc. Side element of a shoe upper
USD387194S (en) * 1997-01-24 1997-12-09 Vans, Inc. Shoe upper
US6073370A (en) * 1998-02-23 2000-06-13 Shimano Inc. Snowboard boot power lacing configuration
ATE265157T1 (de) * 1998-02-23 2004-05-15 Shimano Kk Schnellschnürverschlusssystem für snowboardschuhe
US5909946A (en) * 1998-02-23 1999-06-08 Shimano Inc. Snowboard boot power lacing configuration
US6119372A (en) * 1998-02-23 2000-09-19 Shimano, Inc. Snowboard boot power lacing configuration
US6467193B1 (en) * 2001-08-03 2002-10-22 Shimano Inc. Boot liner
US7281341B2 (en) 2003-12-10 2007-10-16 The Burton Corporation Lace system for footwear
US8474157B2 (en) 2009-08-07 2013-07-02 Pierre-Andre Senizergues Footwear lacing system
US10021935B2 (en) * 2012-05-31 2018-07-17 Plae, Inc. Interchangeable strap closure system for footwear
EP3294084A4 (en) * 2015-05-08 2019-01-16 Under Armour, Inc. FOOTWEAR WITH TEXTILE UPPER MATERIAL
US10765173B2 (en) 2017-03-10 2020-09-08 Under Armour,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reconfigurable fastening system
JP6788059B2 (ja) * 2019-03-29 2020-11-18 美津濃株式会社 履物の緊締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CN111820532B (zh) * 2019-04-17 2023-04-0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分支前足带的鞋面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033A (en) * 1896-11-24 Eyelet
US177396A (en) * 1876-05-16 Improvement in shoe-fastenings
US571749A (en) * 1896-11-24 Invisible lacing
GB191207868A (en) * 1912-04-01 1912-10-24 Joseph Onesime Nadeau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oots and Shoes.
US1390991A (en) * 1921-05-07 1921-09-20 Fotchuk Theodor Shoe-closure
US1697833A (en) * 1928-07-09 1929-01-01 Judson Benton Cinch
GB366177A (en) * 1930-11-18 1932-02-04 Mobbs Brothers Embekay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boot uppers
US1830646A (en) * 1931-05-06 1931-11-03 Grundlehner Ernest Shoe lace fastener
CH181518A (de) * 1935-02-14 1935-12-15 Walder & Co Schnürverschluss für Schuhe und dergleichen.
US2266083A (en) * 1940-12-28 1941-12-16 Rzepa Bruno Securing means for shoes or the like
US3085823A (en) * 1960-12-13 1963-04-16 Baere Richard D De Self-gripping and readily releasable rope tie
US3546796A (en) * 1969-04-21 1970-12-15 Thomas M Adams Special sport shoe for people with high insteps
US3703775A (en) * 1970-09-15 1972-11-28 Joseph Gatti Football boots
US4200998A (en) * 1978-05-30 1980-05-06 Adams Thomas M Lacing assembly for a shoe
US4245408A (en) * 1979-03-16 1981-01-20 Colgate-Palmolive Company Athletic shoe
US4366631A (en) * 1979-03-16 1983-01-04 Colgate-Palmolive Company Athletic shoe
US4538367A (en) * 1983-08-23 1985-09-03 Kaepa, Inc. Footwear lacing assembly
US4670949A (en) * 1985-11-01 1987-06-09 Autry Industries, Inc. Staggered speed lace eyelets and method of lac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184A (ko) 1991-08-07
US5042120A (en) 199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690B1 (ko) 신발의 끈 매기장치
US8973289B2 (en) Lacing closure system for an object
EP2670269B1 (en) Tendon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4245408A (en) Athletic shoe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US5379529A (en) Tongue strapping system for a shoe upper
US4366631A (en) Athletic shoe
US10383404B2 (en) Lace-tongue attachment for ankle stabilizing device
US20050081403A1 (en) Boot with at least two lacing zones
US6305103B1 (en) Footwear including a locking component
US6082028A (en) Footwear assembly having two detachable elements
CN101674741A (zh) 具有外形配合闭合结构的鞋
US20170354204A1 (en) Footwear and method of using such footwear
US5826353A (en) Closure for boot tongue
US20170280827A1 (en) Adjustable Shoelace Fastener and Method of Use
US3800444A (en) Sandal construction
US1683465A (en) Boot or shoe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KR101344975B1 (ko)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KR101003138B1 (ko) 신발 끈 결속장치
JPS58155802A (ja) 迅速に靴紐を緊締しうる編上靴
JP7126286B1 (ja) 紐靴及び紐靴の緊締方法
CN113950269A (zh) 鞋子
CN216776254U (zh) 一种增强鞋底和鞋面连接的装置和包括该装置的鞋
CA1124060A (en) Shoe with supported 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