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9923B1 -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 Google Patents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9923B1
KR101509923B1 KR20130107386A KR20130107386A KR101509923B1 KR 101509923 B1 KR101509923 B1 KR 101509923B1 KR 20130107386 A KR20130107386 A KR 20130107386A KR 20130107386 A KR20130107386 A KR 20130107386A KR 101509923 B1 KR101509923 B1 KR 101509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hole
fitting
main body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578A (ko
Inventor
박지순
Original Assignee
박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순 filed Critical 박지순
Priority to KR20130107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99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8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2Flaps;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신발끈 결속장치는 신발에 배치되는 본체; 및 신발끈을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는 결속유닛;을 구비하고, 결속유닛은, 신발끈이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끼이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끼움수용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신발끈 결속장치는 신발에 배치되는 본체 및 신발끈을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는 결속유닛을 구비하고, 결속유닛은, 신발끈에 형성되되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신발끈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강성부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제1관통공 및 신발끈의 강성부가 삽입되되 신발끈의 강성부가 제1관통공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고, 제1관통공의 중심축과 평행하되 신발끈의 강성부의 제1관통공으로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중심축을 가지는 제2관통공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Device and kit for tying shoelaces}
본 발명은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끈을 매듭 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에 관한 것이다.
운동화 또는 일부 구두 등의 신발은 끈을 이용하여 조여주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발이 쉽게 빠지지 않게 되어, 특히 도보나 조깅시 착용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신발끈은 신발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에 지그재그 방식 등으로 통과시킨 후에 최종적으로 신발의 상단부에서 매듭, 예를 들어 리봇 형태의 매듭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된다. 그러나 매듭을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고, 특히 어린이에게는 쉽지 않다. 더구나, 신발을 다시 신기 위해서는 매듭을 풀고 신발을 신은 후에 다시 매듭을 형성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불편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매듭을 이용한 신발 조임 구조를 개선하고자, "록 레이스(LOCK LACES)"라는 상표의 장치가 고안되어 시판되고 있다(www.locklaces.com).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이스 장치(200)는 종래의 신발끈 대신 탄력성이 보다 우수한 신발끈(1)을 이용하여 신발에 형성된 구멍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통과시킨 후에, 코드 락(210)(cordlock)에 신발끈의 양측을 통과시키고, 적정 길이, 예를 들어 2 내지 3 인치를 남기고 자른 후, 양단부를 클립(220)의 내부에 넣고 닫음으로써 마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코드 락(210)은 신발끈(1)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판(211)과, 판을 수용하는 케이스(212)와, 케이스(212) 내부에 배치되되 판을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한다. 판(211)의 상측부를 하방으로 누르면 판이 하방으로 움직이므로 신발끈(1)을 판의 구멍에 통과시킬 수 있으며, 판(211)의 누름을 해제되면 판이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신발끈은 케이스(212)과 판(211) 사이에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가압되며, 이에 따라 신발끈의 움직이지 않고 위치 고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레이스 장치(200)에서도, 장시간 걷거나 뛰는 경우, 신발끈(1)이 코드 락(210)에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게 되어 결국 신발끈(1)이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발끈을 다시 조여주거나, 코드 락(210)과 클립(220) 사이의 신발끈 부분을 다른 방식(예를 들어 상기 신발끈 부분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결속된 신발끈 사이에 넣은 방식)으로 고정해야만 하였다. 또한 코드 락(210)과 클립(220) 사이의 신발끈 부분은 일반적으로는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걷거나 뛸 때에, 상하, 좌우 등으로 움직여서 신발의 발등 부분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운동화의 착용감을 저하시키고 도보나 조깅 등의 활동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끈을 간편한 방식으로 빠른 시간 내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끈이 결속되기만 하면 풀려서 느슨해지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끈의 양단부가 결속됨으로써 종래와 달리 불필요하게 남게 되어 활동시 불편함을 초래하는 신발끈 부분이 원천적으로 제거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신발끈 결속장치는 신발에 배치되는 본체; 및 신발끈을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는 결속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신발끈이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끼이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끼움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신발끈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삽입관통공을 더 구비하며, 상기 삽입관통공의 중심축은 상기 끼움수용부의 중심축과 서로 평행하되 상기 신발끈이 상기 삽입관통공에 삽입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수용부는 상기 신발끈이 상기 삽입관통공에 삽입되는 방향 및 상기 삽입관통공의 중심축이 이격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수용부는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끼움수용부이고,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끼이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수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끼움수용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끼움수용부, 제2끼움수용부 및 삽입관통부는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두 세트를 구성하며, 상기 한 세트의 제1끼움수용부, 제2끼움수용부 및 삽입관통부는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를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고, 상기 다른 한 세트의 제1끼움수용부, 제2끼움수용부 및 삽입관통부는 상기 신발끈의 타단부를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끼움수용부는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를 상기 본체에 결속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신발끈의 타단부에 형성되되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신발끈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강성부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제1관통공; 및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가 삽입되되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가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축과 평행하되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의 상기 제1관통공으로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중심축을 가지는 제2관통공;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형태의 신발끈 결속장치는 신발에 배치되는 본체; 및 신발끈을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는 결속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신발끈에 형성되되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신발끈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강성부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제1관통공; 및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가 삽입되되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가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축과 평행하되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의 제1관통공으로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중심축을 가지는 제2관통공;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신발끈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삽입관통공을 더 구비하며, 상기 삽입관통공의 중심축은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축과 서로 평행하되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의 이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성부는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두 세트를 구성하며, 상기 한 세트의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강성부를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고, 상기 다른 세트의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상기 신발끈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강성부를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또 다른 형태의 신발끈 결속장치는 신발에 배치되는 본체; 및 신발끈을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는 결속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끼이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끼움수용부; 상기 신발끈의 타단부에 형성되되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신발끈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강성부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제1관통공; 및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가 삽입되되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가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축과 평행하되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의 상기 제1관통공으로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중심축을 가지는 제2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수용부,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두 세트를 구성하되, 상기 두 세트는 상기 본체의 중앙을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신발끈 결속키트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신발끈 결속장치 및 상기 신발끈 결속장치에 결속되는 신발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끈을 본체에 형성된 제1결속유닛 및 제2결속유닛에 간편한 방식으로 빠른 시간 내에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발끈은 결속되기만 하면 풀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신발끈이 결속되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가 신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끈 결속장치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발끈 결속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신발끈 결속장치를 사용하여 신발끈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배면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가 신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끈 결속장치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발끈 결속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100)는 신발(3)에 설치되어 신발끈(1)을 결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신발끈(1)은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복수의 신축사 및 복수의 신축사를 피복하는 피복부로 구성된다. 신발끈(1)의 단부에는 강성부(2)가 형성되어 있다. 강성부(2)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실린더 형상의 투명한 커버가 신발끈의 단부에 삽입되어 형성된 부분이다. 강성부(2)는 그 내부에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신발끈(1)의 단부에 삽입된 납작하게 변형됨으로써 신발끈(1)의 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강성부(2)의 단면적은 신발끈(1)의 단면적보다 더 작다. 또한 강성부(2)는 플라스틱 투명 커버이므로, 신발끈(1)보다 큰 강성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구부러지지 않고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한다. 강성부(2)는 신발끈(1)의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부에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신발끈(1)은 이미 시판되고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판단되는바, 그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신발끈 결속장치(100)는 신발끈(1)의 단부에 설치되어 신발끈(1)에 결합되므로, 신발(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신발끈 결속장치(100)는 본체(10)와, 결속유닛(20, 30)을 구비한다.
본체(10)는 신발의 발등 부분에 배치된다. 본체(1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발등이 곡면과 대응될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도록 일정 곡률로 휘어져 있다. 본체(1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캐릭터가 인쇄된 스티커나 인쇄물이 부착될 수 있다.
결속유닛(20, 30)은 신발끈(1)을 본체(10)에 결속시키는 위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형태로 구성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결속유닛(20) 및 제2결속유닛(30)으로 구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결속유닛(10)은 한 쌍의 끼움수용부(21) 및 삽입관통공(22)을 포함한다.
각 끼움수용부(21)는 신발끈(1)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구멍이나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홈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각 끼움수용부(21)는 본체(10)의 배면쪽으로 개방된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끼움수용부(21)는 그 각 끼움수용부(21)의 중심축이 동축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끼움수용부(21) 사이에는 끼움수용부(21)와 마찬가지로 홈 형상으로 연결공(23)이 형성되어 있어서, 한 쌍의 끼움수용부(21)는 연결공(23)을 통해서 상호 연결된다. 각 끼움수용부(21)에 신발끈이 삽입되면, 신발끈 중 각 끼움수용부 사이의 부분은 연결공()23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각 끼움수용부(21)의 크기, 즉 각 끼움수용부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된 단면적은 신발끈(1)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신발끈(1)이 본체(10)의 배면쪽으로부터 끼움수용부(21)에 끼워지면 신발끈(1)은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끼이게 되므로, 그 끼움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과도한 힘을 이용하여 신발끈을 이탈시키지 않는다면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신발끈(1)이 한 쌍의 끼움수용부(21)에 끼워지면, 그 신발끈(1)은 과도한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끼움수용부(21)의 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도 이탈되지 않는다.
삽입관통공(22)은 신발끈(1)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통로를 구성하도록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삽입관통공(22)의 직경은 신발끈의 직경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삽입관통공(22)의 중심축은 끼움수용부(21)의 중심축과 서로 평행하다. 또한 삽입관통공(22)의 중심축은 끼움수용부(21)와 이격되게 형성되되, 신발끈(1)이 삽입관통공(22)에 삽입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 4에서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신발끈(1)은 삽입관통공(22)을 통과한 후에 180도로 꺾여서 한 쌍의 끼움수용부(21)에 끼워지게 되어 결국 신발끈 중 삽입관통공(11)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과 한 쌍의 끼움수용부(21)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신발끈(1)이 180도로 꺾여서 배치되므로, 신발끈(1)을 삽입관통공(22)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신발끈(1)은 더욱 빠지기 어렵게 된다.
제2결속유닛(30)은 제1결속유닛(20)의 반대편에 배치된 것으로서, 신발끈의 직경보다 약간 큰 크기를 가지는 제1관통공(31) 및 제2관통공(32)을 포함한다.
제1관통공(31)은 신발끈(1)의 강성부(2)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통로이다. 제1관통공(31)이 양측은 개방되어 있다.
제2관통공(32)은 제1관통공(31)과 마찬가지로 양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통로이다. 제2관통공(32)의 중심축은 제1관통공(31)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2관통공(32)의 중심축은 신발끈의 강성부(2)가 제1관통공(31)에 삽입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도 4에서의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신발끈(1)은 제1관통공(31)을 통과하여 삽입된 후에 180도로 꺾여서, 즉 제1관통공(31)으로의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제2관통공(32)에 삽입되게 된다. 즉 신발끈(1) 중 제1관통공(31)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분과 제2관통공(32)의 내부에 배치되는 신발끈의 강성부(2)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신발끈의 강성부(2)가 배치되면, 신발끈(1)을 제1관통공(31)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강성부(2)가 구부러지지 않을 정도로 강성을 가지게 되어 180도로 꺾일 수 없게 되므로, 신발끈(1)이 제2관통공(32)으로부터 이탈한 후에 제1관통공(31)을 통해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신발끈은 견고하게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결속유닛(20) 및 제2결속유닛(30)은 각각 한 쌍씩 구비되어, 본체의 중심(G)을 중심으로 점대칭 배치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에는 제1결속유닛(20) 및 제2결속유닛(30)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에는 제2결속유닛(30) 및 제1결속유닛(20)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측에 배치된 제1결속유닛 및 제2결속유닛 중 어느 하나와 우측에 배치된 제1결속유닛 및 제2결속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신발끈의 양단부를 결속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신발끈 결속장치(100)를 이용하여 신발끈(1)을 고정하는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강성부(2)가 일단부에만 형성된 신발끈(1)을 준비한 후에, 신발끈(1)을 신발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통과시키고, 사용자 자신의 발 크기에 맞게 적절하게 당긴다. 그 후, 신발끈의 강성부(2)를 제1관통공(31)에 삽입하여 통과시킨 후, 180도 꺾어서 제2관통공(32)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신발끈(1)의 강성부(2)가 제2관통공(32)의 내부에 배치되면, 강성부(2)가 충분히 강성을 가져서 구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신발끈(1)은 강성부(2)가 제1관통공(31)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움직여서 느슨해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신발끈(1)의 단부(강성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삽입관통공(22)에 삽입하여 통과시킨 후에, 180도 꺾어서 한 쌍의 끼움수용부(21)에 삽입한다. 그 후, 신발끈(1) 중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본체의 외부로 신발끈(1)이 거의 튀어나오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신발끈이 본체에 결합되면, 신발끈(1)이 한 쌍의 끼움수용부(21)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지게 되므로, 신발끈(1)이 삽입관통공(22)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신발끈(1)은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되며, 끼움수용부(21)로부터 조금도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신발끈(1)의 일측 단부가 한 쌍의 끼움수용부(21)에 의해 끼워지고, 신발끈의 강성부(2)가 제1관통공(31)을 통과한 후에 180도 꺾여서 제2관통공(32)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신발끈(1)이 본체(10)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여서 느슨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보나 조깅시에도 한번 조여진 신발끈(1)은 느슨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끈(1)의 일측 단부를 삽입관통공(22)을 통과시킨 후에 한 쌍의 끼움수용부(21)에 끼우고, 신발끈의 강성부(2)를 제1관통공(31) 및 제2관통공(32)에 순차적으로 삽입하기만 하면 신발끈(1)이 결속되므로,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나 노약자라도 종래와 달리 매듭을 짓지 않고 쉽게 결속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신발끈(1)이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불필요한 부분이 남지 않게 되므로, 종래와는 달리 도보나 조깅시에 운동화의 발등 부분에 부딪혀서 충격을 가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깅이나 도보시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된다.
한편 신발끈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고 싶은 경우 또는 신발끈의 양단부에 강성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신발끈의 일부를 잘라서 신발끈의 크기를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발끈을 결속하고 있는 제1결속유닛 및 제2결속유닛의 하방에 형성된 제2결속유닛 및 제1결속유닛 각각에 형성된 삽입관통공이나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신발끈을 삽입함으로써 신발끈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거나 신발끈이 본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신발끈(1)의 단부(강성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통공(22)에 삽입한 후에 더 나아가 제1관통공(31) 및 제2관통공(32)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180도로 두 번 꺾고, 한 쌍의 끼움수용부(21)의 상부에 배치된 신발끈 부분을 눌러서 한 쌍의 끼움수용부(21)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신발끈의 강성부(2)를 제1관통공(31) 및 제2관통공(32)에 삽입한 후에 다시 180도 꺾어서 삽입관통공(22)에 삽입하여 그 내부에 배치시킨다.
이와 같이 신발끈(1)을 결합시키면,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신발끈이 더욱 길어지게 되므로, 신발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발끈이 더욱 복잡한 배치로 결속되어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풀리지 않게 된다. 특히 신발끈(1)의 양단부에 모두 강성부가 형성되어 있다면, 좌측 부분의 강성부는 제2결속유닛의 제2관통공 내부에 배치되며 나아가 신발끈이 한 쌍의 끼움수용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지게 되므로, 신발끈은 더욱 견고하게 결속된다.
그리고 본체에는 제1결속유닛 및 제2결속유닛이 각각 한 쌍씩 배치되어 있으므로, 신발끈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방식 이외에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본체에 결속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결속유닛이 제1결속유닛 및 제2결속유닛으로 구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결속유닛이 제1결속유닛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제1결속유닛이 한 쌍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제1결속유닛이 형성되면, 하나의 제1결속유닛은 신발끈의 일단부를 결속하는 역할을 하며, 다른 하나의 제1결속유닛은 신발끈의 타단부를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결속유닛이 제2결속유닛만을 한 쌍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결속유닛이 한 쌍 구비되면, 신발끈의 양단부에는 모두 강성부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신발끈 결속장치와 함께 신발끈을 함께 포함하여 신발끈 결속 키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키트에서, 신발끈은 강성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강성부가 신발끈에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실린더 형상의 투명 커버가 키트에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신발끈을 필요에 따라 자른 후에 그 단부에 투명 커버를 결합하여 강성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신발끈 2...강성부
3...신발 10...본체
G...본체의 중심 20...제1결속유닛
21...끼움수용부 22...삽입관통공
23...연결공 30...제2결속유닛
31...제1관통공 32...제2관통공
100...신발끈 결속장치 200...종래 레이스장치
210...코드 락 211...판
212...케이스 220...클립

Claims (12)

  1. 신발에 배치되는 본체; 및
    신발끈을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는 결속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신발끈이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끼이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끼움수용부와, 상기 신발끈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삽입관통공을 더 구비하며,
    상기 삽입관통공의 중심축은 상기 끼움수용부의 중심축과 서로 평행하되 상기 신발끈이 상기 삽입관통공에 삽입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끼움수용부는 상기 신발끈이 상기 삽입관통공에 삽입되는 방향 및 상기 삽입관통공의 중심축이 이격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수용부는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끼움수용부이고,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끼이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끼움수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끼움수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수용부, 제2끼움수용부 및 삽입관통부는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두 세트를 구성하며,
    상기 한 세트의 제1끼움수용부, 제2끼움수용부 및 삽입관통부는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를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고, 상기 다른 한 세트의 제1끼움수용부, 제2끼움수용부 및 삽입관통부는 상기 신발끈의 타단부를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6. 제 1항, 제 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수용부는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를 상기 본체에 결속하기 위하여 구비되고,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신발끈의 타단부에 형성되되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신발끈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강성부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제1관통공; 및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가 삽입되되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가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축과 평행하되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의 상기 제1관통공으로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중심축을 가지는 제2관통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7. 신발에 배치되는 본체; 및
    신발끈을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는 결속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신발끈에 형성되되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신발끈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강성부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제1관통공; 및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가 삽입되되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가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축과 평행하되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의 제1관통공으로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중심축을 가지는 제2관통공;를 구비하며,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상기 신발끈이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 각각의 내측벽면과 접촉하여 삽입되도록 그 크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신발끈이 삽입되어 관통하는 삽입관통공을 더 구비하며,
    상기 삽입관통공의 중심축은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축과 서로 평행하되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의 이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부는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두 세트를 구성하며,
    상기 한 세트의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강성부를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고, 상기 다른 세트의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상기 신발끈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강성부를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10. 신발에 배치되는 본체; 및
    신발끈을 상기 본체에 결속시키는 결속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결속유닛은,
    상기 신발끈의 일단부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끼이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끼움수용부;
    상기 신발끈의 타단부에 형성되되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신발끈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강성부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제1관통공; 및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가 삽입되되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가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공의 중심축과 평행하되 상기 신발끈의 강성부의 상기 제1관통공으로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중심축을 가지는 제2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수용부,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은 각각 한 쌍씩 형성되어 두 세트를 구성하되,
    상기 두 세트는 상기 본체의 중앙을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12. 제 1항, 제 4항, 제 5항 및 제 7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 및
    상기 신발끈 결속장치에 결속되는 신발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 키트.
KR20130107386A 2013-09-06 2013-09-06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KR101509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386A KR101509923B1 (ko) 2013-09-06 2013-09-06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386A KR101509923B1 (ko) 2013-09-06 2013-09-06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578A KR20150028578A (ko) 2015-03-16
KR101509923B1 true KR101509923B1 (ko) 2015-04-08

Family

ID=5302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7386A KR101509923B1 (ko) 2013-09-06 2013-09-06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99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688U (ko) * 1989-12-27 1991-09-12
US6192559B1 (en) * 1999-02-23 2001-02-27 William P. Munsell, Jr. Shoelace fastening apparatus
US6502286B1 (en) * 1998-04-01 2003-01-07 Markus Dubberke Device for immobilizing the ends shoe laces
KR200317479Y1 (ko) 2003-03-20 2003-06-25 안영기 신발끈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688U (ko) * 1989-12-27 1991-09-12
US6502286B1 (en) * 1998-04-01 2003-01-07 Markus Dubberke Device for immobilizing the ends shoe laces
US6192559B1 (en) * 1999-02-23 2001-02-27 William P. Munsell, Jr. Shoelace fastening apparatus
KR200317479Y1 (ko) 2003-03-20 2003-06-25 안영기 신발끈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578A (ko)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US20070060454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US20170143071A1 (en) Foot strapping system for sandal
TWD156289S (zh) 免綁鞋帶裝置(五)
KR101844135B1 (ko)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US20080271299A1 (en) Magnetic shoe lace
KR101026079B1 (ko) 묶지않는 신발끈
US20080168680A1 (en) Tap shoe with multiple fastening devices and method of providing a shoe that provides the look and feel of a laced and elastically retained shoe
KR101509923B1 (ko)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JP2007215845A (ja) ブーツの締め付け構造
KR200468319Y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KR101222636B1 (ko)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CN201733985U (zh) 可快速放松鞋带之鞋带穿系装置
KR200482330Y1 (ko) 신발끈 조임구
KR101315194B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101582511B1 (ko) 신발 및 신발끈의 결속방법
US20090178257A1 (en) Shoelace holders
US201501283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ipping and tightening laces
KR20150016744A (ko) 신발 및 신발끈의 결속방법
US9603417B2 (en) Tieless footwear lacing system,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KR20170123491A (ko) 신발끈 고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KR101508981B1 (ko) 신발끈 및 그 신발끈의 결속 방법
KR200259482Y1 (ko) 신발끈 결속장치
WO2011157050A1 (zh) 鞋带穿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