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479Y1 - 신발끈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신발끈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479Y1
KR200317479Y1 KR20-2003-0008294U KR20030008294U KR200317479Y1 KR 200317479 Y1 KR200317479 Y1 KR 200317479Y1 KR 20030008294 U KR20030008294 U KR 20030008294U KR 200317479 Y1 KR200317479 Y1 KR 200317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shuttle
housing
passag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기
Original Assignee
안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기 filed Critical 안영기
Priority to KR20-2003-0008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479Y1/ko
Priority to JP2004569615A priority patent/JP2006527001A/ja
Priority to US10/549,419 priority patent/US20060168784A1/en
Priority to CNA03826174XA priority patent/CN1758862A/zh
Priority to AU2003266726A priority patent/AU2003266726A1/en
Priority to PCT/KR2003/001961 priority patent/WO2004082417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3703Includes separate device for holding drawn portion of lacing
    • Y10T24/3713Includes separate device for holding drawn portion of lacing having relatively movable holding components or surf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에 매어진 신발끈에 장착되어서 신발끈의 조여 매진 상태를 유지하여 주는 신발끈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신발끈 결속장치(1)는, 하우징(10); 신발끈(2)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 지나가는 한쌍의 끈통로(20); 상기 끈통로(20)의 폭을 넓히고 좁히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고, 상기 끈통로(20)를 지나는 상기 신발끈(2)이 신발(3)을 조이는 쪽으로 당겨질 경우 상기 끈통로(20)의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신발끈(2)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상기 신발끈(2)이 신발(3)을 느슨하게 하는 쪽으로 풀어질 경우 상기 끈통로(20)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신발끈(2)의 이동을 차단하는 한쌍의 셔틀(30); 상기 셔틀(30)이 상기 끈통로(20)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0); 및 손으로 누르면 상기 셔틀(30)이 상기 끈통로(20)의 폭을 넓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릴리즈 버튼(5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끈 결속장치{Tying tool for shoelace}
(기술분야)
본 고안은 신발끈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에 매어진 신발끈에 장착되어서 신발끈의 조여 매진 상태를 유지하여 주는 신발끈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운동화나 구두 등을 포함하는 많은 종류의 신발에는, 갑피의 끈구멍들에 신발끈을 꿰어 넣어 그 조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신발의 착용상태를 조절하고 있다.
이런 신발끈 방식의 신발을 착용할 때에는 신발끈을 적당한 정도로 당겨 맨 다음 그 양쪽 단부를 나비 묶음 등으로 상호 결속하는 것으로 신발끈 결속을 마무리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결속하고 푸는 것은 상당히 번잡스러운 일이며, 또한 보행 중에 신발끈의 매듭이 의도하지 않게 풀리게 되는 점 또한 상당한 불편을 준다.
이와 같은 신발끈 결속 방식의 신발에서의 신발끈 결속에 관련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71552호(2000. 03. 15. 공고)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1-0008137호(2001. 02. 02 공개) 등의 '신발끈 결속장치'들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결속장치들은, 이들 장치를 신발끈에 꿰어 넣어 장착하기에 다소 불편함이 있고, 또한 일단 신발끈을 결속한 이후에 보행 과정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신발끈의 결속상태가 미세하게 조금씩 풀리는 경향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신발끈 방식의 신발에 사용되는 신발끈 결속장치로서, 신발끈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끈을 매우 신속하고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고, 결속 중에는 풀어지지 않으며, 결속을 풀고자 할 때에는 용이하게 풀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신발끈 결속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커버가 열린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의 사시도,
도2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의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신발끈 결속장치가 신발에 장착된 상태의 개념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의 작동도로서, 도4A는 신발끈을 당겨 조일 때의 상태,
도4B는 신발끈을 조인 후에 신발끈이 결속되어 풀리지 않을 때의 상태,
도4C는 길게 늘어진 신발끈을 정리한 때의 상태,
도4D와 도4E는 릴리즈 버튼으로 결속된 신발끈이 풀리도록 한 상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신발끈 결속장치 2: 신발끈
3: 신발 4: 끈구멍 10: 하우징
11: 상벽 12: 하벽 13: 경사돌기
14, 71: 셔틀홈 15: 격벽 16: 록킹홈
20: 끈통로 30: 셔틀 40: 탄성부재
50: 릴리즈 버튼 60: 신발끈 홀더부 70: 내부커버
80: 외부커버 81: 경사돌기홈
본 고안에 따라 신발에 꿰여진 신발끈의 양단에 걸쳐 장착되어서 상기 신발끈의 조임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신발끈 결속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신발끈 결속장치는, 하우징, 끈통로, 셔틀, 탄성부재 및 릴리즈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끈통로는 신발끈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 지나가는 통로이다. 상기 셔틀은 상기 끈통로의 폭을 넓히고 좁히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고, 상기 끈통로를 지나는 상기 신발끈이 신발을 조이는 쪽으로 당겨질 경우 상기 끈통로의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신발끈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상기 신발끈이 신발을 느슨하게 하는 쪽으로 풀어질 경우 상기 끈통로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신발끈의 이동을 차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셔틀이 상기 끈통로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탄성력을 가한다.
상기 릴리즈 버튼은 이를 손으로 누르면 상기 셔틀이 상기 끈통로의 폭을 넓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상벽과 하벽 사이의 공간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된 경사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돌기의 둘레에 상기 상벽과 상기 하벽 사이의 공간이 상기 끈통로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경사돌기는 상기 셔틀의 상하 이동경로와의 간격이 아래쪽으로 넓어지고 위쪽으로 좁아지는 각도로 위치되어, 상기 셔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끈통로가 좁아지고 넓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셔틀로는 기어가 형성된 피니언이나 높은 마찰 표면을 가진 롤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셔틀은 상기 하우징의 상하를 따라 형성된 셔틀홈 사이에 상하 왕복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는 별도의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을 장착할 수도 있지만,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신발끈의 양단을 틈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신발끈 홀더부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끈통로로의 상기 신발끈의 꿰어 넣음과 상기 셔틀의 장착을 위해, 상기 하우징은 개폐 가능한 커버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끈 결속장치(1)는, 하우징(10), 끈통로(20), 셔틀(30), 탄성부재(40) 및 릴리즈 버튼(50)이 포함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결속장치(1)는 신발(3)의 끈구멍(4)에 꿰어진 신발끈(2)의 양단을 당겨서 결속하기 위한 장치로서, 신발 한짝마다 하나의 결속장치(1)가 장착되어 신발끈의 양단부를 결속하므로, 바람직하게 신발끈(2)의 양단을 결속하도록 구조와 기능이 동일한 좌우 대칭의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칭구조의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될 것이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하우징(10)의 형상을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그 전체적인 형상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이 구비될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아동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각종 캐릭터 형상 등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끈통로(20)는 하우징(10)에서 신발끈(2)이 삽입되어 통과되는 통로이며, 하우징(10)에 좌우 대칭하여 2개가 형성되어 있다. 끈통로(20)는, 예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벽(11)과 하벽(12) 사이의 공간에 상벽(11)과 하벽(12)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비스듬하게 경사돌기(13)를 형성하여 상기 경사돌기(13) 둘레에 상벽(11)과 하벽(12) 사이의 공간이 끈통로(2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신발끈(2)은 상벽(11)과 경사돌기(13) 사이의 통로로 유입되어 경사돌기(13)와 셔틀(30) 사이의 통로를 돌아서 경사돌기(13)와 하벽(12) 사이의 통로로 나오도록 끼워짐으로써, 신발끈(2)은 대략 디귿 자를 만들면서 하우징(10)에 장착된다.
상기 셔틀(30)은, 본 고안의 결속장치(1)에 의해 결속된 신발끈(2)이 의도하지 않게 풀리는 것을 차단하고, 또한 착용자가 신발끈을 풀고자 의도할 때에는 용이하게 풀려지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부재이다.
즉, 사용자가 신발끈(2)을 당겨서 신발(3)을 조이는 쪽(도4A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신발끈(2)이 당겨질 경우에는, 셔틀(30)은 신발끈(2)의 움직임에 따라 끈통로(20)의 폭을 넓히는 방향, 즉 신발끈(2)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도4A의 화살표 A')으로 이동하여 신발끈(2)의 이동이 자유롭도록 한다.
반대로 보행할 때 가해지는 힘 등에 의해 신발끈(2)이 신발(3)을 느슨하게 하는 쪽(도4B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신발끈(2)이 당겨지려는 힘을 받을 때에는, 셔틀(30)은 신발끈(2)의 이동방향과 후술하는 탄성부재(40)의 작용에 따라, 끈통로(20)의 폭을 좁히는 방향, 즉 신발끈(2)을 가압하는 방향(도4B의 화살표 B')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아 신발끈(2)의 이동을 차단하여 신발끈(2)의 의도하지 않는 풀어짐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예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셔틀(30)은 기어(31)가 형성된 피니언(30A)이 사용되고 있고, 상기 피니언(30A)은 끈통로(20)를 형성하는 것에 사용되는 경사돌기(13)에 대해 일정 경사 각도를 가지고 상하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예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피니언(30A)은 하우징(10)의 상하를 따라 길게 형성된 셔틀홈(14, 71) 사이에 끼워져 상하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경사돌기(13)는 상기 셔틀홈(14, 71: 셔틀의 이동경로)에 대해 아래쪽이 넓게 벌어지고 위는 좁게 되는 각도로 위치되어 있다. 결국 셔틀(30)과 경사돌기(13)는 협력해서 하나의 병목을 형성하게 되며, 셔틀(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병목은 좁아지기도 하고 넓어지기도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측 셔틀홈(14)은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측 셔틀홈(71)은 이후에 설명하는 내측 커버(70)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셔틀(30)의 상하 왕복 운동 구조에 따라, 셔틀(3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셔틀(30)이 끈통로(20)를 좁게 만들면서 신발끈(2)을 가압하게 되고, 셔틀(3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셔틀(30)이 끈통로(20)를 넓게 만들면서 신발끈(2)을 가압하지 않게 된다.
상기 셔틀(30)로서는, 도시된 피니언(30A) 뿐만 아니라 고마찰 표면을 가진 롤러와 같은 다른 적당한 부재도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셔틀(30)이 끈통로(20)를 좁게 만드는 방향, 즉 신발끈(2)을 가압하는 방향(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힘을 가한다. 즉,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셔틀(30)은 탄성부재(40)의 탄성력을 받아 상측으로 이동해 있게 되고, 탄성부재(40)의 탄성력을 능가하는 외력이 가해지면 셔틀(30)은 끈통로(20)를 넓히는 (신발끈을 가압하지 않는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지만 외력이 사라지면 바로 상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하우징(10)과는 별도로 코일 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을 상기 셔틀(30)의 하측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를 셔틀(30)의 하측에서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시켜 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일체형의 경우 탄성력은 하우징의 소재(예, 플라스틱 합성수지)가 가지는 자체의 탄성을 이용한다.
이상과 같은 신발끈(2), 끈통로(20), 셔틀(30) 및 탄성부재(40)의 상호작용에 따라, 먼저 끈통로(20)에 신발끈(2)을 꿰어 넣고 신발끈(2)을 당겨서 조이면, 도4A와 같이 신발끈(2)이 당겨지게 되고 이때 이동하는 신발끈(2)의 힘을 받아 셔틀(30)은 하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지만 탄성부재(40)의 작용으로 완전히 하방 이동은 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신발끈(2)은 자유롭게 계속 당겨지게 된다.
이후, 신발끈(2)을 더 이상 당기지 않게 되면, 착용된 발의 압박 등으로 받는 힘에 의해 도4B와 같이 신발끈(2)은 풀어지려는 쪽(화살표 B)으로 힘을 받게 되지만, 이때 신발끈(2)이 셔틀(30)을 위로 밀어 올리는 방향(화살표 B')으로 힘을 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40)가 셔틀(30)을 밀어 올려 끈통로(20)를 협소하게 만들면서 신발끈(2)을 가압하게 되고, 이런 가압력은 신발끈(2)이 풀어지려는 쪽으로 받는 힘이 커짐에 따라 더욱 커지게 되므로, 결국 풀어지려는 쪽으로 받는 힘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신발끈(2)은 풀리지 않게 된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1)에 의하면, 신발을 신은 후에 신발끈(2)을 풀어지지 않게 결속하는 것은, 신발끈(2)을 단지 원하는 만큼 당기는 것만으로 완료되며, 이와 같은 결속은 이후에 설명하는 릴리즈 버튼(50)을 조작하지 아니하는 한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본 고안의 결속장치(1)에 의해 결속된 신발끈(2)은, 그 양단이 길게 늘어뜨려서 신발에 밟히는 등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결속장치(1)에는 신발끈 홀더부(60)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는, 하우징(10)의 하측 양단부에 홀더돌기(61)를 형성하여 홀더돌기(61)와 하벽(12)과의 사이에 작은 틈(62)을 형성시키고, 상기 틈(62)에 신발끈(2)의 말단에 형성된 단단한 헤드(2A)를 걸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도3 및 도4의 C 참조). 이와 같은 신발끈 홀더부(60)의 구성에 따라, 한번 삽입된 신발끈(2)은 단단한 헤드(2A)가 틈(62)에 끼여서 빠져 나오지 않게 되므로, 늘어진 신발끈(2)으로 인한 불편을 없앨 수 있다.
상기 릴리즈 버튼(50)은 결속된 신발끈(2)을 느슨하게 풀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릴리즈 버튼(50)은 하우징(10)의 좌우 대칭의 중심을 이루는 격벽(15)에 걸쳐서 삽입되어 있다.
릴리즈 버튼(50)은 각 셔틀(30)을 가압하는 2개의 작용부(51)와 하나의 버튼부(52)를 구비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셔틀(30)이 탄성부재(4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있게 되므로, 릴리즈 버튼(50)의 버튼부(52)는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착용자가 신발(3)을 벗거나 하기 위해 신발끈(2)을 풀고자 하는 경우 상기 릴리즈 버튼(50)을 누르게 되면(도4의 D), 탄성부재(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셔틀(30)이 아래로 이동하여 신발끈(2)이 가압 상태로부터 해제되므로 신발끈(2)이 풀어지게 된다(도4의 E).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1)는, 신발끈(2)의 꿰어 넣음과 셔틀(30)의장착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커버(70, 80)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내측커버(70)에는 전술한 셔틀홈(71)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측 커버(70)를 하우징(10)에 덮으면 셔틀홈(71)에 셔틀(3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내측 커버(70)의 일단은 접철 가능하게 하우징(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그 타단은 하우징(10)에 형성된 록킹홈(16)에 탄성적으로 록킹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외측커버(80)에는 상기 경사돌기(13)가 끼워맞춤되는 경사돌기홈(81)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커버(70)를 덮은 후 그 위를 외측커버(80)로 덮으면, 경사돌기(13)가 경사돌기홈(81)에 타이트하게 끼워맞춤되면서 외측커버(80)가 견고하게 록킹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신발끈 결속장치(1)에 의하면, 하우징(10), 끈통로(20), 셔틀(30), 탄성부재(40) 및 릴리즈 버튼(50)을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서, 신발의 착용상태를 신발끈으로 조절하는 신발에 있어서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신발끈을 결속하고 풀 수 있게 되고, 또한 일단 결속된 신발끈은 릴리즈 버튼을 조작하지 않는 한 매우 견고하게 결속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의도하지 않게 신발끈이 풀리게 되는 불편을 막을 수 있다.

Claims (6)

  1. 하우징(10); 신발끈(2)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 지나가는 한쌍의 끈통로(20); 상기 끈통로(20)의 폭을 넓히고 좁히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고, 상기 끈통로(20)를 지나는 상기 신발끈(2)이 신발(3)을 조이는 쪽으로 당겨질 경우 상기 끈통로(20)의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신발끈(2)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상기 신발끈(2)이 신발(3)을 느슨하게 하는 쪽으로 풀어질 경우 상기 끈통로(20)의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신발끈(2)의 이동을 차단하는 한쌍의 셔틀(30); 상기 셔틀(30)이 상기 끈통로(20)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0); 및 손으로 누르면 상기 셔틀(30)이 상기 끈통로(20)의 폭을 넓이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릴리즈 버튼(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벽(11)과 하벽(12) 사이의 공간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비스듬하게 형성된 경사돌기(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돌기(13)의 둘레에 상기 상벽(11)과 상기 하벽(12) 사이의 공간이 상기 끈통로(20)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돌기(13)는 상기 셔틀(30)의 상하 이동경로와의 간격이 아래쪽으로 넓어지고 위쪽으로 좁아지는 각도로 위치되어, 상기 셔틀(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끈통로(20)가 좁아지고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30)은 기어(31)가 형성된 피니언(30A)이고, 상기 셔틀(30)은 상기 하우징(10)의 상하를 따라 형성된 셔틀홈(14, 71) 사이에 상하 왕복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신발끈(2)의 양단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신발끈 홀더부(60)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끈통로(20)로의 상기 신발끈(2)의 꿰어 넣음과 상기 셔틀(30)의 장착을 위해, 상기 하우징(10)은 개폐 가능한 커버(70, 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결속장치.
KR20-2003-0008294U 2003-03-20 2003-03-20 신발끈 결속장치 KR200317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294U KR200317479Y1 (ko) 2003-03-20 2003-03-20 신발끈 결속장치
JP2004569615A JP2006527001A (ja) 2003-03-20 2003-09-26 靴紐結束装置
US10/549,419 US20060168784A1 (en) 2003-03-20 2003-09-26 Device for tying shoelace
CNA03826174XA CN1758862A (zh) 2003-03-20 2003-09-26 一种鞋带系紧装置
AU2003266726A AU2003266726A1 (en) 2003-03-20 2003-09-26 Device for tying shoelace
PCT/KR2003/001961 WO2004082417A1 (en) 2003-03-20 2003-09-26 Device for tying shoel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294U KR200317479Y1 (ko) 2003-03-20 2003-03-20 신발끈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479Y1 true KR200317479Y1 (ko) 2003-06-25

Family

ID=3438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294U KR200317479Y1 (ko) 2003-03-20 2003-03-20 신발끈 결속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68784A1 (ko)
JP (1) JP2006527001A (ko)
KR (1) KR200317479Y1 (ko)
CN (1) CN1758862A (ko)
AU (1) AU2003266726A1 (ko)
WO (1) WO200408241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383B1 (ko) 2009-10-29 2010-06-04 김한준 신발 끈 조임구
KR101020969B1 (ko) 2009-03-27 2011-03-0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코드 홀더
KR101509923B1 (ko) 2013-09-06 2015-04-08 박지순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WO2018139873A1 (ko) * 2017-01-26 2018-08-02 전효석 끈 조절 장치
KR20200027391A (ko) * 2018-09-03 2020-03-12 김진호 끈걸이구 및 끈걸이구 세트
US11980252B2 (en) 2019-10-03 2024-05-14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3997A1 (de) * 2006-07-22 2008-01-31 Jadore Tong Schnürsenkelverschluß
EP2200470A4 (en) * 2007-10-12 2013-11-20 Jong O Whang SNAIL INSTRUMENT FOR SHOES
US7841631B2 (en) * 2008-12-12 2010-11-3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Shoelace tying device
NL1038472C2 (nl) * 2010-12-23 2012-06-27 Jurrien Theuvenet Inrichting voor het met elkaar verbinden van veters.
US20130061497A1 (en) * 2011-09-09 2013-03-14 Nike, Inc. Lace Tag For Footwear
KR101471179B1 (ko) * 2014-08-11 2014-12-09 (주)돌래 끈 결속장치
US11026472B2 (en) 2016-07-22 2021-06-08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EP3629821A4 (en) 2017-05-31 2021-03-03 Nike, Inc.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FOR AUTOMATED SHOE LACING
CN107296329A (zh) * 2017-06-29 2017-10-27 江苏盾王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鞋带固定装置
CN107296328A (zh) * 2017-06-29 2017-10-27 江苏盾王科技集团有限公司 鞋带防松固定结构
CN108272172A (zh) * 2018-01-28 2018-07-13 宁波工程学院 助残系鞋带机
US10575592B1 (en) * 2018-03-14 2020-03-03 Charles M Jones Lace tightening apparatus and method
DE102018113186B4 (de) * 2018-06-04 2022-10-20 Christopher Sauter Schuhverschluss
KR20230066129A (ko) * 2018-09-06 2023-05-1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피드백 메커니즘을 갖는 동적 끈 조절 시스템
US11910880B1 (en) * 2021-03-23 2024-02-27 Alexander Perkins Lace lock system
US11744328B1 (en) * 2023-02-01 2023-09-05 Shoes-Lock Sports Equipment Co., Ltd. Tightness adjusting device for shoeslac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6506A (en) * 1940-06-25 1941-04-01 Albert W H Hirsch Shoelace holding device
US3813737A (en) * 1971-07-02 1974-06-04 King Of All Inc Clasp for bola tie with interchangeable mount
JPS62157404A (ja) * 1985-12-28 1987-07-13 Sony Corp Shf受信装置
US4680835A (en) * 1986-04-30 1987-07-21 Horng Sheng Chorng Sport shoe lacing device
US4884321A (en) * 1988-07-25 1989-12-05 Holub Elvin G Shoe lace grip
US5903959A (en) * 1997-11-24 1999-05-18 Leonardi; David P. Fastener for retaining shoe laces and drawstrings
US6029323A (en) * 1998-06-15 2000-02-29 Dickie; Robert G. Positive lace zone isolation lock system and method
KR200251089Y1 (ko) * 2001-06-29 2001-11-16 백남일 신발끈 고정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69B1 (ko) 2009-03-27 2011-03-0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코드 홀더
KR100958383B1 (ko) 2009-10-29 2010-06-04 김한준 신발 끈 조임구
KR101509923B1 (ko) 2013-09-06 2015-04-08 박지순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WO2018139873A1 (ko) * 2017-01-26 2018-08-02 전효석 끈 조절 장치
KR20180088028A (ko) * 2017-01-26 2018-08-03 전효석 끈 조절 장치
US10813411B2 (en) 2017-01-26 2020-10-27 Hyo Seok JEON Lace adjustment device
KR102591493B1 (ko) * 2017-01-26 2023-10-18 전효석 끈 조절 장치
KR20200027391A (ko) * 2018-09-03 2020-03-12 김진호 끈걸이구 및 끈걸이구 세트
KR102133475B1 (ko) * 2018-09-03 2020-07-14 김진호 끈걸이구 및 끈걸이구 세트
US11980252B2 (en) 2019-10-03 2024-05-14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2417A1 (en) 2004-09-30
AU2003266726A1 (en) 2004-10-11
JP2006527001A (ja) 2006-11-30
US20060168784A1 (en) 2006-08-03
CN1758862A (zh)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17479Y1 (ko) 신발끈 결속장치
US7946007B2 (en) Device for blocking flexible strands
JP3120860U (ja) 紐部材の固定具
KR200272073Y1 (ko) 신발끈조임장치
US6735829B2 (en) U-shaped lace buckle
US5293675A (en) Fastener for shoelaces and the like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US20230140509A1 (en) Shoelace loosening prevention device
US20060200953A1 (en) Fastener for a lace
WO2009103223A1 (zh) 鞋带扣及鞋子
US2994935A (en) Shoe closure
US20100018018A1 (en) Closure for shoelaces
US6571438B2 (en) Double-bow shoe lace device
US6839944B1 (en) Shoelace fastener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KR200306985Y1 (ko) 신발 조임구
WO2009103224A1 (zh) 鞋带松紧控制装置及鞋子
US20060042056A1 (en) Shoelace tightening device
KR200273526Y1 (ko) 신발끈 결속장치
KR20040049723A (ko) 신발 조임구
KR200450098Y1 (ko) 신발끈 고정장치
KR970002512B1 (ko) 신발끈의 자동 조임장치
KR920003977Y1 (ko) 신발끈 고정용 장식구
KR20110007917U (ko) 신발끈 매듭 고정기
KR200301590Y1 (ko) 신발끈 조임용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