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512B1 - 신발끈의 자동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신발끈의 자동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512B1
KR970002512B1 KR1019940007520A KR19940007520A KR970002512B1 KR 970002512 B1 KR970002512 B1 KR 970002512B1 KR 1019940007520 A KR1019940007520 A KR 1019940007520A KR 19940007520 A KR19940007520 A KR 19940007520A KR 970002512 B1 KR970002512 B1 KR 970002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fixed
fixing
roller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692A (ko
Inventor
정민우
고상수
Original Assignee
정민우
고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우, 고상수 filed Critical 정민우
Priority to KR1019940007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512B1/ko
Publication of KR95002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6Rear lacing, i.e. with a lace placed on the back of the foot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front l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2Slide or glide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06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Equipment therefor
    • A43C11/1413Equipment for fastening toggle lever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2Fastening devices with elastic tightening parts between pairs of eyelets, e.g. clamps, spring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6Elastic ban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신발끈의 자동조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 로울러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고정끈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 단면도.
제5도는 제4도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고정구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고정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 제3실시예로서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12도는 본 발명 제3실시예 고정구의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 제3실시예 고정구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 2,2' : 고정끈
3, 26, 32 : 삽입공 4 : 요홈
5, 6, 6', 7, 17, 18, 38, 38' : 로울러
8, 21 : 유동밴드 9, 19 : 손잡이
10, 22, 30, 41 : 완충밴드 11, 12, 23, 24 : 커버
13, 14, 20 : 벨크로테이프 15, 25, 44 : 작동끈
16, 31, 46 : 고정구 27 : 당김판
28 : 걸고리 29, 43 : 텐션고정구
33 : 걸림공 34 : 밀대
35 : 보턴 36 : 캡
37, 37' : 걸림돌기 39 : 받침로울러
40 : 당김로울러 42 : 작동구
45 : 체결공
본 발명은 신발의 발등에 삽입체결되는 끈을 자동으로 풀고 조일 수 있도록 한 신발의 끈 자동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발의 끈 하단부에 수개의 로울러를 상단부와 하단부에 부착하고 별도의 끈을 로울러에 감은 다음 운동화의 끈에 걸고 이 상태에서 별도의 작동끈을 신발의 뒷면이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구에 고정하여 끈을 원터치방식으로 한번에 풀고 조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끈을 이용하도록 된 신발에는 발등에 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별도의 고정용 끈을 꿰어 결속하고 매듭을 형성하여 운동화의 양측과 상단부를 눌러 발에 맞도록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종래에는 사용되어 온 신발의 끈 고정 방법은 신발을 신고 끈을 하나하나 당긴 다음 끈부분을 매어 매듭지게 하여 고정하였으나 신발을 벗을 때와 신을 때 매번 끈을 매고 풀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신발을 신고 벗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으며 끈을 풀고 고정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고, 이물질에 의하여 불결한 끈을 손으로 계속 직접 만지기 때문에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선 특허 제62500호(공고번호 제92-4858호)와 특허 제62499(공고번호 92-4859호)를 발명하여 신발의 끈을 손쉽고 간편하게 조일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특허 제62500호는 신발끈 조임구의 좌, 우, 양측에 대칭으로 4개씩의 제1,제2,제3,제4의 신발끈 결속공을 형성하되 제1,제2,제3,제4의 신발끈 결속공의 가이드면은 제1단계 요입시킨 결착가이드면으로 형성하고 제3신발 결속공의 인입면은 2단계 요입된 인입 조절가이드면으로 형성하며 이들이 교차되는 경계부에는 경계돌출부를 형성하고 양측으로는 끼움절개홈을 갖는 결착인출공을 형성하여서 된 구성이고, 특허 제62499호는 반구형 몸체의 중앙에 버섯모양의 신발끈 감김대를 돌출 형성하고 일측으로 돌출면과 끼움돌기를 돌출형성하여 된 신발끈 결착루를 신발의 양측면에 부착 고정 설치하여 신발끈을 측면에서 결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의 발명은 신발끈을 일일이 잡아당긴 다음 신발끈 고정구를 이용하여 신발끈을 매듭으로 고정하지 않고 단순히 신발끈을 결속공이나 끼움돌기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신발끈을 일일이 잡아당겨야 하는 기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신발을 신고 벗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고 불결한 신발끈을 만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신발의 끈 삽입공 양측이나 일측에 상, 하로 수개의 로울러를 고정설치하고 신발의 후미에는 탄력밴드가 부착되어 있는 고정구를 설치하며 신발의 앞부분에 있는 로울러에 작동끈을 고정한 다음그 일측에 있는 하단로울러에 끈을 건 다음 다시 끈 사이와 하단 로울러를 지나게 하고 다시 상단로울러를 지나게 하며 이 작동끈을 신발의 후미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구에 고정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발의 발등 양측에 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여기에 끈이 체결되어 있는 공지의 신발에 있어서, 신발(1)의 고정끈(2)(2')을 수개로 분리하여 각 삽입공(3)이 형성되게 양측을 절첩 재봉하여 구성하고 각 고정끈(2)과 고정끈(2') 사이에는 요홈(4)과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로울러(5)를 고정한다.
신발(1)의 후미 하단에는 고정구(16)를 고정 설치하되 고정구(16)의 내부 신발(1)의 중앙부와 양측에 로울러(6)(6')를 고정 설치하고 그 상부에는 양측에 유동로울러(7)를 유동밴드(8)에 고정하며 유동밴드(8)의 상부에는 손잡이(9)를 부착하고 하단부에는 신발(1)에 고정되어 있는 완충밴드(10)를 부착하며, 신발(1)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로울러(5)의 표면과 유동밴드(8)의 표면에는 커버(11)(12)를 고정하여 고정끈(2)과 유동밴드(8)가 돌출되게 하고 신발(1)의 후미에 설치되어 있는 유동밴드(8)의 정면과 커버(12)의 표면에는 벨크로테이프(13)(14)를 부착하여 작동끈(15)을 신발(1)의 정면 일측에서 고정하여 각 로울러(5)와 각 고정끈(2)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3)에 관통되게 삽입한 다음 고정구(16)의 로울러(6)(6')를 지나 타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로울러와 고정끈의 삽입공을 관통한 다음 신발의 정면 타측에 고정하여 사용하여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 신발(1) 일측면 상부에 수개의 고정끈(2)을 재봉하여 고정하고 일측면에는 고정끈(2)과 고정끈(2') 사이에 로울러(17)를 고정하며 신발(1)의 후미일측에는 로울러(18)와 손잡이(19) 및 벨크로테이프(20)가 부착되어 있는 유동밴드(21)를 고정하고 유동밴드(21)의 하단부에는 완충밴드(22)를 부착하며, 로울러부와 유동밴드부의 외부에는 커버(23)(24)로서 밀폐되게 고정하고 신발(1)의 정면 일측에서 작동끈(25)을 고정한 다음 작동끈(25)의 타측을 고정끈(2)(2')의 삽입공(3)과 로울러(17)를 지나 유동밴드(21)의 로울러(18)에 고정하여 사용하여도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신발(1) 발등 상부에 수개의 고정끈(2)을 양측을 재봉하여 고정하고 그 상부의 일측 하단에는 고정끈(2')을 일측만 재봉하여 고정하며 고정끈(2')의 타측에는 삽입공(26)이 형성되어 있는 당김판(27)을 고정끈(2)에 고정하되 고정끈(2)을 삽입공(26)에 삽입하여 하단으로 향하게 한 다음 당김판(27)의 하단부와 고정끈(2')을 재봉하여 고정하고 고정끈(2')의 타측에는 걸고리(28)가 형성되어 있는 텐션고정구(29)를 고정설치하며 텐션고정구(29)의 타측에는 완충밴드(30)를 고정하며 신발 (1)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구(31)의 삽입공(32)에 삽입하여 신발(1)의 하단에 고정하며 각 삽입공(32)의 내측면에는 걸림공(33)을 형성하고 각 삽입공(32)과 삽입공 사이에는 양측에 밀대(34)가 형성되어 있는 보턴(35)을 삽입하며 고정구(31)의 상부에는 캡(36)으로 밀폐되게 고정하여 사용하여도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발의 힘을 의하여 고정끈(2')을 고정하고 있는 텐션고정구(29)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당김판(27)이 부착되어 있는 고정끈(2')의 일측저면과 신발(1)의 발등 상부에 걸림돌기(37')를 형성하여 사용하여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신발(1)의 일측면 상부에 삽입공(3)이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고정끈(2)을 재봉하여 고정하고 신발(1)의 타측면에는 고정끈(2)과 고정끈(2') 사이에 상, 하로 로울러(38)(38')를 고정하며 하단로울러(38')의 일측 끈에는 받침로울러(39)를 설치하고 그 하단에는 당김로울러(40)를 설치하며 신발(1)의 측면 하단에는 완충밴드(41)를 고정하고 완충밴드(41)의 타측에는 작동구(42)가 부착되어 있는 텐션고정구(43)를 부착하며 텐션고정구(43)의 하단에는 2줄의 작동끈(44)을 고정하고 작동구(42)의 외부에는 체결공(45)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46)를 고정하여 사용하여도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발(1)을 신고자 할때에는 신발에 발을 넣은 다음 신발(1)의 후미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9)를 상부로 당기면 유동밴드(8)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유동밴드(8)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유동로울러(7)와 신발에 고정되어 있는 로울러(6)(6')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끈(15)을 상부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9)를 커버(12)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벨크로테이프(14)에 부착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즉 유동밴드(8)의 유동로울러(7)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작동끈(15)을 상부로 당기게 되면 작동끈(15)이 로울러(5)와 로울러 사이의 고정끈(2) 끈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3)에 삽입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양측의 로울러(5)와 신발(1)의 후미에 설치되어 있는 로울러(6)(6') 및 유동로울러(7)에 의하여 작동끈(15)의 고정끈(2)(2')을 잡아당겨 로울러(5)와 수평이 되게 하여 신발을 조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신발(1)을 벗을 때에는 커버(12)의 표면에 벨크로테이프(13)(14)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9)를 분리하면 발에 의하여 작동끈(15)의 원상복귀하려는 힘과 유동밴드(8)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완충밴드(10)의 힘에 의하여 손잡이(9)가 원상복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끈(15)이 풀리면서 신발(1)을 조이고 있던 고정끈(2)(2')이 상부로 올라가면서 풀리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6도에서와 같이 고정끈(2)의 일측을 신발(1)에 재봉하여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타측에다가 고정끈(2)과 고정끈(2') 사이에 로울러(17)를 신발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하여 작동끈(25)을 고정끈(2)(2')의 삽입공(3)에 삽입하여 로울러(17)와 손잡이(19) 및 벨크로테이프(20)가 부착되어 있는 유동밴드(21)에 고정하기 때문에 손잡이(19)를 잡아당겨 절첩하여 고정하면 고정끈(2)(2')의 일측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3)에 작동끈(25)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끈(25)이 로울러(17)에 의하여 수평으로 되면서 고정끈(2)(2')을 하단부로 잡아당겨 신발을 조일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19)를 분리하여 놓으면 유동밴드(21)의 하단부에 부착되어있는 완충밴드(22)와 발의 힘에 의하여 원상복귀하려는 고정끈(2)(2')에 의하여 유동밴드(21)가 원상복귀되면서 작동끈(25)을 풀어주게 되고 고정끈은 발의 힘에 의하여 상부로 올라가게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7도와 같이 신발(1) 발등 상부에 늘어날 수 있는 수개의 고정끈(2) 양측을 재봉하여 고정하고 그 상부에는 수개의 고정끈(2')을 일측만 재봉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1)에 발을 넣은 다음 고정구(31)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는 보턴(35)을 누르면 보턴(35)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밀대(34)가 텐션고정구(29)의 걸고리(28)를 걸림공(33)에서 내부로 밀어넣게 되고 이와 동시에 텐션고정구(29)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밴드(30)에 의하여 텐션고정구(29)가 하단으로 이동하여 고정끈(2')을 잡아당겨 조이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고정끈(2')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7)가 신발(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7)에 걸려 고정끈(2')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신발을 벗고자 할 때에는 고정끈(2')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당김판(27)의 삽입공(26)에 손가락을 넣어 잡아당기면 당김판(27)과 고정끈(2')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끈(2')의 타측에 부착되어 있는 텐션고정구(29)가 완충밴드(30)를 잡아당기면서 인출하게 되며 이때 고정끈(2')이 일측으로 인출되면서 고정끈(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7)가 신발(1)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37')에 의하여 상부로 올라가면서 이탈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신발을 벗으면 되며 텐션고정구(29)가 일정길이로 이동하게 되면 고정구(3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공(33)에 텐션고정구(28)의 걸고리(28)가 걸려 고정하게 되므로 이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와 같이 신발을 신을 때 보턴(35)을 눌러 텐션고정구(29)를 이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11도에서와 같이 신발(1)의 발을 넣고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텐션고정구(43)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2개의 작동끈(44)이 당겨지면서 신발을 조이게 되는 것이다.
즉 작동끈(44)이 당겨지게 되면 고정끈(2)의 삽입공(3)에 관통되어 있는 상, 하의 작동끈(44)이 당김로울러(40)와 받침로울러(39)에 의하여 하부의 작동끈은 당겨지게 되고 상부의 작동끈은 풀리게 되어 고정끈(2)의 삽입공(3)이 하단로울러(38')와 수평으로 되면서 조이게 되고 이 상태에서 텐션고정구(43)가 고정구(46)의 체결공(45)에 체결되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신발을 벗고자 할 때에는 고정구(46)의 체결공(45)에 체결되어 있는 텐션고정구(53)의 걸림돌기를 누르면 텐션고정구(43)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완충밴드(41)와 신발의 힘에 의하여 하단으로 내려가게 되고 이 때 상부의 작동끈(44)의 하단으로 내려가면서 고정끈(2)을 잡아당기게 되며 하단의 작동끈(44)은 풀리면서 상부로 올라가 상부로울러(38)와 수평으로 되면서 고정끈(2)이 풀리게 되어 이 상태에서 신발(1)을 벗으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신발의 끈 삽입공 양측이나 일측에 상,하로 수개의 로울러를 고정설치하고 신발의 후미에는 탄력밴드가 부착되어 있는 고정구를 설치하며 신발의 앞부분에 있는 로울러에 작동끈을 고정한 다음 그 일측에 있는 하단로울러에 끈을 건 다음 다시 끈 사이와 하단 로울러를 지나게 하고 다시 상단로울러를 지나게 하며 이 작동끈을 신발의 후미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구에 고정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수개의 로울러와 작동끈 및 고정구에 의하여 신발의 고정끈이 자동으로 조이거나 풀리기 때문에 신발을 신고 벗기가 간편하며 일일이 고정끈을 조이지 않아도 되므로 시간이 절약되고 위생상 청결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신발의 발등 양측에 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여기에 끈이 체결되어 있는 공지의 신발에 있어서, 신발(1)의 고정끈(2)(2')을 수개로 분리하여 각 삽입공(3)이 형성되게 양측을 절첩 재봉하여 구성하고, 각 고정끈(2)과 고정끈(2') 사이에는 요홈(4)과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로울러(5)를 고정하고 신발(1)의 후미하단에는 고정구(16)를 고정설치하되 고정구(16)의 내부신발(1)의 중앙부와 양측에 로울러(6)(6')를 고정설치하고 그 상부에는 양측에 유동로울러(7)를 유동밴드(8)에 고정하며 유동밴드(8)의 상부에는 손잡이(9)를 부착하며 하단부에는 신발(1)에 고정되어 있는 완충밴드(10)를 부착하고, 신발(1)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로울러(5)의 표면과 유동밴드(8)의 표면에는 커버(11)(12)를 고정하여 고정끈(2)과 유동밴드(8)가 돌출되게 하고 신발(1)의 후미에 설치되어있는 유동밴드(8)의 정면과 커버(12)의 표면에는 벨크로테이프(13)(14)를 부착하며 작동끈(15)을 신발(1)의 정면 일측에서 고정하여 각 로울러(5)와 각 고정끈(2)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3)에 관통되게 삽입한 다음 고정구(16)의 로울러(6)(6')를 지나 타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로울러와 고정끈의 삽입공을 관통한 다음 신발의 정면 타측에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의 자동조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신발(1) 일측면 상부에 수개의 고정끈(2)을 재봉하여 고정하고 타측면에는 고정끈(2)과 고정끈(2') 사이에 로울러(17)를 고정하며 신발(1)의 후미 일측에는 로울러(18)와 손잡이(19) 및 벨크로테이프(20)가 부착되어 있는 유동밴드(21)를 고정하고 유동밴드(21)의 하단부에는 완충밴드(22)를 부착하며, 로울러부와 유동밴드부의 외부에는 커버(23)(24)로서 밀폐되게 고정하고 신발(1)의 정면 일측에서 작동끈(25)을 고정한 다음 작동끈(25)의 타측을 고정끈(2)(2')의 삽입공(3)과 로울러(17)를 지나 유동밴드(21)의 로울러(18)에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의 자동조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신발(1) 발등 상부에 수개의 고정끈(2) 양측을 재봉하여 고정하고 그 상부의 일측 하단에는 고정끈(2')을 일측만 재봉하여 고정하며 고정끈(2')의 타측에는 삽입공(26)이 형성되어 있는 당김판(27)을 고정끈(2)에 고정하되 고정끈(2)을 삽입공(26)에 삽입하여 하단으로 향하게 한 다음 당김판(27)의 하단부와 고정끈(2')을 재봉하여 고정하고, 고정끈(2')의 타측에는 걸고리(28)가 형성되어 있는 텐션고정구(29)를 고정설치하며 텐션고정구(29)의 타측에는 완충밴드(30)를 고정하여 신발(1)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구(31)의 삽입공(32)에 삽입하여 신발(1)의 하단에 고정하며 각 삽입공(32)의 내측면에는 걸림공(33)을 형성하고 각 삽입공(32)과 삽입공 사이에는 양측에 밀대(34)가 형성되어 있는 보턴(35)을 삽입하며 고정구(31)의 상부에는 캡(36)으로 밀폐되게 고정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의 자동조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신발(1)의 일측면 상부에 삽입공(3)이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고정끈(2)을 재봉하여 고정하고 신발(1)의 타측면에는 고정끈(2)과 고정끈(2') 사이에 상, 하로 로울러(38)(38')를 고정하며 하단로울러(38')의 일측 끈에는 받침로울러(39)를 설치하고 그 하단에는 당김로울러(40)를 설치하며 신발(1)의 측면 하단에는 완충밴드(41)를 고정하고 완충밴드(41)의 타측에는 작동구(42)가 부착되어 있는 텐션고정구(43)를 부착하며 텐션고정구(43)의 하단에는 2줄의 작동끈(44)을 고정하고, 작동구(42)의 중간에는 체결공(45)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46)를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의 자동조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고정끈(2')을 고정하고 있는 텐션고정구(29)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당김판(27)이 부착되어 있는 고정끈(2')의 일측저면과 신발(1)의 발등 상부에 걸림돌기(37)(37')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의 자동조임장치.
KR1019940007520A 1994-04-11 1994-04-11 신발끈의 자동 조임장치 KR970002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520A KR970002512B1 (ko) 1994-04-11 1994-04-11 신발끈의 자동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520A KR970002512B1 (ko) 1994-04-11 1994-04-11 신발끈의 자동 조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692A KR950028692A (ko) 1995-11-22
KR970002512B1 true KR970002512B1 (ko) 1997-03-05

Family

ID=1938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520A KR970002512B1 (ko) 1994-04-11 1994-04-11 신발끈의 자동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105B1 (ko) * 2007-02-08 2008-02-26 강병도 착용이 용이한 신발
KR101344975B1 (ko) * 2012-02-13 2013-12-24 주식회사 동진레저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KR101977151B1 (ko) * 2018-01-08 2019-05-10 이규선 신발 자동 조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692A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34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ly securing a laced shoe
US4486965A (en) Footwear with overlapping closure strap means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US6378230B1 (en) Lace-less shoe
US5349764A (en) Shoe securement apparatus
US4949437A (en) Shoelace knot retaining apparatus
KR200171552Y1 (ko) 신끈의 결속장치
EP1219195A1 (en) Speed lacing device
JP2004504915A (ja) 靴、特に運動靴
TWM558547U (zh) 鞋子的閉合及緊固系統
JP2007144171A (ja) ブーツ
CA27047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ening a shoe
JP2006527001A (ja) 靴紐結束装置
US7003903B2 (en) Pouch for concealing and containing shoelaces
US5692276A (en) Footwear fasteners
JP2023508936A (ja) 物品を締め付けるための締め付け装置
JP5017367B2 (ja) 靴紐クロージャー
KR970002512B1 (ko) 신발끈의 자동 조임장치
KR200306985Y1 (ko) 신발 조임구
KR920004858B1 (ko) 신발끈 조임구
JP3038156U (ja) 運動靴
KR200273581Y1 (ko) 와이어 폼 스프링이 부착된 신발끈 고리
KR100414783B1 (ko) 신발끈의 결속장치
KR20010008137A (ko) 신발끈의 결속장치
US2911698A (en) Cord fast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