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723A - 신발 조임구 - Google Patents

신발 조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723A
KR20040049723A KR1020020077573A KR20020077573A KR20040049723A KR 20040049723 A KR20040049723 A KR 20040049723A KR 1020020077573 A KR1020020077573 A KR 1020020077573A KR 20020077573 A KR20020077573 A KR 20020077573A KR 20040049723 A KR20040049723 A KR 20040049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pair
hole
fastene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경
Original Assignee
이종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경 filed Critical 이종경
Priority to KR102002007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9723A/ko
Publication of KR2004004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8Hook fastenings; Rotary hoo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을 조이기 위해 신발끈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신발을 조이고 풀 수 있는 신발 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발 조임구는, 신발에 형성된 구멍에 신발끈을 대신하여 체결되어 신발을 조이기 위한 것으로서, 대응하는 한 쌍의 신발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 및 상기 신발 구멍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체결장치;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발 조임구{Shoe tightener}
본 발명은 신발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을 조이기 위해 신발끈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신발을 조이고 풀 수 있는 신발 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재질, 형태, 또는 기능 등에 의해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는데, 신었을 때 발에 맞춰 조이거나, 벗을 때 느슨하게 풀어주는 신발 조임구에 따라 신발을 분류하면 신발 구멍과 신발끈으로 된 것, 매직테이프로 된 것, 지퍼로 된 것, 버튼으로 된 것, 또는 슬리퍼와 같이 신발 조임구가 필요 없는 것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다수 개의 신발 구멍을 신발끈으로 엮고 매듭지어 조이는 방식은 발의 형태에 맞추어 신발이 발에 밀착되도록 조일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신발끈을 사용하는 방식은 신발을 신고 벗을 때 신발끈을 매듭짓고 풀기가 번거로우며 착용 중 매듭이 자주 풀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신발 구멍과 신발끈으로 된 신발 조임구는 신발을 신었을 때 발등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정면에서 보았을 때 매듭과 남는 신발끈이 정돈되지 않아 미적으로 아름답지 못한 느낌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발을 신고 벗을 때 용이하게 신발을 조이고 풀 수 있는 신발 조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신발을 신고 조였을 때 정돈되어 신발을 신은 모습이 아름답게 보일 수 있는 신발 조임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조임구의 일 실시예를 신발에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2 내지 6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조임구에 있어서, 체결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조임구에 있어서, 길이 조절 수단을 구비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조임구에 있어서, 몸체의 일부가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일렬로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신발2 ...신발 구멍
10, 30, 40, 50, 60, 70, 80 ...신발 조임구
11, 31, 41, 51, 61, 71, 81, 91 ...몸체
14, 34, 44, 54, 64, 77, 87 ...체결장치
72 ...제1 부재73, 74 ...제2 부재
82, 83 ...밴드 부재86 ...버클
94 ...플러그96 ...소켓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발 조임구는, 신발에 형성된 구멍에 신발끈을 대신하여 체결되어 신발을 조이기 위한 것으로서, 대응하는 한 쌍의 신발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 및 상기 신발 구멍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체결장치;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몸체에 연결 지지되며 상기 신발 구멍에 끼워져 걸리는 후크(hook)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몸체에 연결 지지되며 상기 신발 구멍을 관통하는 끼움부재와, 상기 신발 구멍을 관통한 끼움부재의 말단부를 삽탈 가능하게 수용하여 상기 끼움부재와 체결되는 수용부재를 구비하여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 조임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신발 구멍을 관통하는 원통형의 말단부와 상기 말단부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원통형의 말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된 홈부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홈부의 내주면에 만입(灣入)부를 구비하며, 상기 신발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헤드부를 구비하여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장치는 상호 힌지결합되며 그 일단부들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한 쌍의 핑거를 구비한 집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핑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부에는 신발 구멍에 끼워지는 걸림턱부가 마련되며,
상기 핑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단부는 상기 몸체에 연결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신발 구멍을 통과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양단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 크로스바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크로스바의 길이는 상기 신발 구멍의 직경보다 길지만 상기 크로스바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신발 구멍의 직경보다 작게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 조임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적으로 길이 변화가 가능한 고무밴드를 구비하여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신발 조임구는 상기 몸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나사부를 구비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나사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는 제2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체결장치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1 나사부와, 이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2 나사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나사부는 그 나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한 쌍의 제2 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 상기 몸체의 길이가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버클 및 상기 버클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되는 직물로 된 밴드 부재를 구비하여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신발 조임구는 신발을 신은 발의 형태에 따라 상기 몸체가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소재를 구비하여 된 벤딩부가 상기 몸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신발 조임구는, 상기 체결장치를 상기 신발 구멍에 체결한 상태로 신발을 풀고 조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가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조임구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조임구의 제1 실시예를 신발에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며, 도 2는 상기 제1 실시예를 신발에 적용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신발 조임구(10)는 신발(1)을 신었을 때 보행을 위해 조이며, 신발(1)을 벗을 때 조임을 해제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신발 구멍(2)에 종래의 신발끈을 대체하여 적용될 수 있다. 신발 조임구(10)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체결장치(14)를 구비하는데, 상기 한 쌍의 체결장치(14)는 대응하는 한 쌍의 신발 구멍(2)에 체결되며, 상기 몸체(11)는 상기 한 쌍의 신발 구멍(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체결장치(14)는, 일단이 상기 몸체(11)에 연결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신발 구멍(2)에 끼워져 걸리는 후크(hoo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1)는 그 길이를 변화시킬 수 없는 직물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길이 변화가 가능한 고무밴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무밴드만으로 몸체(11)를 구성하지만, 몸체(11)의 일부만이 고무밴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후크를 구비한 체결장치(14)를 신발 구멍(2)에 걸어 체결하였을 때 후크가 상기 신발 구멍(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무밴드를 구비하여 된 몸체(11)는, 신발 조임구(10) 전체의 길이가 대응하는 한 쌍의 신발 구멍(2)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재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신발 조임구(10)를 대응하는 한 쌍의 신발 구멍(2)에 체결하면, 고무밴드를 구비한 몸체(11)가 신장되면서 원래 길이로 되돌아오려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발생하여 신발(1)을 발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여줄 수 있다. 또한 운동화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신발에서 상기 신발 구멍(2)은 신발의 발등 덮개(5) 위에 위치하는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밴드를 구비한 몸체(11)는 신발(1)을 신은 발의 형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등의 형태에 상응하게 곡선을 이룬 발등 덮개(5)의 형태를 따라 적절하게 휘어질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신발 조임구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신발 조임구(30)는 고무밴드를 구비하여 된 몸체(31)와, 그 양단에 연결 지지되며 대응하는 한 쌍의 신발 구멍(2)에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장치(34)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31)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체결장치(34)는 신발 구멍(2)에 끼워져 걸리는 후크(hook, 35)와, 상기 후크(35)의 터진 일측을 개폐하는 개폐바(36)를 구비한다. 상기 후크(35)는 상기 몸체(31)에 연결 지지되며 상기 후크(35)가 시작되는 일단부인 베이스부(35a)와, 상기 후크(35)의 곡선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만곡부(35b)와, 상기 후크(35)의 말단부에서 상기 베이스부(35a)를 향해 후퇴되는 후퇴부(35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바(36)는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후크(35)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35a)에서 돌출되고, 말단은 상기 후퇴부(35c)에 지지된다. 상기 개폐바(36)에 탄성 바이어스를 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35a)의 내부에 스프링(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으며, 힘을 가하여 상기 후크(35)의 일측을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바(36)에 연결되는 돌기(37)가 마련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체결장치(34)의 돌기(37)를 몸체(31)를 향하여 힘을 가하여 밀면,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5)의 일측이 개방되어, 체결장치(34)는 신발 구멍(2)에 끼워지거나 반대로 신발 구멍(2)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신발 구멍(2)에 끼운 상태로 힘을 제거하면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5)가 폐쇄되어 신발 구멍(2)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신발 조임구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신발 조임구(40)는 고무밴드를 구비하여 된 몸체(41)와, 그 양단에 연결 지지되며 대응하는 한 쌍의 신발 구멍(2)에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장치(44)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41)는 제1 실시예 내지 제2 실시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상기 체결장치(44)는 상기 몸체(41)에 연결 지지되며 상기 신발 구멍(2)을 관통하는 끼움부재(45)와, 상기 신발 구멍(2)을 관통한 끼움부재(45)의 말단부를 삽탈 가능하게 수용하여 상기 끼움부재(45)와 체결되며 도면에서 단면도로 도시된 수용부재(4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끼움부재(45)는 상기 신발 구멍(2)을 관통하는 원통형의 말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말단부에는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5a)가 마련된다. 상기 수용부재(46)는 상기 끼움부재(45)의 원통형 말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홈부를 구비한다. 상기 홈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끼움부재(45)의 돌출부(45a)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만입(灣入)부(46a)가 마련된다. 상기 돌출부(45a)는 상기 끼움부재(45)의 말단부에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만입부(46a)도 상기 돌출부(45a)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만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용부재(46)의 홈부를 상기 끼움부재(45)의 말단부에 맞춰 밀고 당김에 의해 상기 끼움부재(45)와 수용부재(46)를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 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46)에는 상기 끼움부재(45)와 체결 및 분리하기 위해 힘을 가하는 헤드부(46b)가 마련되는데, 상기 헤드부(46b)는 상기 신발 구멍(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하여 체결된 수용부재(46)가 상기 신발 구멍(2)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신발 구멍(2)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부(46b)는 수용부재(46)를 손에 쥐고 힘을 가하기 편리하도록 하여, 수용부재(46)와 끼움부재(45)의 체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신발 조임구(40)는 끼움부재(45)의 말단부가 신발 구멍(2)을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수용부재(46)의 헤드부(46b)를 쥐고 홈부를 상기끼움부재(45)의 말단부로 삽입함으로서 체결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수용부재(46)의 헤드부(46b)를 쥐고 당김으로서 분리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신발 조임구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신발 조임구(50)는 고무밴드를 구비하여 된 몸체(51)와, 그 양단에 연결 지지되며 대응하는 한 쌍의 신발 구멍(2)에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장치(54)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51)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체결장치(54)는 상호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부(57)를 형성하는 한 쌍의 핑거(55, 56)를 구비하여 된 집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핑거들 중 하부 핑거(55)에는 신발 구멍(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턱부(55a)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턱부(55a)가 마련된 핑거(55)의 일단부 및 대응하는 상부 핑거(56)의 일단부는,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힌지결합부(57)에 스프링(미도시)을 개재하는 방법 등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또한 하부 핑거(55)의 타단부는 상기 몸체(51)에 연결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으로 걸림턱부가 상부 핑거에서 돌출되도록 하거나, 상부 핑거(55)에 몸체(51)가 연결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체결장치(54)의 상부 핑거(56)의 타단부를 하방으로 힘을 가하여 밀면,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를 구비하여 된 체결장치(54)가 개방되어, 걸림턱부(55a)가 신발 구멍(2)에 끼워지거나 반대로 신발 구멍(2)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걸림턱부(55a)를 신발 구멍(2)에 끼운 상태로 힘을 제거하면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장치(54)가 폐쇄되어 신발 구멍(2)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조임구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신발 조임구(60)는 고무밴드를 구비하여 된 몸체(61)와, 그 양단에 연결 지지되며 대응하는 한 쌍의 신발 구멍(2)에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장치(64)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61)는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체결장치(64)는 상기 몸체(61)의 양단에서 몸체(6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크로스바(6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체결장치(64)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옷이나 신발의 정가표(tag)에서 볼 수 있는 바와 마찬가지로 금속판을 구부려 파이프 형상으로 만들고, 상기 파이프의 중심 부근에 형성된 측면 통공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상기 고무밴드의 말단을 삽입하여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고정시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바(65)는 그 길이가 상기 신발 구멍(2)의 직경보다 길어서, 상기 몸체(61)의 폭 방향과 같이 상기 신발 구멍(2)에 대해 횡으로 놓이면 상기 신발 구멍(2)을 관통할 수 없다. 그러나 그 단면의 직경은 상기 신발 구멍(2)의 직경보다 작아서, 상기 몸체(61)의 길이 방향과 같이 상기 신발 구멍(2)에 대해 종으로 놓이면 상기 신발 구멍(2)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신발 조임구(60)는 크로스바(65)를 상기 몸체(61)의 말단부와 함께 쥐어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으로 놓고, 상기 몸체(61)를 늘여 신발 구멍(2)을 관통하도록 밀어 넣은 후, 쥐던 힘을 해제하여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는 상기와 같이 쥐던 힘을 해제하면, 상기 크로스바(65)는 복원력에 의해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횡으로 놓이고 몸체(61)도 수축하여 상기 크로스바(65)가 신발 구멍(2)에 탄성 바이어스되며 밀착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상기 몸체(61)를 늘이고 상기 몸체(61)의 말단부와 크로스바(65)를 함께 쥐어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으로 놓고, 상기 몸체(61)가 복원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수축되도록 하면, 상기 크로스바(65)가 상기 신발 구멍(2)을 통과하므로 상기 신발 조임구(60)를 신발 구멍(2)에서 분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조임구의 제6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으로, 명확한 도시를 위해 몸체(71)는 절개한 단면으로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신발 조임구(70)는 제1 부재(72)와, 상기 제1 부재(72)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부재(73, 74)를 구비하여 된 몸체(71)와, 상기 한 쌍의 제2 부재(73, 74)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장치(7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부재(72)의 양단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암나사가공된 한 쌍의 제1 나사부(72a, 72b)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부재(73, 74)에는 상기 제1 나사부(72a, 72b)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게 수나사가공된 제2 나사부(73a, 74a)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71)의 길이를 신장 또는 단축시킬 수 있도록 길이 조절 수단이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제1 나사부(72a, 72b)와 제2 나사부(73a, 74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부재(73, 74)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71)가 휘어질 수 있도록 고무 등의 탄성소재를 구비하여 된 벤딩부(73b, 74b)가 마련된다. 도시된 체결장치(77)는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체결장치(77)는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3 내지 제5실시예에서 개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체결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신발 조임구(70)의 체결장치(77)를 신발 구멍(2)에 체결하고, 제1 부재(72)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부재(73, 74)는 상기 제1 부재(72)와 같이 회전하지 못하고, 대신 제2 나사부(73a, 74a)가 제1 나사부(72a, 72b)를 타고 미끄러져 들어가 몸체(71)의 길이가 단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신발 구멍(2) 사이를 적절하게 조일 수 있으며, 제1 부재(72)를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몸체(71)의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벤딩부(73b, 74b)가 신발(1)을 신은 발의 형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등의 형태에 상응하게 곡선은 이룬 발등 덮개(5)의 형태를 따라 휘어져서, 신발 조임구(70)는 발등 덮개(5)에 적절히 밀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조임구의 제7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신발 조임구(80)는 직물로 된 제1 및 제2 밴드 부재(82, 83)와, 상기 제1 및 제2 밴드 부재(82, 83)를 연결하는 버클(86)을 구비하여 구성된 몸체(8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밴드 부재(82, 83)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장치(87)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밴드 부재(82)는 상기 버클(86)의 일측과 길이가 고정된 상태로 체결되고, 상기 제2 밴드 부재(83)는 상기 버클(86)의 타측과 길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된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상기 제2 밴드 부재(83) 대신에 상기 제1 밴드 부재(82)가 길이 조절 가능하게 상기 버클(86)과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밴드 부재(82, 83)가 모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상기 버클(86)과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밴드 부재(83)의 길이를 조절하고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버클(86)의 타측을 통과하여 절곡되는 제2 밴드 부재의 말단부(83a)와 상기 버클(86)의 타측을 통과하지 못하는 제2 밴드 부재의 중앙부(83b)에는, 서로 마주보는 대면에 각각 루프 스트립(loop strip, 84a)과 후크 스트립(hook strip, 84b)을 구비하여 소위 매직테이프(magic tape) 결합수단이 마련된다. 도시된 체결장치(87)는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체결장치(87)는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3 내지 제5 실시예에서 개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체결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신발 조임구(80)는, 상기 체결장치(87)를 신발 구멍(2)에 체결하고, 상기 제2 밴드 부재의 말단부(83a)를 상기 버클(86)의 타측으로 통과시켜 당긴 후, 상기 루프 스트립(84a)과 후크 스트립(84b)이 밀착되도록 상기 제2 밴드 부재의 말단부(83a)를 중앙부(83b)에 대해 누름으로서 용이하게 신발(1)을 신고 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1)을 벗고자 할 때에 상기 체결장치(87)를 신발 구멍(2)에서 분리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2 밴드 부재(83)의 길이를 늘여 조임을 느슨하게 하거나 상기 제2 밴드 부재(83)를 상기 버클(86)과 분리시켜 신발(1)을 용이하게 벗을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조임구의 제8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으로, 몸체만 발췌하여 상세하게 도시된 평면도이다. 상기 몸체의 양단에는 상술된 실시예들에서 채용된 것과 같은 체결장치가 마련될 것이나, 도면에서는 생략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신발 조임구의 몸체(91)는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도록제1 및 제2 부분 부재(92, 9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 부재(92, 93)의 서로 마주보는 말단부에는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연결수단으로서, 소위 플러그(94)와 소켓(96)이 각각 마련된다. 상기 플러그(94)는 두 개의 돌출된 체결 가지(94a, 94b)와 상기 체결 가지(94a, 94b) 사이에서 돌출된 가이드(94c)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 가지(94a, 94b)에는 상기 몸체(91)의 폭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95a, 95b)가 마련된다. 상기 소켓(96)은 상기 체결 가지(94a, 94b)와 상기 가이드(94c)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의 내벽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94c)에 대응되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96c)을 구비하고, 몸체(91)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기 플러그(94)의 돌기부(95a, 95b)가 안착되도록 개방된 개방부(96a, 96b)를 구비한다. 상술된 플러그(94)와 소켓(96)으로 된 연결수단은, 등산용 배낭이나 스포츠 가방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유사하다.
상기한 신발 조임구는 도시되지 않은 체결장치를 신발 구멍에 체결하고, 상기 돌기부(95a, 95b)가 복원력에 의해 상기 소켓의 개방부(96a, 96b)를 통해 돌출될 때까지 상기 플러그(94)를 소켓(96)의 홈 내부로 삽입함으로서, 용이하게 신발을 신고 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을 벗고자 할 때에 상기 개방부(96a, 96b)를 통해 돌출된 돌기부(95a, 95b)를 상기 소켓(96)의 내부를 향해 가압하고, 상기 플러그(94)를 소켓(96)에서 빼냄으로서 용이하게 신발을 벗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신발 조임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신발을 신고 신발 조임구의 한 쌍의 체결장치를 대응하는 한 쌍의 신발 구멍에 체결하는 것만으로 신발을 조일 수 있고, 신발을 벗을 때는 한 쌍중 하나의 신발 구멍에 체결된 체결장치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조임을 해제할 수 있어, 신발끈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신발을 용이하게 신고 벗을 수 있다.
둘째, 신발끈을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매듭과 여분의 신발끈으로 인한 정돈되지 않은 외관의 문제가 제거되어, 신발을 조였을 때 단정한 외관을 보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미감을 불러 일으킬 수도 있다.
셋째, 신발 조임구의 몸체와 체결장치에 다양한 색상을 채색하여 새로운 패션 소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넷째, 신발에 마련되어 있는 신발 구멍의 개수에 따라 신발 조임구를 마련하면 신발을 조일 수 있으므로, 하나의 신발 조임구를 다양한 신발에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다섯째, 길이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신발 조임구를 사용하는 경우 신발 조임구가 체결된 상태에서 신발을 발에 맞춰 조일 수 있으므로, 신발끈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신발 조임이 용이하다.
여섯째, 몸체를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이를 분리 결합 가능하게 연결한다면, 체결장치를 신발 구멍에 체결한 상태로 신발을 풀고 조일 수 있어 용이하고 신속하게 신발을 풀고 조일 수 있다.

Claims (12)

  1. 신발에 형성된 구멍에 신발끈을 대신하여 체결되어 신발을 조이기 위한 것으로서, 대응하는 한 쌍의 신발 구멍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 및 상기 신발 구멍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체결장치;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조임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몸체에 연결 지지되며 상기 신발 구멍에 끼워져 걸리는 후크(hook)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조임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몸체에 연결 지지되며 상기 신발 구멍을 관통하는 끼움부재와, 상기 신발 구멍을 관통한 끼움부재의 말단부를 삽탈 가능하게 수용하여 상기 끼움부재와 체결되는 수용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조임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신발 구멍을 관통하는 원통형의 말단부와 상기 말단부의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원통형의 말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된 홈부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홈부의 내주면에 만입(彎入)부를 구비하며, 상기 신발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조임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호 힌지결합되며 그 일단부들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 한 쌍의 핑거를 구비한 집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핑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부에는 신발 구멍에 끼워지는 걸림턱부가 마련되며,
    상기 핑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단부는 상기 몸체에 연결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조임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신발 구멍을 통과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양단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 크로스바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크로스바의 길이는 상기 신발 구멍의 직경보다 길지만 상기 크로스바의 단면의 직경은 상기 신발 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조임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적으로 길이 변화가 가능한 고무밴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조임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 조절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조임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나사부를 구비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나사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는 제2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체결장치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1 나사부와, 이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2 나사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나사부는 그 나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한 쌍의 제2 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 상기 몸체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조임구.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 수단은 버클 및 상기 버클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체결되는직물로 된 밴드 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조임구.
  11. 제1 항에 있어서,
    신발을 신은 발의 형태에 따라 상기 몸체가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소재를 구비하여 된 벤딩부가 상기 몸체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조임구.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를 상기 신발 구멍에 체결한 상태로 신발을 풀고 조일 수 있도록, 상기 몸체가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조임구.
KR1020020077573A 2002-12-07 2002-12-07 신발 조임구 KR20040049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573A KR20040049723A (ko) 2002-12-07 2002-12-07 신발 조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573A KR20040049723A (ko) 2002-12-07 2002-12-07 신발 조임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646U Division KR200306985Y1 (ko) 2002-12-07 2002-12-07 신발 조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723A true KR20040049723A (ko) 2004-06-12

Family

ID=3734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573A KR20040049723A (ko) 2002-12-07 2002-12-07 신발 조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972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466B1 (ko) * 2005-11-16 2007-02-07 김동묵 잠금구조를 갖는 신발끈
KR100886105B1 (ko) * 2007-08-30 2009-02-27 조연규 신발끈
KR200451902Y1 (ko) * 2010-05-28 2011-01-18 노홍진 밴드형 신발끈
KR101026079B1 (ko) * 2010-09-03 2011-03-30 (주)슈추어 묶지않는 신발끈
WO2020139464A1 (en) * 2018-12-27 2020-07-02 Nike Innovate C.V. Pulley for a wearable article
US11388956B2 (en) 2018-12-27 2022-07-19 Nike, Inc. Closure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2546A (en) * 1966-05-25 1968-05-14 Palmay Ilona Bosznay Elastic laces
US4210983A (en) * 1979-01-05 1980-07-08 Green Robert L Eyelet clamp for shoes
JPS5957109U (ja) * 1982-10-06 1984-04-14 アキレス株式会社 履物胛部の締結用ゴム紐
KR890006131U (ko) * 1987-09-16 1989-05-12 김복만 신발구목 고정구
JPH01153101A (ja) * 1987-11-02 1989-06-15 Oran D Ingram 靴の緊締具
KR910008962A (ko) * 1989-10-26 1991-05-31 아오이 죠이찌 프리차지식 논리 회로 및 프로그래머블 논리 어레이
KR100958758B1 (ko) * 2005-05-09 2010-05-1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슬롯 및 블록 포맷에 의한데이터 송신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2546A (en) * 1966-05-25 1968-05-14 Palmay Ilona Bosznay Elastic laces
US4210983A (en) * 1979-01-05 1980-07-08 Green Robert L Eyelet clamp for shoes
JPS5957109U (ja) * 1982-10-06 1984-04-14 アキレス株式会社 履物胛部の締結用ゴム紐
KR890006131U (ko) * 1987-09-16 1989-05-12 김복만 신발구목 고정구
JPH01153101A (ja) * 1987-11-02 1989-06-15 Oran D Ingram 靴の緊締具
KR910008962A (ko) * 1989-10-26 1991-05-31 아오이 죠이찌 프리차지식 논리 회로 및 프로그래머블 논리 어레이
KR100958758B1 (ko) * 2005-05-09 2010-05-1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슬롯 및 블록 포맷에 의한데이터 송신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466B1 (ko) * 2005-11-16 2007-02-07 김동묵 잠금구조를 갖는 신발끈
KR100886105B1 (ko) * 2007-08-30 2009-02-27 조연규 신발끈
KR200451902Y1 (ko) * 2010-05-28 2011-01-18 노홍진 밴드형 신발끈
KR101026079B1 (ko) * 2010-09-03 2011-03-30 (주)슈추어 묶지않는 신발끈
WO2020139464A1 (en) * 2018-12-27 2020-07-02 Nike Innovate C.V. Pulley for a wearable article
CN113226106A (zh) * 2018-12-27 2021-08-06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可穿戴物品的滑轮
US11091357B2 (en) 2018-12-27 2021-08-17 Nike, Inc. Pulley for a wearable article
US11388956B2 (en) 2018-12-27 2022-07-19 Nike, Inc. Closure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9318A (en) Lacing aid
RU239188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шнурков обуви
US5158428A (en) Shoelace securing system
CA2115643C (en) Filament, cordage locking device
US5647104A (en) Cable fastener
US5687889A (en) Multi-purpose reacher and dressing aid
JP2002112804A (ja)
KR200171552Y1 (ko) 신끈의 결속장치
US7765721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removable eyelet portion
KR20150026518A (ko)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US9730493B2 (en) Elastic closure for footwear
US5572778A (en) Shoelace securing method
US7036193B1 (en) Shoe tightening device
KR200306985Y1 (ko) 신발 조임구
KR20040049723A (ko) 신발 조임구
JP2000014410A (ja) 自動紐締め及び紐解き機能を具えた靴
NZ509459A (en) Footwear fastenings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KR200273526Y1 (ko) 신발끈 결속장치
JP5782665B1 (ja) 靴紐緊締ストラップとそれを備えた紐靴
JPH10179210A (ja) 新規な緊締部品を備えた靴
KR200450098Y1 (ko) 신발끈 고정장치
KR19990033746U (ko) 버클이부착되는조임끈을가지는신발
KR20160050588A (ko)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KR200474869Y1 (ko) 신발 결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