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588A -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 Google Patents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588A
KR20160050588A KR1020140149085A KR20140149085A KR20160050588A KR 20160050588 A KR20160050588 A KR 20160050588A KR 1020140149085 A KR1020140149085 A KR 1020140149085A KR 20140149085 A KR20140149085 A KR 20140149085A KR 20160050588 A KR20160050588 A KR 20160050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infant
heel
cover
elastic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9149B1 (ko
Inventor
이선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박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박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박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49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1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6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 A43B3/08Shoes with flaps; Footwear with divided uppers with rubber or elastic insertions or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specially adapted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발등을 감싸며 중앙에 신발의 삽입구와 통하게 형성된 개구부 전방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양측에 한 쌍의 제1수컷접착부재를 가진 발등갑피부; 상기 발등갑피부와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아의 발 내,외측면을 감싸는 발측면갑피부; 상기 관통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고 내측 양단에 상기 제1접착부재에 각각 부착되는 제1암컷접착부재를 가진 결속커버; 유아의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발측면갑피부와 수직절개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단에 밴드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는 밑창의 뒤꿈치부에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게 이루어진 발뒤꿈치갑피부; 및 상기 밴드관통홀을 통과한 양단부가 상기 발측면갑피부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가 뒤로 젖혀질 때 신축되도록 하는 탄력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아의 발등을 결속하기 위한 벨크로테이프를 갖는 결속커버가 발등보호덮개와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신발의 발등을 감싸는 결속방식을 신발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 당기도록 함으로써 신발을 신을 때 신발이 옆으로 돌아가거나 벗겨지지 않게 되는 등 유아용 신발을 용이하게 신고 벗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발 발뒤굽치갑피 부위가 뒤쪽으로 젖혀질 때 탄력밴드가 충분히 늘어나면서 젖혀짐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신발을 신고 벗길 수 있으며, 신발 착용 후에는 탄력밴드에 의해 안정적인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Easy to wear and take off baby shoes}
본 발명은 유아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을 신을 때 발뒤꿈치갑피부가 발 사이즈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뒤로 젖혀지도록 하며, 착용 후에는 발뒤꿈치를 안정적으로 감싸도록 하여 착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발등갑피부 개구부를 단속하는 결속커버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당겨 부착시키도록 이루어진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유아용 신발의 발등 결속구조를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진 결속밴드가 발등의 횡 방향으로 감싸면서 부착되도록 이루어져 있었다.
이에 따라 유아 발에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결속밴드(암컷)를 횡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신발 발등갑피부에 부착된 결속부(벨크로수컷)에 부착하여 결속하였기 때문에 유아용 신발이 옆으로 돌아가거나 신발이 벗겨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함으로써 유아에게 신발을 신겨 주는데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벨크로결속밴드가 적용된 유아용 신발은 벗는 과정에서도 결속밴드가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 스스로 신발을 벗지 못하므로 부모가 뒤꿈치 부분을 잡고 힘껏 당기면서 매번 벗겨줘야 함으로써 유아의 발목이 심하게 꺽이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밴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결속밴드가 개별적으로 부착된 유아용 신발인 경우에도 각각의 결속밴드를 신고 벗기는 과정에서 2차례에 걸쳐 때었다가 부착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신발끈이 적용된 유아용 신발은 끈을 풀고 매어주는 것이 불편하기 때문에 장식적인 요소로 신발끈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이 적용된 유아신발의 입구 측면이나 뒤굼치에 인접한 부분에 넓은 고무밴드를 재봉처리함으로써 신발을 벗길 때 고무밴드가 늘어나면서 신발이 잘 벗겨지도록 하였다.
하지만 유아용 신발은 전체적인 크기가 작기 때문에 180mm 이하의 영,유아용 사이즈에서는 고무밴드 설치 공간을 넓게 형성할 수 없으므로 고무밴드가 늘어나는 구간이 짧아 신축력이 떨어져 신발을 신기거나 벗기는 과정에서 고무밴드가 잘 늘어나지 못하여 신발을 신고 벗기는데 매우 불편하다
이처럼 고무밴드 부분이 전혀 없는 신발보다는 나을 수 있겠지만 유아 신발을 신어주는 과정에서 크게 편리함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내재되어 있었다.
그리고, 신발 측면에 고무밴드가 노출된 상태이므로 유아용 신발의 디자인이 깜찍하고 미려하게 디자인 할 수 없는 한계도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유사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5441호 "와이어 조임구를 구비한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와이어와 와이어조임구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발 뒤꿈치가 항상 신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조임구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처럼 선행기술의 와이어조임구를 구비한 신발은,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며, 전방 중앙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인갑피, 이 메인갑피의 하측에 결합되는 밑창,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발등을 덮는 발등보호갑피, 상기 개구부 및 메인갑피의 양 측면과 후방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와이어, 상기 메인갑피 또는 발등보호갑피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조여주는 와이어조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발등보호갑피의 외측에는 일단이 봉제되고 타단은 고정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한 전면커버가 더 설치되는 구성이다.
하지만 선행기술은 신발을 조임력을 가변하는 와이어 조임구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단가가 높은 문제가 있어 유아용 신발에 와이어 조임 방식의 구성을 적용하는데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544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아용 신발을 보다 용이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발뒤굼치갑피 전체가 뒤쪽으로 탄력적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고 신발 착용 후에는 탄성 복원되어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신발의 발등을 감싸는 결속방식을 변경한 것으로서, 신발 앞쪽에서 뒤꿈치 쪽으로 잡아당겨 신발의 발등갑피부의 양측에 벨크로와 같은 접착부재로서 부착하는 결속커버가 구비됨으로써 유아용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결속커버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편리하게 잡아당겨 발등갑피부에 부착시키도록 하여 유아의 발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으면서도 신발을 착용할 수 있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결속커버에는 발등갑피부 내측에 위치되는 발등보호덮개와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그 연결부위는 신발의 발등 갑피를 관통하여 장착됨으로써 결속커버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당겨 부착시키면서 발등갑피부와 발등보호덮개가 함께 부착되도록 착용 후 신발이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이루어진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결속커버와 발등보호덮개의 원단 재질을 신발 본체와 색다른 원단이나 재질의 적용이 가능하므로보다 다양한 형태의 유아용 신발의 디자인이 가능하고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은,
유아의 발등을 감싸는 발등갑피부; 상기 발등갑피부와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아의 발 내,외측면을 감싸는 발측면갑피부; 유아의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발측면갑피부와 수직절개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단에 밴드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는 밑창의 뒤꿈치부에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게 이루어진 발뒤꿈치갑피부; 및 상기 밴드관통홀을 통과한 양단부가 상기 발측면갑피부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가 뒤로 젖혀질 때 신축되도록 하는 탄력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은,
유아의 발등을 감싸며 중앙에 신발의 삽입구와 통하게 형성된 개구부 전방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발등갑피부; 상기 개구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수컷접착부재; 및 상기 관통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고 내측 양단에 상기 제1접착부재에 각각 부착되는 제1암컷접착부재를 가진 결속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은,
유아의 발등을 감싸며 중앙에 신발의 삽입구와 통하게 형성된 개구부 전방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양측에 한 쌍의 제1수컷접착부재를 가진 발등갑피부; 상기 발등갑피부와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아의 발 내,외측면을 감싸는 발측면갑피부; 상기 관통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고 내측 양단에 상기 제1접착부재에 각각 부착되는 제1암컷접착부재를 가진 결속커버; 유아의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발측면갑피부와 수직절개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단에 밴드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는 밑창의 뒤꿈치부에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게 이루어진 발뒤꿈치갑피부; 및 상기 밴드관통홀을 통과한 양단부가 상기 발측면갑피부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가 뒤로 젖혀질 때 신축되도록 하는 탄력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아의 발등을 감싸도록 상기 결속커버와 대응되게 상기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발등보호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속커버 내측면에는 제2암컷접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발등보호덮개 외측면에는 상기 제2암컷접착부재에 부착되는 제2수컷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속커버와 상기 발등보호덮개는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커버에는 2등분 쪼는 3등분으로 포개어 상기 관통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접이안내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속커버와 상기 발등보호덮개의 각 내측단부는 상기 밴드관통홀에 나사식 또는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밴드관통홀 외측에 드러나는 장식헤드부와 상기 장식헤드부와 나사조립 또는 억지 끼움되는 고정헤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헤드부에는 발등을 보호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관통부 내주면에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부와, 상기 결속커버와 상기 발등보호덮개 각 내측단부가 상기 걸림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리부로 이루어진 제2체결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관통부 내주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력밴드는 엘라스틱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력밴드의 중간부는 상기 밴드관통홀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헤드부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고정헤드부로부터 탄력밴드 양단부 사이의 신축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은 신발 앞쪽에서 뒤꿈치 쪽으로 잡아당겨 신발의 발등갑피부의 양측에 벨크로와 같은 접착부재로서 부착하는 결속커버가 발등보호덮개와 일체 또는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신발의 발등을 감싸는 결속방식을 신발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 당기도록 함으로써 신발을 신을 때 신발이 옆으로 돌아가거나 벗겨지지 않게 되는 등 유아용 신발을 용이하게 신고 벗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발 발뒤굽치갑피 부위가 뒤쪽으로 젖혀질 때 탄력밴드가 충분히 늘어나면서 젖혀짐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신발을 신고 벗길 수 있으며, 신발 착용 후에는 탄력밴드에 의해 안정적인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결속커버와 발등보호덮개의 원단 재질을 신발 본체와 색다른 원단이나 재질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유아용 신발의 디자인이 가능하고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유아용 신발의 결속 구성과 그 문제점을 나타낸 유아용 신발 측면사진들과 요부확대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 절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결속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결속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 절개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결속 구성을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신발의 결속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형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신발(100)의 뒤꿈치부가 신고 벗기 용이하면서 탄력있게 결속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발등갑피부(10)와, 발측면갑피부(20)와, 발뒤꿈치갑피부(30) 및 탄력밴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각 구성은 외피(부호 미도시)와 내피(부호 미도시)로 이루어지고,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완충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하단부는 신발(100)의 밑창(120) 뒤꿈치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발등갑피부(10)는 유아의 발등 전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중앙에 신발(100)의 삽입구(110)와 통하게 대략 "U"형으로 형성된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측면갑피부(20)는 상기 발등갑피부(1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발목 복숭아뼈 하측 경계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는 유아의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단부에 외피와 내피가 원형 단면으로 재봉처리되어 밴드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발측면갑피부(20)와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의 경계에는 대략 세로 방향으로 일자형 또는 대략 "V"형태의 수직절개부(21)가 형성되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가 상기 발측면갑피부(20)와 분리되고,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 하단부는 상기 신발(100)의 밑창(120)의 뒤꿈치부에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게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탄력밴드(40)는 단면형상이 원형의 와이어 또는 평단면인 밴드 형태의 엘라스틱(elastic)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력밴드(40)는 상기 밴드관통홀(31)을 통과한 다음 그 양단부는 상기 발측면갑피부(20) 상단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재봉 처리된 탄력밴드고정부(41)를 형성하여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탄력밴드(40)는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중간부는 발뒤꿈치갑피부(30) 상단에 형성된 발목밴드부의 밴드관통홀(31)에 여유있게 삽입되어 탄력밴드(40)와 밴드관통홀(31) 사이에 신축 가능한 여유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발뒤꿈치갑피부(30)를 잡아당기면 탄력밴드(40)는 당겨지는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유동적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유아의 발에 신발(100)을 착용할 때 유아의 발뒤꿈치를 넣기 전에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를 뒤로 쉽게 젖힐 수 있게 되고, 이때 탄력밴드(40)가 여유 있게 늘어나면서 신발(100)의 삽입구(110)가 확장되어 유아의 발에 신발(100)을 쉽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신발(100)을 착용한 후에는 늘어나 있던 탄력밴드(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가 다시 원상태로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에도 유아의 뒤꿈치전체를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가 안정적으로 감싸게 된다.
특히,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의 상단부는 상기 발목밴드부의 밴드관통홀(31)에 엘라스틱의 재질의 탄력밴드(40)가 신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엘라스틱 재질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발목밴드부는 유아의 발뒤꿈치 부분을 심하게 가압하지 않고 적절한 탄력으로 발뒤꿈치를 안정적으로 조여주게 됨으로써 유아가 신발(100)을 걷거나 뛰어 다니더라도 신발(100)이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력밴드(40)의 중간부는 상기 밴드관통홀(31)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력조절부(42)가 형성되어 이 탄력조절부(42)로부터 탄력밴드(40) 양단부 사이의 신축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한 실시예는 탄력밴드(40) 예컨대, 엘라스틱 밴드가 밴드관통홀(31)에 통과되어 엘라스틱 탄력밴드(40)의 전체 길이가 유동적으로 신축가능한 구성이라면 상기한 탄력조절부(42)의 실시형태는 탄력밴드(40)의 중간부가 밴드관통홀(31)에 재봉이나 리벳팅 처리되어 고정됨으로써 이 탄력조절부(42)를 기준으로 탄력밴드(40) 길이 조절에 따른 신축력을 유아의 연령층 또는 발 사이즈에 대응하여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신발(100)의 발등부위를 안정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발등갑피부(10)와, 발측면갑피부(20)와, 발뒤꿈치갑피부(30) 및 결속커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한 각 구성은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고,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완충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하단부는 신발(100)의 밑창(120)과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발등갑피부(10)는 유아의 발등 전체를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중앙에 신발(100)의 삽입구(110)와 통하게 대략 "U"형으로 형성된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측면갑피부(20)는 상기 발등갑피부(10)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발목 복숭아뼈 하측 경계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제2실시 형태에 따른 유아용 신발(100)은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다.
먼저 상기 발등갑피부(10)는 개구부(11) 전방에 원형 또는 장방형의 관통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1) 양측에는 한 쌍의 제1수컷접착부재(50)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속커버(60)는 상기 관통부(12)에 끼워져 지지되는 연결부(71)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71)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는 1/2 나비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속커버(60)의 내측 양단에는 상기 제1수컷접착부재(50)에 각각 부착되는 제1암컷접착부재(51)를 가진 구성이다.
상기 제1수컷접착부재(50) 및 제1암컷접착부재(51)는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71)는 관통부(12)에 끼워진 다음 재봉처리되어 고정됨으로써 결속커버(60)의 외측을 잡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당겨 발등갑피부(10) 위로 부착하여 결속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결속커버(60) 내측에 마련된 제1암컷접착부재(51)와 상기 개구부(11) 양측에 마련된 제1수컷접착부재(50)가 부착됨으로써 발등의 결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반대로 결속커버(60)를 전방으로 들어올려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암컷접착부재(51)와 제1수컷접착부재(50)가 분리됨으로써 발등의 결속 상태가 신속하게 해제되어 신발(100)을 쉽게 벗길 수 있게 된다.
상기 관통부(12)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부와 관통부사이에 미세 공간을 폐쇄하도록 마감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는 관통부(12)를 내측 또는 외측에서 실리콘, 고무 재질 또는 원단으로 폐쇄하여 이물질이나 물기 등이 신발(100) 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형태는 도 4 및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신발(100)의 발등부위를 안정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발등갑피부(10)와, 발측면갑피부(20)와, 발뒤꿈치갑피부(30)와, 결속커버(60) 및 탄력밴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한 탄력밴드(40)를 제외한 각 구성은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고,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완충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하단부는 신발(100)의 밑창(120)과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발등갑피부(10)는 유아의 발등을 감싸며 중앙에 신발(100)의 삽입구(110)와 통하게 형성된 개구부(11) 전방에 관통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1) 양측에 한 쌍의 제1수컷접착부재(50)를 가진 구성이다.
상기 발측면갑피부(20)는 상기 발등갑피부(10)와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아의 발 내,외측면을 감싸는 구성이다.
상기 결속커버(60)는 상기 관통부(12)에 끼워져 지지되는 연결부(71)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71)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고 내측 양단에 상기 제1수컷접착부재(50)에 각각 부착되는 제1암컷접착부재(51)를 가진 구성이다.
상기 제1수컷접착부재(50) 및 제1암컷접착부재(51)는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는 유아의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단에 밴드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측면갑피부(20)와 수직절개부(21)에 의해 분리되어 하단부는 밑창(120)의 뒤꿈치부에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게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탄력밴드(40)는 상기 밴드관통홀(31)을 통과한 양단부가 상기 발측면갑피부(20)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30)가 뒤로 젖혀질 때 신축되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아의 발등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부착하는 결속커버(60)에 의해 신발(100)을 착용한 후 결속커버(60)로서 간편하게 발등을 결속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발뒤꿈치갑피부(30)는 탄력밴드(40)에 의하여 용이하게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으므로 유아용 신발(100)의 삽입구(110)가 넓게 확장됨으로써 신발(100)을 신고 벗길 때 편리하게 착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신발(100)을 착용한 후에는 탄력밴드(40)에 의해 발뒤꿈치부위를 적절한 압력으로 탄력적으로 감싸줌으로써 신발(100)을 신고 걷거나 뛰어다녀도 신발(100)이 쉽게 벗겨지지 않아 유아들이 편안한 착용감으로 활동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유아용 신발(100)은 아래와 같은 결속 구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유아의 발등을 감싸도록 상기 결속커버(60)와 대응되게 상기 연결부(71)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71)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발등보호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는 연결부(71)에 의해 일체형으로 되어 대략 나비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결속커버(60)나 발등보호커버(70)를 관통부(12)를 통과시킨 다음 그 중간의 연결부(71)는 관통부(12)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부(71)를 관통부(12)의 내주면과 재봉 처리함으로써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가 관통부(12)를 기준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커버(6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잡아당겨 발등갑피부(10) 위로 부착할 때 연결부(71)가 관통부(12)에 재봉 처리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등보호커버(70)가 함께 당겨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결속커버(60)와 상기 발등보호덮개는 연결부(7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커버(60) 또는 발등보호덮개에는 2등분 또는 3등분으로 포개어 상기 관통부(12)를 통과시키기 위한 접이안내선(61)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2)는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덮개 외측단부 즉 폭이 넓은 쪽으로 삽입하여 통과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결속커버(60) 또는 상기 발등보호덮개 어느 한쪽에 길이 방향으로 접이안내선(61)을 형성하여 서로 포개어 폭을 줄인 상태로 관통부(12)를 통과시켜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커버(60) 내측면에는 제2암컷접착부재(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등보호덮개 외측면에는 상기 제2암컷접착부재(53)에 부착되는 제2수컷접착부재(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컷접착부재(52) 및 제2암컷접착부재(53)는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결속커버(60)는 제1암컷접착부재(51) 및 제1수컷접착부재(50)에 의해 상기 발등갑피부(10)에 고정되고, 그 중앙에 배치되는 상기 제2암컷접착부재(53) 및 제2수컷접착부재(52)에 의해 발등보호커버(70)와 부착됨으로써 2중 구조로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활동성이 많은 유아들이 착용하는 신발(100)에 적용하는 경우 유아의 발등을 보다 강하게 결속시킬 수 있어 신발(100)이 잘 벗겨지지 않으면서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각 연결부(71)가 형성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결속커버(60)와 상기 발등보호덮개(70)의 각 내측단부는 상기 밴드관통홀(31)에 나사식 또는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80)에 의해 조립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80)는 상기 밴드관통홀(31) 외측에 드러나는 장식헤드부(81)와, 상기 장식헤드부(81)와 나사조립 또는 억지 끼움되는 고정헤드부(8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장식헤드부(81)와 고정헤드부(83)는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으로서 원형 또는 다각형을 이루는 납작한 형태의 헤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식헤드부(81)에는 신발(100) 브랜드나 유아들이 좋아하는 캐릭터 모양의 장식부재(미도시)가 스티커 또는 인쇄 처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헤드부(81)와 고정헤드부(83)는 상기 밴드관통홀(31)을 통과하여 서로 나사조립되는 보스형상의 너트부(82)와 볼트부(84)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의 내측단부에는 너트부(82)와 볼트부(84)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부(82)와 볼트부(84)는 상기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의 끼움홀과 관통부(12)를 통과하여 나사 조립되고, 나사 체결력에 의해 상기 장식헤드부(81)와 고정헤드부(83)는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의 내측단부가 서로 눌려 관통부(12)에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헤드부(83)에는 유아의 발등을 보호하는 보호캡(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헤드부(83)는 체결력을 위해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신발(100)을 착용한 후 고정헤드부(83)가 유아의 발등을 가압할 수 있으므로 탄성재질의 보호캡(85)을 고정헤드부(83) 저면에 부착하거나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한 볼트부(84)와 너트부(82)는 제1체결부재(80)가 나사식으로 조립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장식헤드부(81)와 고정헤드부(83)에 리벳 조립식으로 체결되는 끼움보스(미도시)와 끼움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덮개는 서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져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체결부재(90)에 의해 상기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덮개의 각 연결부(71)가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체결부재(90)는 상기 관통부(12) 내주면에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부(91)와, 상기 결속커버(60)와 상기 발등보호덮개 각 내측단부가 상기 걸림부(9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리부(92)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체결부재(90) 일측의 고리부(92)에 상기 발등보호커버(70)의 연결부(71)를 끼워 재봉처리한 다음 제2체결부재(90)를 관통부(12)에 끼워 걸림부(91)가 관통부(12)의 내부면에 걸리도록 한다.
그리고, 타측 고리부(92)에 결속커버(60)의 연결부(71)를 끼워 재봉처리함으로써 결속커버(60)와 발등보호커버(70)를 발등갑피부(10)의 관통부(12)에 간편하게 조립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전술한 상기 관통부(12)에는 내주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원형 또는 장방형 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발등갑피부(10)의 관통부(12)는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므로 두께가 얇은 가죽이나 천으로 이루어진 경우 강도가 약하여 결속부재를 반복적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관통부(12) 내주면에 보강부재(13)를 리벳팅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관통부(12)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발등갑피부 11: 개구부
12: 관통부 13: 보강부재
20: 발측면갑피부 21: 수직절개부
30: 발뒤꿈치갑피부 31: 밴드관통홀
40: 탄력밴드 41: 탄력밴드고정부
42: 탄력조절부
50: 제1수컷접착부재 51: 제1암컷접착부재
52: 제2수컷접착부재 53: 제2암컷접착부재
60: 결속커버 61: 접이안내선
70: 발등보호커버 71: 연결부
80: 제1체결부재 81: 장식헤드부
82: 너트부 83: 고정헤드부
84: 볼트부 85: 보호캡
90: 제2체결부재 91: 걸림부
92: 고리부
100: 유아용 신발 110: 삽입구
120: 밑창

Claims (12)

  1. 유아의 발등을 감싸는 발등갑피부;
    상기 발등갑피부와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아의 발 내,외측면을 감싸는 발측면갑피부;
    유아의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발측면갑피부와 수직절개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단에 밴드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는 밑창의 뒤꿈치부에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게 이루어진 발뒤꿈치갑피부; 및
    상기 밴드관통홀을 통과한 양단부가 상기 발측면갑피부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가 뒤로 젖혀질 때 신축되도록 하는 탄력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2. 유아의 발등을 감싸며 중앙에 신발의 삽입구와 통하게 형성된 개구부 전방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발등갑피부;
    상기 개구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수컷접착부재; 및
    상기 관통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고 내측 양단에 상기 제1접착부재에 각각 부착되는 제1암컷접착부재를 가진 결속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3. 유아의 발등을 감싸며 중앙에 신발의 삽입구와 통하게 형성된 개구부 전방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양측에 한 쌍의 제1수컷접착부재를 가진 발등갑피부;
    상기 발등갑피부와 일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아의 발 내,외측면을 감싸는 발측면갑피부;
    상기 관통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고 내측 양단에 상기 제1접착부재에 각각 부착되는 제1암컷접착부재를 가진 결속커버;
    유아의 발뒤꿈치를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발측면갑피부와 수직절개부에 의해 분리되며, 상단에 밴드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는 밑창의 뒤꿈치부에 고정되어 뒤로 젖혀지게 이루어진 발뒤꿈치갑피부; 및
    상기 밴드관통홀을 통과한 양단부가 상기 발측면갑피부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발뒤꿈치갑피부가 뒤로 젖혀질 때 신축되도록 하는 탄력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의 발등을 감싸도록 상기 결속커버와 대응되게 상기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발등보호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커버 내측면에는 제2암컷접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발등보호덮개 외측면에는 상기 제2암컷접착부재에 부착되는 제2수컷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커버와 상기 발등보호덮개는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커버에는 2등분 쪼는 3등분으로 포개어 상기 관통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접이안내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커버와 상기 발등보호덮개의 각 내측단부는 상기 밴드관통홀에 나사식 또는 끼움식으로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밴드관통홀 외측에 드러나는 장식헤드부와 상기 장식헤드부와 나사조립 또는 억지 끼움되는 고정헤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헤드부에는 발등을 보호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내주면에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부와, 상기 결속커버와 상기 발등보호덮개 각 내측단부가 상기 걸림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고리부로 이루어진 제2체결부재에 의해 조립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내주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밴드는 엘라스틱 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12.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밴드의 중간부는 상기 밴드관통홀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력조절부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탄력조절부로부터 탄력밴드 양단부 사이의 신축력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KR1020140149085A 2014-10-30 2014-10-30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KR101649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85A KR101649149B1 (ko) 2014-10-30 2014-10-30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085A KR101649149B1 (ko) 2014-10-30 2014-10-30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88A true KR20160050588A (ko) 2016-05-11
KR101649149B1 KR101649149B1 (ko) 2016-08-19

Family

ID=5602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085A KR101649149B1 (ko) 2014-10-30 2014-10-30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2318A (zh) * 2018-09-30 2019-01-18 福建起步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易穿脱式童鞋
KR20230102259A (ko) *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디자인시공사 보호부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77U (ko) * 1989-06-13 1991-01-24
KR100715441B1 (ko) 2006-03-03 2007-05-07 주식회사 엘림코퍼레이션 와이어조임구를 구비한 신발
WO2010011275A1 (en) * 2008-07-21 2010-01-28 Galit Danielle Malka-Harari Expandable and adjustable baby shoe
KR20100012129A (ko) * 2008-07-28 2010-02-08 양계선 무술용 덧신
KR200470361Y1 (ko) * 2013-09-05 2013-12-10 이준규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77U (ko) * 1989-06-13 1991-01-24
KR100715441B1 (ko) 2006-03-03 2007-05-07 주식회사 엘림코퍼레이션 와이어조임구를 구비한 신발
WO2010011275A1 (en) * 2008-07-21 2010-01-28 Galit Danielle Malka-Harari Expandable and adjustable baby shoe
KR20100012129A (ko) * 2008-07-28 2010-02-08 양계선 무술용 덧신
KR200470361Y1 (ko) * 2013-09-05 2013-12-10 이준규 신축 밴드가 구비된 신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2318A (zh) * 2018-09-30 2019-01-18 福建起步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易穿脱式童鞋
CN109222318B (zh) * 2018-09-30 2024-01-09 福建起步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易穿脱式童鞋
KR20230102259A (ko) *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디자인시공사 보호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149B1 (ko) 201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0868B2 (en) Footwear with closing mechanism permitting easy donning and doffing
US9510638B2 (en) Securement strap for a sandal
US7441348B1 (en) Leisure shoe
US6823610B1 (en) Shoe lace fastener
US7607242B2 (en) Footwear
US7765721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removable eyelet portion
US20150305442A1 (en) Footwear with an Integrated Donning Mechanism
JP6788059B2 (ja) 履物の緊締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US20160081433A1 (en) Lacing system for shoe
US6094841A (en) Tongue for footwear
US20140144048A1 (en) Naturally Adjusting Sandal
KR101649149B1 (ko)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CA2957924C (en) Shoe with flexible upper
JP4047871B2 (ja) 甲留めベルトで係合する靴
JP3153197U (ja) 運動靴
KR20110012012U (ko) 밴드타입 구두용 발등 신축조절장치
KR102601886B1 (ko)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
KR102369072B1 (ko)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KR102332574B1 (ko) 뒤꿈치 상부가 이격되는 하이힐
KR200482330Y1 (ko) 신발끈 조임구
JP2003180406A (ja)
KR200194257Y1 (ko) 고무줄 신발끈
KR20090123142A (ko) 덧신
KR20010030933A (ko) 신발용의 개량된 혀
JP3118035U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