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886B1 -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 - Google Patents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886B1
KR102601886B1 KR1020210180482A KR20210180482A KR102601886B1 KR 102601886 B1 KR102601886 B1 KR 102601886B1 KR 1020210180482 A KR1020210180482 A KR 1020210180482A KR 20210180482 A KR20210180482 A KR 20210180482A KR 102601886 B1 KR102601886 B1 KR 102601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string
shoe
movable part
upp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1401A (ko
Inventor
김정수
강용수
Original Assignee
(주)이지지오
김정수
강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지오, 김정수, 강용수 filed Critical (주)이지지오
Priority to KR1020210180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886B1/ko
Publication of KR2023009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95Piece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5/00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힐 부위가 신발 갑피에서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착탈화 및 사이즈 조절이 용이한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의 힐 부위로서 갑피부에서 분할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힐 가동부와, 상기 힐 가동부와 갑피부를 연결하는 끈으로 마련되는 스트링과, 상기 갑피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링의 길이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힐 가동부를 갑피부에 밀착시키거나 멀어지게 조절하는 스트링 조절부 및 상기 힐 가동부와 갑피부에 복수개 마련되어 스트링이 꿰어지는 아일렛을 포함하고, 상기 힐 가동부 일부가 갑피부 일부에 오버레이 되어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The Footwear of Heel Cup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본 발명은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힐 부위가 신발 갑피에서 분할 가능하게 형성되어 착탈화 및 사이즈 조절이 용이한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걷기, 달리기 등의 여러 활동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발에 꼭 맞게 신는 것이 일반적이다. 신발을 안정적으로 발에 피팅하기 위해서는 발 크기에 맞는 적합한 사이즈의 신발을 선택하고 신발끈 등을 통해 발에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신발을 신고 벗는 동작은 활동하면서 반복할 수밖에 없고, 신을 때마다 신발끈을 다시 조정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었다. 그나마 운동화와 같은 탄력성 및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 신발은 신발끈을 일정 정도로만 조여놓고 약간의 불편함을 감수하고 신고 벗을 수 있었으나, 구두와 같은 드레스슈의 경우 유연성이 떨어지는 가죽재질로 이루여져 있어 신고 벗기의 불편함이 더욱 크게 늦겨진다.
또한, 이러한 구두와 같은 신발류는 매번 신발끈을 고쳐 신는 것이 매우 번거로웠으므로 신발끈은 적당하게 조이도록 묶어두고 구두주걱과 같은 보조도구들을 이용하여 착화하여 왔다. 이와 같이, 기존에는 신발은 신고 벗는 데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이 발에 정확히 맞지 않으면, 발을 너무 조여 통증을 유발하고, 너무 헐거우면 벗겨지거나 물집이 생기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통상의 신발은 길이에 대한 피팅 편차가 신발 사이즈로(5mm 단위)로 정해져 있고 단지 배라부를 끈으로 조이고 풀어 피팅을 하는 발볼 맞춤형인 반면, 사람의 발은 5mm 단위로 정해져 있지 않고 오른발과 왼발의 길이 또한 조금씩 차이가 있어 개개인의 발에 정확하게 피팅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배라부에만 구성된 끈은 풀어도 발등에만 약간의 여유가 있을 뿐 발바닥부는 신발과 맞닿아 있어 휴식 간 땀이 배출되는 효과가 없으며 땀 배출을 위해서는 신발에서 발을 어느정도 빼거나 혹은 땀배출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추가로 구성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힐 가동부가 유동되어 신발 길이 방향의 피팅은 물론 손쉽게 발과 신발 접촉부에 공간을 확보 할 수 있어 휴식 또는 이동이 없을 때 신발 내부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악취와 피부질환 등을 예방하거나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신발을 편하게 신고 벗기 위해서 착용자의 발등 측의 갑피에 벨크로(velcro) 및 파스너 테이프(fastener tape)를 이용해 착용자의 발에 맞추게 하는 기술이 통용되어 왔다.
그러나 벨크로를 이용하는 조임수단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벨크로의 접착력이 떨어지게 되고 벨크로에 자연적으로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는 단점이 있으며 잦은 개폐로 인해 그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3525호는 신발끈 조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길이측으로 신축성 있는 탄성밴드와, 상기 탄성밴드의 길이측 일측 단부에 고정끈을 매개로 연결되어 신발끈의 두 갈래가 통과된 후 조여지도록 제어하는 코드락과, 상기 탄성밴드의 길이측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코드락을 통과한 신발끈의 두 갈래가 탄성밴드의 바깥면에서 안쪽면으로 각각 통과되도록 잡아주는 좌우 한 쌍의 제1 끼움홀과, 상기 탄성밴드의 길이측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제1 끼움홀을 통과한 신발끈의 두 갈래 끝단이 탄성밴드의 안쪽면에서 바깥면으로 각각 통과된 후 신발끈의 양 끝단측 매듭부가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좌우 한 쌍의 제2 끼움홀과, 상기 탄성밴드의 안쪽면에서 길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박음질되어 신발끈의 두 갈래가 탄성밴드에 밀착되도록 잡아주는 다수의 제1 벨크로와, 상기 탄성밴드의 바깥면에 일정한 면적으로 박음질되어 탄성밴드가 신발의 발목 외주연에 감길 때 탄성밴드의 안쪽면 제1 벨크로와 대응되게 맞닿아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제2 벨크로로 구성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제조원가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구조 및 조작이 간편함과 동시에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신발끈의 조임 및 풀림 길이에 제한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발끈을 사용하는 모든 신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신발끈을 조절하는 종래의 방식을 따르고 있어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352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힐 부위가 가동하여 신발의 착탈 및 길이 방향으로의 사이즈 조정 등을 용이하게 하는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은, 신발의 힐 부위로서 갑피부에서 분할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힐 가동부와, 상기 힐 가동부와 갑피부를 연결하는 끈으로 마련되는 스트링과, 상기 갑피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링의 길이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힐 가동부를 갑피부에 밀착시키거나 멀어지게 조절하는 스트링 조절부 및 상기 힐 가동부와 갑피부에 복수개 마련되어 스트링이 꿰어지는 아일렛을 포함하고, 상기 힐 가동부 일부가 갑피부 일부에 오버레이되어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일렛은 힐 가동부 양측에 복수 개 마련되어 스트링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힐 가동부에는 탄성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부는 힐 가동부가 갑피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은, 힐 가동부, 스트링 및 스트링 조절부를 통해 신발의 힐 부위가 가동하여 신발의 착탈은 물론 길이 방향으로의 사이즈 조정 등이 용이한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의 일실시예에 따른 힐 가동부, 스트링, 스트링 조절부를 포함하는 신발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의 일실시예에 따른 힐 가동부, 스트링, 스트링 조절부를 포함하는 신발을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힐 가동부가 탄성부에 의해 신발 후단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힐 가동부를 신발 후단으로 젖히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힐 가동부가 젖혀져 있어 용이하게 신발에 발을 넣고, 발에 맞게 피팅 하기까지의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스트링을 감을 수 있는 스트링 조절부의 릴부의 형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스트링 및 배라부의 신발끈을 동시에 감을 수 있도록 스트링 조절부가 릴부가 다단으로 이루어진 멀티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 길이가 길 때 힐 가동부의 조정을 통해 신발의 길이 사이즈기 길게 피팅 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 길이가 짧을 때 힐 가동부의 조정을 통해 신발의 길이 사이즈기 짧게 피팅 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미세 조절부가 머리가 일자형인 나사 형태로 적용된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미세 조절부가 머리가 십자형인 나사 형태로 적용된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미세 조절부가 코드락 형태로 적용된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의 일실시예에 따른 힐 가동부, 스트링, 스트링 조절부를 포함하는 신발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의 일실시예에 따른 힐 가동부, 스트링, 스트링 조절부를 포함하는 신발을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힐 가동부가 탄성부에 의해 신발 후단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힐 가동부를 신발 후단으로 젖히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힐 가동부가 젖혀져 있어 용이하게 신발에 발을 넣고, 발에 맞게 피팅 하기까지의 과정을 흐름도로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스트링을 감을 수 있는 스트링 조절부의 릴부의 형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스트링 및 배라부의 신발끈을 동시에 감을 수 있도록 스트링 조절부가 릴부가 다단으로 이루어진 멀티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 길이가 길 때 힐 가동부의 조정을 통해 신발의 길이 사이즈기 길게 피팅 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 길이가 짧을 때 힐 가동부의 조정을 통해 신발의 길이 사이즈기 짧게 피팅 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미세 조절부가 머리가 일자형인 나사 형태로 적용된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미세 조절부가 머리가 십자형인 나사 형태로 적용된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에 있어서, 미세 조절부가 코드락 형태로 적용된 것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신발등의 배라부를 끈으로 조이고 풀어 피팅을 하나, 이는 발볼 넓이 및 발등 높이에 기준한 것으로 길이에 대한 피팅 보정은 신발 사이즈(5mm 단위)에 의해 이미 정해져 있다. 하지만 같은 사람의 발이라도 좌우 길이 편차가 분명히 존재하며 기성화 사이즈에 꼭 맞지 않는 경우가 다수이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불편함이 늘 존재해 왔었다.
본 발명에서는 사이즈가 맞지 않아 불편한 피팅을 유동 가능한 힐 가동부에 의해 충분히 개선 가능하다. 또한, 힐 가동부 또는 갑피부 패턴을 수정하여 힐 가동부의 피팅력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힐 부위로서 갑피부(1)에서 분할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힐 가동부(2)와, 상기 힐 가동부(2)와 갑피부(1)를 연결하는 끈으로 마련되는 스트링(4)과, 상기 갑피부(1)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링(4)의 길이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힐 가동부(2)를 갑피부(1)에 밀착시키거나 멀어지게 조절하는 스트링 조절부(5) 및 상기 힐 가동부(2)와 갑피부(1)에 복수 개 마련되어 스트링(4)이 꿰어지는 아일렛(6)을 포함하고, 상기 힐 가동부(2) 일부가 갑피부(1) 일부에 오버레이 되어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힐 가동부(2)가 갑피부(1)에 오버레이 되는 정도를 조절 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더욱 편안한 피팅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힐 가동부(2)는 신발의 힐 부위로서 갑피부(1)에서 분할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힐 가동부(2)는 신발에서 착용자의 뒤꿈치를 감싸는 힐컵 부위이고, 본 발명에서는 신발의 갑피부(1)(upper)에서 분할 가능하게 마련되며 선택적으로 갑피부(1)에 완전히 밀착되거나 이완되어 신발 입구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상기 힐 가동부(2)가 갑피부(1)에 밀착될 때는 힐 가동부(2)의 측단 일부가 갑피부(1) 일부에 오버레이 되어 덮게 된다. 상기 힐 가동부(2)가 갑피부(1)를 덮음으로써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힐 가동부(2)가 갑피부(1)에 오버레이 되는 정도를 조절 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더욱 편안한 피팅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링(4)은 상기 힐 가동부(2)와 갑피부(1)를 연결하는 끈으로 마련된다. 상기 스트링(4)은 힐 가동부(2)를 갑피부(1) 방향으로 당겨 힐 가동부(2)가 갑피부(1)에 밀착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 이상의 장력과 내구성을 갖춘 끈이라면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는 상기 갑피부(1)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링(4)의 길이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힐 가동부(2)를 갑피부(1)에 밀착시키거나 멀어지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링 조절부(5)는 끈을 감는 릴을 포함하는 다이얼 식으로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스트링(4)을 감아 힐 가동부(2)가 갑피부(1)에 밀착하게 할 수 있고, 타방향으로 돌려서 감긴 스트링(4)을 풀어 힐 가동부(2)가 갑피부(1)에서 이완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스트링 조절부(5)는 갑피부(1) 상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고, 각 스트링(4)이 대응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링 조절부(5)는 복수 개의 스트링(4)을 감을 수 있게 스트링(4)이 감기는 릴부가 다단으로 이루어진 멀티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링 조절부(5)가 멀티타입으로 형성될 경우, 각 릴부의 직경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1회전에 상기 스트링 조절부(5) 각 릴부의 둘레만큼 각각 다른 길이로 스트링(4)이 감길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나의 상기 스트링 조절부(5)로 힐 가동부(2)와 배라부(3)를 동시에 감고 풀어 피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신발을 죄일 때 사용하는 신발끈과 스트링(4)을 동시에 상기 스트링 조절부(5)에 감아 피팅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트링 조절부(5)의 각 릴부의 둘레 길이가 다르므로 스트링(4)과 신발끈은 각각 다른 길이만큼 감기게 된다. 추후에 설명할 하기의 미세 조절부(8)를 통해 섬세한 피팅 조절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일렛(6)은 상기 힐 가동부(2)와 갑피부(1)에 복수 개 마련되어 스트링(4)이 꿰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일렛(6)의 위치는 상기 힐 가동부(2)와 갑피부(1) 상에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스트링(4)이 관통하여 힐 가동부(2)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에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일 실시예로, 상기 아일렛(6)은 힐 가동부(2)와 갑피부(1)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관통되는 상기 스트링(4)이 당겨짐으로써 힐 가동부(2)는 갑피부(1)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일렛(6)은 힐 가동부(2) 양측부에 복수 개 마련되고 스트링(4)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스트링 조절부(5)는 일측에만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 조절부(5)의 조작을 통해 스트링(4)의 길이를 짧아지게 하면 힐 가동부(2)가 갑피부(1)에 붙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트링(4)은 힐 가동부(2) 양측에 힘을 가하므로 더욱 견고하게 힐 가동부(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스트링 조절부(5)는 양측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각 스트링 조절부(5)의 조작을 통해 스트링(4)의 길이를 짧아지게 하면 힐 가동부(2)가 갑피부(1)에 붙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트링(4)은 힐 가동부(2) 양측에 각각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더욱 견고하게 힐 가동부(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힐 가동부(2)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아일렛(6) 중 힐 가동부(2) 상단부에 마련되는 아일렛(6)이 있을 수 있다. 이는 신발 착용 시 발 뒷꿈치 위쪽을 상기 힐 가동부(2)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스트링 조절부(5) 및 아일렛(6)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고, 고정력을 가하고 싶은 위치에 상기 스트링(4)이 힘을 가하도록 아일렛(6)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트링 조절부(5)와 아일렛(6)의 위치는 한정 되지 않고 여러 위치에 마련될 수 있으며, 등산용, 일상생활용, 간편화 등 다양한 목적에 따라 다르게 디자인 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힐 가동부(2)에는 탄성부(7)가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부(7)는 힐 가동부(2)가 갑피부(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7)의 일단은 갑피부(1)에 고정되고 나머지 몸체가 힐 가동부(2)에 내삽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힐 가동부(2)가 갑피부(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힐 가동부(2)는 발 뒷굽과 뒷목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갑피부(1)에 밀착하였을 시 일정한 곡률값으로 굽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7)는 힐 가동부(2)의 곡률값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스트링(4)에 의해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는 힐 가동부(2)가 탄성부(7)에 의해 자연스레 갑피부(1)에서 멀어지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7)는 발 뒷굽 곡률값의 반대값으로 제작되어 스트링(4)을 풀면 복원력에 의하여 힐 가동부(2)를 자동으로 오픈되게 한다.
또한, 상기 힐 가동부(2)를 오픈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탄성부(7)는 배치되는 위치나 형태, 크기, 수량 등에 대하여는 한정되지 않으나, 착용자의 발 뒷목이 쓸리지 않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탄성부(7)는 갑피부(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어져 있는 판 형태의 플라스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탄성부(7)는 탄성력을 지닌 밴드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탄성부(7)는 판 및 밴드 형태가 동시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힐 가동부(2)는 일측이 아니라 양측이 개방되는 형태의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스트링 조절부(5)가 단일에서 복수 개까지 한정되지 않고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일렛(6) 또한 힐 가동부(2) 상에서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마련되어 스트링 조절부(5)와 스트링(4)에 의해 힐 가동부(2)가 갑피부(1)에 밀착되거나 이완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미세 조절부(8)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세 조절부(8)는 스트링 조절부(5)에 일측부터 감기는 스트링(4)의 타측을 감는 구성으로, 착용자에게 맞게 신발을 최초 피팅한 후에는 상기 힐 가동부(2)를 회동시키기 위해 스트링 조절부(5)만 조절하고 미세 조절부(8)는 사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 조절부(8)는 조정 가능한 스트링(4)의 길이를 설정하는 데 활용되는 것으로, 상기 힐 가동부(2)가 회동되는 범위 및 갑피부(1)에 오버레이 되는 간격을 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조절부(8)는, 상기 스트링 조절부(5)가 멀티타입으로 형성될 경우, 배라부(3)에서 연장되는 신발끈과 힐 가동부(2)의 간격을 조절하는 스트링(4)이 평소에 착탈화가 편하도록 사전 설정하는 역할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트링(4)을 최대로 감고도 더욱 신발을 발에 맞게 피팅하고자 할 때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9(A) 및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 조절부(8)는 나사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트링(4)은 미세 조절부(8)에 감겨 고정됨으로써 스트링 조절부(5)에 감길 수 있는 길이가 제한되게 된다.
일 실시예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 조절부(8)는 코드락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트링(4)은 코드락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었다가 코드락의 버튼을 누르면 탄성력이 해제되어 길이를 재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은 스트링 조절부(5)로 힐과 배라부(3)를 동시에 감고 풀어 피팅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스트링 조절부(5)로 스트링(4) 길이가 다른 힐과 배라 스트링(4)을 동시에 감고 풀기 위한 수단으로 스트링 조절부(5)의 릴부는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1회전에 다른 두 개의 스트링(4)을 각각 원하는 길이로 감거나 풀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조절부(8)를 통해 힐 가동부(2)와 배라부(3)의 피팅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힐 가동부(2)가 갑피부(1)에 오버레이 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발 길이에 따라 오버레이 간격을 조절하여 더욱 편안한 피팅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힐 가동부(2)가 갑피부(1)에서 멀어지게 조절이 가능하므로 넓은 신발입구를 제공하여 신발을 신고 벗는 데에도 기존의 배라부(3)만 조절하던 방식보다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은, 신발의 힐 부위를 개폐형으로 구성하고 이를 가동시켜 간편하게 착탈화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길이 방향으로의 사이즈 조정과 휴식이나 앉은 자세 등 활동이 없을 때 상기 힐 가동부(2)를 가동시켜 발과 신발과의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고 신발 내부 수분과 열기를 배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쾌적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갑피부
2 : 힐 가동부
3 : 배라부
4 : 스트링
5 : 스트링 조절부
6 : 아일렛
7 : 탄성부
8 : 미세 조절부

Claims (3)

  1. 신발의 힐 부위로서 갑피부에서 분할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힐 가동부;
    상기 힐 가동부와 갑피부를 연결하는 끈으로 마련되는 스트링;
    상기 갑피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링의 길이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힐 가동부를 갑피부에 밀착시키거나 멀어지게 조절하는 스트링 조절부;
    상기 갑피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스트링의 힐 가동부 반대방향 끝단 부위에 체결되어, 상기 스트링 조절부에 일측부터 감기는 스트링의 타측을 감거나 또는 고정시키는 미세 조절부; 및
    상기 힐 가동부와 갑피부에 복수개 마련되어 스트링이 꿰어지는 아일렛;을 포함하고,
    상기 힐 가동부 일부가 갑피부 일부에 오버레이되어 덮도록 하되,
    상기 아일렛은 힐 가동부 양측에 복수개 마련되어 스트링이 연결되고,
    상기 힐 가동부에는 탄성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부는 힐 가동부가 갑피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80482A 2021-12-16 2021-12-16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 KR102601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482A KR102601886B1 (ko) 2021-12-16 2021-12-16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482A KR102601886B1 (ko) 2021-12-16 2021-12-16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401A KR20230091401A (ko) 2023-06-23
KR102601886B1 true KR102601886B1 (ko) 2023-11-14

Family

ID=8699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482A KR102601886B1 (ko) 2021-12-16 2021-12-16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8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5823A1 (en) * 2000-09-18 2002-07-25 Yui Laio Shoe with a pivotal counter portion
US20180199659A1 (en) * 2015-07-27 2018-07-19 Chris Lintaman Length-adjustable shoe
US20190021447A1 (en) * 2017-07-18 2019-01-24 Boa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s for minimizing dynamic lace move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525B1 (ko) 2014-07-29 2015-10-27 윤재선 신발끈 조임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5823A1 (en) * 2000-09-18 2002-07-25 Yui Laio Shoe with a pivotal counter portion
US20180199659A1 (en) * 2015-07-27 2018-07-19 Chris Lintaman Length-adjustable shoe
US20190021447A1 (en) * 2017-07-18 2019-01-24 Boa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s for minimizing dynamic lace mov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401A (ko)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92535B (zh) 具有带边缘的编织鞋面的鞋类制品
KR910008961B1 (ko) 조절 가능한 체결띠 장치를 갖는 끈없는 신발
US6877256B2 (en) Boot and liner with tightening mechanism
US5467537A (en) Shoe with adjustable closure system
US20090313854A1 (en) Versatile sandal having adjustable straps
JP5643420B2 (ja) 取り外し可能なラップを有する履物
US4870761A (en) Shoe construction and closure components thereof
US5157813A (en) Shoelace tensioning device
US4394803A (en) Elasticized overlay
US4594798A (en) Shoe heel counter construction
WO2009137662A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integrated arch strap
WO2012106502A1 (en) Tendon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080201986A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removable eyelet portion
US20130298426A1 (en) Tongueless Footwear With A Canopy
US6094841A (en) Tongue for footwear
US20170172248A1 (en) Arch Support
US2530637A (en) Arch support
KR102601886B1 (ko) 힐 부위가 개폐되는 신발
KR101649149B1 (ko)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US20110047820A1 (en) Girthwise adjustable laced shoe construction
KR100687625B1 (ko) 신발끈 없는 신발
KR20180079740A (ko) 종아리 토시
US11963584B2 (en) Shoe having elastic lace(s) and looping element
US20230363488A1 (en) Tightening system for ski boots
KR200395910Y1 (ko) 샌들형 인라인 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