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072B1 -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 Google Patents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072B1
KR102369072B1 KR1020210138116A KR20210138116A KR102369072B1 KR 102369072 B1 KR102369072 B1 KR 102369072B1 KR 1020210138116 A KR1020210138116 A KR 1020210138116A KR 20210138116 A KR20210138116 A KR 20210138116A KR 102369072 B1 KR102369072 B1 KR 102369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kle
shoe
instep
shoelac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강수
Original Assignee
(주)지패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패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지패션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38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6Rear lacing, i.e. with a lace placed on the back of the foot in place of, or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front l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5/00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갑피의 개구된 상부를 신발끈에 의해 조임과 함께 신발갑피의 개구된 상부에 위치한 신발끈의 상부를 감싸 개구된 갑피 양측단을 스트랩에 의한 당겨져 부착 고정되어 개구된 갑피의 이동을 지지 보강하여 발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더불어 신발끈과 연결되어 신발의 발목부 양측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동시에 가압시키면서 조여질 수 있도록 보아시스템을 적용하여 발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발목뒤틀림 및 쏠림을 방지하고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불편함이나 피로감을 줄이고, 발목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에 위치하여 끈구멍을 통해 연결된 신발끈 양단이 양측의 발목갑피 내측을 통해 연장되면서 발목갑피의 후측 중앙에 마련된 조임다이얼에 연결되어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를 조임과 함께 발목갑피가 발목을 향하도록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아시스템과, 상기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의 양측단 중 일측단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끈구멍을 통해 가로질러 연결된 신발끈 상부를 가로질러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의 양측단 중 타측단 일면에 부착 고정되는 복수 개의 스트랩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LIFTING SHOES WITH STRAPS AND BOA-SYSTEM}
본 발명은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갑피의 개구된 상부를 신발끈에 의해 조임과 함께 갑피의 개구된 상부에 위치한 신발끈의 상부를 감싸 개구된 갑피 양측단을 스트랩에 의한 당겨져 부착 고정되어 개구된 갑피의 이동을 지지 보강하여 발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더불어 신발끈과 연결되어 신발의 발목부 양측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동시에 가압시키면서 조여질 수 있도록 보아시스템을 적용하여 발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발목뒤틀림 및 쏠림을 방지하고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불편함이나 피로감을 줄이고, 발목 부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발목이 높은 신발의 주 기능적 목적은 발목의 움직임으로 야기될 수 있는 발목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패션용 신발(부츠)을 제외한 등산화, 안전화 또는 일부 운동 경기용 신발 등이 이에 속한다.
기본적으로 발목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발목을 가능한 압착된 상태로 감싸며 착화를 하는 것이 부상 방지를 위한 목적에 부합되는 올바른 방법이 될 것이다. 하지만 단순 부상방지를 목적으로 발목을 압착된 상태로 감싸며 착용을 할 경우, 발목의 움직임에 따라 발목에 전달되는 압박의 정도가 심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발목 부분을 느슨한 상태로 착용을 하거나, 결합구조를 느슨하게 하여 착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또한 신발끈으로 발등 부분을 고정시킨 경우에는 신발을 신고 벗을 때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착용자의 발이 부었을 경우와 같이 발 크기의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신발이 그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고 착용이 불편한 경우가 많다.
또한, 운동과 활발한 활동을 하거나 등산과 같이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 활동하는 등의 경우에 있어 특히, 안정적인 자세를 요구하는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신발과 발의 밀착되는 정도에 따라 발의 피로도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나게 되며, 즉 신발과 발이 충분한 정도로 밀접하게 압착되지 않으면 유격공간에서 발이 헛돌아 발목 부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1184호(신축조절장치가 부설된 신발)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4975호(이중 조임구조를 가진 신발)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0335호(신발끈 조임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갑피의 개구된 상부를 조이면서 동시에 신발끈과 연결되어 신발의 발목 양측에 형성된 갑피의 내측을 통해 뒤꿈치 영역을 부착된 조임다이얼에 의해 신발끈을 조여주는 보아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발등과 발목을 동시에 지지하여 신발 사이의 유격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조임 구조를 가진 리프팅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등에 위치한 신발의 개구된 상부 갑피에 연결된 신발끈 상부에 위치하여 개구된 양측 갑피를 스트랩에 의해 서로 당겨져 부착 고정됨으로서, 개구된 상부 갑피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가진 리프팅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발밑창의 상부에 연계되어 신발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발등에 위치한 발등갑피와 발목에 위치한 발목갑피로 구성된 신발갑피에서 복수의 끈구멍을 통해 끼워져 연결되어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가 조여지는 구조의 리프팅화에 있어서,
상기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에 위치하여 끈구멍을 통해 연결된 신발끈 양단이 양측의 발목갑피 내측을 통해 연장되면서 발목갑피의 후측 중앙에 마련된 조임다이얼에 연결되어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를 조임과 함께 발목갑피가 발목을 향하도록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아시스템과,
상기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의 양측단 중 일측단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끈구멍을 통해 가로질러 연결된 신발끈 상부를 가로질러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의 양측단 중 타측단 일면에 부착 고정되는 복수 개의 스트랩이 구비되는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발목의 양측에 위치한 발목갑피의 양측면 각각 중앙에 설치되면서 신발끈이 결속되도록 발목갑피 내측으로 밀착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밀착부재는 일측이 개구된 내부이동공간을 형성하면서 전면 중앙에 내부이동공간과 연통되도록 가로방향의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이 형성된 전면의 타측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내부이동공간으로 삽입되어 가이드공으로 돌출되도록 전면 일측의 중앙 일면에 돌출된 가이드탭이 형성된 이동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이동공간으로 삽입된 이동몸체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노출된 이동몸체 전면 타측의 중앙 일면에 결속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홀부는 단면이 역삼각형의 통과홀과 상기 통과홀의 후측 중앙 각부에서 연계되어 후측으로 일자형으로 절개된 가압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신발끈이 지지몸체의 연결고리를 통과하면서 이동몸체의 결속홀부를 통과하여 조임다이얼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발 착용자가 신발끈을 조작을 하지 않고, 발의 뒷꿈치에 위치한 신발의 후측 중앙에 조임다이얼을 통해 신발의 발등과 발목 양측을 신발의 갑피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조여주는 보아시스템을 수행함으로써 신발과 발 사이의 유격공간을 줄여져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아시스템에 의한 신발끈 조임과 더불어 발등에 위치한 신발의 갑피가 발등을 압박하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구된 양측 갑피에 이음 연결된 일체의 스트랩을 부착 고정시켜 신발갑피와 밑창이 발에 밀접하게 부착 고정할 수 있어 균형 및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 및 발목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불편함이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에 적용된 보아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에서 밀착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에서 밀착부재를 구성하는 지지몸체 도면(a)과 이동몸체의 도면(b).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에서 밀착부재를 구성하는 연결부재가 설치된 이동몸체의 도면(a)과 연결부재가 설치된 탄성부재를 나타낸 도면(b).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를 실제 제작한 리프팅화 사진 촬영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밑창(120)의 상부에 연계되어 신발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발등에 위치한 발등갑피(111)와 발목에 위치한 발목갑피(112)로 구성된 신발갑피(110)에서 복수의 끈구멍(111-1)을 통해 신발끈(210)이 연결되어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가 조여지는 구조의 리프팅화(100)에 있어서,
상기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에 위치하여 끈구멍(111-1)을 통해 연결된 신발끈(210) 양단이 양측의 발목갑피(112) 내측을 통해 연장되면서 발목갑피(112)의 후측 중앙에 마련된 조임다이얼(220)에 연결되어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를 조임과 함께 발목갑피(112)가 발목을 향하도록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아시스템(200)과,
상기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의 양측단 중 일측단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끈구멍(111-1)을 통해 가로질러 연결된 신발끈(210) 상부를 가로질러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의 양측단 중 타측단 일면에 부착 고정되는 복수 개의 스트랩(300)이 구비되는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프팅화(100)는 도 1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밑창(120)과, 상기 신발밑창(120)의 상부로 연장되어 신발의 외형을 형성하는 신발갑피(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발갑피(110)에서 발등에 위치한 발등갑피(111)와 발목에 위차한 발목갑피(112)로 구성되며, 상기 발등갑피(111)에서 신발끈(210)을 연결시키도록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를 형성하며, 이때 상부 발등갑피(111)는 개구되어 발등갑피(111)의 양측단이 이격된 상태로서 단부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끈구멍(111-1)을 형성하여 끈구멍(111-1)을 통해 신발끈(210)을 연결시켜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를 조여주게 된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아시스템(200)은 발목의 뒷꿈치에 위치한 발목갑피(112)의 후측면 중앙에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된 형태인 조임다이얼(220)을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에 의해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에 연결되어 발목의 양측에 위치한 발목갑피(112) 내측으로 연장된 신발끈(210)이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를 조임과 함께 발목 양측에 위치한 발목갑피(112)가 발목에 밀착시키는 것에 의해 발등 및 발목 전체를 덮고 있는 발등갑피(111) 및 발목갑피(112)가 조여짐과 함께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를 연결한 신발끈(210) 양단이 발목 양측에 위치한 발목갑피(112) 양측을 향하도록 연장되면서 발목갑피(112)의 내부로 삽입되어 발목갑피(112)의 후측면 중앙에 설치된 조임다이얼(220)에 연결되며, 이때 조임다이얼(220)의 회전함으로서 신발끈(210) 양단이 회전방향으로 동시에 당겨지면서 감겨지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임다이얼(220)을 멈추면 감겨진 신발끈(210)이 고정되는 원리를 가진다,
상기 조임다이얼(220)의 작동기술은 통상의 작동기술을 적용함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300)은 신발끈(210)이 연결된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 상부를 감싸지면서 부착 고정되어 신발끈(210)에 의해 조여진 상태의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를 다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의 양측단 중 일측단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끈구멍(111-1)을 통해 가로질러 연결된 신발끈(210) 상부를 감싸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의 양측단 중 타측단 일면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스트랩(300)의 일단은 개구된 발등갑피(111)의 일측 발등갑피(111)에 고정되면서 스트랩(300)의 타단은 타측 발등갑피(111)에 벨크로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이때 본 발명에서 벨크로 방식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탈부착 구조로 사용됨은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발목 양측에 위치한 발목갑피(112)의 양측면이 발목과의 밀착되는 면접범위 및 가압범위를 확대하도록 다음과 같은 밀착부재(400a)를 더 설치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상술한 발목 양측에 위치한 발목갑피(112) 내부로 향하도로 연장된 신발끈(210)은 보아시스템(200)의 조임다이얼(220)에 의해 당겨지면서 발목 양측으로 밀착 및 가압된 부분은 신발끈(210)이 지나가는 발목갑피(112)에 한정되어 있다.
이에,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발목의 양측에 위치한 발목갑피(112)의 양측면 각각 중앙에 설치되면서 신발끈(210)이 결속되도록 발목갑피(112) 내측으로 밀착부재(400a)가 설치되며,
상기 밀착부재(400a)는 일측이 개구된 내부이동공간(411)을 형성하면서 전면 중앙에 내부이동공간(411)과 연통되도록 가로방향의 가이드공(41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412)이 형성된 전면의 타측에 연결고리(413)가 형성된 지지몸체(410)와, 상기 지지몸체(410)의 내부이동공간(411)으로 삽입되어 가이드공(412)으로 돌출되도록 전면 일측의 중앙 일면에 돌출된 가이드탭(421)이 형성된 이동몸체(420)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이동공간(411)으로 삽입된 이동몸체(420)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노출된 이동몸체(420) 전면 타측의 중앙 일면에 결속홀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홀부(422)는 단면이 역삼각형의 통과홀(422-1)과 상기 통과홀(422-1)의 후측 중앙 각부에서 연계되어 후측으로 일자형으로 절개된 가압라인(422-2)이 형성되며,
상기 신발끈(210)이 지지몸체(410)의 연결고리(413)를 통과하면서 이동몸체(420)의 결속홀부(422)를 통과하여 조임다이얼(22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밀착부재(400a)는 발목의 양측에 위치한 발목갑피(112)의 양측면 각각 중앙에 내측으로 설치되며, 이때 미도시되었지만 발목갑피(112) 중앙 일부에 지퍼 또는 벨크로 방식으로 개폐되는 포켓형태의 수용라인(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라인으로 밀착부재(400a)를 발목갑피(112) 내측으로 밀어 넣어 설치하게 되며, 상기 발목갑피(112) 내측에 설치된 밀착부재(400a)에 조임다이얼(220)로 이동되는 신발끈(210)을 연결 결속시키게 된다.
상기 밀착부재(400a)는 지지몸체(410)와 이동몸체(420)로 구분되면서 휨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몸체(410)의 내부이동공간(411)으로 이동몸체(4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신발끈(210)에 결속된 이동몸체(420)가 조임다이얼(220)의 작동으로 신발끈(210)이 당겨지면서 동시에 지지몸체(410)의 내부이동공간(411) 밖으로 이동몸체(420)가 직선 이동되면서 지지몸체(410)의 후면 및 이동몸체(420)의 후면이 발목 양측면을 향하면서 넓은 범위로 발목을 밀착 가압하게 된다.
상기 지지몸체(410)는 일면이 개방된 내부이동공간(411)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전면 중앙에 내부이동공간(411)으로 내통된 가로방향의 가이드공(41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412)이 형성된 전면의 타측에 연결고리(413)가 형성되어 신발끈(210)이 삽입 통과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몸체(420)는 일단이 지지몸체(410)의 내부이동공간(411)으로 삽입되면서 타단이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지지몸체(41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몸체(420)가 가이드공(412)의 길이방향에 이동길이를 제한하도록 가이드공(412)으로 노출되도록 전면 일측의 중앙 일면에 돌출된 가이드탭(421)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내부이동공간(411)으로 삽입된 이동몸체(420)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노출된 이동몸체(420) 전면 타측의 중앙 일면에 결속홀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홀부(422)는 단면이 역삼각형의 통과홀(422-1)과 상기 통과홀(422-1)의 후측 중앙 각부에서 연계되어 후측으로 일자형으로 절개된 가압라인(422-2)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몸체(420)의 전면에 형성된 결속홀부(422)에 신발끈(210)이 결속할 때 먼저 결속홀부(422)의 통과홀(422-1)에 통과하면서 조임다이얼(220)의 작동으로 신발끈(210)이 당겨지면서 통과홀(422-1) 후측에 연계된 가압라인(422-2)으로 이동되어 신발끈(210)을 가압시켜 신발끈(210)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몸체(420)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발끈(210)이 당김구조일 때 가압라인(422-2)으로 신발끈(210)이 이동되지만 신발끈(210)이 느슨한 구조를 가질 때 가압라인(422-2) 밖으로 이동되어 통과홀(422-1)에 위치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410)는 발목갑피(112)의 수용라인(미도시)으로 발목갑피(112) 내측에 수용되며, 이때 지지몸체(410)는 발목갑피(112)에 고정수단(미도시)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다이얼(220)의 작동으로 신발끈(210)의 당김이 해제시 상기 지지몸체(410)의 내부이동공간(411) 밖으로 이동된 이동몸체(420)가 내부이동공간(411)으로 자동 탄성 복귀할 수 있도록 이동몸체(420)의 일단과 내부이동공간(411)의 내측단에 상호 연계된 탄성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는 스프링, 탄성고무, 탄성직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임다이얼(220)로 연결된 신발끈(210)이 밀착부재(400a)의 지지몸체(410) 연결고리(413)를 통과하고, 상기 이동몸체(420)와 조임다이얼(22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연결끈(미도시)이 더 포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420)의 결속홀부(422)가 없이 이동몸체(420) 전면 타측의 중앙 일면에 일단이 연결 고정된 연결클립(510)과 상기 연결클립(510)의 타단에 연결로프(520) 한 쌍의 단부를 모아 압착 고정시킨 연결부재(50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500)의 연결로프(520) 중앙에 연결끈 일단을 고정하면서 연결끈 타단이 조임다이얼(22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연결클립(510)과 연결로프(520)로 구분된 일체의 구조로서, 상기 연결클립(510) 일단이 이동몸체(420) 전면 타측의 중앙 일면에 연결 고정되면서 타단에 연결로프(520)의 양단이 모아져 압착 고정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끈 일단이 연결로프(520)의 중앙에 결속 고정되면서 타단이 조임다이얼(220)에 연결되며, 상기 조임다이얼(220)의 작동으로 신발끈(210)과 연결끈이 동시에 당겨지게 되며, 또한 상기 연결로프(520)가 탄성력을 가지어 발목갑피(112)가 발목에 더 큰 면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로프(520)의 중앙에 간격유지봉(미도시)이 결합되며, 상기 간격유지봉의 중앙에 연결끈의 일단이 고정되어 조임다이얼(220)로 인해 연결끈이 당겨지면서 연결부재(500)가 이동되며, 이때 연결로프(520)가 간격유지봉에 의해 연결로프(520) 양측이 벌어진 상태로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발목의 양측에 위치한 발목갑피(112)의 양측 내측으로 탄성부재(400b)가 더 포함되며, 상기 탄성부재(400b)는 전면 일측 중앙에 연결고리(413)가 형성되며, 전면 타측 중앙에 결합탭(414)이 형성된 탄성력을 가진 파형으로 절곡 성형되며, 상기 결합탭(414)에 일단이 연결 고정된 연결클립(510)과 상기 연결클립(510)의 타단에 연결로프(520) 한 쌍의 단부를 모아 압착 고정시킨 연결부재(500)가 구비되며,
상기 조임다이얼(220)로 연결된 신발끈(210)이 탄성부재(400b)의 연결고리(413)를 통과하고, 상기 탄성부재(400b)와 조임다이얼(220) 사이를 연결되도록 연결부재(500)의 연결로프(520) 중앙에 일단을 고정되면서 타단이 조임다이얼(220)에 연결된 연결끈(미도시)이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상술한 연결부재(500)와 동일한 형태, 구조 및 원리를 가지며, 상기 연결끈 일단이 연결로프(520)의 중앙에 결속 고정되면서 타단이 조임다이얼(220)에 연결되며, 상기 조임다이얼(220)의 작동으로 신발끈(210)과 연결끈이 동시에 당겨지게 되며, 이때 파형의 탄성부재(400b)가 펼쳐져 신장되면서 발목을 밀착 가압하게 되며, 상기 연결로프(520)가 탄성력을 가지어 연결로프(520)가 위치한 발목갑피(112)가 발목을 가압 밀착시키게 되며, 또한 상술한 간격유지봉(미도시)이 연결로프(5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400b)는 발목갑피(112)의 수용라인(미도시)으로 발목갑피(112) 내측에 수용되며, 이때 탄성부재(400b)의 일단이 발목갑피(112)에 고정수단(미도시)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리프팅화 100 신발갑피 110 발등갑피 111
발목갑피 112 보아시스템 200 신발끈 210
조임다이얼 220 스트랩 300 밀착부재 400a
탄성부재 400b 지지몸체 410 내부이동공간 411
가이드공 412 연결고리 413 결합탭 414
이동몸체 420 가이드탭 421 결속홀부 422
연결부재 500 연결클립 510 연결로프 520

Claims (4)

  1. 신발밑창(120)의 상부에 연계되어 신발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발등에 위치한 발등갑피(111)와 발목에 위치한 발목갑피(112)로 구성된 신발갑피(110)에서 복수의 끈구멍(111-1)을 통해 신발끈(210)이 연결되어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가 조여지는 구조의 리프팅화(100)에 있어서,
    상기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에 위치하여 끈구멍(111-1)을 통해 연결된 신발끈(210) 양단이 양측의 발목갑피(112) 내측을 통해 연장되면서 발목갑피(112)의 후측 중앙에 마련된 조임다이얼(220)에 연결되어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를 조임과 함께 발목갑피(112)가 발목을 향하도록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아시스템(200)과,
    상기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의 양측단 중 일측단 일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끈구멍(111-1)을 통해 가로질러 연결된 신발끈(210) 상부를 가로질러 개구된 상부 발등갑피(111)의 양측단 중 타측단 일면에 부착 고정되는 복수 개의 스트랩(300)이 구비되며,
    상기 발목의 양측에 위치한 발목갑피(112)의 양측면 각각 중앙에 설치되면서 신발끈(210)이 결속되도록 발목갑피(112) 내측으로 밀착부재(400a)가 설치되며,
    상기 밀착부재(400a)는 일측이 개구된 내부이동공간(411)을 형성하면서 전면 중앙에 내부이동공간(411)과 연통되도록 가로방향의 가이드공(41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412)이 형성된 전면의 타측에 연결고리(413)가 형성된 지지몸체(410)와, 상기 지지몸체(410)의 내부이동공간(411)으로 삽입되어 가이드공(412)으로 돌출되도록 전면 일측의 중앙 일면에 돌출된 가이드탭(421)이 형성된 이동몸체(420)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이동공간(411)으로 삽입된 이동몸체(420) 타단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노출된 이동몸체(420) 전면 타측의 중앙 일면에 결속홀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홀부(422)는 단면이 역삼각형의 통과홀(422-1)과 상기 통과홀(422-1)의 후측 중앙 각부에서 연계되어 후측으로 일자형으로 절개된 가압라인(422-2)이 형성되며,
    상기 신발끈(210)이 지지몸체(410)의 연결고리(413)를 통과하면서 이동몸체(420)의 결속홀부(422)를 통과하여 조임다이얼(22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다이얼(220)로 연결된 신발끈(210)이 밀착부재(400a)의 지지몸체(410) 연결고리(413)를 통과하고, 상기 이동몸체(420)와 조임다이얼(220)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연결끈이 더 포함되며,
    상기 이동몸체(420)의 결속홀부(422)가 없이 이동몸체(420) 전면 타측의 중앙 일면에 일단이 연결 고정된 연결클립(510)과 상기 연결클립(510)의 타단에 연결로프(520) 한 쌍의 단부를 모아 압착 고정시킨 연결부재(500)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500)의 연결로프(520) 중앙에 연결끈 일단을 고정하면서 연결끈 타단이 조임다이얼(2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의 양측에 위치한 발목갑피(112)의 내측으로 밀착부재(400a)가 설치되지 않고,
    상기 발목의 양측에 위치한 발목갑피(112)의 양측 내측으로 탄성부재(400b)가 더 포함되며,
    상기 탄성부재(400b)는 전면 일측 중앙에 연결고리(413)가 형성되며, 전면 타측 중앙에 결합탭(414)이 형성된 탄성력을 가진 파형으로 절곡 성형되며, 상기 결합탭(414)에 일단이 연결 고정된 연결클립(510)과 상기 연결클립(510)의 타단에 연결로프(520) 한 쌍의 단부를 모아 압착 고정시킨 연결부재(500)가 구비되며,
    상기 조임다이얼(220)로 연결된 신발끈(210)이 탄성부재(400b)의 연결고리(413)를 통과하고, 상기 탄성부재(400b)와 조임다이얼(220) 사이를 연결되도록 연결부재(500)의 연결로프(520) 중앙에 일단을 고정되면서 타단이 조임다이얼(220)에 연결된 연결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KR1020210138116A 2021-10-18 2021-10-18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KR102369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116A KR102369072B1 (ko) 2021-10-18 2021-10-18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116A KR102369072B1 (ko) 2021-10-18 2021-10-18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072B1 true KR102369072B1 (ko) 2022-03-02

Family

ID=8081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116A KR102369072B1 (ko) 2021-10-18 2021-10-18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0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3658B2 (ja) * 1995-06-23 1999-12-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ノーボード靴
JP2007330808A (ja) * 1997-08-22 2007-12-27 Gary R Hammerslag 履物用ひも締めシステム
KR101081184B1 (ko) 2010-03-23 2011-11-10 정만호 신축조절장치가 부설된 신발
KR101344975B1 (ko) 2012-02-13 2013-12-24 주식회사 동진레저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KR101810335B1 (ko) 2016-11-09 2017-12-20 하영호 신발끈 조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3658B2 (ja) * 1995-06-23 1999-12-20 株式会社シマノ スノーボード靴
JP2007330808A (ja) * 1997-08-22 2007-12-27 Gary R Hammerslag 履物用ひも締めシステム
KR101081184B1 (ko) 2010-03-23 2011-11-10 정만호 신축조절장치가 부설된 신발
KR101344975B1 (ko) 2012-02-13 2013-12-24 주식회사 동진레저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KR101810335B1 (ko) 2016-11-09 2017-12-20 하영호 신발끈 조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7783C (en) Article of footwear
US5692319A (en) Article of footwear with 360° wrap fit closure system
US8656606B2 (e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woven strap system
JP5643420B2 (ja) 取り外し可能なラップを有する履物
US6772541B1 (en) Footwear securement system
EP2278894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integrated arch strap
KR101875262B1 (ko) 엑세스가 용이한 신발류 물품
JP6088067B2 (ja) 履物保持システム
US7103993B2 (en) Independent adjustment for sandal single strap system
JPH0581241B2 (ko)
EP0415996A1 (en) Adjustable tension ankle support
JP2015036120A (ja) 過度の圧力負荷を防ぐための整形外科靴
US20170172248A1 (en) Arch Support
MXPA06010502A (es) Soporte para tobillo para ser fijado a calzado, y calzado equipado con el.
KR101344975B1 (ko)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KR102369072B1 (ko)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KR200393869Y1 (ko) 신발끈 내장형 신발
US20040078997A1 (en) Decorative footwear for an exposed foot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KR101649149B1 (ko)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KR101865708B1 (ko) 풋홀드 존 신발
AU775756B2 (en) Footwear securement system
CN219125077U (zh) 猫或狗用的袜套或鞋的固定结构及防脱型鞋或防脱型袜套
US20010025438A1 (en) Open (exposed) toe walking or running shoe
KR200194257Y1 (ko) 고무줄 신발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