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105B1 - 신발끈 - Google Patents

신발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105B1
KR100886105B1 KR1020070087497A KR20070087497A KR100886105B1 KR 100886105 B1 KR100886105 B1 KR 100886105B1 KR 1020070087497 A KR1020070087497 A KR 1020070087497A KR 20070087497 A KR20070087497 A KR 20070087497A KR 100886105 B1 KR100886105 B1 KR 100886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raint
bottom plate
plate
shoelace
res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연규
Original Assignee
조연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연규 filed Critical 조연규
Priority to KR1020070087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6Releasable ends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2Shoe lacing fastenings with elastic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끈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을 구성하는 한 쌍의 발등커버에 일 대 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끈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발등커버를 상호 구속하는 신발끈에 있어서, 신축재질의 신축띠와; 각각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나란하게 배치된 구속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구속기둥과 상기 구속판을 상기 바닥판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끈체결공이 상기 구속판과 상기 바닥판사이영역을 진입하여 상기 구속기둥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신축띠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신발끈의 장착작업이 용이해 지고 장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신발끈, 신축띠, 구속판, 구속부

Description

신발끈{Shoes String}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분해사시도,
도3,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장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결합사시도,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장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9는 종래의 신발끈의 분해사시도,
도10은 종래 신발끈의 장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 111 : 신축띠 20, 20' : 구속부
21, 21' : 바닥판 22, 22' : 구속판
23, 23' : 구속기둥 24, 24' : 연결부
25, 25' : 압착부 121 : 체결간
122 : 고리 201 : 발등커버
본 발명은 신발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을 구성하는 한 쌍의 발등커버에 일 대 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끈체결공에 체결되어 한 쌍의 발등커버를 상호 구속하는 신발끈에 관한 것이다.
일체로 된 신발끈의 경우 모든 끈체결공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야 하므로 신발끈을 묶는 작업이 불편해진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대향하는 한 쌍의 끈체결공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체결하는 신발끈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9는 종래의 신발끈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신발끈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재질의 신축띠(111)와, 발등커버(201)의 끈체결공 형성영역에 하나씩 결합되는 체결간(121)과, 신축띠(111)의 양단에 하나씩 결합되는 한 쌍의 고리(122)를 갖고 있다.
체결간(121)에는 고리체결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122)는 일 측영역에 띠결합공(122a)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곡면상의 걸림부(122b)가 형성되어 있다.
띠결합공(122a)에는 신축띠(111)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신발끈을 신발에 장착하는 방법을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체결간(121)을 끈체결공(201a)에 체결되는 소정의 고정구를 통 해 발등커버(201)에 결합한다.
다음에 일방의 고리(122)에 속하는 걸림부(122b)를 일방의 체결간(121)에 속하는 고리체결공(121a)에 삽입한다.
다음에 타방의 고리(122)에 속하는 걸림부(122b)를 타방의 체결간(121)에 속하는 고리체결공(121a)에 삽입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신발끈은 1987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910호(고안의 명칭 : 운동화 끈)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신발끈에 따르면, 신발끈의 장착은 체결간(121)을 발등커버(201)에 고정하는 동작과 걸림부(122b)를 고리체결공(121a)에 삽입하는 동작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발끈의 장착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끈체결공(201a)과 체결간(121)사이의 결합이외 걸림부(122b)와 고리체결공(121a)사이의 걸림작용을 통한 고리(122)와 체결간(121)사이의 결합이 존재하기 때문에 장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작업이 용이하고 장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신발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신발을 구성하는 한 쌍의 발등커버에 일 대 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끈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발등커버를 상호 구속하는 신발끈에 있어서, 신축재질의 신축띠와; 각각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나란하 게 배치된 구속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구속기둥과 상기 구속판을 상기 바닥판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끈체결공이 상기 구속판과 상기 바닥판사이영역을 진입하여 상기 구속기둥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신축띠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끈체결공을 용이하게 구속기둥을 향해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구속판에는 상기 끈체결공이 상기 구속판과 상기 바닥판사이영역을 진입할 때 상기 발등커버를 상기 구속판과 상기 바닥판사이영역으로 안내하는 진입안내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속기둥을 용이하게 끈체결공에 삽입하고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속판이 상기 구속기둥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는 해제위치와 상기 구속판이 상기 구속기둥에 구속되는 구속위치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속판을 상기 바닥판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재질의 신축띠(11)와, 신축띠(11)의 양단에 하나씩 결합된 한 쌍의 구속부(20)를 갖고 있다.
각 구속부(20)는 바닥판(21)과, 바닥판(21)에 나란하게 배치된 구속판(22) 과, 바닥판(2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구속기둥(23)과, 구속판(22)을 바닥판(21)에 연결하는 연결부(24)와, 바닥판(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압착부(25)를 갖고 있다.
구속기둥(23)에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절취면(23a)이 높이방향을 형성되어 있다.
각 절취면(23a)에는 바닥판(21)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직선상의 구속홈(23b)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4)는 바닥판(21)의 상면에 바닥판(21)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벽(24a)과, 지지벽(24a)에 설치된 회동핀(24b)과, 구속판(22)으로부터 원형단면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핀삽입부(24c)와, 구속판(22)의 저면 구속기둥(23) 대향영역에 기립 형성된 한 쌍의 구속벽(24d)을 갖고 있다.
각 구속벽(24d)은 외측면에 구속돌부(24e)가 구속홈(23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연결부(24)는 구속판(22)을 바닥판(21)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가압하여 구속돌부(24e)를 구속홈(23b)에 진입시키는 동작에 의해 구속판(22)이 구속기둥(23)에 구속되는 구속위치로 회동한다.
그리고 구속판(22)을 바닥판(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잡아당겨 구속돌부(24e)를 구속홈(23b)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동작에 의해 구속판(22)이 구속기둥(23)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는 해제위치로 회동한다.
압착부(25)는 신축띠(11)가 삽입되는 결합공간(25a)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구속부(20)는 결합공간(25a)에 신축띠(11)의 종단을 삽입한 상태로 압착함으로써, 신축띠(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을 신발에 장착하는 방법을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방의 구속부에 속하는 구속판(22)을 해제위치로 회동시킨다(S1, 도3 참조).
다음에 끈체결공(201a)에 일방의 구속부에 속하는 구속기둥(23)을 삽입시킨다(S2, 도3 참조).
마지막으로 일방의 구속부에 속하는 구속판을 구속위치로 회동시킨다(S3, 도4 참조).
S1 내지 S3의 과정을 타방의 구속부에 대해 실시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구속판(22)이 바닥판(21)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부(24)를 구성하고 있으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판(22)이 바닥판(21)에 고정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의 결합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재질의 신축띠(11')와, 신축띠(11')의 양단에 하나씩 결합된 한 쌍의 구속부(20')를 갖고 있다.
각 구속부(20')는 바닥판(21')과, 바닥판(21')에 나란하게 배치된 구속판(22')과, 바닥판(2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구속기둥(23')과, 구속판(22')을 바닥판(21')에 연결하는 연결부(24')와, 바닥판(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압착 부(25')를 갖고 있다.
구속판(22')은 자유단에 원형단면의 진입안내면(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속판(22')은 연결부(24')에 접촉하는 두 모서리영역이 절취되어 있다. 이 절취된 모서리영역에 의해 구속판(22')의 연결부(24')에 대한 휨성이 증가된다.
진입안내면(22'a)은 끈체결공(201a)이 구속판(22')과 바닥판(21')사이영역을 진입할 때 발등커버(201)를 구속판(22')과 바닥판(21')사이영역으로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연결부(24')는 바닥판(21')과 구속판(22')과 협조하여 대략 "U"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착부(25')는 신축띠(11')가 삽입되는 결합공간(25'a)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구속부(20')는 결합공간(25'a)에 신축띠(11')의 종단을 삽입한 상태로 압착함으로써, 신축띠(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을 신발에 장착하는 방법을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끈체결공(201a)이 구속기둥(23')에 접근하도록 발등커버(201)를 구속판(22')과 바닥판(21')사이영역으로 진입시킨다(S4, 도7 참조).
다음에 끈체결공(201a)에 일방의 구속부에 속하는 구속기둥(23')을 삽입시킨다(S5, 도8 참조). 이 때 일방의 구속부에 속하는 구속판(22')은 바닥판(21')으로 부터 멀어진 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S4와 S5의 과정을 타방의 구속부에 대해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끈체결공(201a)이 구속판(22)과 바닥판(21)사이영역을 진입하여 구속기둥(23)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속부(20)를 마련함으로써, 신발끈의 장착작업이 용이해 지고(신발끈의 장착은 구속기둥을 끈체결공에 삽입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짐) 장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끈체결공과 구속기둥사이의 결합만 존재함).
그리고 구속판(22')에 진입안내면(22'a)을 형성함으로써, 끈체결공(201a)을 용이하게 구속기둥(23')을 향해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속판(22)이 이탈위치와 구속위치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구속판(22)을 바닥판(21)에 연결함으로써, 구속기둥(23)을 용이하게 끈체결공(201a)에 삽입하고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끈체결공이 구속판과 바닥판사이영역을 진입하여 구속기둥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속부를 마련함으로써, 신발끈의 장착작업이 용이해 지고 장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신발을 구성하는 한 쌍의 발등커버에 일 대 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끈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발등커버를 상호 구속하는 신발끈에 있어서,
    신축재질의 신축띠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된 구속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구속기둥과 상기 구속판을 상기 바닥판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끈체결공이 상기 구속판과 상기 바닥판의 사이영역에 진입하여 상기 구속기둥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신축띠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판에는 상기 끈체결공이 상기 구속판과 상기 바닥판사이영역을 진입할 때 상기 발등커버를 상기 구속판과 상기 바닥판사이영역으로 안내하는 진입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속판이 상기 구속기둥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는 해제위치와 상기 구속판이 상기 구속기둥에 구속되는 구속위치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속판을 상기 바닥판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KR1020070087497A 2007-08-30 2007-08-30 신발끈 KR100886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497A KR100886105B1 (ko) 2007-08-30 2007-08-30 신발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497A KR100886105B1 (ko) 2007-08-30 2007-08-30 신발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105B1 true KR100886105B1 (ko) 2009-02-27

Family

ID=4068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497A KR100886105B1 (ko) 2007-08-30 2007-08-30 신발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1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636B1 (ko) 2011-05-11 2013-01-16 박성금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WO2013066004A1 (ko) * 2011-10-31 2013-05-10 김병기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WO2014106974A1 (ko) * 2013-01-02 2014-07-10 (주)쿨레이스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WO2015076477A1 (ko) * 2013-11-25 2015-05-28 주식회사 쿨에버 신발 결속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4826A (en) 1991-02-14 1993-06-01 Fortune Roy L Fastener for use with shoes
US6470537B1 (en) 2001-03-23 2002-10-29 John H. Schallenkamp Footwear closure fastener replacement system
KR20040049723A (ko) * 2002-12-07 2004-06-12 이종경 신발 조임구
JP2006122352A (ja) 2004-10-28 2006-05-18 Achilles Corp 履き脱ぎ容易な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4826A (en) 1991-02-14 1993-06-01 Fortune Roy L Fastener for use with shoes
US6470537B1 (en) 2001-03-23 2002-10-29 John H. Schallenkamp Footwear closure fastener replacement system
KR20040049723A (ko) * 2002-12-07 2004-06-12 이종경 신발 조임구
JP2006122352A (ja) 2004-10-28 2006-05-18 Achilles Corp 履き脱ぎ容易な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636B1 (ko) 2011-05-11 2013-01-16 박성금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WO2013066004A1 (ko) * 2011-10-31 2013-05-10 김병기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WO2014106974A1 (ko) * 2013-01-02 2014-07-10 (주)쿨레이스 결속이 용이한 신발 결속구
WO2015076477A1 (ko) * 2013-11-25 2015-05-28 주식회사 쿨에버 신발 결속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715B2 (en) Shoelace binding device
KR100886105B1 (ko) 신발끈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US20180070679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Weight-Activated Cinching Apparatus
EP3005895B1 (en) Footwear
JP2011500128A (ja) 靴ひもの結束装置
JP2009089902A (ja)
JP3583367B2 (ja) 靴紐を結ぶ装置
US20080086910A1 (en) Footwear with removable closure
JP2009297151A (ja)
KR101026079B1 (ko) 묶지않는 신발끈
KR100917165B1 (ko) 결속장치
JP7079556B2 (ja) 開口部調整用の緊締ストラップ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US20080168680A1 (en) Tap shoe with multiple fastening devices and method of providing a shoe that provides the look and feel of a laced and elastically retained shoe
JP6637678B2 (ja) 履物の足固定機構
CN117835863A (zh) 具有保持系统的鞋
CN204742828U (zh) 鞋子快速扣紧装置
KR101659936B1 (ko) 사용이 편리한 신발끈 결속장치
US20120036736A1 (en) Boot with bootlace clamping
KR200408632Y1 (ko) 잠금구조를 갖는 신발끈
JP2011092665A (ja) 靴紐締め付け補助具
US20060143949A1 (en) Shoelace lockdown system
KR101229165B1 (ko) 신발끈 조임구
US10683063B2 (en) Modular component wakeboard bi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