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383B1 - 신발 끈 조임구 - Google Patents

신발 끈 조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383B1
KR100958383B1 KR1020090103331A KR20090103331A KR100958383B1 KR 100958383 B1 KR100958383 B1 KR 100958383B1 KR 1020090103331 A KR1020090103331 A KR 1020090103331A KR 20090103331 A KR20090103331 A KR 20090103331A KR 100958383 B1 KR100958383 B1 KR 100958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shoelaces
tightening
fastener
retain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준
Original Assignee
김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준 filed Critical 김한준
Priority to KR1020090103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화나 각종 스포츠화 및 등산화(이하 "신발"이라 함) 등의 끈을 조여 맬 때 당겨진 상태가 유지되어지도록 하는 끈 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발 끈(15)을 조여맬 수 있도록 신발(10)에 부착 형성되어지는 조임구(100)는 부착판(106)의 상면에 신발 끈(15)을 윗쪽으로 당기면 쉽게 조임구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상부측이 개방되어진 한쌍의 신발끈통로(101)(101a)가 수직벽(105)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 내면에 다수의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이 등간격을 이루며 연속반복 형성되어 지내발이 연상됨과 동시에 신발 끈(15)을 당겨 매는 진행 방향과 나란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의 경사 방향과 나란 하는 방향의 랫치(103)(103a)가 형성되어 있는 신발끈통로(101)(101a)가 양쪽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되, 나란하는 신발끈통로(101)(101a)는 신빨 끈(15)을 지그재그로 조여맬 때 동일 방향에서 걸림 지지되어 질 수 있도록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이루며 형성된 신발끈 조임구에 의해 달성된다.
신발, 조임구, 신발끈통로, 조임유지탄성편, 랫치, 부착판

Description

신발 끈 조임구{The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string}
본 발명은 운동화나 각종 스포츠화 및 등산화(이하 "신발"이라 함) 등의 끈을 조여 맬 때 당겨진 상태가 유지되어지도록 하는 끈 조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임구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생산에 따른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줄임과 동시에 끈을 조여 맬 때 당겨진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됨과 더불어 신속하게 끈을 느슨하게 전환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단순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된 신발이 있는가 하면, 착용한 신발이 발에 긴밀하게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신발끈을 구비한 신발이 있다.
상기한 신발 중 신발끈을 구비한 신발은, 사용자가 어디서 무었을 하느냐에 따라 신발끈의 조임 상태를 적절히 조정하여 착용할 수가 있어 소비자들은 신발끈을 가지고 있는 신발을 선호하게 된다.
특히 운동을 하거나 등산을 할 때 운동의 효과를 배가(倍加)시키거나 신발을 발에 딱 맞도록 신어야 안정사고 없이 편안한 등반이 가능한 등산화에서의 신발끈의 역활은 그래서 더 없이 중요하다.
일상적으로 신발을 당겨서 조여맬 때 신발끈을 당긴 상태가 유지되기 보다는 반력에 의한 복원하려는 성질에 의해 느슨한 상태로 뒤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신발끈을 견고하게 조여매기 위해서는 신발끈을 손가락으로 눌러가면서 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으로 신발 끈을 눌러가면서 맬 경우, 어느 정도는 신발을 견고하게 조여맬 수 있으나, 그 견고성이 우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으로 신발끈을 눌러가면서 끈을 묶기 때문에 신발 끈을 묶는 속도가 느릴 수 밖에 없고, 끈을 고쳐매는 시간이 길어지면 등산중에 일행의 대열에서 낙오하게 되어 예기치 못한 실종사고가 일어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이 신발 끈을 조여맬 수 있도록 해주는 조임구이다.
신발 끈을 조여 맬 수 있도록 하는 조임구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나, 그 대표적인 조임구는 신발 끈을 조임구의 조임구멍으로 관통시켜서 조정구의 조임으로 조여맬 수 있도록 된 것이어서 신발 끈을 효율적으로 조여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조여맨 신발 끈을 느슨하게 하고자할 때에는 신발 끈을 압박하고 있는 조임구의 조정구를 한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나머지 한손으로 신발 끈을 느슨하게 해야 하는 것이어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신발 끈을 풀어내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신발 끈을 신속하게 풀어내야 할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신속히 대처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신발 끈 조임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신발 끈이 통과하는 신발끈통로가 부착판의 상면으로 형성되어지는 수직벽에 의해 형성되어지고 수직벽에 의해 형성되어진 신빨끈통로의 양측면에는 당겨맨 신발 끈의 양측면에 끝단이 버팀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신발 끈을 당겨매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조임유지탄성편이 지내발이 연상되는 형태로 형성됨과 더불어 바닥면에는 신발 끈의 바닥면이 버팀 지지되어지는 랫치가 조임유지탄성편의 경사 방향과 나란 하는 방향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신발 끈을 당겨 맬 때 조임유지탄성편이 신빨 끈의 굵기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폭으로 유연하게 탄성 변형되어짐에 따라 부드러운 신발 끈 조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발 끈에 대하여 조임유지탄성편의 끝단과 바닥면의 랫치가 벗팀되어져서 신발 끈을 조여맨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어지되어 짐은 물론, 조여 맨 신발 끈을 느슨하게 하고자할 때에는 신발 끈을 위로 당겨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신발 끈이 조임구의 조임유지탄성편으로부터 쉽게 벗어나 신발 끈을 신속하게 풀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인해 신발을 신속하게 벗어야 하는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신발 끈 조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임구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생산에 따른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신발 끈 조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등덮개(12)에 의해 가려지는 앞 트임부와 이웃하는 끈연결부로 형성되어지는 끈걸이구멍(13) 또는 끈걸고리(14)에 신발 끈(15)을 끼워 착용하는 신발(10)이 발에 긴밀하게 착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신발 끈(15)을 포함함과 동시에 신발 끈(15)의 조임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신발 끈 조임구가 부착되어진 신발(10)에 있어서,
신발 끈(15)을 조여맬 수 있도록 신발(10)에 부착 형성되어지는 조임구(100)는 부착판(106)의 상면에 신발 끈(15)을 윗쪽으로 당기면 쉽게 조임구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상부측이 개방되어진 한쌍의 신발끈통로(101)(101a)가 수직벽(105)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 내면에 다수의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이 등간격을 이루며 연속반복 형성되어 지내발이 연상됨과 동시에 신발 끈(15)을 당겨 매는 진행 방향과 나란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의 경사 방향과 나란 하는 방향의 랫치(103)(103a)가 형성되어 있는 신발끈통로(101)(101a)가 양쪽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되, 나란하는 신발끈통로(101)(101a)는 신빨 끈(15)을 지그재그로 조여맬 때 동일 방향에서 걸림 지지되어 질 수 있도록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이루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구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신발 끈 조임구는, 신발 끈(15)이 통과하는 신발끈통로(101)(101a)가 부착판(106)의 상면으로 형성되어지는 수직벽(105)에 의해 형성되어지고, 수직벽(105)에 의해 형성되어진 신빨끈통로(101)(101a)의 양측면에는 당겨맨 신발 끈(15)의 양측면에 끝단이 버팀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신발 끈(15)을 당겨매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이 지내발이 연상되는 형태로 형성됨과 더불어 바닥면에는 신발 끈(15)의 밑면이 버팀 지지되어지는 랫치(103)(103a)가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의 경사 방향과 나란 하는 방향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첫째, 신발 끈(15)을 당겨 맬 때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이 신빨 끈(15)의 굵기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폭으로 유연하게 탄성 변형되어 짐에 따라 부드러운 신발 끈 조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발 끈(15)에 대하여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의 끝단과 바닥면의 랫치(103)(103a)에 벗팀되어져서 신발 끈(15)을 조여맨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어지는 장점이 있고;
둘째, 조여 맨 신발 끈(15)을 느슨하게 하고자할 때에는 신발 끈(15)을 위로 당겨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신발 끈(15)이 조임구(100)의 임유지탄성편(102)(102a)으로부터 쉽게 벗어나 신발 끈(15)을 신속하게 풀어낼 수 있어 신발(10)을 신속하게 벗어야 하는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셋째, 조임구(100)의 구조 단순화로 제조생산에 따른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끈 조임구는 발등 덮개(12)에 의해 가려지는 앞트임부와 이웃하는 끈연결부로 형성되어지는 끈걸이구멍(13) 또는 끈걸고리(14)에 신발끈(15)을 끼워 착용하는 신발(10)이 발에 긴밀하게 착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신발끈(15)을 포함 함과 동시에 신발끈(15)의 조임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신발 끈 조임구(100)가 발등덮개(12) 또는 발목보호대(11)에 선택적으로 부착되어 진다.
상기 조임구(100)는 신발(10)에 부착되는 부착판(106)을 가지고 있고, 그 상면에 수직벽(105)이 형성되어 한쌍의 신발끈통로(101)(101a)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 신발끈통로(101)(101a)는, 신발끈(15)을 윗쪽으로 당기면 조임구(100)의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게 상부측이 개방되어져 있다.
상기 수직벽(105)은 신발끈(15)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탈되어지는 것을 규제하는 걸림턱(105a)이 상부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직벽(105)에 의해 형성된 신발끈통로(101)(101a)의 양측 내면에 다수의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이 등간격을 이루며 연속반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은 지내발이 연상되는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신발 끈(15)의 안정된 버팀 지지가 가능하도록 평면에서 바라 본 형상이 지그재그형으로 배하여진 것이다.
상기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은 신발끈(15)을 당겨매는 진행방향과 나란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의 끝단 간격은 신발 끈(15)의 굵기 보다 좁게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은 신발 끈(15)을 조여맬 때 신발 끈(15)이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에 대하여 최소의 마찰력을 갖고 통과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경사면(104)(104a)이 말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신발끈통로(101)(101a)의 바닥면에는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의 경사 방향과 나란 하는 방향의 랫치(103)(10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발끈통로(101)(101a)는 양쪽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되, 나란하는 신발끈통로(101)(101a)는 신빨끈(15)을 지그재그로 조여맬 때 동일 방향에서 걸림 지지되어 질 수 있도록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신발 끈 조임구는, 도6에서와 같이 발등덮개(12)에 의해 가려지는 앞트임부을 기준으로 발목보호대(11) 양쪽으로 위치하도록 부착되어질 수도 있고, 도7에서와 같이 발등덮개(12)의 윗쪽으로 부착되어 질 수도 있다.
상기 신발에 조임구(100)를 부착할 때에는 부착판(106)을 상기의 발등덮개(12) 또는 발목보호대(11)에 면접촉 시킨 상태에서 접착제 또는 재봉을 통해 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부착판(106)이 부착되어서 된 조임구(100)에 끈걸이구멍(13) 또는 끈걸고리(14)로 끼워져 매여지는 신발 끈(15)을 본 발명의 조임구(100)의 신발끈통로(101)(101a)로 통과시켜 조임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게 되는데, 신발 끈(15)을 조임구(100)의 신발끈통로(101)(101a)로 통과시키면, 신발 끈(15)을 당기는 방향과 나란하게 경사를 이루며 서로 마주함과 동시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지도록 수직벽(105)에 형성되어진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이 신발 끈(15)의 굵기에 대응되게 탄성 변형되어 벌어지게 되고, 신발 끈(15)에 당김력이 해소되어 지면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의 끝단이 신발 끈(15)의 양측면에 대하여 버팀 지지 되어 도3에서와 같이 된다.
상기 신발 끈(15)의 밑면은 바닥면으로 형성되어진 랫치(103)(103a)에 걸림되어져 더욱더 견고한 조임 상태가 유지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신발 끈(15)의 조임 상태를 유지시키는 본 발명의 조임구(100)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신발 끈(15)이 통과하는 형태가 달라지게 되는데, 도6에서와 같이
앞트임부를 기준으로 발목보호대(11) 양쪽으로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있을 때에는 지그재그로 끼워져 올라오는 신빨 끈(15) 하나가 신발끈통로(101)로 끼워진 후, 본 발명의 조임구(100)와 나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진 끈걸고리(14)로 끼워져 돌아나오게 되고, 돌아나온 신발끈(15)이 신발끈통로(101a)를 통과하여 알파벳 유자형태로 매여지게 된다.
도 7에서와 같이 발등덮개(12)에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지그재그로 끼워져 올라오는 신발 끈(15)의 하나는 신발끈통로(101)에, 다른 하나는 신발끈통로(101a)를 각각 통과하여 조여 매여 지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조임구(100)로써, 수직벽(105)에 걸림턱(105a)이 형성되어 있어 신발 끈(15)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기 이전에는 자유상태에서는 상기 신 발 끈(15)이 신발끈통로(101)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조임구(100)에 의해 견고한 조임이 가능하도록 신발 끈(15)을 조여맨 상태가 신발을 착용하고 활동하다가 신발(10)을 벗을 때에는 매듭을진 신발 끈(15)을 풀어 낸 다음 신발 끈(15)의 선단을 위로 살짝 들어올리면, 조임구(100)의 신발끈통로(101)(101a)에 위치하여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와 랫치(103)(103a)에 버팀 지지되어 당김 상태가 유지되었던 신발 끈(15)이 벗어나면서 인장력이 해제되어 느슨해지게 된다.
상기 신발 끈(15)이 조임구(100)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는 것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끈 조임구를 발췌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끈 조임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끈 조임구의 평면도로써, 신발 끈이 통과되어 버팀 지지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끈 조임구의 정면도로써, 신발 끈이 통과되어 버팀 지지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끈 조임구의 측단면도로써, 신발 끈이 통과되어 버팀 지지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끈 조임구가 신발의 발목보호대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끈 조임구가 신발의 발등덮개에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끈 조임구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발 11 : 발목보호대
12 : 발등덮개 13 : 끈걸이구멍
14 : 끈걸고리 15 : 신발끈
100 : 조임구 101,101a : 신발끈통로
102,102a : 조임유지탄성편 103,103a : 랫치
105 : 수직벽 106 : 부착판
105a :걸림턱

Claims (4)

  1. 발등덮개(12)에 의해 가려지는 앞트임부와 이웃하는 끈연결부로 형성되어지는 끈걸이구멍(13) 또는 끈걸고리(14)에 신발끈(15)을 끼워 착용하는 신발(10)이 발에 긴밀하게 착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신발끈(15)을 포함함과 동시에 신발끈(15)의 조임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신발끈조임구가 부착되어진 신발(10)에 있어서,
    신발끈(15)을 조여맬 수 있도록 신발(10)에 부착 형성되어지는 조임구(100)는 부착판(106)의 상면에 신발끈(15)에 윗쪽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면 쉽게 벗어날 수 있게 상부측이 개방되어진 한쌍의 신발끈통로(101)(101a)가 수직벽(105)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 내면에 다수의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이 등간격을 이루며 연속반복 형성되어 지내발이 연상됨과 동시에 신발끈(15)을 당겨매는 진행방향과 나란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의 경사 방향과 나란 하는 방향의 랫치(103)(103a)가 형성되어 있는 신발끈통로(101)(101a)가 양쪽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되, 나란하는 신발끈통로(101)(101a)는 신빨끈(15)을 지그재그로 조여맬 때 동일 방향에서 걸림 지지되어 질 수 있도록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이루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조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100)는 발등덮개(12) 또는 발목보호대(11) 양쪽 중 어느 한곳에 부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은 신발끈(15)을 조여맬 때 신발끈(15)이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에 대하여 최소의 마찰력을 갖고 통과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경사면(104)(104a)이 말단부로 형성되어 있고, 조임유지탄성편(102)(102a)은 평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지그재그로 배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105)은 신발끈(15)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규제하는 걸림턱(105a)이 상부에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끈 조임구.
KR1020090103331A 2009-10-29 2009-10-29 신발 끈 조임구 KR100958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331A KR100958383B1 (ko) 2009-10-29 2009-10-29 신발 끈 조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331A KR100958383B1 (ko) 2009-10-29 2009-10-29 신발 끈 조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383B1 true KR100958383B1 (ko) 2010-06-04

Family

ID=4236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331A KR100958383B1 (ko) 2009-10-29 2009-10-29 신발 끈 조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3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95B1 (ko) 2011-02-09 2011-10-25 김한엽 신발 끈 조임구
CH718991A1 (de) * 2021-09-23 2023-03-31 Ammann Peter Klemmvorrichtung und Schuh mit einer solchen.
KR20240116095A (ko) 2023-01-20 2024-07-29 이태섭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479Y1 (ko) 2003-03-20 2003-06-25 안영기 신발끈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479Y1 (ko) 2003-03-20 2003-06-25 안영기 신발끈 결속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895B1 (ko) 2011-02-09 2011-10-25 김한엽 신발 끈 조임구
CH718991A1 (de) * 2021-09-23 2023-03-31 Ammann Peter Klemmvorrichtung und Schuh mit einer solchen.
KR20240116095A (ko) 2023-01-20 2024-07-29 이태섭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KR101506676B1 (ko)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US8056265B2 (en) Shoe tying aid and method
US6427361B1 (en) Variable ratio control shoe with automatic tying and untying shoelace
JP5069898B2 (ja) ブーツ
US20110099843A1 (en) Device for Tightening Shoelace
KR200171552Y1 (ko) 신끈의 결속장치
US20100071230A1 (en) Laced garment closure
US6718602B1 (en) Structure of a buckle to fasten shoelaces
KR100958383B1 (ko) 신발 끈 조임구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KR20100106270A (ko) 묶지않는 신발끈
KR101075895B1 (ko) 신발 끈 조임구
WO2013122382A1 (ko)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US20240225199A1 (en) Locking Boot Fastening Device and Method
KR101315194B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20110007917U (ko) 신발끈 매듭 고정기
KR200248655Y1 (ko) 고리가 결합된 신끈
KR200266696Y1 (ko) 신발의 신발끈 조임 및 이완장치
KR102387803B1 (ko) 신발조임장치
KR20010008137A (ko) 신발끈의 결속장치
KR200273581Y1 (ko) 와이어 폼 스프링이 부착된 신발끈 고리
KR101214145B1 (ko) 새로운 신발 끈 체계를 갖는 신발
KR880001833Y1 (ko)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