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6095A -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6095A
KR20240116095A KR1020230008632A KR20230008632A KR20240116095A KR 20240116095 A KR20240116095 A KR 20240116095A KR 1020230008632 A KR1020230008632 A KR 1020230008632A KR 20230008632 A KR20230008632 A KR 20230008632A KR 20240116095 A KR20240116095 A KR 20240116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tightening device
shoelace
symmetric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섭
Original Assignee
이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섭 filed Critical 이태섭
Priority to KR102023000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16095A/ko
Publication of KR20240116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6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05Holding-devices for laces the devices having means to hold the traditional knots or part of it tightened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좌우 모두에서 조임력이 작용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조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격한 움직임에도 신발끈이 쉽게 풀리지 않아 기능성을 확보하며, 용이하고 신속한 조임 해제가 가능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임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조임장치 본체;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상하 양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장공; 상기 가이드 장공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 수단; 및 상기 가이드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가이드 장공에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조임장치 본체를 통과하는 신발끈을 고정 및 고정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조임-조임해제 조작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OF SYMMETRIC TIGHTENNING TYPE}
본 발명은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좌우 모두에서 조임력이 작용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조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격한 움직임에도 신발끈이 쉽게 풀리지 않아 기능성을 확보하며, 용이하고 신속한 조임 해제가 가능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단순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된 신발이 있는가 하면, 착용한 신발이 발에 긴밀하게 밀착되어질 수 있도록 해주는 신발끈을 포함한 신발이 있다.
상기한 신발 중 신발끈을 포함한 신발은, 사용자가 어디서 무엇을 하느냐에 따라 신발끈의 조임 상태를 적절히 조정하여 착용할 수가 있어 소비자들은 신발끈을 포함하고 있는 신발을 선호하게 된다.
특히 운동을 하거나 등산을 할 때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거나 신발을 발에 딱 맞도록 신어야 안정사고 없이 편안한 등반이 가능한 등산화에서의 신발끈의 역활은 그래서 더 없이 중요하다.
일상적으로 신발을 당겨서 조여맬 때 신발끈을 당긴 상태가 유지되기 보다는 복원하려는 성질에 의해 느슨한 상태로 뒤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신발끈을 견고하게 조여매기 위해서는 신발끈을 손가락으로 눌러가면서 조여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으로 끈을 눌러가면서 맬 경우, 어느 정도는 신발을 견고하게 조여맬 수 있으나, 그 견고성이 우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으로 신발끈을 눌러가면서 끈을 묶기 때문에 신발 끈을 묶는 속도가 느릴 수 밖에 없고, 끈을 고쳐매는 시간이 길어지면 등산 중에 일행의 대열에서 낙오하게 되어 예기치 못한 실종 사고가 일어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에는 신발의 끈구멍에 신발끈을 결속하여 신발끈을 조일 때는 신발끈을 묶어서 매듭을 지어야 하고, 신발끈을 풀을 때에는 매듭을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신발을 벗거나 신을 때 또는 신발끈의 느슨함을 조절할 때에 매번 신발끈을 묶고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통상의 신발용 끈은 대부분 합성수지사로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서로 미끄러지는 성질을 갖게 되어 신발끈을 묶는 상태에서 격렬한 운동을 하거나 장시간 신발을 착용하고 다니면 그 신발끈이 풀어지거나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렇게 풀리거나 느슨해진 신발끈은 외관상 좋지 않게 보일 뿐만 아니라 풀려진 신발끈이 바닥과 접촉하여 오염되는 사례가 발생하며, 풀려진 신발끈을 밟게 되면 넘어질 우려도 있으므로 일상활동 중에 신발끈이 풀린 상태에서는 신발끈을 바로 조여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신발을 벗어 놓았다가 신속하게 착용하여야 하는 소방서나 군부대 등의 작업현장에서는 배치인원들이 안전화 또는 군화 등을 신속하게 착용하고 출동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때에 신발끈을 묶고 이를 다시 정리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게 되어 비상시 신속한 처리 및 대처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신발 끈을 조여맬 수 있도록 해주는 조임구가 제안되어 있다.
신발 끈을 조여 맬 수 있도록 하는 조임구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나, 그 대표적인 조임구는 신발 끈을 조임구의 조임구멍으로 관통시켜서 조정구의 조임으로 조여맬 수 있도록 된 것이어서, 신발 끈을 효율적으로 조여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조여맨 신발 끈을 느슨하게 하고자할 때에는 신발 끈을 압박하고 있는 조임구의 조정구를 한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나머지 한손으로 신발 끈을 당겨 느슨하게 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신발 끈을 신속하게 풀어내야 할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신속히 대처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종래 신발끈 조임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한 발명이 특허 제10-0958383호로 등록 받은 "신발 끈조임구"가 있다.
상기 등록발명은 신발끈을 손쉽게 당겨 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겨맨 신발끈을 쉽게 풀어낼 수 있는 것이어서, 끈을 포함하는 신발에 적합한 조임구임을 알 수 있으나, 신발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것이어서 신발 끈을 포함하는 모든 신발에 적용 사용할 수 없고, 등산화와 같은 특정 신발에 적용이 가능한 사용상의 제약이 있었다.
또한, 상기 등록발명은 조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부가 전면부(상면부)에만 형성되어 끈 끼움이 어렵고 끈 조임시 중간에 멈춰 불완전하며 느슨한 끈 조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앙이동홈의 형태가 오뚜기형으로 형성되어 가늘고 둥근끈만 사용 가능하고, 굵거나 납작끈에 대해서는 조임 기능이 제한되는 한계가 있었으며, 탄성바의 형태가 일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쉽게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04132(2009.06.2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13915(2017.03.0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58383(2010.06.0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75895(2011.10.25.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좌우 모두에서 조임력이 작용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조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격한 움직임에도 신발끈이 풀리지 않아 기능성을 확보하며, 용이하고 신속한 조임 해제가 가능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조임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조임장치 본체;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상하 양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장공; 상기 가이드 장공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 수단; 및 상기 가이드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가이드 장공에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조임장치 본체를 통과하는 신발끈을 고정 및 고정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조임-조임해제 조작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임장치 본체는 전면과 후면 및 측면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하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임장치 본체는 상판부와 하판부가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는 중간부에서 일단까지 측벽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상판부와 하판부를 평면적으로 바라볼 때 그 상부 측은 돔형 또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측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측은 "U"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상판부와 하판부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하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면서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며, 그 라운드진 면에는 손가락의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신발끈 인입구의 양단 내측에는 라운드지게 돌출된 신발끈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공은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상판부와 하판부 각각에서 신발끈 통과방향으로의 센터 라인을 따라 형성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가이드 장공의 양측부 각각에서 그 가이드 장공의 측면 라인과 평행하게 절개된 절개부에 의해 형성된 탄성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바는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상판부와 하판부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는 일측이 절개되어 분할된 탄성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가 상기 가이드 장공의 일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보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보강 수단은 상기 가이드 장공의 일단부의 대향 내벽에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보강 수단은 좌우 측의 상기 탄성바의 일단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라운드진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는 상기 가이드 장공의 길이방향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는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외면 양측에 위치되는 상하측 돌출 조작손잡이; 상기 상하측 돌출 손잡이 각각에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암수 결합되는 암수 결합축; 및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암수 결합축이 관통되어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톱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수 결합축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장공의 일단부의 좌우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신발끈에 대한 조임력을 상하좌우 모두에서 작용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조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용이하고 신속한 조임 해제가 가능하여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기능성과 사용성이 우수하면서도 제작성이 뛰어나 경제성이 증대되고,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구성부들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서 신발끈의 조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 및 조임해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구성부들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의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서 신발끈의 조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 및 조임해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 발명의 설명에서 신발끈 통과 방향은 전후 방향을 의미하고, 도면을 수직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을 의미하며, 전후 방향과 평면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조임장치 본체(100)와, 가이드 장공(200)과, 탄성 수단(300), 및 조임-조임해제 조작구(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과 후면 및 측면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조임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조임장치 본체(100); 상기 조임장치 본체(100)의 상하 양면 모두에 형성되어 하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400)가 전후이동되는 가이드 장공(200); 상기 가이드 장공(200)의 양측에 형성되며, 그 가이드 장공(200)을 따라 이동하는 조임-조임해제 조작구(400)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 수단(300); 및 상기 가이드 장공(200)을 따라 전후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가이드 장공(200)에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조임장치 본체(100)의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 신발끈을 고정 및 고정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조임-조임해제 조작구(400);를 포함한다.
상기 조임장치 본체(100)는 전면과 후면 및 측면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좌우 한 쌍의 신발끈이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 소정 형상의 함체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임장치 본체(100)는 상판부(110)와 하판부(120)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110)와 하판부(120)는 중간부에서 일단까지 측벽부(13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조임장치 본체(100)의 상판부(110)와 하판부(120)를 평면적으로 바라볼 때 그 상부 측은 돔형 또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측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측은 "U"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즉, 상기 조임장치 본체(100)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30)는 하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면서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며, 그 라운드진 면에는 손가락의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철부(1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장치 본체(100)에서 상기 측벽부(130)의 내면에는 그 측벽부(130)의 내측과 조임-조임해제 조작구(400) 사이를 통과하는 신발끈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톱니부(13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측벽부(130)의 내면(내벽)은 라운드지게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에 상기 톱니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장치 본체(100)의 후면 측 개구부(신발끈 인입구)의 양단 내측에는 라운드지게 돌출된, 바람직하게는 원의 1/4의 형상으로 돌출된 신발끈 가이드 돌출부(133)가 형성되어 조임장치 본체(100)의 후면 측 개구부를 통과하는 좌우 한 상의 신발끈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임장치 본체(100)는 상하 대칭 및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장공(200)은 상기 조임장치 본체(100)의 상판부(110)와 하판부(120) 각각에서 길이방향(신발끈 통과방향) 센터 라인을 따라 형성되며, 일단(후단)에서 타단(전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장공(200)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조임-조임해제 조작구(400)를 구성하는 돌출 조작손잡이의 암수 결합축(또는 암수 결합기둥)이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암수 고정축은 그 가이드 장공(200)의 소정 이동 위치에서 조임 또는 조임해제된다.
상기 가이드 장공(200)의 일단부(후단부)와 타단부(전단부)는 라운드지게, 다시 말해서 암수 결합축의 외연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즉, 가이드 장공(200)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반원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 수단(300)은 상기 가이드 장공(200)의 양측에 형성되며, 그 가이드 장공(200)을 따라 이동하는 조임-조임해제 조작구(400)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수단(300)은 상기 가이드 장공(200)의 양측부 각각에서 그 가이드 장공(200)의 측면 라인과 평행하게 절개된 절개부(301)에 의해 형성된 탄성바(또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탄성바는 조임장치 본체(100)의 상판부(110)와 하판부(120) 모두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바는 가이드 장공(200)의 길이방향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400)는 상기 가이드 장공(200)을 따라 전후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가이드 장공(200)에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조임장치 본체(100)의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통과하는 신발끈을 고정 및 고정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400)는 일측의 가이드 장공(200)의 외측(상판부(110)의 외측)과 타측의 가이드 장공(200)의 외측(하판부(120)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하측 돌출 조작손잡이(410)와, 상기 상하측 돌출 손잡이(410) 각각에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암수 결합되는 암수 결합축(암수 결합 기둥)(420), 및 상기 조임장치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암수 결합축(430)이 관통되어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톱니 부재(430)를 포함한다.
달리 표현하자면, 상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400)는 일측의 상기 가이드 장공(200)을 관통하는 암 결합축(421)을 가지며, 상기 암 결합축(421)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조임장치 본체(100)의 일측 외부(즉, 상판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측 돌출 조작 손잡이(411)와, 타측의 상기 가이드 장공(200)을 관통하여 상기 암 결합축(421)에 암수 결합되는 숫 결합축(422)을 가지며, 상기 숫 결합축(422)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조임장치 본체(100)의 타측 외부(즉, 하판부(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하부측 돌출 조작 손잡이(412), 및 상기 조임장치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숫 결합축(422)이 관통되어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톱니 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암수 결합축(420) 또는 숫 결합축(422)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장공(200)의 후단부의 좌우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조임구는 폴리아세탈 계열의 수지재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는, 조임장치 본체(100)의 후면 측 개구부(신발끈 인입구)로 삽입되되 이동톱니 부재(430)와 측벽부(130)의 내벽 사이를 지나 전면 측 개구부를 통해 인출되며, 이동 톱니 부재(430)의 위치에 따라 신발끈의 조임(고정) 여부가 결정된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톱니 부재(43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신발끈은 조임해제되어 상측 및 하측의 양방향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이동 톱니 부재(43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신발끈이 측벽부(130)의 내벽과 이동 톱니 부재(430) 사이에 끼임 상태를 이루어 움직일 수 없는 조임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이동 톱니 부재(430)는 전후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되, 사용자로부터 인위적인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이동 톱니 부재(430)가 항상 하측 방향으로 향하여 신발끈이 측벽부(130)의 내벽과 이동 톱니 부재(430) 사이에 끼임 상태를 이루며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 장공(200)의 양측에 형성된 탄성 수단(300)인 탄성바는 암수 결합축(420)이 조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작용시키고, 이에 따라 암수 결합축(420)에 구비된 이동 바퀴 부재(430)는 신발끈을 조이는 힘을 작용시키는 위치로 밀어냄으로써 이동 톱니 부재(430)가 항상 하측 방향으로 향하여 신발끈이 측벽부(130)의 내벽과 이동 톱니 부재(430) 사이에 끼임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탄성 수단(300)인 탄성바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조임해제 위치로 치우친 측이 절개되어 탄성바가 분할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바의 경우에도 아래에서 설명되는 고정 보강 수단(5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포함되는 조임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조임-조임해제 조작구(400)가 조임 위치에 위치(즉, 가이드 장공(200)의 일단부의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400)의 고정을 보강하기 위한 고정 보강 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보강 수단(500)은 상기 가이드 장공(200)의 일단부의 대향 내벽에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자면, 상기 고정 보강 수단(500)은 탄성바의 후단부에서 좌우 탄성바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보강 수단(500)이 구성되는 경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임-조임해제 조작구(400)가 조임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암수 결합축(420)에 대한 고정력을 증대시켜서 신발끈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 보강 수단(500)은 상기한 제2 실시 예의 탄성바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의 사용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에 의하면, 신발끈에 대한 조임력을 상하좌우 모두에서 작용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조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용이하고 신속한 조임 해제가 가능하여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능성과 사용성이 우수하면서도 제작성이 뛰어나 경제성이 증대되고,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임장치 본체
110: 상판부
120: 하판부
130: 측벽부
131: 요철부
132: 톱니부
133: 신발끈 가이드 돌출부
200: 가이드 장공
300: 탄성 수단
301: 절개부
400: 조임-조임해제 조작구
410: 상하측 돌출 조작 손잡이
411: 상부측 돌출 조작 손잡이
412: 하부측 돌출 조작 손잡이
420: 암수 결합축(암수 결합 기둥)
421: 암 결합축
422: 숫 결합축
430: 이동 톱니 부재
500: 고정 보강 수단

Claims (15)

  1. 조임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조임장치 본체;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상하 양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장공;
    상기 가이드 장공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 수단; 및
    상기 가이드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가이드 장공에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조임장치 본체를 통과하는 신발끈을 고정 및 고정해제하도록 구성되는 조임-조임해제 조작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장치 본체는
    전면과 후면 및 측면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상하좌우가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장치 본체는
    상판부와 하판부가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는 중간부에서 일단까지 측벽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상판부와 하판부를 평면적으로 바라볼 때 그 상부 측은 돔형 또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측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부 측은 "U"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상판부와 하판부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하단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면서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며, 그 라운드진 면에는 손가락의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신발끈 인입구의 양단 내측에는 라운드지게 돌출된 신발끈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공은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상판부와 하판부 각각에서 신발끈 통과방향으로의 센터 라인을 따라 형성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가이드 장공의 양측부 각각에서 그 가이드 장공의 측면 라인과 평행하게 절개된 절개부에 의해 형성된 탄성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바는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상판부와 하판부 각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는
    일측이 절개되어 분할된 탄성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가 상기 가이드 장공의 일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보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보강 수단은
    상기 가이드 장공의 일단부의 대향 내벽에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보강 수단은
    좌우 측의 상기 탄성바의 일단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라운드진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바는
    상기 가이드 장공의 길이방향 센터라인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조임해제 조작구는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외면 양측에 위치되는 상하측 돌출 조작손잡이;
    상기 상하측 돌출 손잡이 각각에서 돌출 형성되고, 서로 암수 결합되는 암수 결합축; 및
    상기 조임장치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암수 결합축이 관통되어 자유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톱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 결합축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 장공의 일단부의 좌우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KR1020230008632A 2023-01-20 2023-01-20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KR20240116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632A KR20240116095A (ko) 2023-01-20 2023-01-20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632A KR20240116095A (ko) 2023-01-20 2023-01-20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6095A true KR20240116095A (ko) 2024-07-29

Family

ID=9217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632A KR20240116095A (ko) 2023-01-20 2023-01-20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1609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132B1 (ko) 2009-01-20 2009-06-24 김신 신발끈 조임장치
KR100958383B1 (ko) 2009-10-29 2010-06-04 김한준 신발 끈 조임구
KR101075895B1 (ko) 2011-02-09 2011-10-25 김한엽 신발 끈 조임구
KR101713915B1 (ko) 2015-07-29 2017-03-09 김신 경사면이 구비된 신발끈용 조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132B1 (ko) 2009-01-20 2009-06-24 김신 신발끈 조임장치
KR100958383B1 (ko) 2009-10-29 2010-06-04 김한준 신발 끈 조임구
KR101075895B1 (ko) 2011-02-09 2011-10-25 김한엽 신발 끈 조임구
KR101713915B1 (ko) 2015-07-29 2017-03-09 김신 경사면이 구비된 신발끈용 조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195B1 (ko) 클로저 시스템
US12075890B2 (en) Adjustable stop piece for lacings and method of use
KR200480235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US6802439B2 (en) Lace-up tightening device for an article of footwear, and an article of footwear equipped with such device
CA2140577C (en) Sandal fastening system
US5349764A (en) Shoe securement apparatus
US20060021204A1 (en) Pull-cord and pulley lacing system
US20130283639A1 (en) Device for rapidly securing and obscuring footwear laces
CA2795758C (en) Adjustable stop piece for lacings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9427045B1 (en) Shoelace tie assembly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KR20240116095A (ko) 대칭 조임형 신발끈 조임장치
JP2017523897A (ja) 靴の紐掛けシステム及びこの紐掛けシステムを伴って製造される靴
KR101713915B1 (ko) 경사면이 구비된 신발끈용 조임구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EP4159078B1 (en) Detachable lacing apparatus using shoelace loop for footwear
JP5727770B2 (ja) 靴ひもの締付構造及び靴ひもの締付方法
KR101075895B1 (ko) 신발 끈 조임구
KR101563525B1 (ko) 신발끈 조임 구조체
KR101982599B1 (ko) 신발의 끈조임장치
US4348824A (en) Snowshoe and harness assembly
KR20180082378A (ko) 신발끈 결속기
JP2016127881A (ja) 靴紐緊締ストラップとそれを備えた紐靴
EP4018867B1 (en) Boot comprising a device for adjusting the closure of the leg portion
KR102486736B1 (ko) 신발끈용 텐션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