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599B1 - 신발의 끈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의 끈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599B1
KR101982599B1 KR1020180165876A KR20180165876A KR101982599B1 KR 101982599 B1 KR101982599 B1 KR 101982599B1 KR 1020180165876 A KR1020180165876 A KR 1020180165876A KR 20180165876 A KR20180165876 A KR 20180165876A KR 101982599 B1 KR101982599 B1 KR 10198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tring
shoe
pair
l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1020180165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의 발등 중앙부가 절취되어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끈걸이구(200,300); 상기 끈걸이구를 경유하여 상기 신발의 발등 전, 후방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되는 끈(270); 및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 중 어느 일측의 발등테두리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끈의 양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끈을 조이고 푸는 릴조립체(9);를 포함한다. 따라서,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끈걸이구를 발등테두리부에 각각 복수개 배치하고 발등테두리부의 중앙에서 끈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하여 신발 전후방의 끈 조임력이 전후방 5:5를 갖는 이른바 11자의 힘 배열로 균일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발등 전체에 대한 조임력이 견고해지면서 신발 착용에 대한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장시간 보행시에도 피로감을 최소화하여 부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각 끈걸이구의 장력조절수단에 의해 끈이 조여진 상태가 팽팽하게 되도록 하여 탄력적으로 발등을 잡아주는 동시에 끈의 풀림시 장력조절수단의 탄발력에 의해 끈이 신속하게 풀리면서 발등테두리부가 순간적으로 일제히 벌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안정적이고 신속한 착탈에 따른 제품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신발의 끈조임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LACE OF SHOES}
본 발명은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끈걸이구를 발등테두리부에 복수개 배치하고 발등테두리부의 중앙부에배치된 릴조립체를 통해 발등의 중앙부에서 끈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등의 끈(와이어)은 착용자가 직접 손으로 묶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는데, 이렇게 손을 사용하여 끈을 조이게 되면 아무래도 불편하고 번거롭기 때문에 최근에 다이얼 방식을 이용하여 끈을 묶는 릴조립체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릴조립체에 사용되는 와이어(케이블, 끈)는 높은 마찰계수와 탄성계수 및 인장강도를 갖는 나일론 섬유나 폴리에틸렌 섬유로 제작되며, 이와 같은 끈은 중량대비 높은 강도비를 구비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매우 낮은 탄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끈을 사용한 신발은 양측으로 이격된 발등테두리부의 전후방을 따라 평행하게 복수의 관통공(또는 끈가이드)이 형성되고 발등의 최후단부에 릴조립체를 설치한 후 이들 관통공들을 통해 끈을 지그재그로 관통시켜 조이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끈 조임방식은 조여진 끈에 별도의 탄성수단이 부여되지 않기 때문에, 끈가이드를 통과하여 릴조립체에 감겨진 끈은 조여진 후에 착용시간이 장시간 경과됨에 따라 조임력이 느슨해지게 되면서 신발의 갑피 내부에서 발의 움직임 또는 발의 부피 변화 등에 의해 신발 내부의 발이 애초에 조여진 상태보다 헐거워지는 느낌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신발의 복수의 관통공이나 탄성수단이 없는 끈가이드 대신 탄성력이 부여된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끈걸이구를 발등테두리부에 복수개 배치하여 끈을 조였을 경우 끈이 탄력적으로 조임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끈조임장치는 끈을 조이기 위한 릴조립체가 신발 발등의 최후단부에 배치된 상태로 끈을 잡아당기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릴조립체와 가까운 발등 후방부의 끈걸이구쪽이 먼저 조여지고 이에 상반해서 릴조립체와 멀리 떨어져 있는 발등 전방부의 끈걸이구에 걸리는 끈 조임력은 상대적으로 약화되면서 결과적으로 신발의 전후방의 끈 조임력이 대략 3:7정도로 힘 배열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이른바 항아리 형상의 조임 구조를 갖게 되어, 일례로 착용자는 보행시 끈이 느슨해지거나 풀린 것과 같은 착각에 의해 불필요한 끈조임 동작을 수시로 반복하게 되는 번거로움은 물론 전반적으로 신발에 대한 끈 조임이 견고하지 못하게 되면서 발이 좌우 쏠림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그 결과 발에 피로감이 가중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27989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끈걸이구를 발등테두리부에 각각 복수개 배치하고 발등테두리부의 중앙부에 릴조립체를 배치하여 끈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릴조립체를 기준으로 해서 신발 전, 후방의 끈 조임력이 대체로 균일하게 되도록 하되, 특히 폭간격이 좁은 신발의 전방부가 먼저 조여지기 시작하고 곧바로 폭간격이 넓은 신발의 후방부가 순차적으로 조여지도록 하는 신발의 끈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각 끈걸이구의 장력조절수단에 의해 끈이 조여진 상태가 팽팽하게 되도록 하여 탄력적으로 발등을 잡아주는 동시에 끈의 풀림시 장력조절수단의 탄발력에 의해 끈이 신속하게 풀리면서 발등테두리부가 순간적으로 일제히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의 끈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는 신발의 발등 중앙부가 절취되어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끈걸이구; 상기 끈걸이구를 경유하여 상기 신발의 발등 전, 후방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되는 끈; 및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 중 어느 일측의 발등테두리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끈의 양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끈을 조이고 푸는 릴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끈걸이구는 단일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싱글끈걸이구 및 한 쌍의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더블끈걸이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끈걸이구는, 상기 발등테두리부의 전방, 후방, 중앙 세 곳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각각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 중 어느 일측의 발등테두리부에는 상기 전방, 후방, 중앙 세 곳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각각 배치되고, 마주보는 타측의 발등테두리부에는 상기 전방, 후방의 끈걸이구와 마주보고 상기 끈걸이구가 전, 후방에 배치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릴조립체가 마련되며, 상기 릴조립체가 마련된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 후방의 끈걸이구의 간격을 전후로 동일하게 이격시켜 상기 릴조립체를 통한 끈의 장력이 상기 전, 후방 끈걸이구에 5:5로 균형을 이루어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의 전방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싱글끈걸이구가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의 중앙부 중 어느 일측에 더블끈걸이구가 배치되고 이에 대응되는 맞은편에 상기 릴조립체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의 후방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더블끈걸이구가 배치되되, 상기 각각의 끈걸이구는 발등의 후방으로 갈수록 폭방향에 대해 벌어지는 구조로 위치되었다가 상기 릴조립체를 통해 끈을 조이게 되면 각각의 끈걸이구가 폭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폭 방향에 대해 평행한 11자 구조로 위치 변경되도록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싱글끈걸이구는, 끈이 안내되는 안내로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로에 인접하여 상기 장력조절수단이 배치되는 걸이구본체; 및 상기 장력조절수단을 덮어씌워 상기 걸이구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걸이구본체의 안내로에 축 회전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안내조절부재; 및 상기 안내조절부재의 축 회전 유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조절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걸이구본체는 상기 안내로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내조절부재가 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안내조절부재의 외형을 감싸는 고정틀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더블끈걸이구는 상기 싱글끈걸이구의 장력조절수단이 중앙 대칭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된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발선단부의 더블끈걸이구와 동일선상에 놓이는 상기 신발의 발등 중앙부에 끈을 각각 다음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중앙끈걸이구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끈걸이구는 상기 한쌍의 싱글끈걸이구의 후방측 및 상기 발등테두리부의 후단부의 상기 더블끈걸이구와 상기 릴조립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끈걸이구는, 상기 신발의 발등 중앙부가 절취된 공간에 마련되는 발등덮개판에 부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끈이 걸리는 걸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향 직립 연장되는 상향직립편; 상기 상향직립편의 상단에서 신발의 선단부를 향해 수평 연장되는 수평연장편;을 포함하는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장편은 연장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하향연장편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발의 끈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조립체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상향 연장되고 외주면에 내외로 관통된 한 쌍의 게이트가 마련되며 내주면을 따라 일방향돌기가 연속해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하 이격된 상, 하판과, 상기 상, 하판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케이트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을 통해 내부로 안내된 와이어의 양단부가 고정되며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권취부와, 상기 상판의 상면에 연속 형성된 복수의 권취돌기가 마련된 스풀; 상기 스풀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하 승강되면서 상기 스풀의 권취돌기와 이격 및 치합되는 축회전돌기와, 테두리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캠샤프트가 마련된 와인더; 상기 와인더의 외부를 감싸고 그 외주면 일측에 상기 캠샤프트가 승강되도록 안내하고 상, 하단부에 각각 캠샤프트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상, 하단스톱퍼를 갖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가이드 인접부에 상기 하우징의 일방향돌기와 치합되는 래칫돌기가 형성된 래칫부가 마련된 래칫; 상기 와인더와 스풀의 치합시 상기 캠샤프트가 위치되는 치합위치부와, 상기 와인더와 스풀의 이격시 상기 캠샤프트가 위치되는 이격위치부와, 상기 와인더와의 사이에 상기 래칫이 개재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축회전시 상기 와인더와 래칫을 축회전시켜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돌부와, 타방향으로 축회전시 상기 캠샤프트를 상승시켜 상기 스풀과 와인더의 치합을 해제시키는 치합해제부가 마련된 스파이럴캠; 및 상기 스파이럴캠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정역 축회전되는 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끈걸이구를 발등테두리부에 각각 복수개 배치하고 발등테두리부의 중앙부에 릴조립체를 배치하여 끈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릴조립체를 기준으로 해서 신발 전, 후방의 끈 조임력이 대체로 균일하게 되도록 하되, 특히 폭간격이 좁은 신발의 전방부가 먼저 조여지기 시작하고 곧바로 폭간격이 넓은 신발의 후방부가 순차적으로 조여지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신발 전후방의 끈 조임력이 전후방 5:5를 갖는 이른바 11자의 힘 배열로 균일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발등 전체에 대한 조임력이 견고해지면서 장시간 보행이나 어떠한 악조건 보행시에도 지속적인 와이어 장력을 유지하여 그 결과 신발 착용에 대한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장시간 보행시에도 피로감을 최소화하여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각 끈걸이구의 장력조절수단에 의해 끈이 조여진 상태가 팽팽하게 되도록 하여 탄력적으로 발등을 잡아주는 동시에 끈의 풀림시 장력조절수단의 탄발력에 의해 끈이 신속하게 풀리면서 발등테두리부가 순간적으로 일제히 벌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안정적이고 신속한 착탈에 따른 제품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끈의 조임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 개략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끈의 조임 후 상태를 나타낸 요부 개략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싱글끈걸이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싱글끈걸이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싱글끈걸이구를 나타낸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싱글끈걸이구의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싱글끈걸이구의 커버를 제거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싱글끈걸이구를 통한 끈의 조임 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싱글끈걸이구를 통한 끈의 조임 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을 하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의 와이어 감김 모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의 와이어 풀림 모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의 스풀에 와이어가 감기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의 스파이럴캠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의 스파이럴캠을 통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를 나타낸 요부개략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중앙끈걸이구를 나타낸 상방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중앙끈걸이구를 나타낸 후방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는 끈걸이구(200,300)와, 끈(270)과 릴조립체(9)를 포함한다.
상기 끈걸이구(200,300)는 신발의 발등 중앙부가 절취되어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2)에 배치되어 끈(270)을 탄력적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끈(270)은 상기 끈걸이구(200,300)를 경유하여 상기 신발의 발등 전, 후방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되어 발등을 조이고 푸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릴조립체(9)는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2) 중 어느 일측의 발등테두리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끈(270)의 양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끈(270)을 조이고 푸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끈걸이구(200,300)는 단일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싱글끈걸이구(200) 및 한 쌍의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더블끈걸이구(300)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복수의 끈걸이구(200,300)는, 상기 발등테두리부(2)의 전방, 후방, 중앙 세 곳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각각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2) 중 어느 일측의 발등테두리부(2)에는 상기 전방, 후방, 중앙 세 곳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각각 배치되고, 마주보는 타측의 발등테두리부(2)에는 상기 전방, 후방의 끈걸이구(200,300)와 마주보고 상기 끈걸이구(200,300)가 전, 후방에 배치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릴조립체(9)가 마련되며, 상기 릴조립체(9)가 마련된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 후방의 끈걸이구(200,300)의 간격을 전후로 동일하게 이격시켜 상기 릴조립체(9)를 통한 끈(270)의 장력이 상기 전, 후방 끈걸이구(200,300)에 5:5로 균형을 이루어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해,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2)의 전방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싱글끈걸이구(200)가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2)의 중앙부 중 어느 일측에 더블끈걸이구(300)가 배치되고 이에 대응되는 맞은편에 상기 릴조립체(9)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2)의 후방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더블끈걸이구(300)가 배치되되, 상기 각각의 끈걸이구(200,300)는 발등의 후방으로 갈수록 폭방향에 대해 벌어지는 구조로 위치되었다가 상기 릴조립체(9)를 통해 끈을 조이게 되면 각각의 끈걸이구(200,300)가 폭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폭 방향에 대해 평행한 11자 구조로 위치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끈(270)을 발등테두리부(2)의 중앙에 배치된 더블끈걸이구(300)에 걸어서 발등의 전, 후방을 향해 엑스자 형상으로 크로스시켜 발등 전방의 양측 싱글끈걸이구(200) 및 후방의 양측 더블끈걸이구(300)에 각각 건다.
그런 다음, 다시 중앙을 향해 엑스자 형상으로 꼬아서 끈(270)의 양단부를 발등테두리부(2)의 일측 중앙에 배치된 릴조립체(9)로 연결하여 끈(270) 연결작업이 완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릴조립체(9)의 다이얼을 원하는 방향으로 정역회전시켜 끈(270)을 조이고 풀어서 신발을 견고히 착용하고 벗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된 끈걸이구를 발등테두리부에 각각 복수개 배치하고 발등테두리부의 중앙부에 릴조립체를 배치하여 끈을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릴조립체를 기준으로 해서 신발 전, 후방의 끈 조임력이 대체로 균일하게 되도록 하되, 특히 폭간격이 좁은 신발의 전방부가 먼저 조여지기 시작하고 곧바로 폭간격이 넓은 신발의 후방부가 순차적으로 조여지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신발 전후방의 끈 조임력이 전후방 5:5를 갖는 이른바 11자의 힘 배열로 균일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발등 전체에 대한 조임력이 견고해지면서 장시간 보행이나 어떠한 악조건 보행시에도 지속적인 와이어 장력을 유지하여 그 결과 신발 착용에 대한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장시간 보행시에도 피로감을 최소화하여 부상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끈걸이구의 장력조절수단에 의해 끈이 조여진 상태가 팽팽하게 되도록 하여 탄력적으로 발등을 잡아주는 동시에 끈의 풀림시 장력조절수단의 탄발력에 의해 끈이 신속하게 풀리면서 발등테두리부가 순간적으로 일제히 벌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의 안정적이고 신속한 착탈에 따른 제품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싱글끈걸이구(20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싱글끈걸이구(200)는 끈(270)의 장력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장력조절수단(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수단(230)은 주로 끈(270)에 탄성지지력을 제공함으로써 끈에 가해진 장력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상기 신발의 끈조임장치(200)는 끈(270)이 안내되는 안내로(211)가 마련되며 안내로(211)에 인접하여 장력조절수단(230)이 배치되도록 하는 걸이구본체(210) 및 상기 장력조절수단(230)이 장착된 걸이구본체(210)를 덮어씌운 상태로 걸이구본체(210)에 결합되어 장력조절수단(230)을 제한 유동 가능하게 위치시키는 커버(220)를 포함한다.
상기 걸이구본체(210)는 안내로(211)에 배치된 끈(27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215)가 마련되어 상기 끈이 안내로(211)를 통과하거나 배치되는 경우 가이드돌기(215)에 의해 상기 끈이 걸이구본체(2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걸이구본체(210)는 안내로(211)의 하부 일측에 하기 안내조절부재(240)의 회전축(241)이 삽입되어 축 회전되는 축공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구본체(210)는 끈(270)이 사용되는 착용대상물에 위치 고정되도록 외측부가 둥글게 형성된 본체설치부(218)가 마련되어 있고, 이 본체설치부(218)는 착용 대상물(예컨대, 신발의 갑피)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박음질, 나사 고정 등에 의해 착용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구본체(210)는 상기 축공부(216)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내조절부재(240)가 장착되도록 하는 상기 안내조절부재(240)의 외형을 감싸고 전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형합단턱부(219a)가 형성된 고정틀(219)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이구본체(210)는 안내로(211)를 덮어씌워 장력조절수단(230)을 내장할 수 있는 커버(220)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220)는 걸이구본체(210)의 고정틀(219)의 형합단턱부(219a)에 형합 고정되도록 하는 형합돌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력조절수단(230)은 걸이구본체(210)의 안내로(211)에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안내조절부재(240) 및 안내조절부재(240)의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조절스프링(260)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조절부재(240)는 실질적으로 끈(270)에 접촉하여 끈의 조임에 따라 축 회전 유동되며 안내로(211)의 곡선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안내조절부재(240)는 조절스프링(260)의 절곡부(261)가 맞닿아 지지되는 절곡면(142)이 마련되며 상기 절곡면(142)의 반대편에 끈(270)이 접촉된 상태에서 이 끈(270)의 장력을 안내하는 안내면(14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안내조절부재(240)는 걸이구본체(210)의 안내로(211)에 위치한 상태에서 안내로(211)를 경유하는 끈을 지지하며 안내로(211)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조절부재(240)는 걸이구본체(210)의 축공부(216)에 회전 가능하게 축착되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축(241) 및 이 회전축(241)과 동일선상 반대편에 조절스프링(260)의 코일부(261)를 관통하는 조절스프링(260)이 안착되도록 하는 스프링축(14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조절스프링(260)은 안내조절부재(240)의 움직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끈(27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안내조절부재(240)가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함으로써 끈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스프링(260)은 걸이구본체(210)의 스프링축(144)에 안착되는 코일 형상의 코일부(261)와, 이 코일부(261)에서 연장되며 안내조절부재(240)에 연결되어 이 안내조절부재(240)와 동일 축회전되는 축회전부(26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회전부(262)의 단부에는 안내조절부재(240)의 절곡면(142)에 걸려 고정되는 직각 절곡 구조의 절곡부(26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회전부(262)의 타측에는 고정틀(219)의 고정홈(219b)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지지부(2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안내조절부재(240)는 걸이구본체(210)의 고정틀(219)과의 조합에 의해 안내로(211)에서의 축 회전 유동이 제한되도록, 즉, 끈의 유동적인 움직임에 대응하여 안내조절부재(240)의 움직임이 일정 거리 제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유동제한구조는 안내조절부재(240)의 상방 일측에 걸림홈(245)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고정틀(219)의 일측에 상기 걸림홈(245)에 형합되어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부(219c)가 마련되어, 상기 조절스프링(260)의 탄발력에 의해 안내조절부재(240)가 안내로(211) 방향으로 밀려나다가 상기 안내조절부재(240)의 걸림홈(245)들이 상기 안내조절부재(240)의 걸림돌부(219c)에 걸려 유동이 제한되는 동시에 끈(270)이 가이드돌기(215)에 맞닿는 것을 차단하여 끈(270)이 가압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제한구조와 반대로 상기 안내조절부재(240)가 상기 끈(270)의 조임 방향으로 유동되다가 유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안내면(243)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 돌출된 멈춤돌부(246)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틀(219)의 일측에 상기 멈춤돌부(246)가 걸리는 멈춤면(219d)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멈춤면(219d)를 통해 상기 안내조절부재(240)가 끈(270)의 가압력에 의해 지나치게 끈의 조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에 따라 조절스프링(260)이 지나치게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끈(270)의 조임 형상이 너무 오무라드는 것을 막아 신발 등의 착용이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조절스프링(260)의 압축력에 따른 반발력이 커지면서 조절스프링(260)의 스프링축(244)으로부터의 이탈 및 이에 의한 커버(220)의 분리는 물론 끈(270)에 대한 지나친 텐션에 의해 끈이 손상되는 것 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20)는 중앙 상면부와 그 좌우 면부가 라운드진 곡면 구조로 되어 외부 마찰을 줄일 수 있으면서 착용 대상물에의 배치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상기 신발의 끈조임장치의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신발의 끈걸이구(200)를 착용대상물(신발 등)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거울 대칭되도록 복수개를 고정 배치하여 끈(270)을 각각의 안내로(211)를 통해 지그재그 방식으로 관통시켜 연결한다.
다시 말해서, 걸이구본체(210)의 안내로(211) 상으로 커버(220)를 덮어씌워 결합하면 끈(270)이 관통되는 안내로(211)의 관통방향 전, 후단부가 개방되고 상방의 가이드돌기(215)와 하방의 안내조절부재(240)의 안내면(243)에 의해 안내로(211)의 상, 하방이 차단되어 소정의 곡선통로가 형성되어 이 곡선통로를 통해 끈(270)을 연속적으로 관통시키면서 복수의 신발의 끈조임장치(200)들을 연결시켜 끈(270)의 조이는 형상을 완성시킨다.
그리고, 끈(270)의 단부는 별도의 릴조립체(미도시) 등에 연결시킨 상태로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릴조립체의 조임에 의해 끈(270)을 조이게 되면 끈(270)이 안내조절부재(240)를 상기 착용대상물의 중앙선 방향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조절스프링(260)도 중앙선 방향으로 탄력있게 밀려나면서 이에 대응되는 반발력을 상기 안내조절부재(240)를 통해 끈(270)으로 부여하여 끈(270)이 장력을 가진 상태로 조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사용시에 상기 장력이 유지된 채 풀림이나 느슨해짐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릴조립체의 끈 조임이 해제되면 상기 안내조절부재(240)의 탄발력에 의해 끈(270)의 조임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신속하게 끈의 풀림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는 끈의 조임 상태에서 유동이 있더라도 끈의 풀림이나 느슨해짐을 탄력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더블끈걸이구(300)는 상기 싱글끈걸이구(200)의 장력조절수단(230)이 중앙 대칭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310은 걸이구본체를 나타낸 것이고, 330은 장력조절수단을 나타낸 것이며, 340은 안내조절부재를 나타낸 것이고, 360은 조절스프링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끈을 감고 풀 수 있도록 구성된 릴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하기의 립 조립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하기 구조로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릴 조립체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의 끈은 와이어로 표현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조립체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 조립체(9)는 하우징(10)과, 스풀(20)과, 와인더(30)와, 래칫(40)과, 스파이럴캠(50)과, 다이얼(60)을 포함한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10)은,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에서 상향 연장되고 외주면에 내외로 관통된 한 쌍의 게이트(12a)가 마련되며 내주면을 따라 일방향돌기(12b)가 연속해서 형성된 원관체 형상의 울타리(1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울타리(12)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대상물(예를 들어, 신발의 등부분이나 측면부분)에 접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판(5)이 마련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스풀(20)은 상기 일방향돌기(12b) 하방인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11)에 고정되어 상기 울타리(12)에 둘러싸이고 상하 이격된 원판 형상의 상, 하판(21,22)과, 상기 상, 하판(21,22) 사이에 소직경 구조로 되어 상기 한 쌍의 케이트(12a)와 연통되는 연통공(23)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23)을 통해 내부로 안내된 와이어(끈)(7)의 양단부가 고정되며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7)가 감기는 권취부(24)와, 상기 상판(21)의 상면에 원 형상으로 연속 형성된 복수의 권취돌기(25)가 마련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4a는 상기 연통공(23)을 통해 유입된 와이어(7)가 고정되는 터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와인더(30)는 상기 스풀(20)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하 승강되면서 상기 스풀(20)의 권취돌기(25)와 이격 및 치합되는 축회전돌기(31)와, 테두리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캠샤프트(32)가 마련된 링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캠샤프트(32)는 일측면에 하기 치합해제부(54)의 가압시 미끄러지면서 원활하게 상승되도록 라운드진 라운드부(32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캠샤프트(32)는 상기 스풀(20)과 와인더(30)의 치합 분리에 따른 와이어 풀림 모드시 상기 치합해제부(54)를 타고 상기 이격위치부(52)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면은 상기 래칫(40)의 래칫상판(40a) 저면에 밀착되고 저면은 상기 이격위치부(52)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래칫상판(40a)과 이격위치부(52) 사이에 견고히 맞물려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래칫(40)은 상기 와인더(30)의 외부를 감싸는 원캡 형상으로 그 외주면 일측에 상기 캠샤프트(32)가 승강되도록 안내하고 상, 하단부에 각각 캠샤프트(32)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상, 하단스톱퍼(41a,41b)를 갖는 승강가이드(41)와, 상기 승강가이드(41) 인접부에 상기 하우징(10)의 일방향돌기(12b)와 치합되는 래칫돌기(42a)가 형성된 래칫부(42)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가이드(41)는 상기 캠샤프트(32)가 원활하게 상하 슬라이딩 안내되도록 상기 상, 하단스톱퍼(41a,41b) 사이가 경사면(41c)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스톱퍼(41a)의 인접부에는 하기 이격위치부(52)를 관통하여 상단스톱퍼(41a)에 걸려있는 캠샤프트(32)의 선단부가 관통되는 상단관통부(41d)과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단스톱퍼(41b)의 인접부에는 하기 치합위치부(51)를 관통하여 하단스톱퍼(41b)에 걸려있는 캠샤프트(32)의 선단부가 관통되는 하단관통부(41e)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칫부(42)는 일단부가 상기 래칫(40)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자유단 구조로 되어 상기 일방향돌기(12b)를 타고 진행시(와이어를 감는 방향) 탄력적으로 내외 신축되게 하며 상기 래칫부(42)의 외측면에 외향 돌출된 상기 래칫돌기(42a)가 마련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43은 하기 권취돌부(53)가 맞닿은 상태로 래칫(40)을 밀어 정방향 축회전시키는 권취면을 나타낸 것이고, 44는 하기 권취돌부(53)가 역회전하여 맞닿아 와인더(30)와 스풀(20)의 치합을 해제하는 권취해제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스파이럴캠(50)은 상기 와인더(30)와 스풀(20)의 치합시 상기 캠샤프트(32)가 위치되는 치합위치부(51)와, 상기 와인더(30)와 스풀(20)의 이격시 상기 캠샤프트(32)가 위치되는 이격위치부(52)와, 상기 와인더(30)와의 사이에 상기 래칫(40)이 개재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축회전시 상기 와인더(30)와 래칫(40)을 축회전시켜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돌부(53)와, 타방향으로 축회전시 상기 캠샤프트(32)를 상승시켜 상기 스풀(20)과 와인더(30)의 치합을 해제시키는 치합해제부(54)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치합해제부(54)는 상기 캠샤프트(32)의 측면 하부 가압시 상기 캠샤프트(32)를 원활하게 상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치합위치부(51)의 상방에는 치합위치부(51)에 위치해 있는 캠샤프트(32)가 다이얼(60)의 회전 조작 중 상방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들림방지돌기(5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격위치부(52)는 상기 캠샤프트(32)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치합위치부(51)로 이동시 수월하게 이격위치부(52)를 벗어나서 원활하게 하강 슬라이딩되어 상기 치합위치부(51)로 정확히 안내되도록 상기 캠샤프트(32)의 폭넓이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다이얼(60)은 상기 스파이럴캠(50)의 외주면을 감싸 결합되고 상기 울타리(12)를 감싼 상태로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되어 정역 축회전되는 원형캡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60)은 외주면을 따라 회전 조작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형상의 미끄럼방지돌기(61)가 연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방지돌기(61)는 그 사이에 다이얼(60) 회전 조작시 손가락이 걸려 안정적으로 회전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걸림돌기(62)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릴시스템은 하우징(10)의 바닥면(11)에 직립원관체 형상의 체결구수부(13)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나머지 구성품인 스풀(20), 캠샤프트(30), 래칫(40), 스파이럴캠(50), 다이얼(60)의 중앙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며, 다이얼(60)의 관통공을 통해 별도의 체결구(70)를 관통시켜 이들 전체를 체결구수부(13)에 체결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우징(10)의 바닥면(11)에 체결구수부(13)가 관통되도록 하여 스풀(20)을 배치하고, 스파이럴캠(50)의 중앙에 와인더(30)와 래칫(40)을 장착한 후 그 상부로 다이얼(60)을 덮어씌워 와인더(30)와 래칫(40)이 내장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파이럴캠(50)과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다시 스파이럴캠(50)이 연결된 다이얼(60)을 하우징(10)의 외부로 덮어씌운 후 체결구(70)를 천체 구성품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구수부(13)에 체결하여 조립을 완성한다.
그리고, 해당 신발에 부착시키기 위해 하우징(10)의 저면에 고정판(5)을 연결하여 해당 신발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시켜서 회전 조작을 통해 와이어를 권취 및 권취 해제한다.
여기서, 와이어 권취 동작(와이어 감김 모드)을 살펴보면, 상기 이격위치부(52) 및 상단관통부(41d)를 관통하여 상단스톱퍼(41a)에 걸려있는 동시에 그 상면은 상기 래칫(40)의 래칫상판(40a) 저면에 밀착되고 그 저면은 상기 이격위치부(52)의 상면 및 상기 상단관통부(41d)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상기 래칫상판(40a)과 이격위치부(52)(상단관통부(41d)의 바닥면을 포함) 사이에 견고히 맞물려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있던 상기 캠샤프트(32)의 선단부는 다이얼(60)의 정회전(시계방향) 조작시 상기 스파이럴캠(50)의 권취돌부(53)가 래칫(40)의 권취면(43)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래칫(40)과 와인더(30)(즉, 캠샤프트(32))는 제자리에 정지되어 있는 반면 스파이럴캠(50)은 정회전(시계방향)되면서 이격위치부(52)에서 벗어나게 되고, 계속 축회전되는 스파이럴캠(50)의 권취돌부(53)가 권취면(43)에 맞닿은 상태로 래칫(40)을 축회전(래칫(40)의 래칫돌기(42a)가 하우징(10)의 일방향돌기(12b)를 탄력적으로 넘어가면서래칫(40)이 축회전 됨)시키게 되면 캠샤프트(32)가 상단스톱퍼(41a)에서 이격된 후 래칫(40)의 승강가이드(41)의 경사면(41c)을 따라 하방의 치합위치부(51)로 하강하여 축회전돌기(31)가 하방의 스풀(20)의 권취돌기(25)와 치합되며, 계속해서 스파이럴캠(50)의 권취돌부(53)가 권취면(43)에 맞닿은 상태로 래칫(40)을 축회전시키게 되면 상대적으로 하방의 스풀(20)과 치합되어 정지상태로 있는 와인더(30)의 상기 캠샤프트(32)는 축회전되어 오는 래칫(40)에 의해 들림방지돌기(55) 하방의 치합위치부(51)까지 상대 이동되는 동시에 래칫(40)의 하단스톱퍼(41b)와 맞닿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캠샤프트(32)는 상기 들림방지돌기(55)에 의해 상방으로 들리는 것이 방지되어 축회전돌기(31)와 권취돌기(25)가 견고히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이얼(60)을 계속해서 축회전시키면 스파이럴캠(50)의 권취돌부(53)는 권취면(43)에 맞닿고 캠샤프트(32)는 래칫(40)의 하단스톱퍼(41b)와 맞닿은 상태로 축회전되어 그 결과 상기 권취돌부(53)는 래칫(40)을 축회전시키고 래칫(40)은 와인더(30)를 축회전시키며 와인더(30)는 스풀(20)을 축회전시켜 최종적으로 와이어(7)가 권취부(24)에 권취된다.
반면에, 와이어 권취 해제 동작(와이어 풀림 모드)을 살펴보면, 상기 치합위치부(51) 및 하단관통부(41e)를 관통하여 하단스톱퍼(41b)에 걸려있는 캠샤프트(32)의 선단부가 다이얼(60)의 역회전(반시계방향) 조작시 상기 래칫(40)은 스파이럴캠(50)의 권취돌부(53)가 래칫(40)의 권취해제면(44)에 도달할 때부터 계속해서 제자리에 정지(래칫(40)의 래칫돌기(42a)가 하우징(10)의 일방향돌기(12b)에 걸려 정지된 상태)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파이럴캠(50)을 계속해서 역회전시키면 치합위치부(51)에 있던 캠샤프트(32)의 라운드진 측면 하단으로 경사면 구조인 치합해제부(54)가 파고 들어가면서 캠샤프트(32)를 들어 올리고 계속해서 경사면인 치합해제부(54)를 타고 상방의 이격위치부(52)로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축회전돌기(31)가 하방의 권취돌기(25)와 치합 해제된다.
이렇게, 권취돌부(53)가 권취해제면(44)에 맞닿게 되면서 다이얼(60)의 역회전이 정지되는 동시에 스풀(20)은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와이어(7)가 권취부(24)에서 권취 해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캠샤프트(32)의 상면은 상기 래칫(40)의 래칫상판(40a) 저면에 밀착되고 저면은 상기 이격위치부(52)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래칫상판(40a)과 이격위치부(52) 사이에 견고히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다이얼(60)의 간단한 정역회전 조작에 의해 와이어(7)를 권취 및 권취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파리얼캠(50)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스파이럴캠(80)은, 상기 권취돌부(83) 사이의 내주면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측이 중앙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탄성외팔보 구조로 되어 상기 스파이럴캠(80)의 축회전시 상기 래칫(40)의 온오프돌기(45)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탄력있게 밀려나고 스파이럴캠(80)의 통과시 원상태로 복귀되어 축회전방향 전후측에서 각각 상기 래칫(40)의 온오프돌기(45)가 고정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텐션스톱퍼(8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텐션스톱퍼(86)는 중앙으로 돌출되는 선단부에서 다시 중앙으로 돌출되어 상기 온오프돌기(45)의 권취면(43)과 권취해제면(44)에 선택적으로 맞닿아 상기 래칫(40)을 고정 지지하는 스톱퍼돌기(86a)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돌기(86a)는 상기 온오프돌기(45)가 축회전시 원활하게 넘어갈 수 있게 외주면이 라운드진 곡면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인 스파이럴캠(80)을 적용한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다른 실시예인 스파이럴캠(80)을 제외한 릴시스템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기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스파이럴캠(80)을 사용한 와이어 권취 동작(와이어 감김 모드)을 살펴보면, 상기 이격위치부(82) 및 상단관통부(41d)를 관통하여 상단스톱퍼(41a)에 걸려있는 동시에 그 상면은 상기 래칫(40)의 래칫상판(40a) 저면에 밀착되고, 그 저면은 상기 이격위치부(82)의 상면 및 상기 상단관통부(41d)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상기 래칫상판(40a)과 이격위치부(82)(상단관통부(41d)의 바닥면을 포함) 사이에 견고히 맞물려 고정되며, 상기 온오프돌기(45)가 오프 위치, 즉 온오프돌기(45)의 권취해제면(44)과 권취돌부(83)의 돌부후단면(83b)이 맞닿는 동시에 온오프돌기(45)의 권취면(43)과 스톱퍼돌기(86a)의 선단면이 맞닿는 오프 위치에 놓여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캠샤프트(32)의 선단부는 다이얼(60)의 정회전(시계방향) 조작시 상기 스파이럴캠(80)의 권취돌부(83)가 래칫(40)의 권취면(43)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래칫(40)과 와인더(30)(즉, 캠샤프트(32))는 제자리에 정지되어 있는 반면 스파이럴캠(80)은 정회전(시계방향)되면서 이격위치부(82)에서 벗어나게 되고, 계속 축회전되는 스파이럴캠(80)의 권취돌부(83)가 권취면(43)에 맞닿은 상태로 래칫(40)을 축회전(래칫(40)의 래칫돌기(42a)가 하우징(10)의 일방향돌기(12b)를 탄력적으로 넘어가면서 래칫(40)이 축회전 됨)시키게 되면 캠샤프트(32)가 상단스톱퍼(41a)에서 이격된 후 래칫(40)의 승강가이드(41)의 경사면(41c)을 따라 하방의 치합위치부(51)로 하강하여 축회전돌기(31)가 하방의 스풀(20)의 권취돌기(25)와 치합되며, 계속해서 스파이럴캠(50)의 권취돌부(53)가 권취면(43)에 맞닿은 상태로 래칫(40)을 축회전시키게 되면 상대적으로 하방의 스풀(20)과 치합되어 정지상태로 있는 와인더(30)의 상기 캠샤프트(32)는 축회전되어 오는 래칫(40)에 의해 들림방지돌기(55) 하방의 치합위치부(51)까지 상대 이동되는 동시에 래칫(40)의 하단스톱퍼(41b)와 맞닿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스파이럴캠(80)이 축회전되는 동안 텐션스톱퍼(86)가 온오프돌기(45)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났다가 텐션스톱퍼(86)가 온오프돌기(45)를 경과하게 되면 텐션스톱퍼(86)가 다시 원상 복귀되어 상기 온오프돌기(45)가 돌부선단면(83a)과 스톱퍼돌기(86b) 사이에 놓이면서 견고히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샤프트(32)는 상기 들림방지돌기(85)에 의해 상방으로 들리는 것이 방지되어 축회전돌기(31)와 권취돌기(25)가 견고히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이얼(60)을 계속해서 축회전시키면 스파이럴캠(80)의 권취돌부(83)는 권취면(43)에 맞닿고 캠샤프트(32)는 래칫(40)의 하단스톱퍼(41b)와 맞닿은 상태로 축회전되어 그 결과 상기 권취돌부(53)는 래칫(40)을 축회전시키고 래칫(40)은 와인더(30)를 축회전시키며 와인더(30)는 스풀(20)을 축회전시켜 최종적으로 와이어(7)가 권취부(24)에 권취된다.
반면에, 와이어 권취 해제 동작(와이어 풀림 모드)을 살펴보면, 상기 온오프돌기(45)가 온 위치, 즉 온오프돌기(45)의 권취해제면(44)과 스톱퍼돌기(86a)의 후단면이 맞닿는 동시에 온오프돌기(45)의 권취면(43)과 권취돌부(83)의 돌부선단면(83a)이 맞닿는 오프 위치에 놓여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치합위치부(51) 및 하단관통부(41e)를 관통하여 하단스톱퍼(41b)에 걸려있는 캠샤프트(32)의 선단부가 다이얼(60)의 역회전(반시계방향) 조작시 상기 래칫(40)은 스파이럴캠(80)의 권취돌부(83)가 래칫(40)의 권취해제면(44)에 도달할 때부터 계속해서 제자리에 정지(래칫(40)의 래칫돌기(42a)가 하우징(10)의 일방향돌기(12b)에 걸려 정지된 상태)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파이럴캠(80)을 계속해서 역회전시키면 치합위치부(81)에 있던 캠샤프트(32)의 라운드진 측면 하단으로 경사면 구조인 치합해제부(84)가 파고 들어가면서 캠샤프트(32)를 들어 올리고 계속해서 경사면인 치합해제부(84)를 타고 상방의 이격위치부(82)로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축회전돌기(31)가 하방의 권취돌기(25)와 치합 해제된다.
이때, 상기 스파이럴캠(80)이 축회전되는 동안 텐션스톱퍼(86)가 온오프돌기(45)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났다가 텐션스톱퍼(86)가 온오프돌기(45)를 경과하게 되면 텐션스톱퍼(86)가 다시 원상 복귀되어 상기 온오프돌기(45)가 돌부후단면(83b)과 스톱퍼돌기(86b) 사이에 놓이면서 견고히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권취돌부(83)가 권취해제면(44)에 맞닿게 되면서 다이얼(60)의 역회전이 정지되는 동시에 스풀(20)은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와이어(7)가 권취부(24)에서 권취 해제되도록 한다.
이렇게 다이얼(60)의 간단한 정역회전 조작에 의해 와이어(7)를 권취 및 권취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릴시스템을 이용하여, 일측방향으로 1개의 루프구조를 갖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양측 방향으로 2개의 루프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와이어(케이블,끈)는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또는 탄성계수를 갖고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매우 매끄러운 줄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케이블은 함께 짜여진 재료의 여러 가닥일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나일론 섬유나, 폴리에틸렌 섬유로 형성된 끈을 이용할 수 있다. 적당한 끈 재료 중의 한 예는 SPECTRA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중합시에 높은 중합도(체인이 길게 연장된)폴리에틸렌 섬유는 유리하게 중량대비 높은 강도비를 구비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고, 매우 낮은 탄성을 가지고 있다. 이 재료로 만들어진 바람직한 끈은 꽉 엮어서 짜여진 것이다. 꽉 엮어서 짜여진 끈은 완성된 끈에 강성을 더하게 된다. 짜여져서 제공되는 부가된 강성은 누름 성능을 증가시키고, 끈은 끈가이드를 통하여 쉽게 꿰어져서 스풀로 삽입되고, 또는 가이드를 통하여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는 끈의 고리를 형성한다. 또한 끈은 형틀에서 방사된 모노필라멘트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끈 또는 케이블은 적어도 0.02 인치 및/또는 약 0.04 인치 이하, 또는 적어도 약 0.025 인치 및/또는 0.035 인치 이하의 직경을 갖을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를 넘는 직경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은 와이어를 권취하는 스풀과 이 스풀에 치합 및 이격되는 와인더와 상기 와인더를 축회전시키는 다이얼과 이 다이얼을 와이어 조임방향인 일방향으로만 축회전되도록 하는 래칫과 상기 스풀과 와인더가 치합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치합이격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치합이격구조의 정역 회전 조작을 통해 스풀과 와인더가 치합되면 와이어의 권취만이 가능하도록 하고 스풀과 와인더가 이격되면 와이어의 권취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정역 회전 조작만으로 와이어의 권취 및 권취 해제가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 기본적으로 와이어 권취 조작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됨은 물론 특히 악력이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 등도 별다른 어려움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제품 경쟁력 및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릴시스템은 스키 부츠, 스노우 부츠, 아이스 스케이트, 승마용 부츠, 하이킹화, 런닝화, 운동화, 특별화, 그리고 트레이닝화를 포함하는 발 착용구에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수많은 다양한 다른 응용분야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잠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분야들은 잠금 또는 부가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고, 등짐 보따리 및 다른 유사한 제품들, 벨트, 바지 및 자켓의 허리라인 및/또는 소매부리, 헬멧의 목띠 및 머리밴드, 장갑, 수상스포츠, 스노우스포츠, 및 다른 극한 스포츠를 위한 구속구에 사용되거나 또는 두개의 대상물을 함께 당기기 위한 지지대와 같은 제품 및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끈조임장치는 상기 신발선단부(3)의 더블끈걸이구(300)와 동일선상에 놓이는 상기 신발의 발등 중앙부에 끈(270)을 각각 다음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중앙끈걸이구(400)가 더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중앙끈걸이구(400)는 상기 한 쌍의 싱글끈걸이구(200)의 후방측 및 상기 발등테두리부(2)의 후단부의 상기 더블끈걸이구(300)와 상기 릴조립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끈걸이구(400)는, 상기 신발의 발등 중앙부가 절취된 공간에 마련되는 일반적인 신발의 발등덮개판(4)에 재봉 등에 의해 부착되는 베이스(401) 및 상기 베이스(401)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끈(270)이 걸리는 걸쇠(40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걸쇠(402)는 상기 베이스(401)의 상면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향 직립 연장되는 상향직립편(402a)과, 상기 상향직립편(402a)의 상단에서 신발의 선단부를 향해 수평 연장되는 수평연장편(402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연장편(402b)은 연장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하단부가 상기 베이스(401)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하향연장편(402c)이 더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상기 중앙끈걸이구(400)는 발등의 중앙부에서 끈(7,270)을 한번 더 걸어서 발등 중앙부에 위치되어 있는 끈(7,270)이 들뜨거나 유동되지 않게 견고히 붙잡아 전체적으로 끈(7,270)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발명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2 : 신발테두리부 4 : 발등덮개판
5 : 고정판 7 : 끈, 와이어
9 : 릴조립체
10 : 하우징 11 : 바닥면
12 : 울타리 12a : 게이트
12b : 일방향돌기 13 : 체결구수부
20 : 스풀 21 : 상판
22 : 하판 23 : 연통공
24 : 권취부 24a : 터널
25 : 권취돌기 30 : 와인더
31 : 축회전돌기 32 : 캠샤프트
32a : 라운드부 40 : 래칫
40a : 래칫상판 41 : 승강가이드
41a : 상단스톱퍼 41b : 하단스톱퍼
41c : 경사면 41d : 상단관통부
41e : 하단관통부 42 : 래칫부
42a : 래칫돌기 43 : 권취면
44 : 권취해제면 45 : 온오프돌기
50 : 스파이럴캠 51 : 치합위치부
52 : 이격위치부 53 : 권취돌부
54 : 치합해제부 55 : 들림방지돌기
60 : 다이얼 61 : 미끄럼방지돌기
62 : 손가락걸림돌기 70 : 체결구
80 : 스파이럴캠 81 : 치합위치부
82 : 이격위치부 83 : 권취돌부
83a : 돌부선단면 83b : 돌부후단면
84 : 치합해제부 85 : 들림방지돌기
86 : 텐션스톱퍼 86a : 스톱퍼돌기
200 : 싱글끈걸이구 210 : 걸이구본체
211 : 안내로 215 : 가이드돌기
216 : 축공부 218 : 본체설치부
219 : 고정틀 219a : 형합단턱부
219b : 고정홈 219c : 걸림돌부
219d : 멈춤면 220 : 커버
230 : 장력조절수단 240 : 안내조절부재
241 : 안내지지부 242 : 절곡면
260 : 조절스프링 261 : 코일부
262 : 코일연결부 263 : 경사부
264 : 절곡부 270 : 끈
300 : 더블끈걸이구 310 : 걸이구본체
330 : 장력조절수단 340 : 안내조절부재
360 : 조절스프링
400 : 중앙끈걸이구 401 : 베이스
402 : 걸쇠 402a : 상향직립편
402b : 수평연장편 402c : 하향연장편

Claims (8)

  1. 신발의 발등 중앙부가 절취되어 폭 방향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끈걸이구;
    상기 끈걸이구를 경유하여 상기 신발의 발등 전, 후방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되는 끈; 및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 중 어느 일측의 발등테두리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끈의 양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끈을 조이고 푸는 릴조립체;
    를 포함하는 신발의 끈조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끈걸이구는 단일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싱글끈걸이구 및 한 쌍의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더블끈걸이구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끈조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끈걸이구는,
    상기 발등테두리부의 전방, 후방, 중앙 세 곳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각각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 중 어느 일측의 발등테두리부에는 상기 전방, 후방, 중앙 세 곳에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각각 배치되고,
    마주보는 타측의 발등테두리부에는 상기 전방, 후방의 끈걸이구와 마주보고 상기 끈걸이구가 전, 후방에 배치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릴조립체가 마련되며,
    상기 릴조립체가 마련된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 후방의 끈걸이구의 간격을 전후로 동일하게 이격시켜 상기 릴조립체를 통한 끈의 장력이 상기 전, 후방 끈걸이구에 5:5로 균형을 이루어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끈조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의 전방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싱글끈걸이구가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의 중앙부 중 어느 일측에 더블끈걸이구가 배치되고 이에 대응되는 맞은편에 상기 릴조립체가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의 후방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더블끈걸이구가 배치되되,
    상기 각각의 끈걸이구는 발등의 후방으로 갈수록 폭방향에 대해 벌어지는 구조로 위치되었다가 상기 릴조립체를 통해 끈을 조이게 되면 각각의 끈걸이구가 폭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폭 방향에 대해 평행한 11자 구조로 위치 변경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끈조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끈걸이구는,
    끈이 안내되는 안내로가 마련되며 상기 안내로에 인접하여 상기 장력조절수단이 배치되는 걸이구본체; 및
    상기 장력조절수단을 덮어씌워 상기 걸이구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걸이구본체의 안내로에 축 회전 유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안내조절부재; 및
    상기 안내조절부재의 축 회전 유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조절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걸이구본체는 상기 안내로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내조절부재가 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안내조절부재의 외형을 감싸는 고정틀;
    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끈조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끈걸이구는 상기 싱글끈걸이구의 장력조절수단이 중앙 대칭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마련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끈조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등테두리부 사이인 신발 발등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끈을 각각 다음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중앙끈걸이구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끈조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조립체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상향 연장되고 외주면에 내외로 관통된 한 쌍의 게이트가 마련되며 내주면을 따라 일방향돌기가 연속해서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하 이격된 상, 하판과, 상기 상, 하판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케이트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을 통해 내부로 안내된 와이어의 양단부가 고정되며 외주면에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권취부와, 상기 상판의 상면에 연속 형성된 복수의 권취돌기가 마련된 스풀;
    상기 스풀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하 승강되면서 상기 스풀의 권취돌기와 이격 및 치합되는 축회전돌기와, 테두리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캠샤프트가 마련된 와인더;
    상기 와인더의 외부를 감싸고 그 외주면 일측에 상기 캠샤프트가 승강되도록 안내하고 상, 하단부에 각각 캠샤프트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하는 상, 하단스톱퍼를 갖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가이드 인접부에 상기 하우징의 일방향돌기와 치합되는 래칫돌기가 형성된 래칫부가 마련된 래칫;
    상기 와인더와 스풀의 치합시 상기 캠샤프트가 위치되는 치합위치부와, 상기 와인더와 스풀의 이격시 상기 캠샤프트가 위치되는 이격위치부와, 상기 와인더와의 사이에 상기 래칫이 개재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축회전시 상기 와인더와 래칫을 축회전시켜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돌부와, 타방향으로 축회전시 상기 캠샤프트를 상승시켜 상기 스풀과 와인더의 치합을 해제시키는 치합해제부가 마련된 스파이럴캠; 및
    상기 스파이럴캠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정역 축회전되는 다이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끈조임장치.
KR1020180165876A 2018-12-20 2018-12-20 신발의 끈조임장치 KR101982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876A KR101982599B1 (ko) 2018-12-20 2018-12-20 신발의 끈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876A KR101982599B1 (ko) 2018-12-20 2018-12-20 신발의 끈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599B1 true KR101982599B1 (ko) 2019-05-28

Family

ID=6665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876A KR101982599B1 (ko) 2018-12-20 2018-12-20 신발의 끈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942B1 (ko) 2019-07-05 2020-02-03 이현정 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9233A1 (de) * 1992-09-14 1994-03-30 Egolf, Heinz Schuh
KR20160027989A (ko) 2013-07-10 2016-03-10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증분적인 해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폐쇄 장치 및 폐쇄 방법
KR20180071288A (ko) * 2015-10-15 2018-06-27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신발류 끈 조임 시스템
US20180352898A1 (en) * 2017-06-13 2018-12-13 Callaway Golf Company Plantar Arch Support Sho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9233A1 (de) * 1992-09-14 1994-03-30 Egolf, Heinz Schuh
JPH06165703A (ja) * 1992-09-14 1994-06-14 Egolf Heinz
KR20160027989A (ko) 2013-07-10 2016-03-10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증분적인 해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폐쇄 장치 및 폐쇄 방법
KR20180071288A (ko) * 2015-10-15 2018-06-27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신발류 끈 조임 시스템
US20180352898A1 (en) * 2017-06-13 2018-12-13 Callaway Golf Company Plantar Arch Support Sho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942B1 (ko) 2019-07-05 2020-02-03 이현정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29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trofitting footwear to include a reel based closure system
KR101688997B1 (ko)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KR101875508B1 (ko)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US7694994B2 (en) Strap for snowboard boots or bindings
JP4874986B2 (ja) ケーブル締め付け機構およびその付勢方法
US7516976B2 (en) Strap for snowboard boots or bindings
DK202000005U1 (en) INTEGRATED CLOSURE DEVICE COMPONENTS AND METHODS
US7669880B2 (en) Strap for snowboard boots or bindings
US7370440B1 (en) Footwear cinch
US20080168685A1 (en) Single lace boot with multiple compression zones
US5349764A (en) Shoe securement apparatus
KR101839798B1 (ko)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
US20020083621A1 (en) Lacing device
KR101954753B1 (ko)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
KR102133475B1 (ko) 끈걸이구 및 끈걸이구 세트
US20170280827A1 (en) Adjustable Shoelace Fastener and Method of Use
KR101982599B1 (ko) 신발의 끈조임장치
KR102114859B1 (ko) 신발의 끈조임장치
US9427045B1 (en) Shoelace tie assembly
KR20180062475A (ko) 릴시스템의 와이어 묶는방법
JP7420398B2 (ja) ループを活用した着脱可能な靴紐締め具
KR102566328B1 (ko) 일체형 권취 핸들을 구비한 줄 길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