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942B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2942B1 KR102072942B1 KR1020190081656A KR20190081656A KR102072942B1 KR 102072942 B1 KR102072942 B1 KR 102072942B1 KR 1020190081656 A KR1020190081656 A KR 1020190081656A KR 20190081656 A KR20190081656 A KR 20190081656A KR 102072942 B1 KR102072942 B1 KR 1020729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ing
- tightening
- strap
- straps
- inci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3/00—Hooks for laces; Guards for hoo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신발의 발등부위에 개방된 절개부의 양쪽에 형성된 끈구멍을 걸어 연결하는 조임끈과 이 조임끈을 조이고 풀어 상기 절개부를 조이고 푸는 조임모듈을 이용한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이거니와, 조임모듈의 용이한 작동을 위해 가늘고 얇은 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미감이 다소 반감되는 조임끈이 외부로 표출되는 것을 가릴 수 있도록 상기 끈구멍을 걸어 연결함과 함께 상기 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장식끈을 추가로 구성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신발의 발등부위에 개방된 절개부의 양쪽에 형성된 끈구멍을 걸어 연결하는 조임끈과 이 조임끈을 조이고 풀어 상기 절개부를 조이고 푸는 조임모듈을 이용한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이거니와, 조임모듈의 용이한 작동을 위해 가늘고 얇은 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미감이 다소 반감되는 조임끈이 외부로 표출되는 것을 가릴 수 있도록 상기 끈구멍을 걸어 연결함과 함께 상기 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장식끈을 추가로 구성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발등부위에 형성된 절개부의 양쪽으로 일정간격으로 끈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끈구멍을 연속으로 걸어 상기 절개부를 조이고 풀기 위해서 사용자가 직접 신발끈을 묶는 방식이 아닌 릴조립체를 이용해 다이얼방식으로 조이고 푸는 조임모듈을 이용한 신발은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상기 조임모듈에 사용되는 조임끈은 높은 마찰계수와 탄성계수 및 인장강도를 갖는 나일론 섬유나 폴리에틸렌 섬유로 제작되는 가늘고 얇은 끈이다. 통상 신발에 부착되는 조임모듈은 신발의 전체적인 모양과 중량을 고려하여, 그 크기가 매우 작게 제작되어 부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은 조임모듈에 감기는 조임끈은 폭이 넓거나 두꺼운 형태는 적합하지 않으며, 가늘고 얇은 형태적 특성을 갖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러한 가늘고 얇은 조임끈은 중량대비 높은 강도와 뛰어난 내구성 및 매우 낮은 탄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조임모듈에 사용되는 조임끈의 낮은 탄성으로 인해, 별도의 탄성수단이 부여되지 않으면, 조임모듈에 감겨진 조임끈은 사용자의 장시간 착용에 따른 발의 움직임과 발의 움직임에 따른 압력으로 인해 조여진 상태가 느슨해져, 신발이 헐거어지는 경우가 왕왕 발생하게 된다.
한편, 조임모듈을 이용하면, 상기 절개부의 간격을 조이고 푸는 방법은 매우수월할 수 있으나, 가늘고 긴 조임끈은 사용자에 따라서는 선호도가 매우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미감이 반감되는 조임끈은 조임모듈의 생태계 확장을 제한하는 요소가 되기도 하는 이중성을 갖는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을 고려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임모듈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갖음과 동시에, 가늘고 긴 조임끈에 대한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임끈이 당겨져 고정된 조임모듈을 장시간 착용하고 운동하더라도 처음 조임끈이 당겨져 고정된 조임모듈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발등을 덮는 설포 양쪽으로 신발의 발등부위에 개방된 절개부의 양쪽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끈구멍을 걸어 연결하는 조임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끈을 조이고 풀어 상기 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모듈이 상기 절개부 일측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조임끈이 가려지도록 상기 끈구멍을 걸어 연결하여 상기 절개부를 조이고 푸는 장식끈을 포함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에 형성되는 상기 양쪽 끈구멍에는 띠형상의 양단에 형성된 끈고리가 상기 양쪽 끈구멍으로 각각 노출되는 연결끈이 상기 설포 위를 지나 결합되고, 상기 조임끈 및 상기 장식끈은 상기 연결끈의 끈고리를 걸어 연결하여 상기 절개부를 조이고 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단에 상기 끈고리가 구비된 상기 연결끈이 전체적으로 비신축성 띠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설포 위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는 신축성의 가역밴드가 상기 끈구멍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등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끈의 양단부에는 상기 끈구멍의 내경 이하의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끈구멍을 이동하는 이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단부에 상기 끈고리가 형성되되, 상기 끈고리에는 상기 끈구멍을 통과한 후 재진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신발은 조임모듈을 조이고 푸는 동작으로 조임끈을 조절하여 신발의 발등부위에 개방된 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하되, 조임끈이 연결되는 상기 절개부의 끈구멍을 걸어 연결하는 상기 조임끈이 가려지도록 장식끈을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식끈에 의한 미적 감각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장식끈으로도 상기 절개부를 조이고 풀 수 있어 조임모듈의 조임고정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의 본 발명은 먼저, 절개부의 끈구멍을 연결하여 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끈과 조임모듈이 동작 가능하도록, 다수의 구멍쇠가 구비된 띠형상의 구목을 상기 절개부를 따라 덧대어 결합시키고, 상기 장식끈은 구멍쇠를 걸어 연결하여 절개부의 간격을 조정하되, 상기 조임끈이 보이지 않도록 구성하여 장식끈으로 인한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등부위의 개방된 양쪽 절개부를 따라 형성된 끈구멍에 띠형상 양단의 끈고리가 노출되도록 연결끈을 결합하고, 상기 연결끈에 조임끈과 장식끈을 걸어 연결하여 상기 절개부를 조이고 풀 수 있도록 하여, 장식끈으로 인한 미감의 증대는 물론, 조임끈과 장식끈의 이중 단속으로 상기 절개부의 조임고정 상태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비신축성인 연결끈의 일부를 신축성 가역밴드 구간으로 구현하여, 조임시에는 가역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조임끈 및 장식끈의 조여진 상태를 팽팽하게 유지하여 탄력적으로 발등을 잡아줌은 물론, 조임 해지시에는 가역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조임끈 및 장식끈이 신속하게 풀리면서 발등부위의 절개부가 신속하게 벌어지도록 하여, 조임끈 및 장식끈의 안정적인 고정유지와 신속한 고정해지에 따른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
도 3은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
도 3은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끈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기술로 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 신발을 설명함에 있어 신발 착용시 발목 부분을 상부(상측, 상단)라 하고, 발가락 부분 및 발바닥 부분을 하부(하측, 하단)라 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 신발은 발등부위의 개방구 양쪽으로 절개부(2)에 형성되는 끈구멍(3), 상기 끈구멍(3)을 걸어 연결하는 조임끈(4), 상기 조임끈(4)을 조이고 푸는 조임모듈(5), 상기 조임끈(4)을 가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장식끈(6)을 포함한다.
상기 신발은 발등부위의 개방구에 배치되어 발등을 덮는 설포(1)가 구비되고, 이 설포(1) 양쪽으로 일부가 상기 설포(1)와 겹치게 구비되는 절개부(2)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2)는 발등 중앙부가 절취된 개방구의 폭방향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으로 배치된다. 상기 설포(1) 양쪽으로 형성되는 상기 절개부(2)의 단부를 따라서는 끈구멍(3)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상기 조임끈(4)은 상기 끈구멍(3)을 모두 걸어 연결하여 발등을 조이고 푼다.
상기 조임모듈(5)은 상기 어느 한쪽 절개부(2), 상기 어느 한쪽 절개부(2)의 바깥쪽에 연결되는 갑피 또는 상기 설포(1)의 상부인 설포라벨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1과 같이 상기 설포(1)의 상단 설포라벨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렇게 설치된 상기 조임모듈(5)은 상기 조임끈(4)의 양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조임끈(4)을 조이고 풀어, 결과적으로는 상기 양쪽 절개부(2)의 간격을 조이고 푸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조임끈(4) 및 상기 조임모듈(5)은 릴조립체를 이용해 다이얼 방식으로 조이고 푸는 여러 형태의 공지된 조임장치가 두루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식끈(6)은 상기 조임끈(4)에 비하여 폭이 넓은 끈으로, 일반적으로 매듭을 지어 신는 운동화에서 사용되는 신발끈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장식끈(6)은 상기 조임끈(4)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넓기 때문에 상기 조임끈(4)을 가릴 수 있도록 신발에 결속된 후 상기 설포(1)의 상부에서 양단부가 매듭지어 진다.
먼저, 도 1과 같이 상기 장식끈(6)이 상기 조임끈(4)을 가릴 수 있도록, 상기 양쪽 절개부(2)를 따라서는 도 1(A)와 같이, 구목(8)이 덧대어 결속될 수 있다.
상기 구목(8)은 상기 절개부(2)를 따라 "U"자 형태 또는 "11"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형태든 상기 구목(8)은 상기 조임끈(4) 및 상기 조임모듈(5)이 동작 가능하도록, 도 1(B)처럼 안쪽 테두리는 상기 절개부(2)에 봉제되지 않고, 바깥쪽 테두리만 상기 절개부(2)를 따라 봉제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목(8)의 안쪽 테두리는 상기 절개부(2)에 대해 이격된 상태의 자유단을 형성하며, 이러한 상기 구목(8)의 안쪽 테두리인 자유단을 따라서는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구멍쇠(81)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구목(8)의 아래쪽에 배치된 상기 절개부(2)의 끈구멍(3)에는 상기 조임끈(4)이 연결되어 조임모듈(5)에 의해 절개부(2)의 간격을 조절한다. 그리고 도 1(C)와 같이, 상기 조임끈(4)이 가려지도록 상기 장식끈(6)이 상기 구목(8)의 구멍쇠(81)를 차례로 걸어 연결한 후 상기 설포(1)의 상부에서 양쪽단이 매듭지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장식끈(6)을 조이고 푸는 것으로, 상기 구목(8)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은 물론, 상기 절개부(2)의 간격 또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는 달리, 도 2와 같이 상기 장식끈(6)이 상기 조임끈(4)을 가릴 수 있도록, 연결끈(7)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A)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양쪽 끈구멍(3)으로 연결끈(7)이 설치되는바, 상기 연결끈(7)의 양단에 구비된 끈고리(71)가 각각 상기 양쪽 끈구멍(3)의 밖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양쪽 끈구멍(3)으로 노출된 상기 연결끈(7)의 끈고리(71)를 상기 조임끈(4)으로 모두 걸어 도 1(B)처럼 연결한다. 그리고 끈고리(71)를 모두 걸어 연결한 상기 조임끈(4)의 양단부는 상기 조임모듈(5)에 연결된다. 이렇게 조임모듈(5)에 연결된 조임끈(4)을 조이고 푸는 것으로, 상기 양쪽 절개부(2)의 간격을 조절한다.
또한, 도 1(C)와 같이, 상기 장식끈(6)도 상기 끈구멍(3)으로 노출된 상기 연결끈(7)의 끈고리(71)를 걸어 연결하여 조이고 푸는 것으로, 상기 양쪽 절개부(2)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장식끈(6)이 상기 끈구멍(3)으로 노출된 상기 연결끈(7)의 끈고리(71)를 걸어 연결하여 상기 양쪽 절개부(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장식끈(6)으로 인한 미감의 증대는 물론, 상기 조임끈(4)과 상기 장식끈(6)의 이중 단속으로 상기 절개부(2)의 조임고정 상태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체적으로 비신축성을 갖는 상기 연결끈(7)은 도 2와 같이, 양단에 형성된 끈고리(71) 이외에도 고정부(72), 가역밴드부(73), 이동부(74) 및 걸림부(75)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끈(7)은 설포(1) 위에 배치된 후 양단에 형성된 상기 끈고리(71)가 상기 끈구멍(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끈(7)이 설포(1)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72)의 설치유무에 따라 연결끈(7)은 그 구성을 달리한다.
먼저, 도 2의 (A)와 같이, 상기 연결끈(7) 상에 고정부(72)가 없는 상태로, 도 1의 신발에 설치될 경우, 상기 연결끈(7)은 신발 착용자의 발 움직임에 따라 신발의 바깥쪽 방향과 안쪽 방향으로 설포(1) 위를 미끄러지며 이동할 수 있게 된다(도 1은 신발의 바깥쪽 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이에 따라 상기 끈구멍(3) 밖으로 노출되는 상기 끈고리(71)도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노출되는 정도를 달리할 수 있어, 상기 조임끈(4) 및 상기 장식끈(6)의 낮은 탄성을 보상하는 탄성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착용자의 발 움직임에 따라 신발의 바깥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질 경우,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신발의 바깥 방향 끈구멍(3)으로 노출되어 있던 끈고리(71)의 연결끈(7)은 가해지는 압력만큼 끈구멍(3) 밖으로 일정부분 딸려 나오게 된다. 신발 바깥쪽의 끈고리(71)부분이 끈구멍(3) 밖으로 딸라 나오는 만큼 신발 안쪽의 끈구멍(3)으로 노출되어 있던 끈고리(71)의 연결끈(7)은 끈구멍(3) 안쪽으로 당겨져 들어가게 된다. 이처럼 연결끈(7)이 신발의 안쪽 및 바깥쪽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여 설포(1) 위를 미끄러지면서 절개부(2) 양쪽의 끈구멍(3)을 오갈 수 있도록 설치됨에 따라, 탄성이 없는 조임끈(4) 및/또는 장식끈(6)에 탄성수단으로써 작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탄성수단으로 작용하는 연결끈(7)으로 인해 장시간 착용에 따른 발의 움직임 및 발의 움직임에 따른 압력으로 인해 조임끈(4) 및 장식끈(6)의 조여진 상태가 느슨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의 (B) 및 (C)와 같이, 상기 연결끈(7) 상에는 고정부(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2)는 상기 연결끈(7)이 설포(1)의 특정위치에 고정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연결끈(7)의 일부분이 설포(1)에 봉제된다. 설포(1)가 고정부(72)로 연결끈(7)에 고정되면, 신발 착용시 설포(1)가 발등에 밀려 신발 안쪽으로 딸려 들어가는 것이 예방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72)에 의해 연결끈(7)과 설포(1)가 봉제되면, 비신축하는 상기 연결끈(7)은 설포(1)를 미끄러지면서 양쪽 절개부(2)에 설치된 상기 끈구멍(3)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상기 조임끈(4) 및/또는 상기 장식끈(6)에 탄성수단으로 작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에 기인하여 상기 연결끈(7) 전체를 신축소재로 구성하여 상기 고정부(72)가 구비되더라도 연결끈(7) 양단부가 개별적으로 신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끈(7) 전체가 신축소재일 경우 상기 절개부(2)를 적당하게 조여주는 힘이 부족하여 발을 감싸는 것이 헐거워져 착용감이 나빠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신발끈 고정부(7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가역밴드부(7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역밴드부(73)는 상기 연결끈(7)이 고정부(72)에 의해 설포(1)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때에도 연결끈(7)이 상기 조임끈(4) 및/또는 장식끈(6)에 대해 탄성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2의 (C)와 같이, 상기 고정부(72) 양쪽으로 상기 가역밴드부(73)가 구비될 경우, 각 가역밴드부(73)는 신발의 안쪽 및 바깥 방향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여 늘어났다가 압력이 사라지면 복귀하는 것으로, 상기 조임끈(4) 및/또는 장식끈(6)에 대해 탄성수단으로 작용한다. 또한, 도 2의 (B)와 같이, 상기 고정부(72)의 일측에만 상기 가역밴드부(73)가 구비될 수 있는바, 상대적으로 바깥 방향으로의 유동이 큰 발목의 해부학적인 특징을 감안할 때 상기 가역밴드부(73)는 신발의 바깥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도 2의 (C) 및 (D)와 같이, 상기 연결끈(7)의 양단에 구비된 상기 끈고리(71)의 내측으로는 상기 끈구멍(3)의 내경 이하의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끈구멍(3)을 이동하는 이동부(7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끈(7)에 상기 끈구멍(3)의 내경 이하의 폭으로 이동부(74)가 설치되면, 가해지는 압력에 대응하여 연결끈(7)이 끈구멍(3)을 이동할 때 끈구멍(3)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원활하고 기민한 이동이 가능하므로, 외력에 대해 상기 연결끈(7)이 한층 더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상기 이동부(74)는 상기 가역밴드부(73)의 설치유무에 따르 달리 설치될 수 있다. 도 2의 (C)와 같이, 상기 연결끈(7)에 가역밴드부(73)가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가역밴드부(73)가 신축하면서 외력에 대해 충분히 대응하므로, 상기 이동부(74)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다르게 도 2의 (D)와 같이, 상기 연결끈(7)에 상기 가역밴드부(73)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가역밴드의 신축에 의한 외력이 보상되지 않으므로, 연결끈(7) 자체가 이동하면서 외력에 대응하여야만 한다. 이 때문에 상기 이동부(74)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끈(7)에 상기 이동부(74)가 설치되면, 상기 끈구멍(3) 상에 설치된 연결끈(7)이 쉽사리 빠지지 않도록 상기 이동부(74)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걸림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부(75)는 이동부(74)의 양쪽에 모두 형성되는바, 상기 끈고리(71) 쪽에는 고리걸림부(75a)가 형성되고, 상기 끈고리(71)의 반대쪽에는 몸체걸림부(75b)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끈(7)의 끈고리(71) 쪽에는 상기 이동부(74)가 끝나는 단부에 상기 끈구멍(3)을 빠져나가 외부로 노출된 끈고리(71)가 끈구멍(3) 안쪽으로 재진입되지 않도록 고리걸림부(75a)가 사실상 상기 끈고리(71) 상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끈고리(71)의 반대쪽에는 상기 연결끈(7)의 몸체가 상기 끈구멍(3)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몸체걸림부(75b)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걸림부(75b)는 상기 가역밴드부(73)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체 비신축하도록 형성되어 신축에 의해 늘어나 상기 끈구멍(3)을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끈고리(71)는 상기 끈구멍(3)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상기 끈고리(71)가 상기 끈구멍(3)을 통과하기 쉽도록 상기 끈고리(71)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마땅하다. 그런데, 상기 끈고리(71)의 단부는 상기 조임끈(4) 및 상기 장식끈(6)이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끈고리(71)가 삼각형 형태가 되는 것은 곤란하며,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상기 고리걸림부(75a)를 아랫변으로 하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1: 설포 2: 절개부
3: 끈구멍 4: 조임끈
5: 조임모듈 6: 장식끈
7: 연결끈 71: 끈고리
72: 고정부 73: 가역밴드부
74: 이동부 75: 걸림부
75a: 고리걸림부 75b: 몸체걸림부
8: 구목 81: 구멍쇠
3: 끈구멍 4: 조임끈
5: 조임모듈 6: 장식끈
7: 연결끈 71: 끈고리
72: 고정부 73: 가역밴드부
74: 이동부 75: 걸림부
75a: 고리걸림부 75b: 몸체걸림부
8: 구목 81: 구멍쇠
Claims (5)
- 설포가 구비된 신발의 발등부분 개방구 양쪽으로 형성된 절개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는 끈구멍을 걸어 연결하는 조임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끈을 조이고 풀어 상기 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모듈이 상기 신발 일측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끈구멍 위로 배치되는 안쪽 테두리가 자유단이 되어 상기 조임끈 및 상기 조임모듈이 동작 가능하도록 바깥쪽 테두리만 상기 절개부를 따라 봉제되는 띠형상의 구목이 덧대어 결합되고, 상기 구목의 안쪽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구멍쇠를 하나의 연속끈으로 걸어 연결하여 상기 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함과 함께 상기 조임끈이 가려지도록 상기 설포의 상부인 발목부분에서 상기 하나의 연속끈 양단이 매듭지어지는 장식끈을 포함하는 신발.
- 삭제
- 설포가 구비된 신발의 발등부분 개방구 양쪽으로 형성된 절개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는 끈구멍을 걸어 연결하는 조임끈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끈을 조이고 풀어 상기 절개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모듈이 상기 신발 일측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조임끈이 가려지도록 상기 절개부를 조이고 푸는 장식끈을 포함하되,
상기 절개부에 형성되는 상기 양쪽 끈구멍에는, 상기 설포 위를 지나는 띠형상의 양단 끈고리가 각각 상기 양쪽 끈구멍 밖으로 노출되는 연결끈이 결속되고, 상기 조임끈 및 상기 장식끈은 상기 연결끈의 끈고리를 걸어 연결하여 상기 절개부를 조이고 풀되, 상기 연결끈은 외력에 대응하여 상기 조임끈 및 상기 장식끈의 탄성수단으로 작용하여 조임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끈고리가 양단에 구비된 상기 연결끈은, 상기 설포 위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 양쪽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신축성의 가역밴드부가 상기 끈구멍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등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끈의 양단에 구비된 상기 끈고리의 내측 방향으로는 상기 끈구멍의 내경 이하의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끈구멍을 이동하는 이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바깥쪽 단부에는 상기 끈구멍 통과 후 재진입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1656A KR102072942B1 (ko) | 2019-07-05 | 2019-07-05 | 신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1656A KR102072942B1 (ko) | 2019-07-05 | 2019-07-05 | 신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2942B1 true KR102072942B1 (ko) | 2020-02-03 |
Family
ID=6962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1656A KR102072942B1 (ko) | 2019-07-05 | 2019-07-05 | 신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2942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28410U (ko) * | 1986-02-04 | 1987-08-14 | ||
KR20110011726A (ko) * | 2011-01-11 | 2011-02-08 | (주)슈추어 | 신발용 장식구 |
KR200476765Y1 (ko) | 2013-11-25 | 2015-03-31 | 주식회사 쿨에버 | 신발 결속구 |
WO2015054722A1 (en) * | 2013-10-14 | 2015-04-23 | Mahe Falekava F | A shoe lace fastening and locking device |
KR101600233B1 (ko) | 2015-04-03 | 2016-03-04 | 김범구 | 신발끈 조임 장치를 개량한 신발 |
KR101600234B1 (ko) | 2015-04-22 | 2016-03-04 | 김범구 | 신발끈 조임 장치를 개량한 신발 |
KR101676345B1 (ko) | 2015-02-25 | 2016-11-15 | 고패스 주식회사 | 신발 결속용 탄성 신발끈 |
KR101982599B1 (ko) | 2018-12-20 | 2019-05-28 | 김진호 | 신발의 끈조임장치 |
-
2019
- 2019-07-05 KR KR1020190081656A patent/KR1020729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28410U (ko) * | 1986-02-04 | 1987-08-14 | ||
KR20110011726A (ko) * | 2011-01-11 | 2011-02-08 | (주)슈추어 | 신발용 장식구 |
WO2015054722A1 (en) * | 2013-10-14 | 2015-04-23 | Mahe Falekava F | A shoe lace fastening and locking device |
KR200476765Y1 (ko) | 2013-11-25 | 2015-03-31 | 주식회사 쿨에버 | 신발 결속구 |
KR101676345B1 (ko) | 2015-02-25 | 2016-11-15 | 고패스 주식회사 | 신발 결속용 탄성 신발끈 |
KR101600233B1 (ko) | 2015-04-03 | 2016-03-04 | 김범구 | 신발끈 조임 장치를 개량한 신발 |
KR101600234B1 (ko) | 2015-04-22 | 2016-03-04 | 김범구 | 신발끈 조임 장치를 개량한 신발 |
KR101982599B1 (ko) | 2018-12-20 | 2019-05-28 | 김진호 | 신발의 끈조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42294B2 (en) | Methods and devices for retrofitting footwear to include a reel based closure system | |
US6941683B2 (en) | Lacing system | |
US2009010064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ening a shoe | |
US6286233B1 (en) | Internally laced shoe | |
US7437837B2 (en) | Cord and strap combination shoe closure | |
US7073279B2 (en) | Shoelace tightening structure | |
US5755044A (en) | Shoe lacing system | |
US7287304B2 (en) | Cam cleat construction | |
US20090100707A1 (en) | Apparatus for fastening a shoe | |
US8739373B1 (en) | Shoelace clasp | |
USRE35452E (en) | Single point triangular adjustment system for sandals | |
US20080148600A1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Expandable Heel Portion | |
JP2015229111A (ja) | スポーツブーツ用の単一リールの区分された締め紐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ポーツブーツ | |
US20080127511A1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Dual Lacing System | |
US20100071230A1 (en) | Laced garment closure | |
US20230248116A1 (en) | Reel based closure system | |
KR20240011231A (ko) | 신발류 폐쇄 시스템 | |
US6324773B1 (en) | Internally laced shoe | |
JP2023508936A (ja) | 物品を締め付けるための締め付け装置 | |
US4918840A (en) | Footwear fastener | |
US6327750B1 (en) | Final tensioning device for laced closure | |
US20140041167A1 (en) | Elastic Shoe Lace with Fastener | |
KR102072942B1 (ko) | 신발 | |
US20240225199A1 (en) | Locking Boot Fastening Device and Method | |
KR200246554Y1 (ko) | 한번의 당김으로 조여지게 되는 신발끈의 결속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