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676B1 -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676B1
KR101506676B1 KR1020130105488A KR20130105488A KR101506676B1 KR 101506676 B1 KR101506676 B1 KR 101506676B1 KR 1020130105488 A KR1020130105488 A KR 1020130105488A KR 20130105488 A KR20130105488 A KR 20130105488A KR 101506676 B1 KR101506676 B1 KR 101506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e
coupling
sho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518A (ko
Inventor
하기호
하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경
Priority to KR1020130105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676B1/ko
Priority to JP2016540800A priority patent/JP6554469B2/ja
Priority to CN201480048579.7A priority patent/CN105517459B/zh
Priority to US14/916,287 priority patent/US10561204B2/en
Priority to PCT/KR2014/008178 priority patent/WO2015034233A1/ko
Priority to GB1604057.8A priority patent/GB2532685B/en
Priority to DE112014004008.8T priority patent/DE112014004008B4/de
Publication of KR2015002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0Fastenings with tightening devices mounted on the tongue

Abstract

신발에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신발의 설포에 고정되되 내주에 래칫형 기어가 구비되며 원통형 내면을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되 귄취됨에 따라 상기 신발의 양측 측피를 조이는 와이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릴부와, 상기 릴부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커버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설포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설포에 형성된 장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설포를 클램핑 고정하도록 일면에 돌설된 결합바가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설포의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apparatus for fastening wire and method for mounting thereof}
본 발명은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에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조임장치는 현재 다양하게 활용되어 물품을 조이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와이어 조임장치의 다양한 활용방법 중에서 발에 착용하는 운동화의 맥락에서 설명하지만,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는 운동화뿐만 아니라, 모자를 포함하는 머리 착용구, 벨트, 장갑, 가방, 스노우 보딩, 수상 수키 등 와이어를 통해 착용되는 물품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운동화 등의 신발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밀착되도록 신발끈이 지그재그 형식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신발끈을 당겨 조임으로써 신발과 사용자 발의 밀착성을 높여 쾌적한 보행을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신발은 보행시 벗겨지지 않도록 적당한 크기로 선택되어야 하고, 신고 벗고에 적당하도록 신발끈을 다소 느슨하게 묶은 상태에서 신발을 신는 것이 일반적이나, 보행시에 신발이 발을 압박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발이 헐렁이지 않도록 신발끈을 조여주는 것이 발의 건강에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신발을 신고 벗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거나 조이는 것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당히 묶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발을 신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신발끈이 풀어져 걸음을 멈추고 신발끈을 다시 묶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되기도 하고, 풀어지지 않은 상태라도 신발끈의 양단부가 고정되지 않아 단정치 못한 느낌을 줄 수도 있다.
더욱이, 초등학교 저학년 내지는 초등학교 이전의 어린아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신발끈을 풀었다 조이는 일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등산, 경륜 등과 같은 운동을 하고 있는 선수들이나 사람들의 경우 고정되지 않은 신발끈의 양단부나 매듭이 격렬한 움직임에 의해서 외부 물체에 걸려 풀리게 되는 경우에 기록 저하나 안전 사고의 발생 등 결과가 초래되기 때문에 신발끈의 풀림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식 중에는 꽉 조여진 신발끈을 풀어야만 충분히 쉴 수 있기 때문에 신발끈을 쉽게 조일 수 있으며, 조여진 상태를 견고하게 지속시키는 동시에 필요 시 손쉽게 신발끈을 느슨하게 풀 수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국내 등록특허 제1249420호에는 회전커버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캠부의 하강시 와이어가 권취되는 릴부가 회전커버와 일체로 회전되어 와이어를 조이고, 상기 승강캠부의 상승시 릴부가 회전커버와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와이어를 당겨 풀 수 있는 와이어 조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는 신발끈을 조이고 푸는 과정이 신발의 설포에 단단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설포에 고정되는 상기 신발끈 조임장치의 하우징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의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연장부의 두께 및 상기 설포의 두께로 인해 사용자가 직접 박음질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신발끈 조임장치가 장착된 신발을 구입해야 했고, 사용자가 원하는 신발에 신발끈 조임장치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수선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대행 업체에 의뢰하여 장착해야 하는 등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49420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에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신발의 설포에 고정되되 내주에 래칫형 기어가 구비되며 원통형 내면을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되 귄취됨에 따라 상기 신발의 양측 측피를 조이는 와이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릴부와, 상기 릴부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커버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설포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설포에 형성된 장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설포를 클램핑 고정하도록 일면에 돌설된 결합바가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설포의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바가 삽입되는 삽입홈부와, 상기 삽입홈부의 내측에 돌설되어 하면이 경사지게 구비되되 상면이 평탄하게 구비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바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상면에 안착되어 걸림 구속되는 래칫돌기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래칫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결합바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 및 상기 가압면부의 상면에는 상기 설포를 가압하여 구속하는 쐐기 돌기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결합면부와, 상기 결합면부에 형성된 결속공의 내주를 따라 구비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면부는 상기 결합면부의 외측단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설포의 측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되, 상기 결합바는 상기 결속공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 구속되도록 상단 테두리에 고정돌기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발의 양측 측피를 따라 형성된 각 신끈홀에는 가이드부가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신끈홀을 관통하는 삽입돌기가 돌설되되 상기 신끈홀의 하측 테두리에 구속되는 하부바디부와, 상기 신끈홀의 상측 테두리에 안착되되 일측에 상기 삽입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과 수직한 방향으로 와이어안내공이 형성되는 상부바디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와이어안내공의 내측면은 중심측이 상기 신발의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신발의 양측 측피를 따라 형성되되 상호 대향 배치된 각 쌍의 신끈홀에는 가이드부가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부는 양단부가 상기 각 쌍의 신끈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양단부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 밴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면부는 착용자의 발등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구비되며, 상기 가압면부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바와 대응되는 부분에 착용자의 발등에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쿠션부가 구비되되, 상기 쿠션부는 상기 가압면부가 상기 발등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반구형으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신발의 설포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장착홀을 형성하는 제1단계; 권취됨에 따라 상기 신발의 양측 측피를 조이는 와이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릴부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하우징부에 형성된 결합부가 상기 장착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부를 상기 설포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2단계; 상기 설포를 클램핑 고정하도록 상기 설포의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면부에 돌설된 결합바를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장착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릴부에는 가이드부가 결합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릴부의 회전에 따라 권취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가이드부의 와이어안내공에 의해 라운드지게 안내되어 상기 신발 양측 측피에 지그재그로 연결되도록 상기 신발 양측 측피를 따라 형성된 각 신끈홀의 상측 테두리에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바디부를 배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바디부가 상기 신끈홀의 하측 테두리에 구속되도록 상기 하부바디부에 돌설된 삽입돌기를 상기 신끈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바디부의 결합공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는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는 신발의 설포에 장착홀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부를 배치하며, 상기 가압면부의 결합바를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에 삽입하는 단순한 과정으로 장착되므로 다양한 신발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 및 장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결합바에 형성된 래칫돌기 혹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단계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별도의 박음질 없이 다양한 두께의 설포를 견고하게 가압하여 클램핑 고정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조이고 풀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상태의 가이드부를 상기 신끈홀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상기 와이어가 신발의 측피에 지그재그로 연결되도록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안내공의 내측면이 구배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와이어와의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발등쪽과 발가락쪽이 균일하게 조여질 수 있어 편안하고 안정감 있는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상기 가압면부의 하면에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쿠션부가 구비되므로 상기 와이어를 단단하게 조일 때 착용자의 발등을 편안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반구형으로 돌설되어 양측으로 병렬 배치된 상기 쿠션부는 발등 상단부의 돌출된 부분 양측을 지지하므로 착화 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상기 설포의 발등 외측으로의 쏠림을 방지할 수 있어 배김 없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쿠션부는 상기 회전커버의 회전시 착용자의 발등에 지지되므로 설포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조일 수 있으며, 와이어를 풀 때 탄성적으로 복원되며 상기 설포와 상기 착용자의 발등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므로 상기 설포를 손쉽게 당겨 와이어를 풀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가 장착된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측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가 신발에 장착되기 전에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및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가이드부가 신발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가이드부의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타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쿠션부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가 장착된 신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는 신발이나 모자에 구비되어 착용을 도와주는 장치뿐만 아니라, 벨트, 장갑, 가방, 수상스키, 스노우보딩 등과 같이 와이어 내지 끈을 조임으로써 착용되는 옷이나 악세사리, 운동기구 등의 물품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조임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는 신발(1)이나 모자의 와이어(w) 조임에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발(1)의 경우 상기 와이어(w)가 연결되는 설포 상면에 부착됨이 바람직하나,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상기 신발(1)의 측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의 회전커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와이어(w)가 감겨져 조여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는 사용자의 발 폭 및 높이를 포함한 사이즈에 맞게 상기 와이어(w)를 적당히 조일 수 있으므로 쾌적한 보행을 보장하게 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는 하우징부(60), 릴부(40), 그리고 회전커버(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60)의 내주면 상측에는 래칫형 기어(62)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부(60)의 하면은 신발의 설포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60)에는 상기 릴부(40)가 수용되는 원통형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부(60)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기 캠베이스부(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캠베이스부(50)는 상기 하우징부(60)의 상단 테두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래칫형 기어(62)에 의해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60)의 내측에는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되 귄취됨에 따라 상기 신발(1)의 양측 측피(2)를 조이는 와이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릴부(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릴부(40)는 상기 하우징부(60)의 내측 하부에 회전축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릴부(40)의 상측에는 상기 캠베이스부(50)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캠베이스부(50)의 상단에는 상기 캠구동부(20)가 구비되되, 상기 캠구동부(20)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캠부(30)의 내주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커버(10)는 상기 캠구동부(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되, 상기 회전커버(10)의 하단 테두리가 상기 캠베이스부(50)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나사(80)는 상기 회전커버(10)와 상기 회전축(7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부(60)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70)은 상기 릴부(40), 상기 캠베이스부(50), 상기 승강캠부(30) 및 상기 캠구동부(20)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나사(8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캠베이스부(50)의 내주에는 상기 승강캠부(30)가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캠부(30)는 상기 캠구동부(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하여, 상기 릴부(40)의 상면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부(40)의 상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상향 돌출된 상기 래칫형 돌기(43)가 형성되며, 상기 승강캠부(30)의 하단에는 상기 래칫형 돌기(43)와 형합되는 슬라이드 돌기(33)가 돌설된다.
즉, 상기 캠구동부(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래칫형 돌기(43)와 상기 슬라이드 돌기(33)가 결합되고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커버(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일체로 회전되는 상기 캠구동부(20)에 의해 상기 승강캠부(30)가 하강하여 상기 릴부(4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승강캠부(30)와 상기 릴부(40)는 일체로 회전되어 와이어(w)를 감도록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릴부(4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릴부(40)의 테두리에 요홈으로 형성된 릴권취부(42)에 권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커버(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캠부(30)가 상승하고, 상기 릴부(40)는 독립적으로 회전하여 와이어(w)를 당겨 풀 수 있도록 구동된다.
도 3a는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는 하우징부(60)와 가압면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60)는 상기 설포(3)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설포(3)에 형성된 장착홀(3a)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부(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면부(110)는 상기 설포(3)를 클램핑 고정하도록 일면(111)에 돌설된 결합바(112)가 상기 장착홀(3a)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120)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설포(3)의 하면을 가압한다.
한편,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결합바(112)가 삽입되는 삽입홈부(121)와, 상기 삽입홈부(121)의 내측에 돌설되어 하면(122a)이 경사지게 구비되되 상면(122b)이 평탄하게 구비되는 걸림돌기(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바(112)에는 상기 걸림돌기(122)의 하면(122a)을 따라 슬라이드되되 상기 걸림돌기(122)의 상면(122b)에 안착되어 걸림 구속되는 래칫돌기(113)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하우징부(60)의 테두리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120)의 내측에는 삽입홈부(1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부(121)의 내측 하단 테두리에는 걸림돌기(122)가 돌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면부(110)는 상기 설포(3)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하우징부(60)의 하단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설포(3)를 클램핑 고정하도록 상기 설포(3)의 하면을 가압하는 플레이트 부재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면부(110)는 상기 설포(3)의 하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발등에 접촉되므로 상기 가압면부(110)의 하면은 상기 발등의 상측에 형합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등의 압박감을 감소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면부(110)의 상면(111)에는 상기 장착홀(3a)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부(121)에 삽입되는 결합바(112)가 돌설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바(112)는 상기 삽입홈부(121)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홈부(121)의 내측에 돌설된 걸림돌기(122)와 대향되는 면에 상기 래칫돌기(113)가 돌설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122) 및 상기 래칫돌기(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결합바(112)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래칫돌기(113)가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걸림돌기(122)가 다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122) 및 상기 래칫돌기(113)가 모두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래칫돌기(113)는 상면(113a)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면(113b)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결합바(112)가 상기 장착홀(3a)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부(121)의 하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래칫돌기(113)는 상기 걸림돌기(122)의 하면(122a)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통과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칫돌기(113)는 상기 걸림돌기(122)의 상면(122a)에 상기 래칫돌기(113)의 하면(133b)이 면접촉되어 하측으로 빠지고 않고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60)를 상기 설포(3)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상기 가압면부(110)를 상기 설포(3)의 하면에 배치하여 상기 결합바(112)를 상기 삽입홈부(121)에 삽입하면, 상기 하우징부(60)의 하면과 상기 가압면부(110)의 상면이 상기 설포(3)를 클램핑 고정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결합바(112)를 상기 설포(3)의 장착홀(3a)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부(121)에 삽입하여 밀어 넣는 것만으로 상기 하우징부(60)와 상기 가압면부(110)의 사이에 상기 설포(3)가 가압되어 견고하게 클램핑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걸림돌기(122) 및 상기 래칫돌기(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단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설포(3)의 두께에 맞게 상기 하우징부(60)와 상기 가압면부(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두께의 설포(3)에 대응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60)의 하면 및 상기 가압면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설포(3)를 가압하여 구속하는 쐐기 돌기(114,123)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쐐기 돌기(114,123)는 상기 하우징부(60) 및 상기 가압면부(110)가 상기 설포(3)를 클램핑 고정함에 따라, 쿠션감 있는 상기 설포(3)의 상면 및 하면에 접하고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설포(3)가 좌우측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상기 설포(3)에 하우징부(60)가 고정되면, 상기 회전커버(10)를 돌려 상기 와이어(w)를 조이는 과정에서 상기 장착홀(3a)의 내측에 상기 결합바(112)에 의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홀(3a)이 파손되어 설포(3)가 찢어지고 상기 하우징부(60)가 설포(3)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지 위해, 상기 쐐기 돌기(114,123)가 상기 설포(3)의 상면 및 하면을 구속하여 상기 장착홀(3a)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임으로써 상기 장착홀(3)을 보호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홈부(221a,221b) 및 상기 결합바(212)의 형태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20)는 상기 전방측(221a) 및 후방측(221b) 삽입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부(221a,221b) 내측이 상기 하우징부(60)의 테두리면의 양측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양측에 형성된 각 삽입홈부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바(212)는 양측단부(212a)가 절곡되어 상기 전방측(221a) 및 후방측(221b) 삽입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측(221a) 및 후방측(221b) 삽입홈부에는 상기 결합바(212)의 단부(212a)가 삽입되는 하측에서 상측을 따라 걸림돌기(222)가 돌설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22)는 하면(222b)이 경사지게 구비되되 상면(222a)이 평탄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바(212)의 절곡된 단부(212a) 내측에는 상기 걸림돌기(222)의 하면(222b)을 따라 슬라이드되되 상기 걸림돌기(222)의 상면(222a)에 안착되어 걸림 구속되는 래칫돌기(213)가 돌설된다.
이때, 상기 래칫돌기(213)는 다단으로 돌설되어, 상기 걸림돌기(222)의 상면(222a)에 안착되어 구속력을 제공하는 면접촉 부분이 증가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바(212)의 단부(212a)가 상기 삽입홈부(221a,221b)의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측(221a) 및 후방측(221b) 삽입홈부에서 상기 걸림돌기(222)가 돌설된 면에 대향되는 면에는 삽입된 상기 결합바(212)의 단부(212a)를 상기 걸림돌기(222)측으로 가압하는 지지돌기(22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바(212)의 래칫돌기(213)가 상기 걸림돌기(222)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결합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320)에 상기 가압면부(3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절곡됨에 따라 상기 결합바(311)가 상기 결합부(320)에 형성된 결속공(322)에 결합되는 것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내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20)는 상기 하우징부(6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결합면부(321)와, 상기 결합면부(321)에 형성된 결속공(322)의 내주를 따라 구비되는 걸림턱(32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면부(310)는 상기 결합면부(321)의 외측단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설포(3)의 측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되, 상기 결합바(311)는 상기 결속공(322)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323)에 걸림 구속되도록 상단 테두리에 고정돌기(312)가 돌설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60)의 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설포(3)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면부(321)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면부(321)에는 상기 설포(3)에 형성된 장착홀(3a)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속공(3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속공(322)은 상기 결합면부(321)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이중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속공(322)에는 내주를 따라 걸림턱(323)이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면부(321)의 외측단을 따라 연장된 상기 가압면부(310)는 상기 설포(3)의 측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된다.
그리고,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면부(310)에서 절곡되어 상기 장착홀(3a)의 하측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결합바(311)가 돌설되며, 상기 결합바(311)는 상기 가압면부(310)가 상기 설포(3)의 측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됨에 따라 상기 장착홀(3a)을 관통하여 상기 결속공(32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312)가 상기 걸림턱(323)에 구속됨에 따라 상기 결합바(311)는 상기 결속공(322)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바(311)는 상기 결합면부(321)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이중으로 구비되는 결속공(322)에 대응하여 이중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결속공(322) 및 상기 결합바(311)는 전방측 및 후방측의 이중으로 제한되지 않고, 삼중 혹은 사중의 다단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좌측과 우측으로 병렬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합바(311)에는 상기 결속공(322)의 내주를 따라 형성된 걸림턱(323)에 걸림 고정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고정돌기(312)가 돌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312)는 상기 결합바(311)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바(311)는 상기 장착홀(3a)을 관통하여 상기 결속공(322)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걸림 고정되며, 다단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설포(3)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면부(321)와 상기 가압면부(31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다양한 두께의 설포(3)에 대응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압면부(310)는 상기 설포(3)의 측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가압면부(310)와 상기 결합면부(321) 사이에 상기 설포(3)의 측단부가 클램핑 고정되므로 상기 하우징부(60)가 좌우측으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바(311)는 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장착홀(3a)은 상기 결합돌기(311)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원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를 조이거나 풀 때 상기 하우징부(6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장착홀(3a)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장착홀(3a)이 찢어지지 않고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가 신발에 장착되기 전에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및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가이드부가 신발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신발(1)에는 양측 측피(2)를 따라 신끈홀(2a)에 구비되며, 상기 각 신끈홀(2a)에는 상기 와이어(w)를 안내하도록 가이드부(90)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신발(1)에는 일반적인 신발끈을 삽입하기 위한 신끈홀(2a)이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는 일반적인 신발끈을 대신하여 상기 릴부(40)에 권취됨에 따라 상기 양측 측피(2)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와이어(w)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w)는 상기 릴부(40)의 회전에 따라 가해지는 인장력으로 상기 양측 측피(2)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는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신발의 경우 양측 측피(2)에는 6쌍의 신끈홀(2a)이 대향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90)는 각 신끈홀(2a)에 결합되되, 일측 측피(2)를 따라 상하로 배치된 2개의 가이드부(90)를 한쌍으로 하여 상기 와이어(w)가 지그재그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와이어(w)는 일측 측피(2)의 상단에 상하로 배치된 2개의 가이드부(90)에 삽입되어 타측 측피의 중단에 상하로 배치된 2개의 가이드부(90)를 통과하여, 일측 측피(2)의 하단에 상하로 배치된 2개의 가이드부(90)에 삽입된다.
그리고, 타측 측피의 하단에 상하로 배치된 2개의 가이드부(90)에 삽입되고, 일측 측피(2)의 중단에 상하로 배치된 2개의 가이드부(90)를 통과하여, 타측 측피의 상단에 상하로 배치된 2개의 가이드부(90)에 삽입됨에 따라 지그재그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w)의 양단부는 상기 릴부(40)에 결합되어 권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릴부(40)의 회전에 따라 권취되어 양측 측피(2)를 내측으로 조이게 된다. 이때, 상기 각 가이드부(90)는 2개의 가이드부가 신발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하여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w)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60kgf 이상으로 높아지더라도 상기 신끈홀(2a)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90)는 하부바디부(90b)와 상부바디부(90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바디부(90b)는 상기 신끈홀(2)의 하측 테두리에 구속되되, 상기 신끈홀(2)을 관통하는 삽입돌기(94)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부(90a)는 상기 신끈홀(2)의 상측 테두리에 안착되되 일측에 상기 삽입돌기(94)가 결합되는 결합공(9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91)은 상기 신끈홀(2)의 방향을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바디부(90a)가 상기 신끈홀(2)의 상측 테두리에 안착될 때, 상기 신끈홀(2)의 하측 테두리에 배치된 상기 하부바디부(90b)의 삽입돌기(94)가 상기 신끈홀(2)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9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공(91)의 내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고정턱(91a)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돌기(94)에는 상기 고정턱(91a)에 걸림 결합되는 고정턱걸림돌기(9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턱걸림돌기(95)는 다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9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상부바디부(90a)와 상기 하부바디부(90b)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측피(2)의 두께에 대응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부(90a)의 타측에는 상기 결합공(91)과 수직한 방향으로 와이어안내공(9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안내공(93)에는 상기 와이어(w)가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가이드부(90)가 각 신끈홀(2a)에 결합됨에 따라 지그재그로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w)의 양단부는 상기 릴부(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부(4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w)는 릴부(40)에 권취되어 상기 신발(1) 양측의 측피(2)를 조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부(90)의 와이어안내공(93)은 상기 신끈홀(2a)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와이어안내공(93)에 삽입되어 지그재그로 연결될 때 상하로 절곡되지 않고 좌우측으로만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안내공(93)과 상기 와이어(w) 사이에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상기 와이어(w)를 조이거나 풀어 상기 신발(1) 양측 측피(2)를 조이거나 푸는 데 소모되는 힘이 감소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마찰력의 감소로 인해 조이거나 푸는 힘이 가해지는 와이어 조임장치(100)에서 가까운 발등쪽과 먼 발가락 쪽으로 균일한 힘이 가해질 수 있어 편안하고 안정감 있는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안내공(93)의 내측면(92)은 중심측이 상기 신발(1)의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w)는 상기 가이드부(90)에 의해 지그재그로 안내되어 상기 신발(1) 양측 측피(2)에 연결될 때, 상기 와이어안내공(93)의 단부에 구배지게 접촉될 수 있어 상기 릴부(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조이고 풀릴 때 마찰력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바디부(190a) 및 하부바디부(190b)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90)는 하부바디부(190b)와 상부바디부(190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바디부(190b)는 상기 신끈홀(2)의 하측 테두리에 구속되되, 상기 신끈홀(2)을 관통하는 삽입돌기(194)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부(190a)는 상기 하부바디부(190b)와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신끈홀(2)의 상측 테두리에 안착되며, 일측에 상기 삽입돌기(194)가 결합되는 결합공(19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191)은 상기 신끈홀(2)의 방향을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바디부(190a)가 상기 신끈홀(2)의 상측 테두리에 안착될 때, 상기 신끈홀(2)의 하측 테두리에 배치된 상기 하부바디부(190b)의 삽입돌기(194)가 상기 신끈홀(2)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19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공(91)의 내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요철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돌기(194)에는 상기 요철걸림턱에 걸림 결합되는 고정턱걸림돌기(19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턱걸림돌기(195)는 다단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19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상부바디부(190a)와 상기 하부바디부(190b)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측피(2)의 두께에 대응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부(190a)의 타측에는 상기 결합공(91)과 수직한 방향으로 와이어안내공(19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안내공(193)에는 상기 와이어(w)가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부(90)의 와이어안내공(193)은 상기 신끈홀(2a)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와이어안내공(193)에 삽입되어 지그재그로 연결될 때 상하로 절곡되지 않고 좌우측으로만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안내공(193)과의 상기 와이어(w) 사이에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상기 와이어(w)를 조이거나 풀어 상기 신발(1) 양측 측피(2)를 조이거나 푸는 데 소모되는 힘이 감소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마찰력의 감소로 인해 조이거나 푸는 힘이 가해지는 와이어 조임장치(100)에서 가까운 발등쪽과 먼 발가락 쪽으로 균일한 힘이 가해질 수 있어 편안하고 안정감 있는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가이드부의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90)가 가이드 밴드로 구비되어 한 쌍의 신끈홀(2a)에 결합되는 것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 내지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신발(1)의 양측 측피(2)에는 상호 대향 배치된 각 쌍의 신끈홀(2a)에 가이드부(9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90)는 가이드 밴드로 구비되어, 양단부(291)가 상기 각 쌍의 신끈홀(2a)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신끈홀(2a)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양단부(291)에는 상기 와이어(w)가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양단부(291)에 삽입되어 지그재그로 연결됨에 따라 상하로 절곡되지 않고 좌우측으로만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양단부(291)의 내측과 상기 와이어(w) 사이에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상기 와이어(w)를 조이거나 풀어 상기 신발(1) 양측 측피(2)를 조이거나 푸는 데 소모되는 힘이 감소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타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에서 쿠션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면부(110)의 하면에 쿠션부(119)가 돌설되는 것을 제외한 기본적은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면부(110)는 착용자의 발등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면부(110)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바와 대응되는 부분에 착용자의 발등에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쿠션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쿠션부(119)는 상기 가압면부(110)가 상기 발등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반구형으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발등의 형태는 상측이 구배진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착화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신발의 설포(3)가 발등의 경사를 따라 바깥쪽으로 쏠리게 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한편,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의 회전커버(10)를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w)를 조이게 되면, 상기 가압면부(110)는 상기 착용자의 발등에 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면부(110)의 하면 양측에 반구형으로 돌설되어 병렬 배치된 상기 각 쿠션부(119) 사이에는 상기 발등의 상단부에 돌출된 부분이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쿠션부(119)가 상기 발등의 상단부에 돌출된 부분을 양측에서 지지하므로 상기 가압면부(110)는 상기 발등의 상단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착화 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상기 설포(3)가 발등의 외측으로 쏠리지 않아 배김을 방지하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쿠션부(119)는 상기 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되므로 상기 결합부에 의해 발등에 가해지는 압박감과 충격을 완화하여 상기 와이어(w)를 단단하게 조여 고정하더라도 발등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어 제품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119)는 상기 와이어(w)를 조이도록 상기 회전커버(10)를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설포(3)가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착용자의 발등에 지지되므로 상기 와이어(w)를 조이는 구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쿠션부(119)는 상기 회전커버(10)를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w)를 풀 때 탄성적으로 복원되며 상기 설포(3)와 상기 착용자의 발등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므로 상기 설포(3)를 손쉽게 당겨 상기 와이어(w)를 풀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술된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의 장착방법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신발(1)의 설포(3)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장착홀(3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장착홀(3a)은 상기 하우징부(60)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부(120,22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장착홀(3a)은 나이프를 이용하여 절단되어 형성되거나, 펀치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형성된 장착홀(3a)의 테두리는 일정한 열을 가해 녹임으로써 찢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홀(3a)이 형성되면, 상기 하우징부(60)에 형성된 결합부(120,220,320)를 장착홀(3a)에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부(60)를 상기 설포(3)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그 후, 상기 설포(3)의 하면에 가압면부(110,210,320)를 배치한다. 이때, 도 3a 내지 4와 같은 경우에 상기 가압면부(110,210)는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설포(3)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5a 내지 도 5c와 같은 경우에 상기 가압면부(320)는 상기 설포(3)의 측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상기 가압면부(320)가 상기 설포(3)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면부(110,210,310)에 돌설된 결합바(112,212,311)를 상기 장착홀(3a)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120,220,32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가 설포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설포(3)의 두께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설포(3)에 장착홀(3a)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바(112,212,311)를 상기 장착홀(3a)을 관통하여 결합부(120,220,320)에 삽입하는 단순한 과정으로 장착할 수 있어, 다양한 신발(1)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 및 장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압면부(110,210,310) 및 상기 결합부(120,220,320)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돌기를 통해 단계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별도의 박음질 없이 다양한 두께의 설포(3)에 대응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w)를 안정적으로 조이고 풀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릴부(40)에는 가이드부(90)가 결합된 상기 와이어(w)가 상기 릴부(40)의 회전에 따라 권취되도록 상기 와이어(w)의 단부가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는 릴부(40)에 와이어(w)가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며, 상기 와이어(w)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부(90)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w)가 상기 신발(1) 양측 측피(2)에 지그재그로 연결되도록 상기 각 신끈홀(2a)의 상측 테두리에 상기 각 가이드부(90)의 상부바디부(90a)를 배치하고, 하측 테두리에 상기 하부바디부(90b)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돌기(94)를 상기 신끈홀(2a)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91)에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부(90)를 상기 신끈홀(2a)에 고정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100)에 고정된 와이어(w)를 지그재그로 연결할 때 상기 가이드부(90)를 각 신끈홀(3a)에 배치하고 상기 삽입돌기(94)를 끼워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와이어 조임장치 10: 회전커버
20: 캠구동부 30: 승강캠부
40: 릴부 42: 와이어 권취부
50: 캠베이스부 60: 하우징부
70: 회전축 80: 체결나사
w: 와이어 1: 신발
2: 측피 2a: 신끈홀
3: 설포 3a: 장착홀
120,220,320: 결합부 90,190,290: 가이드부
110,210,310: 가압면부 112,212,311: 결합바
121,221a,221b: 삽입홈부 114,123: 쐐기 돌기
113,213: 래칫돌기 122,222: 걸림돌기
322: 결속공 322: 걸림턱
312: 고정돌기 90a,190a: 상부바디부
90b,190b: 하부바디부 91,191: 결합공
93,193: 와이어안내공 119: 쿠션부

Claims (10)

  1. 신발의 설포에 고정되되 내주에 래칫형 기어가 구비되며 원통형 내면을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되 귄취됨에 따라 상기 신발의 양측 측피를 조이는 와이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릴부와, 상기 릴부를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커버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설포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설포에 형성된 장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설포를 클램핑 고정하도록 일면에 돌설된 결합바가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설포의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바가 삽입되는 삽입홈부와, 상기 삽입홈부의 내측에 돌설되어 하면이 경사지게 구비되되 상면이 평탄하게 구비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바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하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상면에 안착되어 걸림 구속되는 래칫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 및 상기 래칫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결합바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 및 상기 가압면부의 상면에는 상기 설포를 가압하여 구속하는 쐐기 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 결합면부와, 상기 결합면부에 형성된 결속공의 내주를 따라 구비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면부는 상기 결합면부의 외측단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설포의 측단부를 감싸도록 절곡되되, 상기 결합바는 상기 결속공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 구속되도록 상단 테두리에 고정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양측 측피를 따라 형성된 각 신끈홀에는 가이드부가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신끈홀을 관통하는 삽입돌기가 돌설되되 상기 신끈홀의 하측 테두리에 구속되는 하부바디부와,
    상기 신끈홀의 상측 테두리에 안착되되 일측에 상기 삽입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과 수직한 방향으로 와이어안내공이 형성되는 상부바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안내공의 내측면은 중심측이 상기 신발의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양측 측피를 따라 형성되되 상호 대향 배치된 각 쌍의 신끈홀에는 가이드부가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부는 양단부가 상기 각 쌍의 신끈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양단부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 밴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부는 착용자의 발등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구비되며,
    상기 가압면부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바와 대응되는 부분에 착용자의 발등에 접촉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쿠션부가 구비되되, 상기 쿠션부는 상기 가압면부가 상기 발등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반구형으로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
  9. 신발의 설포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장착홀을 형성하는 제1단계;
    권취됨에 따라 상기 신발의 양측 측피를 조이는 와이어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릴부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하우징부에 형성된 결합부가 상기 장착홀에 대응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부를 상기 설포의 상면에 안착시키는 제2단계;
    상기 설포를 클램핑 고정하도록 상기 설포의 하면을 가압하는 가압면부에 돌설된 결합바를 상기 장착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장착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릴부에는 가이드부가 결합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릴부의 회전에 따라 권취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가이드부의 와이어안내공에 의해 라운드지게 안내되어 상기 신발 양측 측피에 지그재그로 연결되도록 상기 신발 양측 측피를 따라 형성된 각 신끈홀의 상측 테두리에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바디부를 배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바디부가 상기 신끈홀의 하측 테두리에 구속되도록 상기 하부바디부에 돌설된 삽입돌기를 상기 신끈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바디부의 결합공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조임장치의 장착방법.
KR1020130105488A 2013-09-03 2013-09-03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KR101506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488A KR101506676B1 (ko) 2013-09-03 2013-09-03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JP2016540800A JP6554469B2 (ja) 2013-09-03 2014-09-02 ワイヤの締付装置及びその装着方法
CN201480048579.7A CN105517459B (zh) 2013-09-03 2014-09-02 夹线装置及其安装方法
US14/916,287 US10561204B2 (en) 2013-09-03 2014-09-02 Wire tighten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for
PCT/KR2014/008178 WO2015034233A1 (ko) 2013-09-03 2014-09-02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GB1604057.8A GB2532685B (en) 2013-09-03 2014-09-02 Wire tighten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for
DE112014004008.8T DE112014004008B4 (de) 2013-09-03 2014-09-02 Bandstraffvorrichtung und Bereitstellungsverfahren dafü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488A KR101506676B1 (ko) 2013-09-03 2013-09-03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518A KR20150026518A (ko) 2015-03-11
KR101506676B1 true KR101506676B1 (ko) 2015-03-30

Family

ID=5262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488A KR101506676B1 (ko) 2013-09-03 2013-09-03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61204B2 (ko)
JP (1) JP6554469B2 (ko)
KR (1) KR101506676B1 (ko)
CN (1) CN105517459B (ko)
DE (1) DE112014004008B4 (ko)
GB (1) GB2532685B (ko)
WO (1) WO201503423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100A (ko) * 2019-09-11 2021-03-19 소윤서 사용자 맞춤형 줄길이 조절장치 및 그 장착방법
WO2022086151A1 (ko)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 장치
KR20230013464A (ko) * 2021-07-19 2023-01-26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V20130045A1 (it) * 2013-04-09 2014-10-10 Northwave Srl Dispositivo di serraggio
JP6087219B2 (ja) 2013-06-18 2017-03-01 株式会社ジャパーナ 靴紐巻取装置
JP6105404B2 (ja) * 2013-06-18 2017-03-29 株式会社ジャパーナ 靴紐巻取用リール
US10264852B2 (en) * 2015-01-14 2019-04-23 Sug Whan Kim String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KR101782151B1 (ko) * 2015-06-12 2017-10-13 김석환 끈 조임장치
JP6882827B2 (ja) * 2016-08-10 2021-06-02 株式会社アルペン 巻取装置
KR101723578B1 (ko) * 2016-10-10 2017-04-06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CN110099584B (zh) 2016-10-26 2021-12-0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自动化鞋类平台的系带架构
US11071353B2 (en) 2016-10-26 2021-07-27 Nike, Inc. Automated footwear platform having lace cable tensioner
CN114983094A (zh) 2016-10-26 2022-09-02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自动化鞋类平台的可变形鞋带引导件
US11083248B2 (en) 2016-10-26 2021-08-10 Nike, Inc. Automated footwear platform having upper elastic tensioner
CN106858911A (zh) * 2016-12-30 2017-06-20 东莞产权交易中心 一种鞋带松紧控制装置
CN106723663B (zh) * 2017-01-24 2019-05-24 深圳市悠宁科技有限公司 鞋带收放装置
CN110636772B (zh) * 2017-03-15 2021-11-19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缆线和鞋面张紧器的自动化鞋类
IT201700060377A1 (it) * 2017-06-01 2018-12-01 K22 Studio S R L Soc Unipersonale Dispositivo di chiusura per calzature ed articoli di abbigliamento e sportivi in generale
IT201700073756A1 (it) * 2017-06-30 2018-12-30 K22 Studio S R L Soc Unipersonale Dispositivo di chiusura per calzature ed articoli di abbigliamento e sportivi in generale
EP3717344A1 (en) * 2017-11-29 2020-10-07 Iseinoski, Alexander Kiteboard
KR200490134Y1 (ko) * 2018-05-08 2019-09-30 엠씨테크놀로지 (주)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스타이머 고정장치
DE112020000313T5 (de) * 2019-01-30 2021-09-30 Chin-Chu Chen Verfahren zur montage einer befestigungsvorrichtung und montagelochausbildungsmechanismus
KR102298250B1 (ko) * 2019-08-27 2021-09-06 주식회사 프리락 글로벌 와이어 조임장치
JP2023013847A (ja) * 2021-07-16 2023-01-26 株式会社シマノ
TWM623553U (zh) * 2021-08-18 2022-02-21 陳金柱 緊固裝置
US20230148710A1 (en) * 2021-11-16 2023-05-18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558B1 (en) 1997-08-22 2001-09-18 Boa Technology, Inc. Footwear lacing system
KR20110008203U (ko) * 2010-02-11 2011-08-18 친-추 첸 무단계식 미세 조정 버클
KR20130028402A (ko) * 2011-09-09 2013-03-19 소윤서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KR101249420B1 (ko) 2012-12-17 2013-04-0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05496U1 (ko) 1990-05-15 1991-09-12 Puma Ag Rudolf Dassler Sport, 8522 Herzogenaurach, De
US3108385A (en) * 1962-01-23 1963-10-29 Rieker & Co Tying means for shoes and boots
US5177882A (en) * 1989-06-03 1993-01-12 Puma Ag Rudolf Dassler Sport Shoe with a central fastener
DE59002580D1 (de) * 1989-06-03 1993-10-07 Dassler Puma Sportschuh Mit einer schliessvorrichtung versehener schuh mit nachgiebigem schaftmaterial.
AT396054B (de) 1990-08-28 1993-05-25 Koeflach Sportgeraete Gmbh Schnalle fuer schuhe, insbesondere skischuhe
USD333552S (en) * 1991-02-27 1993-03-02 Tretorn Ab Shoe closure
AT404661B (de) * 1995-10-18 1999-01-25 Mark Rudolf Verschlussvorrichtung für schuhe, bekleidungsstücke, zelte, rucksäcke, etc.
US5934599A (en) 1997-08-22 1999-08-10 Hammerslag; Gary R. Footwear lacing system
US6158096A (en) 1999-02-24 2000-12-12 Bar; Oren Shoe tongue positioner
DE20318638U1 (de) * 2003-12-02 2004-04-29 Deeluxe Sportartikel Handels Gmbh Klemmvorrichtung für Schnürsenkel o.dgl. Schnürmittel
WO2006050266A2 (en) * 2004-10-29 2006-05-11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closure system
CN101228567A (zh) 2005-07-07 2008-07-23 挤壁仔有限公司 将附件固紧到布料的系统和方法
US8069538B2 (en) * 2006-03-10 2011-12-06 Robert Wilcox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yet removably attaching ornaments to shoes, clothing, pet collars and the like
CN201005168Y (zh) * 2007-02-01 2008-01-16 罗榕润 一种塑料自扣钉
KR100807105B1 (ko) 2007-02-08 2008-02-26 강병도 착용이 용이한 신발
US7584528B2 (en) * 2007-02-20 2009-09-08 Meng Hann Plastic Co., Ltd. Shoelace reel operated easily and conveniently
KR101875508B1 (ko) * 2010-04-30 2018-07-06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558B1 (en) 1997-08-22 2001-09-18 Boa Technology, Inc. Footwear lacing system
KR20110008203U (ko) * 2010-02-11 2011-08-18 친-추 첸 무단계식 미세 조정 버클
KR20130028402A (ko) * 2011-09-09 2013-03-19 소윤서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KR101249420B1 (ko) 2012-12-17 2013-04-03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100A (ko) * 2019-09-11 2021-03-19 소윤서 사용자 맞춤형 줄길이 조절장치 및 그 장착방법
KR102263189B1 (ko) * 2019-09-11 2021-06-10 소윤서 사용자 맞춤형 줄길이 조절장치 및 그 장착방법
WO2022086151A1 (ko)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 장치
KR20220053433A (ko) * 2020-10-22 2022-04-29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 장치
KR102443899B1 (ko) * 2020-10-22 2022-09-16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 장치
KR20230013464A (ko) * 2021-07-19 2023-01-26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102550045B1 (ko) * 2021-07-19 2023-06-30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4008B4 (de) 2023-04-20
DE112014004008T5 (de) 2016-05-25
CN105517459B (zh) 2017-06-06
GB2532685B (en) 2020-09-09
JP6554469B2 (ja) 2019-07-31
GB2532685A (en) 2016-05-25
US10561204B2 (en) 2020-02-18
GB201604057D0 (en) 2016-04-20
US20160213099A1 (en) 2016-07-28
JP2016530028A (ja) 2016-09-29
CN105517459A (zh) 2016-04-20
KR20150026518A (ko) 2015-03-11
WO2015034233A1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676B1 (ko)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JP6314151B2 (ja) ワイヤ締付装置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KR100662805B1 (ko)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발등조임장치.
US20050081403A1 (en) Boot with at least two lacing zones
US7343701B2 (en) Footwear having an interactive strapping system
US5349764A (en) Shoe securement apparatus
JP2015519949A (ja) キャノピ付き無タン履物
US20100287791A1 (en) Shoelace Locker and Shoe with the Same
US7219444B2 (en) Boot liner with ankle and heel volume control
US20170172248A1 (en) Arch Support
WO2016023093A1 (en) Adjustable shoe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KR101844135B1 (ko)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KR101256365B1 (ko) 착탈식 바퀴 고정장치
KR101716442B1 (ko) 신발끈의 장력조절 기능을 갖는 신발
KR200248655Y1 (ko) 고리가 결합된 신끈
KR101502950B1 (ko) 조임끈 조임장치
KR102298250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200301590Y1 (ko) 신발끈 조임용 버클
KR20110007917U (ko) 신발끈 매듭 고정기
KR20140082907A (ko) 전투화 끈 고정장치
WO2012174269A1 (en) Boot with lace tensioning system
KR20150003709U (ko)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신발끈
KR900002201Y1 (ko) 운동화끈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