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402A -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402A
KR20130028402A KR1020110091919A KR20110091919A KR20130028402A KR 20130028402 A KR20130028402 A KR 20130028402A KR 1020110091919 A KR1020110091919 A KR 1020110091919A KR 20110091919 A KR20110091919 A KR 20110091919A KR 20130028402 A KR20130028402 A KR 20130028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shoe
detachable
housing
re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윤서
Original Assignee
소윤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윤서 filed Critical 소윤서
Priority to KR102011009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8402A/ko
Priority to PCT/KR2012/007054 priority patent/WO2013036006A1/ko
Publication of KR2013002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3/00Hooks for laces; Guards for hooks
    • A43C3/02Lacing-hooks with guid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8Hook fastenings; Rotary hook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6Releasable ends of laces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은, 신발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일단부는 상기 신발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끈 안내부가 마련되는 착탈형 신발끈 홀더; 및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와 상기 끈 안내부를 연결하며,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동작을 통해 조여지거나 풀리는 신발끈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신발끈을 손쉽게 풀거나 조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A detachable lock shoe system and shoes with the system}
본 발명은,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끈을 손쉽게 풀거나 조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누구나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발(foot)은 체중을 지탱하고 몸의 이동 시 중심을 잡아주며, 걷거나 뛸 때 필요한 추진력을 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역할을 보조함과 동시에 발을 보호하는 것이 신발이다.
여기서, 신발이라 함은, 골프화 등의 스포츠화, 아동화, 등산화, 런닝화, 군화 등 사람들의 발에 착용되는 것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신발들 모두는 나름대로의 역할을 가지고 제작되고 있다.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신발에 기능성이 강화되고 있으므로 신발이 점차 전문화 또는 고급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신발에 기능성이 부가되거나 신발이 고급화되더라도 신발은 신거나 벗을 때 편리해야 하는 것이 기본이다.
신발끈이 장착된 런닝화를 예로 들면, 런닝화를 신기 위해 신발끈을 일일이 풀어 신발에 발을 넣고 다시 신발끈을 조이는 행위나, 반대로 런닝화를 벗기 위해 신발끈을 일일이 푸는 행위는 여간 번거롭고 불편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근자에 들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출원되어 등록받은 바 있는 줄 길이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신발끈, 특히 와이어로 된 신발끈을 손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하기에 이르렀으며, 현재 다양한 신발에 적용되어 출시 중에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줄 길이 조절장치는 신발의 제조 시 신발에 일체로 부착되어 제공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줄 길이 조절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신발에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때, 탈부착이 용이하여 기존 신발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요구되며, 만약 이러한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개발된다면 사용상의 편의성이 매우 증대될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086676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071544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끈을 손쉽게 풀거나 조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누구나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신발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일단부는 상기 신발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끈 안내부가 마련되는 착탈형 신발끈 홀더; 및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와 상기 끈 안내부를 연결하며,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동작을 통해 조여지거나 풀리는 신발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는, 중앙 영역에 드럼 회전축이 형성되는 탈부착 하우징; 상기 탈부착 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 상기 탈부착 하우징 및 상기 회전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신발끈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가 구비되는 권취드럼; 상기 회전 하우징의 중앙 영역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되 상기 신발끈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동작을 위하여 상기 회전 하우징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회전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통해 상기 드럼 회전축에 결합되는 스크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형 신발끈 홀더는, 상기 끈 안내부가 일측에 마련되는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발측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측 결합부와 상기 끈 안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신발측 결합부와 상기 끈 안내부는 상기 홀더 몸체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끈 안내부에 인접된 상기 홀더 몸체에는 상기 끈 안내부와 상기 홀더 몸체 간의 이격간격을 최소화시키는 절곡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발측 결합부는 영문자 T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신발측 결합부는, 상기 홀더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를 통과하는 제1 결합부분; 및 상기 홀더 몸체와는 별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1 결합부분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분과 상기 제2 결합부분은 분리된 상태로 마련되거나 연결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발끈은 와이어(wire)일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는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거나 교차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끈 안내부는 U 형상, 반원 형상 및 홀(hol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는, 상기 신발끈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신발끈을 당기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 회전 가능한 조임 메커니즘; 및 상기 조임 메커니즘의 제어부를 외부로 당김으로써 장력이 해제되는 해제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에는 상기 신발끈 구멍 또는 상기 신발끈 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 고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 고리부는 한 개 이상이며, 상기 걸림 고리부가 한 개인 경우에는 고정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걸림 고리부가 두 개 이상인 경우, 고정형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에는 신발끈을 안내하는 끈 안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끈 안내부는 하나 이상의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몸체에 대하여 상기 신발측 결합부는 한 개 이상이며, 상기 신발측 결합부가 한 개인 경우에는 고정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신발측 결합부가 두 개 이상인 경우, 고정형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끈 안내부는 하나 이상의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끈을 손쉽게 풀거나 조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누구나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장착되지 않은 신발의 요부 평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신발에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장착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에 마련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착탈형 신발끈 홀더의 측단면 구조도,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착탈형 신발끈 홀더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신발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신발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신발에 장착된 상태의 요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신발에 장착된 상태의 요부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장착되지 않은 신발의 요부 평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신발에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장착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에 마련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2의 A 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착탈형 신발끈 홀더의 측단면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은, 신발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H, 도 1 참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와, 일단부는 신발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H)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끈 안내부(183)가 마련되는 착탈형 신발끈 홀더(180)와,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와 착탈형 신발끈 홀더(180)의 끈 안내부(183)를 연결하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의 동작을 통해 조여지거나 풀리는 신발끈(W)을 포함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할 신발끈(W)은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에 부가되는 와이어(wire)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와이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즉 신발끈(W)은 본 출원에 대해 충분한 축방향 강도 및 굽힘성을 보이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중합체 또는 금속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조되거나, 땋거나(braided), 꼬거나 또는 달리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중실 코어 와이어, 중실 코어 중합체, 또는 다중 필라멘트 와이어 또는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중실 또는 다중 필라멘트 금속 코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PTFE등과 같은 중합체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도 2처럼 신발끈(W)이 교차형으로 배열되면서 신발에 결합될 수 있지만,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혹은 도 11처럼 외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와 같은 경우는 아래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할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에 신발끈(W)의 양단부가 고정된 경우인데, 도 11처럼 신발끈(W)의 일측 단부만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에 연결된 경우라면 신발끈(W)의 타측 단부를 착탈형 신발끈 홀더(180) 중 하나에 고정시켜 그곳으로부터 지그재그식으로 신발끈(W)을 배열시켜 사용하면 될 것이다. 도 11의 경우, 도 2에 비해 착탈형 신발끈 홀더(180)의 적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의 한 구성인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고 설명될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 3 내지 도 5와는 다른 타입의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미도시)가 적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미도시)에 대한 기술은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되어 공개되거나 등록된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인용토록 한다.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되어 공개되거나 등록된 특허문헌에는 줄 길이 조절장치라 명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를 위해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라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의 일측에는 걸림 고리부(101)가 마련될 수 있으며, 걸림 고리부(101)를 통해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를 신발끈 구멍(H)에 착탈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은, 중앙 영역에 드럼 회전축(111)이 형성되는 탈부착 하우징(110)과, 탈부착 하우징(11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120)과, 탈부착 하우징(110)과 회전 하우징(120)의 내부에 삽입되며,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132)가 구비되는 권취드럼(130)과, 탈부착 하우징(110) 및 회전 하우징(120)을 결합시키며 줄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동작을 위하여 회전 하우징(120)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결합유닛 가이드 샤프트(180)를 포함한다. 결합유닛 가이드 샤프트(180)는 회전 하우징(120) 쪽으로부터 삽입되어 탈부착 하우징(110)의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축에 삽입됨으로써 권취드럼(13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샤프트(140)와, 샤프트(140)와 탈부착 하우징(110)의 회전축을 상호 결합시켜 고정하는 스크루(1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줄 길이 조절장치는 탈부착 하우징(110), 회전 하우징(120), 권취드럼(130), 샤프트(140) 및 스크루(150)라는 총 5개의 부품이 사용되어 조립되기 때문에 종래의 줄 길이 조절장치(미도시)보다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 제품단가 및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조립성 및 작동의 안정성은 대폭 향상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각 부품에 대해 설명한다.
탈부착 하우징(110)은 회전 하우징(120)과 함께 내부의 공간에 권취드럼(1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탈부착 하우징(110)에 권취드럼(130)이 수납된 후, 권취드럼(130)이 탈부착 하우징(110)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탈부착 하우징(110)의 중앙 영역에는 권취드럼(1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럼 회전축(111)이 마련된다. 드럼 회전축(111)의 내벽에는 스크루(150)가 체결되는 나사산(111a)이 형성된다.
탈부착 하우징(110)의 하단부에는 탈부착 하우징(110)을 신발에 장착하기 위한 걸림 고리부(101)가 형성된다. 걸림 고리부(101)를 통해 탈부착 하우징(110)은 신발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탈부착 하우징(110)이 신발에 장착되고 회전 하우징(120)이 탈부착 하우징(110)에 결합되면서 다수의 부품들이 조립되는 형태로서 본 실시예의 줄 길이 조절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 시에는 신발으로부터 탈부착 하우징(110)을 떼어내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 작업 역시 간편해진다.
탈부착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권취드럼(130)에 권취되거나 권취드럼(130)으로부터 권취해제되는 줄이 통과할 수 있는 줄통과공(115)이 형성될 수 있다. 줄통과공(115)은 도시와 달리 한 쪽으로 편향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줄통과공(115)은 1개 혹은 3개 이상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그 위치 역시 도면 3과 다를 수 있다.
회전 하우징(120)은 줄 길이 조절장치의 작동 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부분이다.
신발에 장착된 탈부착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 하우징(12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줄이 권취드럼(130)에 권취되거나 권취드럼(130)으로부터 권취해제될 수 있다.
회전 하우징(120)은 일정한 높이(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중앙 영역은 결합유닛 가이드 샤프트(111)가 삽입될 수 있는 샤프트 삽입공(121)이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회전 하우징(120)의 하부 내부 영역에는 후술할 탈부착 하우징(110) 쪽의 일방향 톱니치형(113)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면서 상호 작용하는 래치(124)가 마련된다. 래치(124)는 그 자유단이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124)가 회전 하우징(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4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래치(124)의 개수와 위치 등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회전 하우징(120) 하부 영역의 래치(124)와 샤프트 삽입공(121) 사이 영역에는 복수개의 하우징 결합톱니(127)가 샤프트 삽입공(121) 주위를 따라 원을 이루는 형태로 마련된다. 각각의 결합 권취용 래치(127)는 대략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구비되는데, 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는 둔각삼각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삼각형 모양으로 구비되는 각각의 하우징(120) 및 드럼 결합톱니(127,137)는 상호 맞물릴 경우, 빗변은 빗변끼리, 높이를 이루는 변은 높이를 이루는 변끼리 접하게 된다.
한편, 회전 하우징(120)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줄 길이 조절 장치의 권취가 가능한 상태, 즉 래치(124)가 일방향 톱니치형(113)에 맞물리게 되어 회전 하우징(12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는, 회전 하우징(120)의 하우징 결합톱니(127) 및 권취드럼(130)의 결합톱니(137)가 상호 견고히 밀착하여 회전 하우징(120)을 회전시킬 때 권취드럼(130)이 일체로서 회전하게 된다.
회전 하우징(120)이 상방향으로 당겨져 줄 길이 조절장치의 권취해제가 가능한 상태, 즉 래치(124)가 일방향 톱니치형(113)에 맞물리게 되거나 이격되어 회전 하우징(120)이 일방향 회전하거나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는, 각각의 결합톱니(127,137)가 완전 이격됨에 따라 간섭상태가 없다.
탈부착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 원주 내면에는 탈부착 하우징(110)의 두께(높이) 방향을 따라, 즉 탈부착 하우징(110) 및 회전 하우징(120)이 상호 결합하는 방향을 따라 가공된 일방향 톱니치형(113)이 형성된다(도 1 참조). 일방향 톱니치형(113)은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하우징(120)의 래치(124)가 일방향 톱니치형(113)에 배치되어 맞물리면 정방향 또는 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된다. 이는 일방향 톱니치형(113)의 톱니 형상에 의해 가능해지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회전 하우징(120)의 래치(124)가 일방향 톱니치형(113)에 맞물리면 어느 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줄을 권취할 수 있고, 회전 하우징(120)을 상부로 올렸을 때 줄을 권취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일방향 톱니치형(113)이 탈부착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 원주 내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일방향 톱니치형(113)은 탈부착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 원주 외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의 형상에 제한될 수 없다. 즉 일방향 톱니치형(113)은 탈부착 하우징(110)의 상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방향 톱니치형(113)이 구비되는 위치는 탈부착 하우징(110)에 한정되지 않고, 탈부착 하우징(110) 및 회전 하우징(120)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일측에 탈부착 하우징(110) 및 회전 하우징(120)이 상호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일방향 톱니치형(113)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면서 상호 작용하는 래치(124)는 일방향 톱니치형(113)이 구비되지 않은 다른 한 하우징에 구비될 수도 있다.
권취드럼(130)은 탈부착 하우징(110) 및 회전 하우징(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실제로 줄이 권취되거나 또는 권취해제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드럼(130)에는 실제로 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132)가 구비되고, 권취부(132)에는 줄이 통과되는 한 쌍의 줄통과공(131)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줄통과공(13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부(132)의 어느 한 부분에 별도의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고, 권취부(132)를 관통하여 형성(미도시)할 수도 있다.
줄은 탈부착 하우징(110)의 일측 줄통과공(115)을 통해 탈부착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후 권취드럼(130)의 줄통과공(131)을 통과하여 권취부(132)에 권취된 다음 탈부착 하우징(110)의 타측 줄통과공(115)을 통해 탈부착 하우징(110)의 외부로 나가는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권취드럼(130)에는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줄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을 저지하면서 줄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2개(한 쌍)의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133)가 권취부(132)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결합된다. 물론,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133)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동작에는 문제가 없으나, 줄 위치 유지용 원판부(133)가 결합되면, 이로 인해 줄이 감기는 위치가 일정해질 수 있어 줄이 꼬이거나 상향 또는 하향으로 몰림으로써 작동에 방해가 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권취드럼(130)은 탈부착 하우징(110)의 드럼 회전축(1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 영역의 상하를 관통하여 통공(135)이 형성된다.
권취드럼(130)의 상부 영역(회전 하우징(120)과의 결합부위)에는 회전 하우징(120)의 하우징 결합톱니(127)와 대응하여 상호 맞물려 동작하는 복수개의 드럼 결합톱니(137)가 통공(135)을 중심으로 원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된다.
각각의 드럼 결합톱니(137)는 하우징 결합톱니(127)와 마찬가지로 대략 직각삼각형의 모양으로 구비되는데, 한 내각이 직각을 이루는 직각삼각형 또는 한 내각이 둔각을 이루는 둔각삼각형의 모양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샤프트(14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하우징(120)의 중앙 영역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되 줄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동작을 위하여 회전 하우징(120)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스크루(150)는 회전 하우징(120)의 외측에서 샤프트(140)를 통해 드럼 회전축(111)의 나사산(111a)에 체결된다.
회전 하우징(120)이 샤프트(140)를 축으로 하여 업/다운 동작될 수 있도록, 샤프트(140)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리브(141)에 돌기부(142)가 형성되고, 회전 하우징(120)의 샤프트 삽입공(121)의 벽면에는 돌기부(142)가 지지되면서 선택적으로 자리 배치되는 돌기지지부(120a)가 형성된다. 즉 돌기지지부(120a)는 돌기부(142)를 사이에 두고 아래쪽에 혹은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돌기지지부(120a) 대신에 돌기부(142)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홈 형태의 제1 및 제2 돌기삽입홈(미도시)을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줄을 감기 위해 회전 하우징(120)을 탈부착 하우징(110) 쪽으로 가압할 때는 샤프트(140)의 돌기부(142)가 돌기지지부(120a)를 사이에 두고 위쪽에 배치되고, 줄을 풀기 위해 회전 하우징(120)을 들어올릴 때는 샤프트(140)의 돌기부(142)가 돌기지지부(120a)를 사이에 두고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리브(141)는 상시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팽창될 수 있는 성질을 갖도록 제작됨으로써 회전 하우징(120)과 샤프트(140) 간의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돌기지지부(120a)가 돌기부(142)의 아래쪽에 혹은 위쪽에 배치된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샤프트(140)의 중앙 영역에는 스크루(150)가 통과되는 스크루 통과용 보스(143)가 형성되고, 샤프트(140)의 상면에는 스크루(150)의 헤드(150a)가 자리 위치되는 자리홈(144)이 형성된다. 자리홈(144)으로 인해 스크루(150)의 헤드(150a)가 노출되어 외관의 미를 저해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샤프트(140)의 상단부 길이(L1)는 회전 하우징(120)의 샤프트 삽입공(121)의 직경(L2)보다는 길어야 하며, 그래야만 회전 하우징(120)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하우징(120)을 상부로 들어올릴 때, 권취드럼(130)이 따라 올라오지 않도록 샤프트(140)의 내부 원통부(145)가 권취드럼(130)을 누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리브(141)에는 탄성리브(141)에 탄성 복원력을 강화시키는 탄성 복원력 강화부(미도시)가 더 마련된다. 탄성 복원력 강화부(미도시)가 돌기 또는 리브 형태로 될 수 있으나 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을 구성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은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과 상호 작용하는 구성으로서 다수의 착탈형 신발끈 홀더(180)를 포함한다.
이러한 착탈형 신발끈 홀더(18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몸체(181)와, 홀더 몸체(181)의 일측에 마련되어 신발끈 구멍(H)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발측 결합부(182)와, 홀더 몸체(181)의 타측에 마련되어 신발끈(W)을 안내 및 착탈하기 위한 끈 안내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끈 홀더(180)는 일정한 탄성력을 보유한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및 그에 상응하는 강한 재질 및 금속과 복합 화학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 몸체(181)는 착탈형 신발끈 홀더(180)의 중심 부분을 이룬다. 도면에는 홀더 몸체(181)가 막대형의 바아(bar) 타입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편의상 도시한 것이며,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신발측 결합부(182)는 홀더 몸체(181)의 일측에 마련되어 신발끈 구멍(H)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경우, 신발에 신발끈 구멍(H)이 형성되어 있으나 신발끈 구멍(H) 대신에 신발끈 고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러한 경우일지라도 신발측 결합부(182)를 이용하여 신발끈 고리에 결합시킬 수 있다.
끈 안내부(183)는 홀더 몸체(181)의 타측에 마련되어 신발끈(W)을 안내 및 착탈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이때, 신발측 결합부(182)와 끈 안내부(183) 모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신발측 결합부(182)는 신발끈 구멍(H)에 거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신발끈(W)은 끈 안내부(183)에 걸리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신발측 결합부(182)의 고리 직경이 끈 안내부(183)의 고리 직경보다 크게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도면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신발측 결합부(182)와 끈 안내부(183) 모두가 홀더 몸체(181)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있지만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못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처럼 신발끈 구멍(H)에 신발측 결합부(182)를 이용하여 착탈형 신발끈 홀더(180)를 걸어둔다.
그리고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에 그 양단부가 지지되어 있는 신발끈(W)을 당겨, 맨 아래쪽 한 쌍의 착탈형 신발끈 홀더(180)의 끈 안내부(183)에 신발끈(W)을 걸고, 한번 교차하여 그 위쪽 한 쌍의 착탈형 신발끈 홀더(180)의 끈 안내부(183)에 신발끈(W)을 걸고, 다시 교차하여 그 위쪽 한 쌍의 착탈형 신발끈 홀더(180)의 끈 안내부(183)에 신발끈(W)을 거는 동작을 반복한다.
준비가 완료되어 신발끈(W)을 조이고자 하는 경우, 즉 신발끈(W)을 권취드럼(130)에 권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 하우징(120)을 탈부착 하우징(110) 쪽(하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래치(124)가 일방향 톱니치형(113)에 맞물리게 됨과 동시에 회전 하우징(120)의 하우징 결합톱니(127) 및 권취드럼(130)의 결합톱니는 상호 견고히 맞물리게 되고, 샤프트(140)의 돌기부(142)가 돌기지지부(120a)를 사이에 두고 위쪽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전 하우징(120) 또는 하우징 캡(160)을 일방향(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신발끈(W)을 권취하여 권취드럼(130) 안에 감아, 신발끈(W)을 조일 수 있다.
반대로, 신발끈(W)을 풀고자 하면, 즉 신발끈(W)을 권취드럼(130)으로부터 권취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 하우징(120)을 탈부착 하우징(110)의 반대편, 즉 상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그러면, 래치(124)는 일방향 톱니치형(113)과 맞물리게 되거나 이격됨과 동시에 회전 하우징(120)의 하우징 결합톱니(127) 및 권취드럼(130)의 결합톱니는 상호 맞물림이 완전 이격되며, 샤프트(140)의 돌기부(142)가 돌기지지부(120a)를 사이에 두고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발끈(W)이 완전 권취 해제되어, 신발끈(W)을 풀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끈(W)을 손쉽게 풀거나 조일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신발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착탈형 신발끈 홀더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들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착탈형 신발끈 홀더(280)의 경우, 홀더 몸체(281)에 끈 안내부(283)와 홀더 몸체(281) 간의 이격간격을 최소화시키는 절곡부(284)가 형성된 예이다. 이럴 경우, 끈 안내부(283) 내에 걸린 신발끈(W)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착탈형 신발끈 홀더(380)의 경우, 홀더 몸체(381)에 대해 신발측 결합부(382)와 끈 안내부(383)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예이다.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동작에는 큰 문제가 없다.
도 8의 (c)에 도시된 착탈형 신발끈 홀더(480)의 경우, 신발측 결합부(482)가 영문자 T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경우이다. 다른 쪽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이러한 경우, 신발측 결합부(482)를 옆으로 비스듬히 눕힌 상태에서 신발끈 구멍(H)에 끼우게 되면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신발끈 구멍(H)으로부터 신발측 결합부(482)가 임으로 빠지는 현상은 없다.
도 8의 (d)에 도시된 착탈형 신발끈 홀더(580)의 경우, 홀더 몸체(581)에 끈 안내부(583)와 홀더 몸체(581) 간의 이격간격을 최소화시키는 절곡부(584)가 형성된 예이며, 이러한 경우, 끈 안내부(583) 내에 걸린 신발끈(W)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의 (e)에 도시된 착탈형 신발끈 홀더(680)의 경우, 홀더 몸체(681)의 일측에 형성되는 끈 안내부(683)의 단부가 홀더 몸체(681) 쪽으로 접근된 후 다시 벌어진 구조인데, 이러한 경우, 신발끈(W)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의 (f)에 도시된 착탈형 신발끈 홀더(780)의 경우, 홀더 몸체(781)의 일측에 형성되는 끈 안내부(783)가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이고, 도 8의 (g)에 도시된 착탈형 신발끈 홀더(880)의 경우, 신발측 결합부(882)와 끈 안내부(883) 모두가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인데,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사용에는 큰 무리가 없다. 특히, 도 8의 (g)의 경우에는 신발끈 고리가 형성된 신발에 적용하기에 유리하다.
도 9에 도시된 착탈형 신발끈 홀더(680)의 경우, 신발측 결합부(682)의 구조가 도 8의 실시예들과 상이하다. 즉 도 9에 도시된 신발측 결합부(682)는, 홀더 몸체(681)의 일측에 마련되며, 신발의 신발끈 구멍(H)을 통과하는 제1 결합부분(682a)과, 홀더 몸체(681)와는 별개로 마련되어 제1 결합부분(682a)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분(682b)을 포함한다.
이때, 제1 결합부분(682a)과 제2 결합부분(682b), 예컨대 케이블 타이(cable tie)와 같은 구조, 즉 제1 결합부분(682a)이 제2 결합부분(682b)에 삽입된 경우, 역방향으로는 빠지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분(682a)과 제2 결합부분(682b)은 상호간 연결선(682c)에 의해 연결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결합부분(682a)이 신발의 신발끈 구멍(H)을 통과하도록 한 상태에서 맞은편에서 제2 결합부분(682b)을 배치하여 제1 결합부분(682a)이 제2 결합부분(682b)을 통과하면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신발측 결합부(682)를 신발의 신발끈 구멍(H)에 용이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중 빠지지 않기 때문에 유리하다.
도 9에 도시된 착탈형 신발끈 홀더(680)의 경우, 제1 결합부분(682a)과 제2 결합부분(682b)이 연결선(682c)에 의해 연결된 형태를 취하였으나 이는 도 10처럼 분리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착탈형 신발끈 홀더(780)의 경우, 신발측 결합부(782)는 홀더 몸체(781)의 일측에 마련되고 신발의 신발끈 구멍(H)을 통과하는 제1 결합부분(782a)과, 제1 결합부분(782a)과는 분리 제작되어 맞은편에서 제1 결합부분(782a)에 끼워지는 예컨대, 와셔 타입의 제2 결합부분(782b)과, 제2 결합부분(782b)을 통해 제1 결합부분(782a)에 고정되는 스크루(782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렇게 분리된 세 부분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착탈형 신발끈 홀더(780)의 일측을 신발끈 구멍(H) 쪽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의 (b)에 도시된 착탈형 신발끈 홀더(880)의 경우, 신발측 결합부(882)는 홀더 몸체(881)의 일측에 마련되고 신발의 신발끈 구멍(H)을 통과하는 후크 타입의 제1 결합부분(882a)과, 제1 결합부분(882a)과는 분리 제작되어 맞은편에서 제1 결합부분(882a)에 끼워지는 예컨대, 와셔 타입의 제2 결합부분(88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렇게 분리된 두 부분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착탈형 신발끈 홀더(880)의 일측을 신발끈 구멍(H) 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도 8 내지 도 10의 착탈형 신발끈 홀더(280~880)가 적용되더라도 신발의 신발끈(W)을 도 2처럼 혹은 도 11처럼 엮어 풀거나 감는데 전혀 이상이 없다. 물론,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면을 통해 혹은 이하의 청구범위를 통해 유추해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착탈형 신발끈 홀더(미도시)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외에도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장착된 예컨대, 도 2 및 도 11과 같은 형태의 신발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신발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 도면의 경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100)에 두 개의 제1 및 제2 걸림 고리부(101,102)가 마련된 경우인데, 이러한 경우, 제1 걸림 고리부(101)와 제2 걸림 고리부(102)는 고정형 또는 적어도 하나는 이동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신발끈 구멍(H)들 간의 간격이 신발들마다 다르기 때문인데, 이처럼 제1 및 제2 걸림 고리부(101,102)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형으로 적용하게 되면, 신발끈 구멍(H)들 간의 간격이 다른 신발들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신발에 장착된 상태의 요부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끈(W)은 착탈형 신발끈 홀더(180)에 하나씩 혹은 두 개씩 선택적으로 연결되면서 신발을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참고로, 도 13의 경우는 모두 두 개씩 연결되어 있고 도 12의 경우는 한 개 또는 두 개씩 연결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이 신발에 장착된 상태의 요부도이다.
이 도면의 경우, 착탈형 신발끈 홀더(180a)에 두 개의 제1 및 제2 신발측 결합부(182a,182b)가 마련된 경우로서, 고정형 또는 적어도 하나는 이동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신발끈 구멍(H)들 간의 간격이 신발들마다 다르기 때문인데, 제1 및 제2 신발측 결합부(182a,182b)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형으로 적용하게 되면, 신발끈 구멍(H)들 간의 간격이 다른 신발들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110 : 탈부착 하우징
120 : 회전 하우징 130 : 권취드럼
140 : 가이드 샤프트 150 : 스크루
180 : 착탈형 신발끈 홀더

Claims (19)

  1. 신발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일단부는 상기 신발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끈 안내부가 마련되는 착탈형 신발끈 홀더; 및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와 상기 끈 안내부를 연결하며,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동작을 통해 조여지거나 풀리는 신발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는,
    중앙 영역에 드럼 회전축이 형성되는 탈부착 하우징;
    상기 탈부착 하우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하우징;
    상기 탈부착 하우징 및 상기 회전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신발끈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권취부가 구비되는 권취드럼;
    상기 회전 하우징의 중앙 영역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되 상기 신발끈의 권취 또는 권취해제 동작을 위하여 상기 회전 하우징의 업/다운(up/down)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샤프트; 및
    상기 회전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를 통해 상기 드럼 회전축에 결합되는 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 신발끈 홀더는,
    상기 끈 안내부가 일측에 마련되는 홀더 몸체; 및
    상기 홀더 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발측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측 결합부와 상기 끈 안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측 결합부와 상기 끈 안내부는 상기 홀더 몸체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끈 안내부에 인접된 상기 홀더 몸체에는 상기 끈 안내부와 상기 홀더 몸체 간의 이격간격을 최소화시키는 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측 결합부는 영문자 T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측 결합부는,
    상기 홀더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신발끈 구멍 또는 신발끈 고리를 통과하는 제1 결합부분; 및
    상기 홀더 몸체와는 별개로 마련되어 상기 제1 결합부분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분과 상기 제2 결합부분은 분리된 상태로 마련되거나 연결선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은 와이어(wire)이며,
    상기 와이어는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되거나 교차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 안내부는 U 형상, 반원 형상 및 홀(hol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는,
    상기 신발끈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신발끈을 당기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 회전 가능한 조임 메커니즘; 및
    상기 조임 메커니즘의 제어부를 외부로 당김으로써 장력이 해제되는 해제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에는 상기 신발끈 구멍 또는 상기 신발끈 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 고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고리부는 한 개 이상이며, 상기 걸림 고리부가 한 개인 경우에는 고정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걸림 고리부가 두 개 이상인 경우, 고정형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에는 신발끈을 안내하는 끈 안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의 끈 안내부는 하나 이상의 안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몸체에 대하여 상기 신발측 결합부는 한 개 이상이며, 상기 신발측 결합부가 한 개인 경우에는 고정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신발측 결합부가 두 개 이상인 경우, 고정형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끈 안내부는 하나 이상의 안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을 구비하는 신발.
KR1020110091919A 2011-09-09 2011-09-09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KR20130028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919A KR20130028402A (ko) 2011-09-09 2011-09-09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PCT/KR2012/007054 WO2013036006A1 (ko) 2011-09-09 2012-09-04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919A KR20130028402A (ko) 2011-09-09 2011-09-09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402A true KR20130028402A (ko) 2013-03-19

Family

ID=4783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919A KR20130028402A (ko) 2011-09-09 2011-09-09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28402A (ko)
WO (1) WO2013036006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859B1 (ko) * 2014-11-10 2015-02-09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신발의 끈 조임장치
WO2015034233A1 (ko) * 2013-09-03 2015-03-12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KR20180120805A (ko) * 2013-04-01 2018-11-06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릴 기반의 폐쇄 시스템을 포함하도록 신발류를 개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1040229A3 (ko) * 2019-08-27 2021-04-15 주식회사 프리락 글로벌 와이어 조임장치
KR102449997B1 (ko) * 2021-09-29 2022-10-04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102453511B1 (ko) * 2022-08-22 2022-10-12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4423B2 (en) 2016-05-18 2020-04-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pulley system having a guide portion
US10834999B2 (en) * 2016-05-18 2020-11-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pulle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172U (ko) * 2009-09-23 2011-03-30 대성공업 주식회사 신발끈 걸이구
KR20110007173U (ko) * 2010-01-12 2011-07-20 대성공업 주식회사 신발끈 걸이구
TWM402008U (en) * 2010-06-23 2011-04-21 jin-zhu Chen Shoelace device
KR101053551B1 (ko) * 2010-11-04 2011-08-03 주식회사 신경 신발끈 조임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805A (ko) * 2013-04-01 2018-11-06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릴 기반의 폐쇄 시스템을 포함하도록 신발류를 개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16696A (ko) * 2013-04-01 2021-09-27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릴 기반의 폐쇄 시스템을 포함하도록 신발류를 개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36046A (ko) * 2013-04-01 2020-04-06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릴 기반의 폐쇄 시스템을 포함하도록 신발류를 개장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61204B2 (en) 2013-09-03 2020-02-18 Shin Kyung Inc. Wire tighten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for
JP2016530028A (ja) * 2013-09-03 2016-09-29 シン・キュ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の締付装置及びその装着方法
GB2532685A (en) * 2013-09-03 2016-05-25 Shin Kyung Inc Wire tighten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for
KR101506676B1 (ko) * 2013-09-03 2015-03-30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GB2532685B (en) * 2013-09-03 2020-09-09 Shin Kyung Inc Wire tighten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for
WO2015034233A1 (ko) * 2013-09-03 2015-03-12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KR101490859B1 (ko) * 2014-11-10 2015-02-09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신발의 끈 조임장치
WO2021040229A3 (ko) * 2019-08-27 2021-04-15 주식회사 프리락 글로벌 와이어 조임장치
KR102449997B1 (ko) * 2021-09-29 2022-10-04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102453511B1 (ko) * 2022-08-22 2022-10-12 와인드와이어 주식회사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6006A1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8402A (ko)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KR200480235Y1 (ko)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US10609988B2 (en) Wire tightening apparatus
KR102566159B1 (ko)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
KR101833680B1 (ko) 신발끈의 조임장치
EP2508094B1 (en) Loop for shoelace utilizing asymmetric pulley
JP2017513679A (ja) ワイヤー締付装置
KR101839798B1 (ko) 와이어 조임용 릴시스템
KR20130053552A (ko) 줄 길이 조절장치
CN201360619Y (zh) 鞋带锁紧器
KR102133475B1 (ko) 끈걸이구 및 끈걸이구 세트
KR102132999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2114859B1 (ko) 신발의 끈조임장치
KR101982599B1 (ko) 신발의 끈조임장치
KR102449997B1 (ko)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200480700Y1 (ko)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KR102550045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102453511B1 (ko)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CN212814748U (zh) 一种免系鞋带式鞋
KR102374006B1 (ko) 다이얼 타입 와이어 조임장치
CN218073762U (zh) 绳子止动装置和具有该绳子止动装置的可穿用物件
CN216089133U (zh) 一种具有环束鞋面结构的运动鞋
JP3228744U (ja)
KR200328262Y1 (ko) 회전링을 갖는 신발끈 고리
KR100895393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