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859B1 - 신발의 끈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의 끈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859B1
KR101490859B1 KR20140155377A KR20140155377A KR101490859B1 KR 101490859 B1 KR101490859 B1 KR 101490859B1 KR 20140155377 A KR20140155377 A KR 20140155377A KR 20140155377 A KR20140155377 A KR 20140155377A KR 101490859 B1 KR101490859 B1 KR 101490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strap
tightening
fasten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5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엽
Original Assignee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4015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2Flaps;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끈의 당김 동작에 의해 신발이 조여짐과 동시에, 신발끈 및 끈걸이부가 외피에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신발의 발등 부분을 깨끗하고 단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신발의 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끈 조임장치는, 신발외피의 발등 부분에서 서로 교차하여 겹치도록 형성된 상,하측 조임덮개와, 상기 상측 조임덮개 안쪽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끈걸이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 끈걸이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응하도록 상기 하측 조임덮개 바깥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 끈걸이부와, 상기 제1 끈걸이부와 제2 끈걸이부를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끈걸이부에 걸어 설치한 신발끈과, 상기 하측 조임덮개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신발끈을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된 끈조임기구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의 끈 조임장치{Shoelace fastening device}
본 발명은 신발 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끈의 당김 동작에 의해 신발의 조임 기능과 신발끈의 커버 기능이 동시에 수행되어 신발의 착용이 편리함과 동시에, 신발끈 및 끈걸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신발의 외관을 깨끗하고 단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신발의 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끈을 조여 매듭을 형성하고 매듭을 푸는 방식으로 착용하는 신발은, 신발외피의 발등 부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좌우의 발조임부가 구비되고, 좌우의 발조임부에는 신발끈을 걸기 위한 복수개의 끈걸이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의 발조임부에 구비된 끈걸이부에 신발끈을 걸고 양끝단을 당겨 조인 다음 매듭을 형성하여 신발의 조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발조임부 사이에는 발등을 덮는 설편이 구비되어 끈걸이부 및 신발끈이 발등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좋게 하고 있다.
그러나, 신발을 착용할 때마다 신발끈의 매듭을 풀고 다시 조여 매듭을 형성해야 하므로 신발 착용이 번거롭고, 또한 신발끈 매듭은 풀어지거나 느슨해지기 쉽기 때문에 풀어진 신발끈을 밟아 넘어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신발은 운동의 종류나 지형 상태에 따라 발의 편의성을 위해 조임 상태를 조절할 필요가 있고, 이때에도 매듭을 풀고 조임 상태를 조절한 후, 다시 매듭을 형성해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최근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0598627호(발명의 명칭: 신발끈 조임기)와 등록특허 제10-0953398호(발명의 명칭: 신발끈 조임장치)에는 신발끈의 매듭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조임장치의 간단한 회전조작과 누름조작에 의해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신발끈을 조이고 푸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조임장치가 개발되어 신발에 적용된 바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장치에 사용되는 신발끈으로는 신발과의 미끄럼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굵기가 가늘고 인장 강도가 높은 와이어 형태의 신발끈(L)을 사용하였던 것으로, 신발끈(L)이 가늘어 좌우의 발조임부에 형성된 끈걸이부와 내측의 설편(T)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므로 신발의 외관을 단정하고 깨끗하게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신발끈의 당김 동작에 의해 신발이 조여짐과 동시에, 신발끈 및 끈걸이부가 외피에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신발의 발등 부분을 깨끗하고 단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신발의 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외피의 발등 부분에서 서로 교차하여 겹치도록 형성된 상,하측 조임덮개; 상기 상측 조임덮개 안쪽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끈걸이부; 상기 복수개의 제1 끈걸이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응하도록 상기 하측 조임덮개 바깥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 끈걸이부; 상기 제1 끈걸이부와 제2 끈걸이부를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끈걸이부에 걸어 설치한 신발끈; 및 상기 하측 조임덮개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신발끈을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된 끈조임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신발의 끈 조임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끈조임기구의 조임 조작시 상측 조임덮개가 하측 조임덮개에 밀착되도록 상기 신발끈과 걸림유지되는 밀착걸이부를 상기 상측 조임덮개의 안쪽면에 구비한 신발의 끈 조임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끈조임기구를 조작하여 신발끈을 당기는 것에 의해 신발외피의 발등 부분에서 서로 교차하여 겹치도록 형성된 상,하측 조임덮개가 더욱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여져 신발을 조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신발끈의 조임과 동시에, 신발끈 및 끈걸이부가 상,하측 조임덮개 사이에 구비되어 상측 조임덮개에 의해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신발의 발등 부분을 깨끗하고 단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신발을 더욱 고급화하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신발의 끈 조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끈 조임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신발끈을 조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끈 조임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신발끈을 조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신발의 끈 조임장치는, 신발외피(10)의 발등 부분을 좌,우측으로 분리형성한 상,하측 조임덮개(11,12)를 구비한다.
상,하측 조임덮개(11,12)는 발등에서 서로 교차하여 상,하에 겹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측 조임덮개(11)는 후술하는 제2 끈걸이부(12a)를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크기가 설정된다.
상측 조임덮개(11)는 안쪽면에 복수개의 제1 끈걸이부(11a)를 구비한다. 제1 끈걸이부(11a)는 후술하는 신발끈(13)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발등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일정 간격 유지되어 배치된다.
하측 조임덮개(12)는 바깥면에 복수개의 제2 끈걸이부(12a)를 구비한다. 제2 끈걸이부(12a)는 제1 끈걸이부(11a)와 마찬가지로 신발끈(13)이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제1 끈걸이부(11a)와 대응하는 위치에 소정 간격 이격시켜 배치한다.
신발끈(13)은 제1 끈걸이부(11a)와 제2 끈걸이부(12a)를 상호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끈걸이부(11a,12a)에 차례로 걸어 설치되는 것으로, 하측 조임덮개(12)의 바깥면에 구비된 공지의 끈조임기구(14)에 양끝단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끈조임기구(14)를 조작하여 신발끈(13)을 조이거나 푸는 것에 의해 신발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끈조임기구(14)의 조임 조작시 상측 조임덮개(11)가 하측 조임덮개(12)에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걸이부(11b)가 상측 조임덮개(11)의 안쪽면에 구비된다.
밀착걸이부(11b)는 상측 조임덮개(11)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된 것으로, 끈조임기구(14)와 가장 위쪽의 제1 끈걸이부(11a) 사이에서 신발끈(13)을 걸림 유지시켜 신발끈(13)의 조임시 상측 조임덮개(11)를 하측 조임덮개(12)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조임기구(14)를 조작하여 신발끈(13)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상측 조임덮개(11)와 하측 조임덮개(12) 사이를 양쪽으로 벌릴 수 있어 신발 내에 발을 쉽게 넣을 수 있고, 이어서 끈조임기구(14)를 조작하여 신발끈(13)을 당기게 되면, 신발끈(13)이 연결된 상,하측 조임덮개(11,12)의 제1 및 제2 끈걸이부(11a,12a)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양쪽 상,하측 조임덮개(11,12)가 조여지게 되므로, 신발의 조임 상태를 유지하여 신발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 끈걸이부(11a,12a)가 상,하측 조임덮개(11,12)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측 조임덮개(11,12)가 서로 교차하여 상,하로 겹친 것이므로, 상측 조임덮개(11)가 신발끈(13)과 제1 및 제2 끈걸이부(11a,12a)를 덮게 되고, 이로써 외부에서 신발끈(13)과 제1 및 제2 끈걸이부(11a,12a)가 보이지 않게 되어 신발의 발등 부분을 깨끗하고 단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끈조임기구(14)와 가장 위쪽의 제1 끈걸이부(11a) 사이에서 상측 조임덮개(11)에 구비된 밀착걸이부(11b)가 신발끈(13)에 걸림 유지된 것이므로, 신발끈(13) 조임시 신발끈(13)이 밀착걸이부(11b)를 하측 조임덮개(12) 상면으로 당겨 상측 조임덮개(11)를 하측 조임덮개(12) 상에 밀착시킬 수 있어, 상측 조임덮개(11)의 가장자리부가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끈조임기구(14)를 이용하여 신발끈(13)을 조이는 동작에 의해 상,하측 조임덮개(11,12)가 조여져 신발의 조임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신발끈(13)과 제1 및 제2 끈걸이부(11a,12a)가 상측 조임덮개(11)에 의해 덮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므로, 신발의 착용을 매우 편리하게 하면서, 신발의 발등 부분을 깨끗하고 단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신발외피 11,12 : 상,하측 조임덮개
11a,12a : 제1 및 제2 끈걸이부 11b : 밀착걸이부
13 : 신발끈 14 : 끈조임기구

Claims (2)

  1. 신발외피의 발등 부분에서 서로 교차하여 겹치도록 형성된 상,하측 조임덮개;
    상기 상측 조임덮개 안쪽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끈걸이부;
    상기 복수개의 제1 끈걸이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응하도록 상기 하측 조임덮개 바깥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 끈걸이부;
    상기 제1 끈걸이부와 제2 끈걸이부를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끈걸이부에 걸어 설치한 신발끈; 및
    상기 하측 조임덮개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신발끈을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된 끈조임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끈 조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끈조임기구의 조임 조작시 상측 조임덮개가 하측 조임덮개에 밀착되도록 상기 신발끈과 걸림유지되는 밀착걸이부를 상기 상측 조임덮개의 안쪽면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끈 조임장치.
KR20140155377A 2014-11-10 2014-11-10 신발의 끈 조임장치 KR101490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5377A KR101490859B1 (ko) 2014-11-10 2014-11-10 신발의 끈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5377A KR101490859B1 (ko) 2014-11-10 2014-11-10 신발의 끈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859B1 true KR101490859B1 (ko) 2015-02-09

Family

ID=5259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55377A KR101490859B1 (ko) 2014-11-10 2014-11-10 신발의 끈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8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660U (ko) * 2007-12-28 2009-07-02 신경우 족구용 신발
KR20130028402A (ko) * 2011-09-09 2013-03-19 소윤서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JP2014180390A (ja) 2013-03-19 2014-09-29 Life Gear Corp 靴および靴の履口部緊締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660U (ko) * 2007-12-28 2009-07-02 신경우 족구용 신발
KR20130028402A (ko) * 2011-09-09 2013-03-19 소윤서 탈부착 가능한 신발 잠금 시스템 및 그를 구비하는 신발
JP2014180390A (ja) 2013-03-19 2014-09-29 Life Gear Corp 靴および靴の履口部緊締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8383B2 (ja) 非対称構造の滑車を用いた靴紐掛け具
US8910353B2 (en) Locking device for laces, shoelaces, cords and the like, particularly adapted to close shoes, rucksacks, items of clothing and the like
KR200171552Y1 (ko) 신끈의 결속장치
KR100890216B1 (ko) 신발의 외줄 쾌속 결속구조
US20170245595A1 (en) Shoe lacing system
KR101490859B1 (ko) 신발의 끈 조임장치
US20130097887A1 (en) Shoe closure system
KR101659936B1 (ko) 사용이 편리한 신발끈 결속장치
JP5782665B1 (ja) 靴紐緊締ストラップとそれを備えた紐靴
KR20180082378A (ko) 신발끈 결속기
KR101075895B1 (ko) 신발 끈 조임구
KR200374935Y1 (ko) 신발끈 결착고정구
KR20060126028A (ko) 신발끈 고정고리 와 신발끈 결속방법
KR970002512B1 (ko) 신발끈의 자동 조임장치
US2911698A (en) Cord fastener
JP7157422B2 (ja) 靴紐の保持具
JP6167366B2 (ja) 紐留具
JP5462388B1 (ja) 靴のワンタッチバンド
KR20110007917U (ko) 신발끈 매듭 고정기
RU2550322C1 (ru) Шнуровая обувь
US9642419B1 (en) Shoelace securing apparatus
KR20190072039A (ko) 간편 조절 신발끈
CA1100735A (en) Draw string puller and fastener
GB2027787A (en) Draw String Puller and Fastener
KR920000118Y1 (ko) 신발끈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