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393B1 - 줄 길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줄 길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393B1
KR100895393B1 KR1020090016916A KR20090016916A KR100895393B1 KR 100895393 B1 KR100895393 B1 KR 100895393B1 KR 1020090016916 A KR1020090016916 A KR 1020090016916A KR 20090016916 A KR20090016916 A KR 20090016916A KR 100895393 B1 KR100895393 B1 KR 100895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andle
gear
win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윤서
Original Assignee
소윤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윤서 filed Critical 소윤서
Priority to KR102009001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며, 중앙 영역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의 배면에 제1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우징; 상면에 상기 제1 기어부와 맞물림되는 제2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통공 영역에 배치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줄통과공을 통해 삽입된 줄이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권취로드를 구비한 권취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가 임의로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일부분이 상기 권취유닛에 접촉되어 상기 권취유닛을 상기 제2 하우징 측으로 탄성가압하되 상기 손잡이부를 가압할 시 선택적으로 상기 권취유닛과 분리 가능한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줄의 길이 조절 및 해제 작업이 용이한 줄 길이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의복, 핸드폰, 줄, 길이, 조절, 길이 조절, 신발끈

Description

줄 길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length of a line}
본 발명은,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줄의 길이 조절 및 해제 작업이 용이한 줄 길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퍼나 운동복, 모자 등에는 착용한 후에 착용자의 신체에 맞게 허리둘레나 머리둘레 등을 조절하는 줄이 구비되어져 있는데, 이러한 줄은 통상적으로 줄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그 끝단에 줄을 따라 움직이는 고정 클립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클립은 중앙부로 줄이 관통되어 통과되면서 줄에 밀착되어 줄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누름 작동에 의해 밀착이 해제되면서 다시 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복 및 모자의 둘레 및 형상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클립은 줄의 길이를 조절할 경우에 사용자가 일일이 별도로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줄의 전제적인 길이는 그대로 유지됨에 따라 여분의 줄이 걸리적거리거나, 뒤엉키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줄과 클립을 분리하기가 힘들어 의복을 세탁할 경우에는 클립이 세탁기의 내부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세탁기가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36011호로서 줄 길이 조절장치를 등록받은 바 있다.
등록된 기술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의류에 부착된 줄이 자동으로 감겨지면서 줄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기술의 경우, 태엽과 같은 별도의 구성이 더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기에 이르렀으며 현재, 다수의 등록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지난번 등록받은 건의 기술의 좀 더 개량하여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줄의 길이 조절 및 해제 작업이 용이한 줄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며, 중앙 영역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의 배면에 제1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우징;
상면에 상기 제1 기어부와 맞물림되는 제2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통공 영역에 배치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줄통과공을 통해 삽입된 줄이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권취로드를 구비한 권취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가 임의로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일부분이 상기 권취유닛에 접촉되어 상기 권취유닛을 상기 제2 하우징 측으로 탄성가압하되 상기 손잡이부를 가압할 시 선택적으로 상기 권취유닛과 분리 가능한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권취유닛의 상기 원판부를 상기 제2 하우징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내측선단부를 갖는 탄성측벽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를 가압할 경우 상기 원판부는 상기 탄성측벽을 외측으로 밀면서 상기 내측선단부의 하부 영역으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권취유닛은 상기 탄성측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과는 별개의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측벽은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다수의 탄성측벽일 수 있다.
상기 권취로드에 권취된 줄이 권취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유닛이 임의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는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권취유닛의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강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호간 맞물림된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의 맞물림 상태를 강제로 해제시키는 해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 사이의 공간으로 강제 삽입 가능한 해제후크일 수 있다.
상기 해제후크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과 분리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원판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도넛몸체;
상기 도넛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 상의 제2 기어부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홈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 및
상기 도넛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측면장공홀로 노출되는 노출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손잡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비나사구간홈부로부터 빠져나와 상호 맞물림된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 사이로 강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권취유닛의 손잡이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가압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 사이로 강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로드일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권취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줄통과공을 통해 각각 삽입된 줄의 양단이 권취된 후에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줄 노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줄 노출수단은,
상기 권취로드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줄통과공을 통해 각각 삽입된 줄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권취공; 및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권취공과 연통하며, 상기 제1 및 제2 권취공으로 삽입된 줄의 양단이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대면적 원형손잡이; 및
상기 대면적 원형손잡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대면적 원형손잡이이 외면에는 제1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면에는 상기 제1 치형과 치형 맞물림되는 제2 치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의 내면에서 상기 제2 치형과 상기 캡의 밑면 사이의 간격을 상기 대면적 원형손잡이의 두께보다 더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형은 나사형 또는 기어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줄의 길이 조절 및 해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의 '줄' 이란 점퍼, 운동복, 모자, 신발 등에 마련된 '줄' 일 수도 있고, 혹은 헤드폰 줄, 이어폰 줄, MP3 줄, 목걸이 줄, 컴퓨터 전선 줄 등일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운동화나 샌들 등에 적용되는 신발줄을 선택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A-A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100)는,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권취유닛(130) 및 탄성가압부(114)를 구비한다.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에서 탄성가압부(114)는 제1 하우징(110)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100)는 크게 3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의 줄 길이 조절장치(100)에서 하부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제1 하우징(110)의 중앙 영역에는 회전 축심을 이루는 권취로드(133)의 하단이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홈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중앙 영역에는 통공(121)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의 배면에는 제1 기어부(120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120)은 제1 하우징(110)에 비해 그 부피가 작게 형성되고 있다. 즉 제1 하우징(110)의 측벽이 제2 하우징(120) 측으로 연장되어 이들이 맞닿는 영역에서 후크식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는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하우징(110)에 탄성가압부(114)를 형성하고 있는데 기인한 것이므로 탄성가압부(114)를 제2 하우징(120)에 형성할 수만 있다면 굳이 제2 하우징(120)이 작아야 할 이유는 없다. 다시 말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크기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할 수 없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결합 방식은 나사 방식이어도 좋고, 혹은 한 줄 정도의 나사홈만을 내어 제1 하우징(110)에 대해 제2 하우징(120)을 끼운 후 한번 돌려 이들이 체결되도록 하는 방식이어도 좋다. 물론, 후크식 결합 방식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며 이것이 가장 간단한 방법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줄 길이 조절장치(100)는 도 1과 같이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사각통이나 삼각통 등의 형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권취유닛(130)은, 상면에 제1 기어부(120a)와 맞물림되는 제2 기어부(130a)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131)와, 원판부(131)로부터 연장되어 제2 하우징(120)의 통공(121)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손잡이부(132)와, 손잡이부(132)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제1 하우징(110) 측으로 연장되며 제2 하우징(120)의 측면에 형성된 줄통과공(122)을 통해 삽입된 줄(L)이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권취로드(133)를 구비한다.
참고로, 제1 기어부(120a)와 제2 기어부(130a)는 도시된 삼각형 형상의 나사치형을 비롯하여 사각, 오각, 사다리꼴 단면의 형상 등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도시 사항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수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 줄통과공(122)은 제1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되고 있지만, 제2 하우징(120)의 측벽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때, 줄통과공(122)의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홀(hole)이어도 좋고, 아니면 제2 하우징(120)의 측면 대부분을 뚫는 형태이어도 좋다. 후자와 같을 경우, 재료비의 절감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하우징(110)의 측면에는 일정한 부분을 절취하여 탄성가압부(114)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탄성가압부(114) 사이사이의 공간을 줄통과공(122)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권취로드(133)는 막대 형상을 갖는데, 이에는 줄(L)이 권취되는 권취부(133a)가 형성되어 있다. 권취부(133a)를 통과한 줄(L)은 권취유닛(130)의 회전 시 권취로드(133)에 권취되거나 권취해제된다. 물론, 권취부(133a) 대신에 권취로드(133)의 측부에 고리를 더 형성하는 방식이 적용되어도 좋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권취로드(133)에 권취된 줄(L)이 권취해제되는 방향으로 권취유닛(130)이 임의 회전되지 않도록 제1 기어부(120a)와 제2 기어부(130a)는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가공된다. 다시 말해 제1 기어부(120a)와 제2 기어부(130a)는 일측으로 편심된 원 웨이(one way) 나사산의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가 원 웨이(one way) 나사산의 형태를 가질 경우, 경사가 완만한 측을 향해, 즉 줄(L)이 권취로드(133)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권취유닛(130)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는 있지만, 권취유닛(130)이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신발끈과 같은 강한 결속력을 제공해야 하는 용도로 사용되기에 좋다.
도면에 보면,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가 반경 방향으로 길게, 그리고 매우 세밀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의 개수 및 크기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탄성가압부(114)는 도 2a와 같이 상호 결합된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가 상호간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다시 말해 권취부(133a)에 권취된 줄(L)이 임의로 권취해제되지 않도록 내측선단부(114a)가 권취유닛(130)에 접촉되어 권취유닛(130)을 제2 하우징(120)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도 2a와 같을 경우, 즉 줄(L)을 권취할 경우에는 탄성가압부(114)의 내측선단부(114a)가 원판부(13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나, 도 2b의 B 방향으로 손잡이부(132)를 가압하면 도 2b의 확대된 부분의 점선과 같이 탄성가압부(114)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원판부(131)는 탄성가압부(114)의 내측선단부(114a)의 하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원판부(131)는 실질적으로 탄성가압부(114)와 분리된다. 따라서 도 2b와 같이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가 상호간 분리된 상태에서 줄(L)을 풀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가압부(114)는 제1 하우징(110)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권취유닛(130)의 원판부(131)를 제2 하우징(120)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측벽(114)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탄성측벽(114)이 제1 하우징(110)과 반드시 일체형일 필요는 없고,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가압부(114)는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로 배열될 수 있는데, 도면처럼 제1 하우징(110)의 측벽의 일부분을 절해하고 성형 시 탄성측벽(114) 부분이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굴곡진 형상으로 제조하면 된다. 탄성가압부(114)는 많으면 많을수록 원판부(131)를 가압하는 힘이 세지기 때문에 줄(L)을 더 견고하게 고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줄 길이 조절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a와 조립하면서 줄(L)을 권취부(133a)에 끼워 권취시킨다. 이 상태에서 외측으로 노출된 손잡이부(132)를 잡고 일방향,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줄은 권취부(133a)에서 도 2a와 같이 권취된다. 원하는 만큼 권취를 하고 손잡이부(132)를 놓아두더라도 탄성가압부(114)는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가 상호간 이탈되지 않는 방향으로 원판부(131)를 탄성가압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줄(L)이 임의로 권취해제되지는 않는다.
다음, 줄을 권취해제시키려면, 도 2b의 B 방향으로 손잡이부(132)를 가압한 다. 그러면 도 2b의 확대된 부분의 점선과 같이 탄성가압부(114)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원판부(131)는 탄성가압부(114)의 내측선단부(114a)의 하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원판부(131)는 실질적으로 탄성가압부(114)와 분리된다. 그러면 도 2b와 같이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가 상호간 분리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줄(L)을 당겨 풀면 된다. 도 2b의 경우에는 도면의 편의를 위해 과도하게 도시한 것일 뿐 실제로 권취유닛(130)이 많은 거리를 다운(down)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줄(L)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줄(L)의 길이 조절 및 해제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의 구조적인 특징과 더불어 탄성가압부(114)의 작용에 의해 권취유닛(130)은 임의로 회전되지 아니하지만, 필요시 즉, 신발을 벗어야 하는 경우 줄(L)을 풀어야 한다.
줄(L)을 푸는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구현될 수 있지만, 만약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의 결합이 견고할 경우에는 손잡이부(132)를 가압하는 정도만으로는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의 결합을 해제시키기 곤란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아래의 해제유닛(150,160,170)을 이용하면 된다.
다시 말해, 해제유닛(150,160,170)은 상호간 맞물림된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의 맞물림 상태를 용이하게 또는 강제로 해제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해제유닛(150,160,170)과 더불어 손잡이부(132)를 가압하게 되면, 줄(L)은 용이하게 풀릴 수 있다.
해제유닛(150,160,170)의 실시예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200)에서 해제유닛(150)은, 제2 하우징(12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123)으로 삽입되어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 사이의 공간으로 강제 삽입 가능한 해제후크로 적용되고 있다.
이 때의 해제후크는 제2 하우징(120)의 측면에서 힌지(15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혹은 별개의 부품으로 마련되어 필요할 때만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가 상호 맞물린 경우, 힌지(151)를 이용하여 해제유닛(150)인 해제후크를 회동시켜 그 단부가 관통공(123)을 통해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 사이의 공간으로 강제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 사이의 공간이 상호 벌어지면서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탄성가압부(114)를 가압하여 줄(L)을 풀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해제후크의 형상은 간략하게 도시한 것일 뿐 반드시 그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300)에서 해제유닛(160)은, 손잡이부(132)를 통해 삽입되어 원판부(131)의 상면에 배치되는 도넛몸체(161)와, 도넛몸체(161)의 외면에 형성되어 원판부(131) 상의 제2 기어부(130a)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홈부(131a)에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부(162)와, 도넛몸체(161)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2 하우징(120)의 측면장공홀(124)로 노출되는 노출손잡이(163)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해제유닛(160)은 도 5와 같은 단품의 형태를 가지며, 권취유닛(130)에 결합되어 작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날개부(162)는 3개로 되어 있지만, 반드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측면장공홀(124)은 노출손잡이(163)를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면 그것으로 족하다.
이에 의해, 도 5a와 같이 날개부(162)가 비나사구간홈부(131a)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도 5b의 B 방향으로 노출손잡이(163)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비나사구간홈부(131a)에 배치되어 있던 날개부(162)들이 비나사구간홈부(131a)를 이탈하여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 사이의 공간으로 강제 삽입됨으로 인해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 사이의 공간이 상호 벌어지면서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권취유닛(130)의 조작을 통해 줄(L)을 풀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400)에서 해제유닛(170)은, 도 6과 같이, 권취유닛(140)의 손잡이부(132)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의 부품인 상태에서 손잡이부(132)에 결합되어 손잡이부(132)를 도 6의 C 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 사이의 공간으로 강제 삽입되면서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로드로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해제 로드의 선단은 후크 형태로 제작되어 손잡이부(132)를 도 6의 C 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 사이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유리하며 그 길이 역시 탄성가압부(114)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을 경우, 손잡이부(132)를 도 6의 C 방향으로 가압하는 행위만으로 제1 및 제2 기어부(120a,130a)의 해제 작업과 원판부(131)가 탄성가압부(114)와 분리되는 작업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줄(L) 푸는 작업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500)는 권취유닛(140)의 손잡이부(1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강 손잡이(18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보강 손잡이(180)는 기존의 손잡이부(132)가 작아 조작하기 불 편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선택사항이다.
보강 손잡이(180)는 권취유닛(140)의 손잡이부(132)에 결합되는 결합부분(180a)과, 결합부분(180a)의 상부에 형성되는 막대형 조작바아(180b)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부피가 큰 막대형 조작바아(180b)를 잡고 권취유닛(140)을 회전 조작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보강 손잡이(180)가 마련되는 경우, 권취유닛(140)의 회전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600)의 경우, 줄(L1,L2)의 조절 길이와 관련하여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줄(L1,L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다음의 구성이 더 마련된다.
즉 권취유닛(130)에는 제1 및 제2 줄통과공(122a,122b)을 통해 각각 삽입된 줄의 양단이 권취된 후에 제2 하우징(1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줄 노출수단(미도시)이 더 마련된다. 줄 노출수단은 운동화 끈과 같이 사용자가 줄(L1,L2)의 양단을 잡은 후에 양단을 상호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서 줄(L1,L2)의 조절 길이를 짧게 유지하면서 고정하는 데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줄 노출수단은, 권취로드(133)에 마련되며 제1 및 제2 줄통과공(122a,122b)을 통해 각각 삽입된 줄(L1,L2)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권취공(133a,133b)과, 손잡이부(132)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제1 및 제2 권취공(133a,133b)과 연통하며 제1 및 제2 권취공(133a,133b)으로 삽입된 줄(L1,L2)의 양 단이 손잡이부(13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공(132a)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가 적용될 경우, 운동화 끈을 예로 들면, 운동화 끈의 양단의 줄(L1,L2)을 각각 제1 및 제2 줄통과공(122a,122b)을 통해 삽입한 후에, 양단의 줄(L1,L2)을 다시 제1 및 제2 권취공(133a,133b)으로 삽입시켜 노출공(132a)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양단의 줄(L1,L2)을 양손으로 하나씩 잡고 상호간 반대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줄 길이 조절장치의 내부에서 줄(L1,L2)은 권취로드(133)에 권취되면서 그 길이가 짧아진다. 따라서 쉽게 줄(L1,L2)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운동화가 쉽게 벗어지는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 및 제2 권취공(133a,133b)을 통해 삽입된 양단의 줄(L1,L2)이 반드시 손잡이부(132)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노출공(132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제2 하우징(120)의 상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도 그 동작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의 줄 길이 조절장치(700)의 경우, 손잡이부(132' )가 다른 실시예들과 달리 작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손잡이부(132' )에 별도의 대면적 원형대면적 원형손잡이(24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대면적 원형손잡이(240)의 외면에는 제1 치형(240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치형(240a)은 일방향 나사형으 로 되어 있고 대면적 원형손잡이(240)의 두께 방향을 따라 길게 연속적으로 형성되나 기어형으로 될 수도 있고, 또는 대면적 원형손잡이(24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대면적 원형손잡이(240)의 외면에는 캡(26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캡(260)의 내면에는 대면적 원형손잡이(240)의 외면에 형성된 제1 치형(240a)과 치형 맞물림되는 제2 치형(260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치형(260a)의 주변에는 대면적 원형손잡이(240)로부터 캡(260)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260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캡(260)의 내면에서 제2 치형(260a)과 캡(260)의 밑면(260c) 사이의 간격은 대면적 원형손잡이(240)의 두께보다 더 크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보면 제2 치형(260a)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8의 제1 치형(240a)과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는다고 보면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10과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 캡(260)을 약간 당기면 대면적 원형손잡이(240)가 걸림턱(260b)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1 및 제2 치형(240a,260a)이 상호 치형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캡(260)을 회전시키면, 캡(260)의 회전에 따라 대면적 원형손잡이(240)와 권취유닛(130)이 모두 회전되기 때문에 줄을 권취할 수 있다.
반대로, 줄을 권취해제하려면 도 12와 같이 캡(260)을 가압한다. 그러면 캡(260)이 하향되다가 캡(260)의 밑면(260c)이 대면적 원형손잡이(240)의 상면에 접촉되는 순간부터 대면적 원형손잡이(240)가 가압될 수 있는데, 이때는 제1 및 제2 치형(240a,260a)이 상호 분리된다. 뿐만 아니라 도 12와 같이 캡(260)을 가압하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권취유닛(130)이 탄성가압부(114, 도 2b 참조)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줄을 용이하게 풀 수 있다. 이 경우, 대면적 원형손잡이(240)는 캡(260)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캡(260)을 잡고 있더라도 줄을 풀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9 내지 도 12의 경우 캡(260)이 원통형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대면적 원형손잡이(240)와 결합되는 부분만을 원통형으로 하고 나머지 윗부분은 잡기 편하도록 사각 막대나 사각 바아를 덧댈 수도 있으므로, 캡(260)의 형상이 도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인용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참조적으로 도시된 것일 뿐 도면의 형상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도시된 판체들의 두께나 형상, 스커트부의 위치 및 길이, 그리고 돌기부 및 돌기홈의 형상 및 위치, 개수 등은 적절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A-A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도면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줄 길이 조절장치에 대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700 : 줄 길이 조절장치 110 : 제1 하우징
111 : 홈부 114 : 탄성가압부
120 : 제2 하우징 120a : 제1 기어부
130 : 권취유닛 130a : 제2 기어부
131 : 원판부 132 : 손잡이부
133 : 권취로드 140 : 압축스프링
150∼170 : 해제유닛 180 :보강 손잡이

Claims (17)

  1.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며, 중앙 영역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의 배면에 제1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 하우징;
    상면에 상기 제1 기어부와 맞물림되는 제2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통공 영역에 배치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줄통과공을 통해 삽입된 줄이 권취 및 권취해제되는 권취로드를 구비한 권취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가 임의로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일부분이 상기 권취유닛에 접촉되어 상기 권취유닛을 상기 제2 하우징 측으로 탄성가압하되 상기 손잡이부를 가압할 시 선택적으로 상기 권취유닛과 분리 가능한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권취유닛의 상기 원판부를 상기 제2 하우징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내측선단부를 갖는 탄성측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를 가압할 경우 상기 원판부는 상기 탄성측벽을 외측으로 밀면서 상기 내측선단부의 하부 영역으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권취유닛은 상기 탄성측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과는 별개의 분리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측벽은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각도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다수의 탄성측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로드에 권취된 줄이 권취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유닛이 임의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는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유닛의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강 손잡이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호간 맞물림된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의 맞물림 상태를 강제로 해제시키는 해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 사이의 공간으로 강제 삽입 가능한 해제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후크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과 분리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원판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도넛몸체;
    상기 도넛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 상의 제2 기어부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홈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 및
    상기 도넛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측면장공홀로 노출되는 노출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손잡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날개부가 상기 비나사구간홈부로부터 빠져나와 상호 맞물림된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 사이로 강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권취유닛의 손잡이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가압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 사이로 강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기어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권취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줄통과공을 통해 각각 삽입된 줄의 양단이 권취된 후에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줄 노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줄 노출수단은,
    상기 권취로드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줄통과공을 통해 각각 삽입된 줄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권취공; 및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권취공과 연통하며, 상기 제1 및 제2 권취공으로 삽입된 줄의 양단이 상기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대면적 원형손잡이; 및
    상기 대면적 원형손잡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대면적 원형손잡이이 외면에는 제1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면에는 상기 제1 치형과 치형 맞물림되는 제2 치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면에서 상기 제2 치형과 상기 캡의 밑면 사이의 간격을 상기 대면적 원형손잡이의 두께보다 더 크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은 나사형 또는 기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 길이 조절장치.
KR1020090016916A 2009-02-27 2009-02-27 줄 길이 조절장치 KR100895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916A KR100895393B1 (ko) 2009-02-27 2009-02-27 줄 길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916A KR100895393B1 (ko) 2009-02-27 2009-02-27 줄 길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393B1 true KR100895393B1 (ko) 2009-04-30

Family

ID=4075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916A KR100895393B1 (ko) 2009-02-27 2009-02-27 줄 길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3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8A (ja) * 1991-12-20 1995-01-06 Kobatsuku:Kk 靴紐締付具
US6502286B1 (en) 1998-04-01 2003-01-07 Markus Dubberke Device for immobilizing the ends shoe laces
KR20070012584A (ko) * 2005-07-23 2007-01-26 소상완 줄 권취장치
KR100828906B1 (ko) 2008-01-02 2008-05-09 소윤서 끈 길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8A (ja) * 1991-12-20 1995-01-06 Kobatsuku:Kk 靴紐締付具
US6502286B1 (en) 1998-04-01 2003-01-07 Markus Dubberke Device for immobilizing the ends shoe laces
KR20070012584A (ko) * 2005-07-23 2007-01-26 소상완 줄 권취장치
KR100828906B1 (ko) 2008-01-02 2008-05-09 소윤서 끈 길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8124B1 (en) Winding device
TWI577301B (zh) 鞋帶捲取用捲盤
EP2981184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trofitting footwear to include a reel based closure system
KR101249420B1 (ko) 와이어 조임장치
KR101559109B1 (ko) 볼링용 손목 보호대
KR100884486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JP2017513679A (ja) ワイヤー締付装置
GB2449722A (en) A motorised shoe lace fastening system
KR20100111031A (ko) 신발끈 조임장치
JP2000502272A (ja) 杖取っ手
KR100929587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0895393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1651402B1 (ko) 캔 레버타입의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KR20110110615A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0828906B1 (ko) 끈 길이 조절장치
KR100889462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101047097B1 (ko) 신발
KR100888149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CN214283627U (zh) 系带快速收放装置
CN213059713U (zh) 绳索快速收放装置
KR102205258B1 (ko) 신발을 쉽게 신고 벗을수 있는 신발끈 결속장치
KR20130026954A (ko) 목 끈 조임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KR100895394B1 (ko) 줄 길이 조절장치
KR20160071620A (ko) 신발끈 길이 조절장치
CN112660944B (zh) 一种线绳锁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