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6954A - 목 끈 조임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 Google Patents

목 끈 조임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6954A
KR20130026954A KR1020110090437A KR20110090437A KR20130026954A KR 20130026954 A KR20130026954 A KR 20130026954A KR 1020110090437 A KR1020110090437 A KR 1020110090437A KR 20110090437 A KR20110090437 A KR 20110090437A KR 20130026954 A KR20130026954 A KR 20130026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tie
strap
tighte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혜지
Original Assignee
양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혜지 filed Critical 양혜지
Priority to KR102011009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6954A/ko
Publication of KR20130026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7Means for holding the neck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4Bands; Fastening devices for the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6Neckties with knot, bow or like tied by the user
    • A41D25/10Means for holding the kno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종래의 손으로 매는 손 매듭 넥타이와 개량된 지퍼식 넥타이의 여러 문제점을 보완하여 발명된 것으로 특히 넥타이의 목 조임 끈의 재질을 쉽게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소프트 한 탄성을 갖도록 하며 탄성체를 갖는 목 조임 끈에 부착된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가 구성되어 상기 매듭 부에 부착함으로 넥타이 착용자가 손쉽게 넥타이를 끈을 줄이거나 늘려서 빠른 시간에 넥타이를 매거나 풀 수 있다.
이처럼 본원의 넥타이는 목 끈의 길이를 임의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길이 조절된 목 끈에 대한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넥타이는 제조시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이며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종래의 손으로 매는 넥타이나 지퍼식 조임 넥타이에 비하여 수명이 다할 때까지 고장이 없고 넥타이를 매거나 푸는데 매우 이상적이며 목에 압박을 최소화하며 이물감 없이 더욱 견고하게 와이 셔츠에 고정시켜 착용중 넥타이가 쉽게 흘러내리거나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본원의 넥타이는 종래의 손으로 직접 매는 넥타이와 외관상으로는 동일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목 끈 조임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Dissolution apparatus equipped with captive wire tie off Thurs}
본 발명은 손으로 직접 매듭을 매거나 만들어진 종래 매듭을 이용하여 지퍼나 끈으로 목에 착용하는 대검 부와 소검 부를 갖는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넥타이의 기원은 2세기 초 로마 시대의 군인들이 착용했다고 하는 "포칼"(Focal)이라는 울 소재의 수건에서 유래한다. 포칼은 병사들이 전쟁에 참가할 때나 혹은 북방지역의 험악한 기후를 견디는데 사용한 것으로 목에 두르거나 허리 띠 속에 넣거나 하여 목수건 또는 손수건으로 구분없이 사용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이것이 넥타이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다.
본원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와이셔츠의 목 둘레에 감아지는 넥타이의 목 조임 끈에 목 끈 양단부에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성하여 상기 넥타이를 와이셔츠의 목 부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해체시에도 빠르고 간편하게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간편히 조작하여 해체토록 할 수 있으며 이른 시간에 넥타이의 착용과 해체가 쉽고 목에 착용시에 조임 감이 대폭 반감되는 목 조임 끈 결속 구를 갖는 기능성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넥타이 착용시에 일어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귀찮고 번거로운 매듭을 매지 않고 와이셔츠 목 부분의 목 조임 끈에 부착된 목 끈 조임 및 해체기구를 이용해 간단히 착용할 수 있는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목을 죄는 답답함이 없고 착 탈이 매우 신속하며 많은 활동을 하여도 상기 목 조임 끈에 부착된 목 끈 조임 및 해체 구가 탄성을 유지하며 당겨주고 있어 쉽게 풀어지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넥타이는 양끝이 칼처럼 생겼으며 한쪽은 큰칼, 다른 한쪽은 작은 칼처럼 생겼다 하여, 넓고 큰 쪽은 '대검(Apron)' (이하 대검부 라함), 작고 좁은 쪽은 '소검(Tip)'이라 하고 (이하 소검 부 라함) 양쪽을 연결하는 중앙 부분을 '중검'이라고 부른다. 또한, 상기 소검이 통과하는 부분을 루프(Loop)라 하며 소검을 통과시켜 두 개의 검을 한데 묶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택(Bar Tack)이라 부르며 넥타이는 대검, 중검, 소검 이 세 부분이 맞춰 꿰매 져고 내부에 심지를 넣어 완성된다.
통상적인 넥타이의 종류로는 손으로 매는 핸드 노티드 타이(hand knotted tie),
포인 핸드 타이"(For in hand), 스카프를 매는듯한 에스코트 타이(Ascot tie),
나비 넥타이인 보우 타이(bow tie) 턱시도 착용시 사용하는 스턱타이스턱 타이(Stuck Tie) 등이 있다.
현대 넥타이의 길이는 135㎝~143㎝, 폭은 시대나 유행에 따라 좌우되지만 8.5㎝~10㎝로 현재로서는 약 9.5㎝ 정도의 폭을 유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넥타이는 일체가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 넥타이가 있으나 최근에는 간편성으로 내부 구조물을 둘러싸면서 섬유 넥타이 매듭이 형성되고 넥타이가 이어지며 지퍼에 의해 조임 조절을 할 수 있는 지퍼식 넥타이가 젊은 층을 대상으로 널리 유행하고 있다.
이는 종래 넥타이와 착용시 외견상으로는 차이가 거의 없게 되어 있으며 넥타이 매듭을 맬 줄 모르는 신세대나 매기 귀찮아 하거나 바쁜 일과를 갖는 학생들이나 젊은층에 점차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상기 지퍼식 넥타이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된 내부 구조물에 넥타이와 동일한 섬유가 내부 구조물을 감싸게 되어 넥타이와 넥타이 매듭 부가 일체를 이루면서 여기에 끈을 연결하여 쉽게 탈착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 .
그런데 종래의 끈이나 지퍼식 넥타이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강조되었을 뿐 외관상으로는 사실상 종래의 섬유 넥타이와 동일하여 단정함을 표현하는 획일적인 기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본원 이전에 동일 카테고리로 선행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먼저 출원번호 20-2010-0009393 고안의 명칭: 목걸이형 자석 넥타이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목걸이 형태장신구의 핵심장식물에 천-조형물(造形物)을 부착시켜 만든 혼합형-넥타이 또는 최근에 개발된 묶음 매듭고정식의 천-넥타이(일명 자동넥타이) 등의 목 띠나 목줄의 둘레에, 인체건강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석(Magnet)을 여러 가지 형태와 방식으로 부착시켜 완성한 자석 넥타이 자체가 기술되어있으며;
또 다른 등록특허 10-0667601은 넥타이를 보다 편리하고 다양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넥타이 착용 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넥타이의 매듭과 같은 형상으로 착용 구를 별도 형성하여 내부에 롤러를 설치하고 이에 다양한 종류의 넥타이를 삽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이 쉽고 간편함은 물론, 하나의 착용 구로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넥타이를 착용할 수 있으며, 넥타이의 길이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넥타이 착용 구에 있어서, 착용시 와이셔츠와의 결합성을 향상시켜 사용중 넥타이가 와이셔츠로부터 이탈되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선행되었으며 또 다른 기술인 실용신안등록 제222179호와 같이 넥타이의 매듭과 같은 형상이고 외피로 감싸져 있는 체결 판을 형성하고, 뒤쪽에는 상하 삽입공이 형성된 삽탈판을 부착설치하고 결착력을 향상시켜 매듭 부가 삐뚤어지거나 와이셔츠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넥타이의 길이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고, 하나의 착용 구에 다수의 넥타이를 번갈아가며 삽입 착용함으로써 넥타이에 의한 다양한 연출이 가능토록 한 기술이 선행 기술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넥타이를 삽입한 상태에서 길이를 조절시 넥타이가 부드럽게 슬라이딩 되지 않아서 사용에 큰 불편함이 있었고 뒤쪽 케이스와 클립에 의해서만 넥타이가 와이셔츠에 고정되므로 착용중 넥타이를 앞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넥타이가 와이셔츠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지퍼 결속 넥타이는 이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무엇보다 지퍼가 쉽게 망가지고 목 부분이 제대로 조여지지 않아 흘러내리는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넥타이를 고정하는 목 끈의 일측에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목 부분이 항상 넥타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자세가 단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연구, 창출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최근에 개발 사용되는 지퍼나 끈으로 목에 조이는 묶음 매듭 고정식의 넥타이(일명 자동넥타이)를 이용하여 본원이 도출되는바 상기 넥타이 본체의 설치된 매듭부(40)는 합성수지류나, 고무, 실리콘,와이어, 금속 등으로 매듭 부가 형성되고, 본체의 외장은 넥타이 원단과 동일 색상과 재질의 섬유가 둘러싸여 사용되어 와이셔츠 목을 조이거나 풀어주는 목 조임 끈의 밴드가 결합하거나 지나가게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넥타이 목 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길이 조절된 목 끈에 대한 강력한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목 끈 길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으로 직접 매듭을 매거나 만들어진 종래 매듭을 이용하여 지퍼나 끈으로 목에 착용하는 대검 부와 소검 부를 갖고 와이셔츠의 목 부분에 체결하는 넥타이에 있어서 본원의 넥타이는 고무, 금속,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로 된 내부 구조물이 구성된 역 삼각형 형태의 매듭 부가 구성되며 여기에 넥타이와 동일한 색상과 섬유가 상기 내부 구조물을 감싸게 되어 넥타이와 넥타이 매듭 부가 일체를 이루면서 여기에 탄성력을 갖는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성 재질인 목 조임 끈에 부착된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로 구성 연결하여 쉽게 와이 셔츠에 탈 착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
상기 목 조임 끈은 조임이 거의 없는 탄성 재질로 보다 견고하게 와이셔츠에 고정시켜 착용중 넥타이가 흘러내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넥타이 목 조임 끈에 부착된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목 조임 끈은 밴드나 고무줄,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목 조임 끈이 입출 하는 원통형의 인입관과 이와 연통 되는 이탈 방지 끈을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넥타이의 활동중에 흘러내림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은 종래의 획일적인 넥타이의 착용 기능에서 탈피하여 보다 착용감이 우수하고 제조시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이며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종래의 손으로 매는 넥타이나 지퍼식 조임 넥타이에 비하여 수명이 다할 때까지 고장이 전혀 없으며 상기 넥타이를 매거나 푸는데 매우 이상적이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없으며 착용시 목 조임이 없는 좋은 효과를 가지며 본원의 넥타이는 종래의 손으로 직접 매는 넥타이와 외관상으로는 동일하여 이를 만져보거나 직접 착용하지않으면 육안으로는 판단이 불과하여 상기 일반 넥타이에 버금가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넥타이 목 끈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길이 조절된 목 끈에 대한 강력한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넥타이의 매듭부 상부에서 돌출되는 목 끈이 착용자의 목을 항상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착용자의 다양한 동작과 움직임에서도 넥타이가 느슨해지거나 이격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그 고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에 의해 넥타이의 착용 및 분리가 간편하여 착용자에게 더 없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퍼 조임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지퍼 조임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있어 본원 넥타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있어 탄성 목 조임 길이 조절 장치를 구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착용 상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후면 부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 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의 일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의 일실시 예에 의한 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매듭 부의 분해 사시 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매듭 부의 또 다른 분해 사시 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있어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이 구성된 본원 넥타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의 일실시 예에 의한 또 다른 분 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손으로 직접 매듭을 매거나 만들어진 종래 매듭을 이용하여 지퍼나 끈으로 목에 착용하는 대검 부와 소검 부를 갖는 일반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을 구비한 넥타이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대검부와 소검부로 이루어지며, 전방 중앙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목 끈 연결부, 이 목 끈 연결부의 일측에 결합하는 매듭부(40), 상기 개구부에 결합하여 목을 감싸는 목 끈 연결부, 상기 목 끈 연결부에 결합하여 상기 넥타이 목 끈을 조여주는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포함한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을 설치하며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내부에는 코일 또는 태엽형, 판 형태의 스프링을 말아놓고 그 끝에 넥타이 목 끈 말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작동하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스프링이 늘어났다가 줄어드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넥타이 조임 끈 (260)이 입, 출되어 착용자의 목을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원의 넥타이 본체(20)는 목 중앙에 위치한 매듭부(40)와 목을 조여 넥타이를 밀착하는 목 조임 끈(60)과 전면의 대검 부(80)와 뒤편의 소검 부(100)와 소검 끼움 부(120)와 재봉 선(1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듭부(40) 또는 목 조임 끈(60) 일측부에는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포함한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이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에는 넥타이 조임 끈(260)을 인출하는 목 조임 끈 인출부(140)와 스프링 부(280)와 제1 나 사부 (300) 및 제2 나 사부(320)와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을 감아주는 권취유닛(340)및 권취로드(360)와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을 늘려주는 해체유닛(400)과 상기 권취유닛(340)및 권취로드(360)와 해체유닛(400) 등을 수용하는 원판부(380)가 설치되며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은 고무, 실리콘,와이어, 합성수지, 섬유, 밴드, 스프링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넥타이 조임 끈 (260)은 사용자가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작동하면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내부로 입, 출 되며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중앙 영역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 제 1나사부(300)와 나사 맞물림 되는 제2 나사 부(320)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380)와, 상기 원판부(38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통공으로 노출되는 목 끈 길이 조작부(240)와,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과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목 끈 통과 공을 통해 삽입된 목 끈이 권취 및 권취해체되는 권취로드(360)를 구비한 권취유닛(400); 및 상기 권취로드와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권취유닛(400)을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유성기어의 배열에 의해 전달 하중을 분산시켜 적은 힘으로 상기 권취유닛(400)을 신속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기어 부가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스프링의 하단이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스프링 홈이 형성되며 상기 권취로드의 단부와 상기 스프링 홈에는 상기 스프링의 양단으로 부분적으로 끼움 결합하는 끼움 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권취로드(360)에 권취된 넥타이 조임 끈(260)은 권취 해체되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유닛(400)이 임의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제 1나사부(300)와 상기 제 2나사부는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호 간 나사 맞물림 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부의 맞물림 상태를 강제로 해체하는 해체유닛(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해체유닛(400)은,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및 제2 나사부 사이의 공간으로 강제 삽입 가능한 해체 후크가 구성된 해체유닛(400)이 구성된다.
상기 해체유닛(400)은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통해 상기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의 일측에 설치된 1쌍의 목 조임 끈 인출 부(140)를 통하여 넥타이 조임 끈 (260)이 입, 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판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과 연통 된 목 끈 길이 조작부(240)는 원형, 도넛형 또는 타원형, 세모형, 각형, 라운드형 몸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맞물림 된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부의 맞물림 상태를 해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해체유닛(400)은 상기 권취유닛(400)의 목 끈 길이 조작부(24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가압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의 맞물림 상태를 해체하는 해체 로드를 더 포함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매듭 부(40)에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포함한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을 설치하며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내부에는 코일, 태엽형, 판형 등의 스프링 부(280)를 설치하고 그 끝에 넥타이 조임 끈 (260)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작동하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스프링이 늘어났다가 줄어드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넥타이 조임 끈 (260)이 입, 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의 첨부된 14개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지퍼 조임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개량형 넥타이인 종래의 지퍼식 넥타이를 나타낸 것으로 본원의 넥타이 본체(20)는 목 중앙에 위치한 매듭부(40)와 종래 목 조임 끈(60)과 전면의 대검 부(80)
뒷면의 소검 부(100)와 소검 끼움 부(120)와 넥타이가 재봉 된 재봉 선(160)과 이를 결속하는 지퍼 부(200)로 구성된 종래의 지퍼식 넥타이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지퍼 조임식 넥타이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진으로 3회를 사용하고서 지퍼가 망가져 도저히 사용이 불가능한 넥타이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사진에서와 같이 지퍼식 넥타이를 사용하는 것은 바쁜 일상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는 매우 적합하고 사람의 육안으로 어떤 방식의 넥타이를 착용하였는지 알 수가 없는 넥타이지만 여기에 따르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지퍼 조임식 넥타이는 종래의 손으로 직접 매듭을 만들어 매는 넥타이에 비하여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이 편한 것은 기정 사실이나 상기 넥타이를 당겨주는 지퍼가 금세 마모되거나 상기 지퍼를 잠 그어 주는 지퍼 헤드 부나 지퍼의 이빨이 고장이 나므로 상기 사진에서와 같이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비일 비재하게 발생하였다.
이는 넥타이를 풀고 잠그는 과정에서 상기 넥타이의 소검 부(100)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긴 지퍼가 사용되며 강한 당김이나 풀어주는 충격이 발생하므로 이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지퍼가 고장이 나는 것은 어쩌면 필연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퍼식 넥타이와 일반적인 종래 묶음식 넥타이의 또 다른 취약점은
목에 착용하는 넥타이의 넥타이 조임 끈(260)은 탄성체가 아니므로 목에 착용하고 조금만 활동을 하다 보면 넥타이가 와이셔츠의 넥타이 ∧ 존에서 쉽사리 벗어나게 되어 보기가 안 좋아 수시로 넥타이의 역삼각형 형태(▽)의 매듭 부(40)를 잡고 상기 소검 부(100)를 수시로 당겨 주어야 하는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여기에 반하여 본원 발명은 착용이 매우 쉽고 한번 넥타이를 착용하게 되면 상기 넥타이를 목에 고정하는 넥타이 조임 끈(260)은 바람직하게는 소프트한 탄성체이므로 넥타이를 착용하는 동안에 자신도 모르게 점차 상기 넥타이 ∧ 존에 걸맞게 이물감이나 조임이 없이 조금씩 조여 주므로 육안 판별이 종래 넥타이와 구별이 어렵고 항상 점잖고 단정한 신사다운 이미지의 남성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있어 본원 넥타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목에 착용하는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 본체(20)는 역 삼각형 형태(▽)의 속에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포함한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을 수용한 매듭 부(40)와 앞면에 펼쳐지는 대검 부(80)와 와이셔츠(180)의 목에 착용하는 본원의 목에 착용하는 넥타이 조임 끈(260)과 상기 넥타이를 봉제 되는 재봉 선(160)과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이
목에 급격하게 조여지지 않는 다소 느슨한 소프트한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은 종래의 넥타이에 부착된 목조임 끈을 나타낸 것이고 본원에서는 상기 목조임 끈을 개선하여 넥타이 조임 끈(260)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은 고무, 실리콘,와이어, 합성수지, 섬유, 밴드, 스프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넥타이 본체(20)는 역 삼각형 형태(▽)의 매듭 부(40) 일측에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포함한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을 설치한 매듭 부(40)로 구성되며 여기에 넥타이와 동일 재질이 씌워지며 목에 착용하는 넥타이 조임 끈(260)과 앞면에 펼쳐지는 대검 부(80)로 구성되며 와이셔츠(180)의 목에 착용하게 된다.
이처럼 본원의 넥타이는 일정한 형태로 만들어진 매듭을 이용하여 지퍼나 끈으로 목에 착용하는 대검 부와 소검 부를 갖는 넥타이에 소프트하게 조여주는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가 설치된 넥타이 조임 끈(260)과 상기 넥타이의 대검 부를 봉제하는 재봉 선(160)과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으로 구성되며 상기 넥타이 형태의 매듭 부(40)는 내부에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을 신속하게 풀거나 조여 지도록 하고 풀림이 방지되는 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넥타이의 전 방부를 이루는 대검 부(80)의 상부 쪽 선단에 일체로 매듭 부(40)가 형성되되, 상기 매듭 부(40)를 이루는 천의 선단이 일정 길이 만큼 접혀진 상태로 사선 방향으로 재봉 되어 상기 대검 부(80) 선단에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된 넥타이 원단 선단을 외 측에서 또다시 재봉하여 고정케 한 매듭 부(40)가 형성되어 사람의 목에 바람직하게 착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넥타이의 매듭 부(4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목재, 금속으로 된 내부 구조물에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포함한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을 설치한 넥타이와 동일한 섬유가 내부 구조물을 감싸게 되어 넥타이 대검 부및 소검부와 넥타이 매듭 부(40)가 일체를 이루도록 한다.
본원에서는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을 넥타이의 매듭부(40) 일측부에 설치하였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의 일측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하겠다.
목 끈 길이 조작부(240)는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에 연통 되어 설치되며 권취유닛(Coiling unit 捲取)의 단부에는 코일 또는 태엽형, 판형과 같은 다양한 스프링 부(280)를 구비하게 된다.
이는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내부에 설치된 스프링 단부에 넥타이 목 끈 말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작동하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스프링이 늘어났다가 줄어드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목 끈인 상기 넥타이 목 끈을 입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유성기어의 배열에 의해 전달 하중을 분산시켜 적은 힘으로 상기 권취유닛(400)을 신속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기어 부가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중앙 영역에는 스프링 부(280)의 하단이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스프링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과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중앙 영역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의 배면에 나사 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은 목 끈 길이 조작부(240) 하우징에 비해 그 부피가 훨씬 크게 형성되고 있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과 목 끈 길이 조작부(240)의 결합 방식은 나사 방식이어도 좋고, 단턱이나 나 사식 끼움 식도 가능하다.
혹은 한 줄 정도의 나사 홈만을 내어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에 대해 목 끈 길이 조작부(240)의 하우징을 끼운 후 한번 돌려 이들이 체결되도록 하는 방식이어도 좋다. 물론, 후크(huke)식 결합 방식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권취유닛(400)은, 상면에 제1 제1 나 사부(300)와 나사 맞물림 되는 제2 제2 나사부(320) 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원판부(380)로부터 연장되어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통공으로 부분적으로 목 끈 길이 조작부(240)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측으로 연장되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측면에 형성된 목 조임 끈 인출 부(140)를 통해 삽입된 목 끈이 권취 및 해체되는 권취로드(Coiling road)를 구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목 조임 끈 인출 부(140)는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 일측에 형성 되고 있지만, 목 끈 길이 조작부(240) 일측에 형성되어도 좋다.
목 조임 끈 인출부(140)의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나 각형의 홀(Hole)이어도 좋고, 아니면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의 측면 대부분이 절개된 형태이어도 좋다. 후자와 같을 경우, 재료비의 절감 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권취로드(360)는 막대 형상을 갖는데, 이에는 목 끈이 권취되는 권취공이 형성되어 있다. 권취공을 통과한 넥타이 조임 끈은 권취유닛(400)의 회전 시 권취로드(360)에 권취 되거나 권취 해체된다. 물론, 권취 공 대신에 권취로드(360)의 일측부에 고리나 갈고리를 더 형성하는 방식이 적용되어도 좋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권취로드(360)에 권취된 목 끈이 권취 해체되는 방향으로 권취유닛(400)이 임의 회전되지 않도록 제1 나 사부(300)와 제2 나사부(320) 는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제1 나 사부(300)와 제2 제2 나사부(320) 는 일측으로 편심된 원 웨이(One way) 나사 산의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나사 부(300.320)가 원 웨이(One way) 나사 산의 형태를 가질 경우, 경사가 완만한 측을 향해, 즉 목 끈이 권취로드(360) 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권취유닛(400)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는 있지만, 권취유닛(400)이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넥타이 끈과 같은 결속력을 제공해야 하는 용도로 사용되기에 좋다.
도면에 보면, 제1 및 제2 나사 부(300.320)가 반경 방향으로 길게 도시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나사 부(300.320)의 개수 및 크기 등은 필요에 따라 상기 매듭부(40)와 잘 결합할 수 있으면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 부(280)는 상기 권취로드(360) 와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사이에 배치되어 권취유닛(400)을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측으로 탄 성적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이 스프링의 역할을 담당하는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다시 말해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이 탄성을 갖는 얇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도 충분히 그 동작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스프링 부(280)를 적용하게 되면, 스프링 부(280)가 늘어나 권취유닛(400)을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측으로 탄 성적으로 강제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나사 부(300.320)의 맞물림 동작이 가능해지며, 또한 제1 및 제2 나사 부(300.320)의 맞물림 상태는 임의로 해체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넥타이 목 끈이 착용중에 임의로 풀리거나 하는 현상이 예방된다. 이러한 역할을 갖는 스프링 부(280)를 설치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에 스프링 홈이 형성되는데, 이에 더하여 권취로드(360) 의 단부와 스프링 홈에는 스프링 부(280)의 양단으로 부분적으로 끼움 결합하는 끼움 부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 부에 스프링 부(280)의 양단이 끼워짐으로 해서 스프링 부(280)는
상기 권취로드(360)와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사이에서 이탈이 저지되고,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끼움 부는 선택 사항이므로 반드시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아래 도면에 보면 스프링 부(280)는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판형이나 태엽식 스프링으로 바람직하게 대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을 결합시킨 후에, 노출된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잡고 상기 권취유닛(400)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면,권취로드(360)의 권취공을 통과한 목 끈이 권취로드(360)에 신속하게 권취 됨으로써 목조임 목 끈의 조절 길이가 점차 짧아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권취유닛(40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더라도 제1 및 제2 나사 부(300.320)의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권취유닛(400)은 반대로 회전되지 아니하며, 따라서 목 끈이 임의로 풀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및 제2 나사 부(300.320)의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권취유닛(400)은 사용자가 작동하지 않으면 임의로 회전되지 않지만, 넥타이를 벗어야 하는 경우
상기 넥타이 목 끈을 이완시켜서 풀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권취유닛(400)을 단순히 회전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아래의 해체유닛(400)의 버튼을 누르거나 돌려줌으로 빠르게 벗을 수 있는 된다.
다시 말해, 해체유닛(400)은 상호 간 나사 맞물림 된 제1 및 제2 나사 부(300.320)의 맞물림 상태를 용이하게 또는 강제로 해체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있어 탄성 목 조임 길이 조절 장치를 구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은 중앙 영역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의 배면에 제1 나사 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상면에 상기 제 1나사부(300)와 나사 맞물림 되는 제2 나사 부(320)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380)와, 상기 원판부(380)로 부터 연장되어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통공으로 노출되는 목 끈 길이 조작부(240)와,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의 일측편에 형성된다.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 목 조임 끈 인출 부(140)을 통해 삽입된 줄이 권취 및 권취 해체되는 권취유닛(400)과 이 해체유닛(400)을 상기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 측으로 탄 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2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끈 길이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권취로드(360)의 단부와 상기 스프링 홈에는 상기 스프링의 양단으로 부분적으로 끼움 결합하는 끼움 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취로드(360)에 의해 권취된 넥타이 조임 끈(260)이 권취 해체되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유닛(400)이 임의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나 사부(300)와 상기 제2 나사 부는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유닛(400)의 목 끈 길이 조작부(2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강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호 간 나사 맞물림 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부의 맞물림 상태를 강제로 해체시키는 해체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체유닛(400)은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삽입 되어 상기 제1및 제2 나사부 사이의 공간으로 강제 삽입 가능한 해체 후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해체 후크는 상기 제1 및 목 끈 복수의 길이조절 하우징(220)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거나,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과 분리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해체유닛(400)은,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원판부의 상면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과 목 끈 길이 조작부(240)는 원형, 도넛형 또는 타원형, 세모형, 각형, 라운드형 몸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맞물림 된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부의 맞물림 상태를 해체시킬 수 있다.
상기 해체유닛(400)은 상기 권취유닛(400)의 목 끈 길이 조작부(24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에 결합하여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가압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부의 맞물림 상태를 해체시키는 해체 로드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착용 상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후면 부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원의 넥타이는 목 중앙에 위치한 매듭부(40) 일측에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포함한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을 설치함으로 넥타이 조임 끈(260)을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이용하여 마음대로 줄이거나 늘릴 수 있어 편리한 넥타이 착용을 본원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 및 분리가 간편하여 착용자에게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을 구비한 넥타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처럼 본원의 넥타이는 상기 넥타이의 양측 목 조임 끈 인출 부(140)에 연장 설치되어 중앙에 설치 공이 구성된 결합 부재와; 상기 설치 공에 설치되어 단계적으로 정지되면서 일정한 힘을 가할 시 신축성을 갖는 신축수단을 갖고, 길이 조절 하우징(240)부에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 하우징(240)을 형성하되, 길이조절 하우징(240)의 일 측면에 길이 조절버튼(240)과 긴밀히 접촉되는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신축 수단은 상기 길이 조절 하우징(240) 의 설치 공에 축설된 목 끈 길이 조작부(240)의 상측 내면에 요철부로 구성된 목 끈 길이 조작부(240)가형성된 가동버튼과; 내면에 요철부로 구성된 목 끈 길이 조작 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 공에 고정되는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상호 취합되게 결합하되, 목 끈 길이 조작부(240)의 후방으로 일정한 힘을 가할 시 요철부로 구성된 목 끈 길이 조작부(240)의 단부가 유동 되어 신축될 수 있도록 스프링 부(280)를 고정부재로 구속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고정 및 회전 하우징 모두에 절취 공이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고정 및 회전 하우징에 탄성력이 부여될 수만 있다면 절취 공은 굳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절취 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 및 회전 하우징에 탄성력을 부여하기에 좀 더 바람직할 수는 있을 것이고, 또한 그만큼 무게와 재료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의 일실시 예에 의한 분 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의 일실시 예에 의한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의 일실시 예에 의한 투시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길이조절 하우징(240)이 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길이조절 하우징(240)에 연통 된 목 끈 길이 조작부(240)는 목 끈 길이 조작부(240) 에 형성되는 길이조절 홈(28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목 끈 길이 조작부(240)로 일측에 형성되는 다단의 결합 돌기인 목 끈 길이 조작부(240)와 탄성 편이 설치되며, 단부에 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 목 끈이 요입 형성되어 목 끈 길이 조작부(240)에 형성되는 길이 조절 홈의 요철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한 예에 따르면,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목조임 목 끈의 길이를 임의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길이 조절된 목조임 목 끈에 대한 강력한 고정력을 부여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목 끈 길이 조절 장치가 제공 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매듭 부의 분해 사시 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넥타이의 매듭 부(40)는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이 수용되므로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전면 및 후면커버가 구비되며 여기에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이 눈에 띄지 않도록 설치되며 상기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 상부에 목 끈 길이 조작부(240)는 급속 권취및 해체유닛이 안착 되게 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의 일측부에 본원의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매듭 부의 또 다른 분해 사시 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있어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이 구성된 본원 넥타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 끈 길이 조절장치(300)에서 해체유닛(400)은 조작 부를 통해 삽입되어 원판부(380)의 상면에 배치되는 원형, 도넛형 또는 타원형, 세모형, 각형, 라운드형 몸체로 이루어진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측면 장공 홀로 노출되는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더 포함하게 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해체유닛(400)은 단품의 형태를 가지며 권취유닛(400)에 결합하여 작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 끈 길이 조절장치(200)에서 해체유닛(400)은,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삽입되어 제1 및 제2 나사부(300.320) 사이의 공간으로 강제 삽입 가능한 해체 후크를 적용시킬 수 있다.
이때의 해체후크는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측면에서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혹은 별개의 부품으로 마련되어 필요할 때만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부(300.320)가 상호 맞물린 경우, 힌지를 이용하여 해체유닛(400)인 해체 후크를 회동시켜 그 단부가 관통구멍을 통해 제1 및 제2 나사부(300.320) 사이의 공간으로 강제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300.320) 사이의 공간이 상호 벌어지면서 제1 및 제2 나사 부(300.320)의 맞물림 상태가 해체될 수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권취유닛(400)의 조작을 통해 상기 넥타이 목 끈을 풀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해체후크의 형상은 간략하게 도시한 것일 뿐 반드시 그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본원의 목 끈 길이 조절장치(400)에서 해체유닛(170)은 권취유닛(400) 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개의 부품인 상태에서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에 결합하여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회전하거나 가압할 경우 제1 및 제2 나사부(300.32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제1 및 제2 나사 부(300.320)의 맞물림 상태를 해체시키는 해체 로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체 로드의 선단은 후크 형태로 제작되어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가압이나 회전할 경우 제1 및 제2 나사부(300.320) 사이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유리하며 그 길이 역시 스프링 부(280)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당하게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목 끈 길이 조작부(240) 는 권취유닛(400)의 목 끈 길이 조작부(240)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막대형 조작 바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부피가 큰 막대형 조작 바를 잡고 권취유닛(400)을 회전 조작하면 된다.
이와 같은 목 끈 길이 조작 부(240)가 마련되는 경우, 권취유닛(400)의 회전 조작을 더욱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의 일실시 예에 의한 또 다른 분 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권취유닛(400)은 외력에 의해 상기 넥타이 목 끈을 감을 때 유성기어의 배열에 의해 전달 하중을 분산시켜 적은 힘으로 상기 권취유닛(400)을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넥타이 목 끈을 푼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기 넥타이 목 끈을 감도록 구성된 목 끈 출몰 수단이 횡 방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을 구비한 넥타이를 사용자가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해체유닛(400)을 작동하여 상기 넥타이 끈을 머리가 인입 될 수 있도록 넓혀놓고 목에 착용을 하며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의 길이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다시 권취로드(360)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넥타이 조임 끈(260)은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내부로 인입 수축되면서 착용자의 목을 조이게 되며 넥타이를 풀고자 할 때는 이와 반대로 하면 된다.
이때, 착용자의 목은 목 조임 끈 인출부(140) 의 상부에서 돌출되는 넥타이 조임 끈(260)에 의해 항상 목에 타이트하게 고정되며, 넥타이가 느슨해지거나 이격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착용자가 다양한 동작을 취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자세를 유지시켜 준다. 반대로, 착용자가 넥타이를 벗고자 할 경우에는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소정 높이 상승시키면 넥타이 조임 끈(260)이 풀리면서 목을 고정하던 힘이 사라지게 되며 상기 목 끈이 머리가 들락거릴 정도로 이완되므로 이에 따라 착용자는 넥타이를 쉽게 벗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예시된 도 3~ 도 14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본원의 넥타이를 다시 설명하여 보면 상기 넥타이 본체(20)는 넥타이 중앙의 매듭 부(40)의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고, 넥타이의 풀림과 조임을 조절하는 본원의 목 조임 장치가 상기 매듭 부(40)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하였듯이 넥타이 본체(20)의 중앙에 위치한 매듭 부(40)는 종래의 넥타이와 육안 판별이 어렵게 내부는 역 삼각형상(▽)을 한 합성 수지류나 플라스틱, 금속,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고 외관에 상기 넥타이와 상응하는 동일재질과 색상의 섬유가 둘려 싸게 된다.
또한, 상기 넥타이는 상기 원단으로 상기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덧 되거나 직조, 재봉 또는 봉제토록 하고 상기 원단 내부에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로 이루어진 목 조임 끈에 부착된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에 넣고 감싸지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상기 넥타이 목 조임 끈을 쉽게 권취 하거나 수축되는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로 하며 종래의 손으로 매는 넥타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착용할 수 있으며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에 의하여 와이셔츠의 넥타이를 매는 부분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의 조임과 해체로 착용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인용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참조 적으로 도시된 것일 뿐 도면의 형상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도시된 판체들의 두께나 형상, 위치 및 길이, 그리고 돌기부 및 돌기 홈의 형상 및 위치, 개수 등은 적절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하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목 조임 끈은 밴드나 고무줄,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목 조임 끈이 입출 하는 원통형의 인입관과 이와 연통 되는 이탈 방지 끈을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넥타이의 활동중에 흘러내림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은 종래의 획일적인 넥타이의 착용 기능에서 탈피하여 보다 착용감이 우수하고 제조시 비용이 적게 들어 매우 경제적이며 제조공 정이 단순하고 종래의 손으로 매는 넥타이나 지퍼식 조임 넥타이에 비하여 수명이 다할 때까지 고장이 없으며 상기 넥타이를 매거나 푸는데 매우 이상적이며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종래의 손으로 직접 매는 넥타이와 외관상으로는 동일하여 이를 만져보거나 직접 착용하지 않으면 육안으로는 판단이 불과하여 상기 일반 넥타이에 버금가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넥타이 본체 40: 매듭부
60: 종래 목 조임 끈 80: 대검 부
100: 소검 부 120: 소검 끼움부
140: 목 조임 끈 인출부 160: 재봉선
180: 와이셔츠 200: 지퍼 부
220: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 240: 목 끈 길이 조작부
260: 넥타이 조임 끈 280: 스프링 부
300: 제1 나사부 320: 제2 나사부
340: 권취유닛 360: 권취로드
380: 원판부 400: 해체유닛

Claims (10)

  1. 넥타이 본체(20)는 목 중앙에 위치한 매듭부(40)와 목을 조여 넥타이를 밀착하는 목 조임 끈(60)과 전면의 대검 부(80)와 뒤편의 소검 부(100)와 소검 끼움 부(120)와 재봉 선(160)으로 이루어진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매듭부(40) 또는 목 조임 끈(60) 일측부에는 목 끈 길이 조작부(240)
    를 포함한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에는 넥타이 조임 끈(260)을 인출하는 목 조임 끈 인출부(140)와; 스프링 부(280)와; 제1 나사 부(300)를 비롯한 제2 나 사부(320)와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을 감아주는 권취유닛(340)및 권취로드(360)와;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을 늘려주는 해체유닛(400)과;
    상기 권취유닛(340)및 권취로드(360)와; 해체유닛(400) 등을 수용하는 원판부(380)가 설치되며 상기 넥타이 조임 끈(260)은 고무, 실리콘,와이어, 합성수지, 섬유, 밴드, 스프링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3. 사용자가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작동하면 넥타이 조임 끈 (260)은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내부로 즉시 입, 출이 되며 상기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
    중앙 영역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 제 1나사부(300)와 나사 맞물림 되는 제2 나사 부(320)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부(380)와;
    상기 원판부(38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의 통공으로
    노출되는 목 끈 길이 조작부(240)와;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의 일측편에 형성되고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과;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일 측면에 형성된 목 끈 통과 공을 통해 하우징에 삽입된 목 끈이 권취 및 권취 해체되는 권취로드(360)를 구비한 권취유닛(400)및 상기 권취로드(360)와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권취 유닛(400) 또는 넥타이 조임 끈 (260)을 탄 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부(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스프링 부(280)의 하단이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스프링 홈 및 회전력을 높이기 위한 기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권취로드(360)의 단부와 상기 스프링 홈에는 상기 스프링의 양단으로 부분적으로 끼움 결합하는 끼움 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로드(360)에 권취된 넥타이 조임 끈(260)은 권취 해체되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유닛(400)이 임의 회전되지 않도록 일방향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6. 상호 간 나사 맞물림 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부의 맞물림 상태를 강제로 해체시키는 해체유닛(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해체유닛(400)은,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및 제2 나사부 사이의 공간으로 강제 삽입 가능한 해체 후크가 구성된 해체유닛(40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유닛(400)은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통해 상기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의 일측에 설치된 1쌍의 목 조임 끈 인출 부(140)를 통하여 넥타이 조임 끈 (260)이 입, 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380)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과 이와 연통 된 목 끈 길이 조작부(240)의 형태는 원형, 도넛형 또는 타원형, 세모형, 각형, 라운드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맞물림 된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부의 맞물림 상태를 해체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유닛(400)은 상기 권취유닛(400)의 목 끈 길이 조작부(24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작동시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 사이로 삽입 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부의 맞물림 상태를 해체시키는 해체 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부(40) 또는 넥타이 조임 끈 (260) 일측에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포함한 목 끈 길이조절 하우징(220)을 설치하며 상기 목 끈 길이 조절 하우징(220)내부에는 코일, 태엽형, 판형 등의 스프링 부(280)및 기어 부를 설치하고 그 끝에 넥타이 조임 끈 (260)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목 끈 길이 조작부(240)를 작동하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스프링이 늘어났다가 줄어드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넥타이 조임 끈 (260)이 입, 출 되어 착용자의 목을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끈 조임 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KR1020110090437A 2011-09-06 2011-09-06 목 끈 조임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KR20130026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437A KR20130026954A (ko) 2011-09-06 2011-09-06 목 끈 조임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437A KR20130026954A (ko) 2011-09-06 2011-09-06 목 끈 조임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954A true KR20130026954A (ko) 2013-03-14

Family

ID=4817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437A KR20130026954A (ko) 2011-09-06 2011-09-06 목 끈 조임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695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8711A1 (en) * 2013-01-11 2014-07-17 Péntek Márton Necktie
WO2017091009A1 (ko) * 2015-11-25 2017-06-01 김태오 격투기용 몸통 보호구
CN108260875A (zh) * 2018-04-11 2018-07-10 颜天德 一种三角固定领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8711A1 (en) * 2013-01-11 2014-07-17 Péntek Márton Necktie
WO2017091009A1 (ko) * 2015-11-25 2017-06-01 김태오 격투기용 몸통 보호구
CN108260875A (zh) * 2018-04-11 2018-07-10 颜天德 一种三角固定领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1184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trofitting footwear to include a reel based closure system
TWM558547U (zh) 鞋子的閉合及緊固系統
CN102905573B (zh) 滑动锁定索环
US20090178690A1 (en) Hair tie and ornament holder
KR20130026954A (ko) 목 끈 조임및 해체 기구를 구비한 넥타이
KR101384591B1 (ko) 부착식 넥타이
KR101260638B1 (ko) 운동보조기구
KR101250949B1 (ko) 넥타이 목 끈의 길이 조절 장치
KR101268598B1 (ko) 넥타이 목 끈의 길이 조절 장치
KR101250943B1 (ko) 소검 부가 없는 기능성 넥타이
KR20000007716A (ko) 장식이 부착된 신발끈
KR101296977B1 (ko) 매듭을 이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는 고리가 구성된 액세서리용 줄과 그 제작방법
JP2012007282A (ja) 結ばなくても良いネクタイ又はスカーフ
TWM585508U (zh) 軍用頭盔繫帶調整構造
KR20130029185A (ko) 와이셔츠 단추에 탈부착 되는 넥타이
JP2013046741A (ja) 靴紐及びそれを備えた紐靴
JPH0512249Y2 (ko)
CN213549753U (zh) 一种束紧运动裤
KR20130023012A (ko) 자석 결속구를 구비한 탄성 넥타이
KR20130001795U (ko) 탄성밴드가 설치된 기능성 넥타이
WO2011157050A1 (zh) 鞋带穿系装置
JPH0512250Y2 (ko)
KR20130029181A (ko) 셔츠 물림부가 구비된 넥타이
JP3199068U (ja) 首回りのサイズ調整が可能な上衣
WO2019230016A1 (ja) 弾性変形可能な組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